KR100845845B1 - 세탁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845B1
KR100845845B1 KR1020050046038A KR20050046038A KR100845845B1 KR 100845845 B1 KR100845845 B1 KR 100845845B1 KR 1020050046038 A KR1020050046038 A KR 1020050046038A KR 20050046038 A KR20050046038 A KR 20050046038A KR 100845845 B1 KR100845845 B1 KR 10084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drum
main bod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226A (ko
Inventor
이득희
조흥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845B1/ko
Priority to DE602006008467T priority patent/DE602006008467D1/de
Priority to US11/629,662 priority patent/US8438755B2/en
Priority to CN2006800004877A priority patent/CN1989287B/zh
Priority to EP06757485A priority patent/EP1899522B1/en
Priority to AT06757485T priority patent/ATE439465T1/de
Priority to PCT/KR2006/001430 priority patent/WO2006129916A1/en
Priority to AU2006253222A priority patent/AU2006253222B2/en
Publication of KR2006012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6Recirculation of washing liquids, e.g. by pumps or diverting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스팀 제공부로 급수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에 의해 직접 급수될 수 있도록 하고, 스팀 제공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드럼 내의 저부에 존재하는 세탁물로 원활히 제공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내에 구비되며, 그 저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된 아웃터브; 상기 아웃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본체의 내부 중 대략 본체의 중앙측에 비해 낮은 위치에 구비된 물저장통과, 상기 물저장통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발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팀 제공부; 일단은 상기 물저장통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어느 한 면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연결된 물투입관; 그리고, 상기 스팀 제공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제공하는 주 스팀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를 제공한다.
주 스팀공급부, 보조 스팀공급부, 수동 급수, 스팀 제공부, 하부 위치

Description

세탁 장치{Washing machine}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컨트롤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상태도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중 수위 감지부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중 수위 표시부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표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0 및 도 11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투입구
120. 도어 130. 림부
140. 덮개부 150. 가이드부
200. 아웃터브 210. 배수관
220. 저장부 230. 히터
300. 드럼 310. 통공
400,900. 스팀 제공부 410,910. 물저장통
411. 유출관 420,920. 발열히터
430. 수위 감지부 440. 수위 표시부
500. 물투입관 610. 주 스팀공급관
620. 보조 스팀공급관 630. 유로 제어밸브
700. 세탁수 순환부 710. 유입관
720. 순환펌프 730. 안내관
740. 분사노즐 750. 개폐밸브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용한 세탁물의 세탁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 장치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펄세이터 세탁기와, 상기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세탁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있기 때문에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낙하 방식으로써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한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드럼 세탁기의 종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드럼 세탁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장착된 아웃터브(20)와, 상기 아웃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럼(30)과, 상기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1)의 주변 부위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4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20)는 그 외측 둘레면의 양측 저부에 댐퍼(21)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 내에서 지지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아웃터브(20)의 내측 저부에는 세탁수용 히터(60)가 구비되어 세탁에 사용되는 세탁수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30)은 상기 아웃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둘레면으로는 세탁수의 유입/유출을 위한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수단은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력을 상기 드럼(30)으로 전달하도록 연결된 벨트(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드럼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세탁물과 일정량의 세제를 드럼(30)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컨트롤러(도시는 생략함)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의 세탁시 사용되는 세탁수의 양이 과도하게 많기 때문에 물과 전력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통상의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상기 세탁물을 장시간 동안 세탁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상기 세탁물을 오염시키는 오염물이 분리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세탁수가 필요시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을 살균하는 코스가 세탁수용 히터의 발열을 통해 아웃터브 내로 급수된 세탁수를 가열시킨 후 이 가열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수행되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세탁수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전력 의 소모가 클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최근에는, 드럼 세탁기의 내부에 별도의 스팀 제공부를 구비하여 고온의 스팀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량의 세탁수로 세탁물의 살균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스팀 제공부는 스팀 생성에 필요한 세탁수의 양이 자동 급수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각종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첫째, 상기 스팀 제공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별도의 급수밸브와 별도의 급수유로가 구비되어야만 하였다.
이로 인해, 제조 단가의 상승이 야기되었을 뿐 아니라, 구조의 복잡함으로 인해 제조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둘째, 급수밸브의 오작동이나, 상기 스팀 제공부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의 고장 등이 발생될 경우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발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화재의 발생이 우려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이는, 사용자가 스팀 제공부로 급수된 세탁수의 급수량을 인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야기되는 문제점이다.
또한, 전술한 각 문제점 이외에도 종래의 스팀 제공부는 스팀을 드럼의 상측에서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분사되는 스팀의 양이 충분히 많지 않거나 혹은, 상기 스팀의 분사 압력이 충분히 높지 못할 경우에는 드럼의 저부에 존재하는 세탁물로는 상기 스팀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결국, 스팀을 이용한 세탁 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대한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스팀 제공부로 급수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에 가 직접 급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팀 제공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드럼 내의 저부에 존재하는 세탁물로 원활히 제공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탁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내에 구비되며, 그 저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된 아웃터브; 상기 아웃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본체의 내부 중 대략 본체의 중앙측에 비해 낮은 위치에 구비된 물저장통과, 상기 물저장통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발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팀 제공부; 일단은 상기 물저장통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어느 한 면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연결된 물투입관; 그리고, 상기 스팀 제공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제공하는 주 스팀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스팀공급관은 상기 아웃터브의 하단 둘레측을 관통하여 상기 아웃터브 내부 및 드럼의 내측 저부와 연통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탁 장치의 본체 내부에는 상기 아웃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의 내부를 향해 분사하는 세탁수 순환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세탁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내에 구비된 아웃터브; 상기 아웃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본체의 전면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내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과, 상기 물저장통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발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팀 제공부; 그리고, 상기 스팀 제공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제공하는 주 스팀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세탁 장치는 크게 본체(100)와, 아웃터브(200)와, 드럼(300)과, 스팀 제공부(400)와, 물투입관(500)과, 주 스팀공급관(6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드럼식 세탁기를 그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드럼 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면서 그 전면에는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브(200)는 상기 본체(100) 내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투입구(110)가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투입구(110)를 개폐하는 도어(12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브(200)의 하단에는 세척수(혹은, 세탁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21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210)이 연결된 부위는 그 저부로 외향 돌출된 저장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220)의 내부에는 히터(23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230)가 구비되는 공간 상에는 온도 센서(도시는 생략됨)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히터(230)의 발열에 의해 가열되는 세탁수의 온도를 정확히 센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드럼(300)은 상기 아웃터브(2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투입구(110)를 향하여 개구된 측이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이 때, 상기 드럼(300)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통공(310)이 형성되어 아웃터브(200) 내로 공급되는 세척수 및 스팀이 상기 드럼(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투입구(110)와 상기 드럼(300)의 전방측 끝단 사이에는 상호간의 사이를 본체(100) 내부의 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림부(13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 제공부(4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어 소정량의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스팀 제공부(400)는 첨부된 도 4와 같이 고온의 열기로 물을 증기화하도록 구성되며, 물저장통(410)과, 발열히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저장통(41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중 대략 본체(100)의 중앙측에 비해 같거나 혹은,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고온의 스팀이 하향 유동되면서 토출되는 압력에 비해 상향 유동되면서 토출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즉, 실질적으로 스팀이 생성되는 물저장통(410)을 본체(100) 내의 대략 중앙측 이하의 위치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물저장통(410) 내에 생성된 스팀이 상향 이동되면서 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스팀의 토출 유동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물저장통(41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중 드럼(300)의 저부가 이루는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이거나 혹은, 낮은 높이에 위치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과 아웃터브(200)간의 이격 거리가 극히 좁음을 고려할 때 해당 부위에 장착되기란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스팀 제공부(400)가 최대한 낮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팀 제공부(400)에서 생성된 스팀이 보다 원활히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히터(420)는 물저장통(410)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저장통(410) 내에 위치된다.
또한, 전술한 스팀 제공부(400)에는 물저장통(410) 내부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지 않음을 고려할 때 상기 물저장통(410) 내로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감지부(430)가 더 구비되고, 본체(100)에는 상기 수위 감지부(43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수위 표시부(4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 다.
상기 수위 감지부(4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현재의 수위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전극 센서, 온도차이의 변화에 의해 현재의 수위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온도 센서, 무게차이의 변화에 의해 현재의 수위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중량 센서, 압력차이의 변화에 의해 현재의 수위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압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한 센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위 감지부(430)가 전극 센서임을 제시한다.
상기한 수위 감지부(430)는 물저장통(410) 내부의 소정 높이에 위치되는 하나의 공통 전극(431)과, 하나의 저수위 확인용 전극(432) 및 하나의 고수위 확인용 전극(43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 수위 감지부(430)의 전극은 셋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저수위 확인용 전극(432)의 노출 단자(432a)는 상기 공통 전극(431)의 노출 단자(431a)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고수위 확인용 전극(433)의 노출 단자(433a)는 상기 공통 전극(431)의 노출 단자(431a) 및 상기 저수위 확인용 전극(432)의 노출 단자(432a)에 비해 높은 위치에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수위 표시부(440)는 다수의 LED나, LCD 화면 혹은, 경고음을 통해 현재의 수위 상태를 통보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위 표시부(440)가 다수의 LED(441a,441b,441c) 및 상기 각 LED(441a,441b,441c)의 점멸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표시창(44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LED(441a,441b,441c) 및 표시창(442)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본체(100)의 컨트롤 패널상에 구비됨을 제시한다.
상기 각 LED(441a,441b,441c)는 최저 수위를 표시하기 위한 LED(441c)와 보통 수위를 표시하기 위한 LED(441b) 및 만수위를 표시하기 위한 LED(441a)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각 LED(441a,441b,441c)의 점멸은 상기 수위 감지부(430)가 센싱한 정보를 토대로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투입관(500)은 본체(100)의 외부로부터 상기 물저장통(41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관이다.
이때, 상기 물투입관(500)의 물이 유입되는 부위는 상기 본체(100)의 외측면 중 상기 본체(100)의 상면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물투입관(500)의 물이 유입되는 부위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비해서는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지 않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물투입관(500)으로 인한 본체(100) 상면의 청소나 기타 사용상의 간섭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본체(100)의 상면 중 상기 물투입관(500)이 노출되는 부위에는 상기 물투입관(500)과 연통된 부위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덮개부(1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덮개부(140)는 마개식으로 상기 물투입관(500)을 폐쇄하도록 구 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덮개부(14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거나 혹은, 해당 부위를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물투입관(500)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주 스팀공급관(610)은 상기 스팀 제공부(4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아웃터브(200) 내부로 제공하도록 형성된 관로이다.
상기한 주 스팀공급관(610)의 일단은 상기 스팀 제공부(400)의 물저장통(410) 중 상단부위나 혹은, 상기 물저장통(410)의 상면에 연결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주 스팀공급관(610)의 타단은 상기 드럼(300)의 저면에 비해서는 낮은 위치인 상기 아웃터브(200)의 하단 둘레측을 관통하여 상기 아웃터브(2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주 스팀공급관(610)의 타단은 상기 아웃터브(200)의 하단 둘레측 중 드럼(300)의 저면 높이에 비해서는 낮은 위치이되 저장부(220) 내의 히터(230)의 높이에 비해서는 높은 위치에 연결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드럼(300) 내의 전부위로 스팀이 고르게 유동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스팀이 고온의 상태이며, 고온의 스팀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유동됨을 고려할 때 아웃터브(200) 내의 저부로부터 드럼(300) 내부를 향해 스팀을 공급하게 되면 드럼(300) 내의 저부뿐만 아니라 드럼(300) 내의 상부측 공간까지 고른 스팀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드럼 상부로부터 제공되는 스팀이 드럼 내의 저부에 이르기까지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결한 구조이다.
특히, 드럼(300)의 저부에 세탁물이 존재함을 고려할 때 상기 드럼(300)의 저부로부터 제공되는 스팀에 의해 상기 세탁물은 예컨대, 찜 방식으로 세탁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세탁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중 스팀 제공부(400)는 사용자가 직접 급수를 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물이 과급수되어 넘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는 물저장통(410)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430)와, 상기 수위 감지부(430)에 의해 감지된 수위의 정보를 표시하는 수위 표시부(440)가 구비되어 있지만, 예컨대 상기 수위 감지부(430)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그에 대한 대처가 곤란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저장통(410)에 상기 과급수된 물을 자연 유출시키는 유출관(411)이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상기에서 유출관(411)의 일단은 상기 물저장통(410) 중 과급수되는 수위의 위치와 연통되게 연결하고, 상기 유출관(411)의 타단은 아웃터브(200) 내의 저부측 공간과 연통되게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유출관(411)의 타단은 드럼(3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의 경우 상기 유출관(411)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드럼(300) 내부에 존재하는 세탁물이 젖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세탁물이 통상의 세탁 과정을 수행할 경우라면 상기 과급수된 물에 젖더라도 상관없으나, 세탁이 완료된 후 건조까지 이루어진 세탁물의 경우라면 해당 세탁물이 물에 젖지 않아야만 한다.
또한, 상기 유출관(411)의 타단은 배수관(210)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의 경우 스팀 제공부(400)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상기 유출관(411)을 통해 배수관(210)으로 직접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따라서, 상기 유출관(411)의 물이 배출되는 측은 아웃터브(200)의 내측 특히, 아웃터브(200)의 저부측 공간과 연통되게 연결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유출관(411)은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스팀공급관(610)과 별개의 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주 스팀공급관(610)이 상기 유출관(411)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를 이용한 세탁 과정 중 드럼(300) 내로 스팀을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세탁 과정 중 스팀을 이용하는 행정은 포적심 행정과, 불림 행정과, 세탁 행정과, 살균 행정, 건조 완료후 등 다양한 행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각 행정 중 어느 한 행정을 위해 스팀의 제공이 필요할 경우라면 본체(100)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덮개부(140)를 조작하여 물투입관(500)을 개방하고, 상기 개방된 물투입관(500)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투입관(500)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물투입관(500)을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물투입관(500)의 타단과 연결된 물저장통(410) 내로 급수된다.
이때, 상기 물저장통(410) 내에 구비된 수위 감지부(430)는 상기 물저장통(410) 내로 급수되는 수위를 지속적으로 센싱한다.
상기 수위 감지부(430)에 의한 수위의 감지는 공통 전극(431)과 저수위 확인용 전극(432)간의 통전 여부 및 공통 전극(431)과 고수위 확인용 전극(433)간의 통전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에 의해 확인된 통전 여부는 제어부(도시는 생략됨)로 제공된 후 제어부에서 상기 통전 여부를 토대로 수위 표시부(440)의 각 LED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의 수위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첨부된 도 6a와 같이 공통 전극(431)과 저수위 확인용 전극(432)간이 통전될 경우 그 신호는 제어부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통전 여부를 토대로 현재 물저장통(410) 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중 최저 수위(히터에 비해 높은 수위)임으로 판단한 후 각 LED(441a,441b,441c) 중 최저 수위를 표시할 수 있는 특정 LED (441c)를 첨부된 도 7a와 같이 점등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수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일, 첨부된 도 6b와 같이 공통 전극(431)과 고수위 확인용 전극(433)간이 통전될 경우 그 신호는 제어부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통전 여부를 토대로 현재의 물저장통 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중 최대 수위(만수위(滿水位))임으로 판단한 후 각 LED(441a,441b,441c) 중 만수위를 표시할 수 있는 특정 LED(441a)를 첨부된 도 7b와 같이 점등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수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물저장통(410) 내부로 물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과급수는 상기 물저장통(410)에 연통되게 연결된 유출관(411)을 통해 아웃터브(200) 내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과급수된 물로 인한 문제 발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물저장통(41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滿水位)를 이루게 되면, 덮개부(140)를 닫은 후 해당 행정을 수행한다.
이의 경우, 발열히터(420)가 발열되면서 물저장통(410) 내에 저장된 물을 증발시키게 되고, 이렇게 생성된 스팀은 주 스팀공급관(610)을 통해 아웃터브(200) 내의 저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스팀은 드럼(300)의 각 통공(310)을 통과하면서 상기 드럼(300)의 저부로부터 상승하게 되고, 이의 과정에서 상기 드럼(300) 내의 저부에 존재하는 세탁물을 예컨대, 찜 방식으로 세탁하거나 혹은, 살균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스팀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도중 상기 드럼(300)은 지속적인 회전(일방향 회전 혹은, 좌우 반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설정 시간동안 수행되면 발열히터(420)의 발열이 중단됨과 더불어 드럼(300)의 회전이 중단되면서 해당 행정이 종료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스팀이 아웃터브(200)의 저부를 통해 드럼(300) 내의 저부 공간으로만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300) 내의 저부 공간상에 구비된 세탁물로 인해 실제 상기 드럼(300) 내의 상부 공간상에는 그 부위로 제공되는 스팀의 양이 극히 적게 되며, 이로 인해 세탁물의 상하가 균일한 스팀 제공을 받지 못하여 세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조에 별도의 보조 스팀공급관(620)을 더 구비한 것을 제시한다.
여기서, 스팀 제공부(4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아웃터브(200) 내부로 제공하는 주 스팀공급관(610)은 상기 아웃터브(200)의 저부 공간을 통해 드럼(300) 내부로 제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팀공급관(620)은 상기 스팀 제공부(4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드럼(300) 내의 상측 공간으로부터 상기 드럼(300) 내의 저부측 공간을 향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스팀공급관(620)의 토출단은 림부(130)를 관통하여 드럼(300)의 내부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조 스팀공급관(620)은 상기 주 스팀공급관(610)의 관로 중 어느 한 부위로부터 분지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팀 제공부(400)로부터 인출되는 관로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배선의 단순화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기 주 스팀공급관(610)과 상기 보조 스팀공급관(620) 간의 관로가 분지되는 부위에는 각 관로로 선택적인 스팀의 공급 및/혹은, 차단을 위한 유로 제어밸브(63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전 행정에 따라 스팀이 드럼(300)의 하부로부터 제공되는 경우와 상기 스팀이 드럼(300)의 상부로부터 제공되는 경우 및 상기 스팀이 드럼(300)의 상 하부로부터 동시에 제공되는 경우가 각기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구성에 의해 드럼(300) 내의 상부 공간 및 드럼(300) 내의 하부 공간으로 스팀의 동시 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세탁물의 상하가 균일한 스팀 제공을 받을 수 있음에 따른 세탁 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게 된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의 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구조로만 구성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세탁 장치는 다양한 구조적인 변경이 가능하며, 이를 각 실시예별로 간략히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스팀 제공부(400)를 본체(100) 내부 중 드럼의 저부가 이루는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이거나 혹은, 낮은 높이에 위치되게 구비하고, 물투입관(50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 전면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물이 투입되는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물투입관(500)의 물 유입측이 특정한 한 부위에만 위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본체(100)의 각 면 중 어느 한 면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물투입관(500)의 물 유입측을 다수 의 갈래로 분지시켜 상기 본체(100)의 각 면 중 1개소 이상의 면과 동시에 연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구조 중 본체(100)의 내부에 아웃터브(200) 내부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드럼(300)의 내부로 분사하는 세탁수 순환부(70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세탁수 순환부(700)는 세탁물에 대한 포적심을 수행할 때 및/혹은, 세탁 행정을 진행할 때 드럼(300) 내부를 향해 세탁수를 분사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포적심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세탁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세탁수 순환부(700)는 상기 아웃터브(200) 내의 세탁수를 제공받는 유입관(710)과, 상기 유입관(710)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720)와, 상기 순환펌프(720)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본체(100) 내의 상측 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관(730) 그리고, 상기 안내관(730)의 토출측에 결합되면서 림부(130)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300)의 내측 상단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펌핑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입관(710)은 배수관(210)과 연통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입관(710)의 관로 혹은, 상기 배수관(210)의 관로상에는 상기 두 관로를 선택적 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75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스팀 제공부(900)가 물저장통(910) 및 발열히터(9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물저장통(910)이 본체(100)와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물저장통(910)이 본체(100)의 어느 한 면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00) 내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저장통(910)이 상기 본체(100)의 전면 하단(바람직하게는 전면의 하단 모서리 부위)을 관통하여 서랍식으로 수납되도록 함이 유리하다. 이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물저장통(910)이 수납될 경우 상기 물저장통(910)의 양측 저면을 지지하면서 그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부(150)는 소정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체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히터(920)는 상기 물저장통(910)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저장통(910)이 본체(100) 내로 수납되었을 경우 상기 물저장통(910)의 저부인 상기 가이드부(150) 내의 저부 공간상에 상기 발열히터(920)가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물저장통(910)의 저면은 열전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열히터(920)가 상기 물저장통(910) 내에 일체로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팀의 토출 유동을 안내하는 주 스팀공급관(610)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15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주 스팀공급관(610)의 타단은 아웃터브(200)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주 스팀공급관(610)의 타단은 상기 아웃터브(200)의 하단 둘레측을 관통하여 상기 아웃터브(2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는 아웃터브(200)의 상측 공간을 통과하여 드럼(300)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보조 스팀공급관(620)이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상기 보조 스팀공급관(620)은 상기 주 스팀공급관(610)의 관로 중 어느 한 부위로부터 분지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관로가 분지되는 부위에는 각 관로를 통해 스팀이 선택적으로 공급되거나 혹은, 차단되도록 동작되는 유로 제어밸브(63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스팀공급관(620)의 토출단은 림부(130)를 관통하여 드럼(300) 내부와 연통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에는 본체(100)의 내부에 상기 아웃터브(200) 내부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300) 내부로 분사하는 세탁수 순환부(70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상기 세탁수 순환부(700)는 상기 아웃터브(200) 내의 세탁수를 제공받는 유입관(710)과, 상기 유입관(710)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720)와, 상기 순환펌프(720)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본체(100) 내의 상측 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관(730) 그리고, 상기 안내관(730)의 토출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드럼(300)의 내측 상단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펌핑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7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스팀 제공부로의 급수를 위한 구조를 사용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수 밸브의 추가 구비가 생략됨과 더불어 급수유로가 생략되어 제조 단가의 저감 및 제조 작업의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스팀 제공부의 물저장통 내로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수위 감지부에 의해 자동 감지되어 수위 표시부를 통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면서 물을 보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스팀 제공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아웃터브의 저부 공간을 통해 드럼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럼 내의 저부에 존재하는 세탁물로 원활히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스팀을 이용한 세탁 효율의 극 대화를 이룰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2)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그 저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아웃터브;
    상기 아웃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저장통;과 상기 물저장통에 수용되는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팀제공부;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물저장통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상기 물저장통으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물투입관; 그리고
    상기 스팀제공부에서 생성되는 스팀을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제공하는 주 스팀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저장통에는 과급수된 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의 일단은 상기 물저장통중 과급수되는 수위의 위치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유출관의 타단은 상기 드럼의 내부, 아웃터브 내부 혹은 배수관 중 어느 한 부위와 연통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통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드럼의 저부가 이루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이거나 혹은 낮은 높이에 위치되게 구비되며,
    상기 물투입관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전면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투입관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투입관이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부위에는 상기 물투입관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덮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마개식으로 상기 물투입관을 폐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스팀공급관은
    상기 아웃터브의 하단 둘레측을 관통하여 상기 아웃터브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브의 배수관이 연결된 부위에는 그 저부로 돌출된 저장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는 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주 스팀공급관은 상기 아웃터브의 하단 둘레측 중 드럼의 저면 높이에 비해서는 낮은 위치이되 상기 저장부 내의 히터의 높이에 비해서는 높은 위치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스팀공급관의 관로 중 어느 한 부위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아웃터브의 상측 공간을 통과하여 드럼의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보조 스팀공급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주 스팀공급관과 상기 보조 스팀공급관 간의 관로가 분지되는 부위에는 각 관로로 선택적인 스팀의 공급 혹은, 차단을 위한 유로 제어밸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아웃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의 내부로 분사하는 세탁수 순환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 순환부는
    상기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를 제공받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본체 내의 상측 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관; 그리고,
    상기 안내관의 토출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드럼의 내측 상단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펌핑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배수관과 연통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제공부에는 물저장통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수위 표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표시부는
    다수의 LED나, LCD 화면 혹은, 경고음을 통해 현재의 수위 상태를 통보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50046038A 2005-05-31 2005-05-31 세탁 장치 KR100845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38A KR100845845B1 (ko) 2005-05-31 2005-05-31 세탁 장치
DE602006008467T DE602006008467D1 (de) 2005-05-31 2006-04-18 Waschmaschine
US11/629,662 US8438755B2 (en) 2005-05-31 2006-04-18 Laundry machine
CN2006800004877A CN1989287B (zh) 2005-05-31 2006-04-18 洗衣机
EP06757485A EP1899522B1 (en) 2005-05-31 2006-04-18 Laundry machine
AT06757485T ATE439465T1 (de) 2005-05-31 2006-04-18 Waschmaschine
PCT/KR2006/001430 WO2006129916A1 (en) 2005-05-31 2006-04-18 Laundry machine
AU2006253222A AU2006253222B2 (en) 2005-05-31 2006-04-18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38A KR100845845B1 (ko) 2005-05-31 2005-05-31 세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226A KR20060124226A (ko) 2006-12-05
KR100845845B1 true KR100845845B1 (ko) 2008-07-14

Family

ID=3772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038A KR100845845B1 (ko) 2005-05-31 2005-05-31 세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84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8995A (ja) * 1984-11-26 1986-06-17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970070295A (ko) * 1996-04-16 1997-11-07 이정식 증기를 이용한 세탁기
KR0172877B1 (ko) * 1995-12-11 1999-05-01 구자홍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40088884A (ko) * 2003-04-14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50015758A (ko) * 2003-08-07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17489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42127A (ko) * 2005-04-15 200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50045968A (ko) * 2005-04-21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8995A (ja) * 1984-11-26 1986-06-17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0172877B1 (ko) * 1995-12-11 1999-05-01 구자홍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970070295A (ko) * 1996-04-16 1997-11-07 이정식 증기를 이용한 세탁기
KR20040088884A (ko) * 2003-04-14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50015758A (ko) * 2003-08-07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17489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42127A (ko) * 2005-04-15 200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50045968A (ko) * 2005-04-21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226A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857B1 (ko) 세탁 장치
US8438755B2 (en) Laundry machine
KR100763386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US20060191078A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JP4083151B2 (ja) ドラム洗濯機
KR100789824B1 (ko) 세탁 장치
US20040187529A1 (en) Steam jet drum washing machine
KR20080087597A (ko) 세탁기
KR100672322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100848908B1 (ko) 세탁 장치
KR101252175B1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100606801B1 (ko) 세탁 장치의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제어 방법
KR20010018295A (ko) 삶아 빠는 세탁기
KR100739609B1 (ko) 세탁 방법
KR100672590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100845845B1 (ko) 세탁 장치
KR100904427B1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803126B1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60124222A (ko) 세탁 방법
KR20100023318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114107A (ko) 드럼세탁기의 증기분사장치
KR101176070B1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JP2021186055A (ja) 洗濯乾燥機および洗濯機
KR100672527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100734366B1 (ko) 세탁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급수, 세탁, 그리고 헹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