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096A -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096A
KR20060101096A KR1020050022963A KR20050022963A KR20060101096A KR 20060101096 A KR20060101096 A KR 20060101096A KR 1020050022963 A KR1020050022963 A KR 1020050022963A KR 20050022963 A KR20050022963 A KR 20050022963A KR 20060101096 A KR20060101096 A KR 20060101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se
extract
rose extract
wrinkle improvement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영
김윤영
Original Assignee
정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영 filed Critical 정세영
Priority to KR1020050022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1096A/ko
Publication of KR2006010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미의 꽃과 잎으로 부터 추출되며,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시키는 피부 주름 개선용 장미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미 추출물은 콜라겐 전구물질의 생성을 촉진하고, 섬유아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피부 주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다.
장미 추출물, 장미수, 콜라겐, 피부 주름 개선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ROSE EXTRACT WITH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도1a, 1b은 본 발명의 장미수와 대조군의 시료의 농도에 따른 섬유아세포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a, 2b는 본 발명의 장미수와 대조군의 시료 농도에 따른 MMP-1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및 그를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및 약제, 그리고 피부 주름 개선용 기능성 식품의 일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미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균 수명의 연장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로 노화에 대한 연구가 의학 및 생물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모든 생명체는 나이가 들면서 노화되는데, 노화란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생물체의 능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피부도 마찬가지이다. 피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은 노화에 수반되는 현상으로 생체 기능의 저하로 인한 여러 가지 구조적 변화를 나타내는데 그 발생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내인성 노화에 외부 인자, 특히 자외선에 의한 손상이 덧붙여져서 발생하는 광노화(photo aging)로 구분된다. 외부 인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태양 광선 중의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다. 내인성 노화 과정에서는 특징적인 임상 피부 소견으로 미세한 주름, 진피의 위축, 그리고 피하 지방층의 감소 등이 관찰되며, 광노화 과정에서는 거칠고 깊은 주름이 나타나고 비정상적인 탄력 섬유층 물질이 축적되어 피부가 가죽같이 두꺼워지며 느슨해진다.
자외선이 주름을 발생시키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 작용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자외선은 핵산과 단백질 등의 변형 및 지질의 산화를 일으켜 세포의 염색체를 변형시키고, 세포막 손상을 일으키며, 다양한 유전자 발현 정도를 일으킨다. 이러한 다양한 변화는 자외선이 생체 분자를 직접 변화시키거나 또는 활성 산소종을 매개하여 일으키기도 한다. 자외선 조사는 홍반, 부종 등의 염증성 반응과 피부 흑화, 진피 세포간 물질의 변성 등 다양한 임상적 변화를 유발하는데, 이러한 많은 반응 중 어떤 것이 주름 발생과 깊은 연관이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노화에서는 대체로 진피 변화가 두드러진다. 따라서, 주름 발생도 진피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두드러진 변화는 바깥쪽 진피에 무정형의 탄력 조직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과 진피의 콜라겐 섬유 가 감소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진들이 주름 발생을 억제하거나 주름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으나, 주름 발생 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주름 개서 연구에 따라, 진피의 콜라겐의 합성 저하 또는 분해 활성의 증가, 표피 기저막의 손상, 표피 대사 활성의 저하 등의 주름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결과들이 보고 되고 있다. 주름의 발생은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생화학적, 임상적 변화의 종합적인 영향으로 받아들여진다.
종래에는 콜라겐을 화장품에 배합하여 제품화한 경우가 있었는데, 콜라겐을 화장품으로써 피부 표면에 도포할 경우,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그 기능을 충분하게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부의 진피에 직접 콜라겐을 주입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이 방법 역시 부작용에 의해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최근 들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물질로서,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일본 특개평8-231370호) 등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레티노익산은 불안정하여 제형기술이 복참하며 피부에 자극이 되는 등 안전성의 측면에서 사용에 한계가 있었고, 동물 태반 유래 단백질은 광우병에 걸린 소의 적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인체에 효능이 확인된 알파-히드록시 산(alpha-hydroxy acid, AHA)과 각종 비타민 A 유도체(레티노이드류)가 개발되어 화장품 등에 사용된 바 있다. 현재 까지 임상적으로 확실한 효능이 입증된 것은 상기 물질 들과 자외선 차단제 정도이다. 이미 유럽에서는 1990경부터 화장품에 주름 개선 효과를 표기, 광고 하고 있으며 1993년 무렵에는 세라마이드, AHA, 레티놀 등 피부 상태 개선 성분의 화장품 도입과 기능성 화장품이라는 용어가 새롭게 만들어졌다.
화장품 시장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도 피부 미용관련 기능성 식품의 중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피부 주름 개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점점 더 세분화 되고 있다. 종래의 거의 모든 화장품 회사에서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제품으로서 화장품을 개발해 왔지만, 이는 화장품에 국한 된 것으로서 섭취를 통해 피부 주름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는 없는 것이었다. 또한,‘바르는 화장품’보다‘먹는 화장품’이 효과가 빠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볼 때, ‘먹는 화장품’에 대한 연구 개발은 시급한 실정이다.
그리고, 장미 추출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와 관련하여 아직까지 알려진 바는 없다.
본 발명자 들은 상술한 피부 주름개선을 위한 새로운 천연재료를 찾기 위해 끊임 없는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장미의 잎과 꽃으로 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피부 주름 개선용으로 사용할 경우,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미의 꽃과 잎으로 부터 추출되며,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시키는 피부 주름 개선용 장미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레티놀, 레티놀 팔미테이트,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아데노신, 카이네틴, 누에고치 추출물, 이소플라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미 추출물과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 첨가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미의 꽃과 잎을 분쇄시키는 제1단계 ; 상기 분쇄물을 세척하고 살균하는 제2단계 ; 상기 살균된 장미 분쇄물을 증류하고, 여과한 후 저온살균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장미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미 추출물을 사용하는 일 태양으로서,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장미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할 경우, 레티놀, 레티놀 팔미테이트,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아데노신, 카이네틴, 누에고치 추출물, 이소플라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의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당업자라면 제형의 종류에 따라 알맞은 담체를 용이하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장미 추출물의 또 다른 사용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장미 추출물과 식품 첨가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건강 기능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 (동법 제3조 제1호 참고)을 말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즉, 건강 기능 식품은 환자의 질병치료용이 아닌, 건강한 사람들 또는 반 건강인의 보건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을 섭취하거나, 피부에 바르는 것 만으로도 충분히 피부 주름 개선의 효능을 얻을 수 있지만, 복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정제, 당의정, 캡슐, 드링크 등의 제형을 갖는 기능성 식품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장미 추출물 성분과 함께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일반 식품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음료, 약술, 김치, 요구르트, 우유, 아이스크림, 빵, 떡 및 국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식품첨가제’는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등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의미한다.
[실험예 1: 섬유아세포 (Fibroblast cell, Human)에서 콜라겐 전구물질 (procollagen)의 생성 촉진 효과 ]
섬유아세포를 10%의 우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즉 FBS)이 첨가된 MEM (Minimum Essential Medium Eagle)(Sigma-Aldrich, USA)배지에서 배양한 후 트립신-EDTA (Gibco, USA)용액으로 부착되어 있는 세포를 떼어낸다. 인산완충된 생리식염수 (PBS, 즉 phosphate buffered solution)로 2회 세척한 후 10% FBS + 90% MEM 배지를 가하여 105 cells/ml의 세포 현탁액을 만들었다. 24웰 조직배양 접시 (well tissue culture plates)(Corning, USA)에 웰당 위의 현탁액을 1 ml 씩 가한 후 14시간 방치하여 세포를 부착시켰다.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배지를 걷어내고 각각의 웰에 농도별로 약물이 첨가된 배지 (실시 예 1에서 얻은 장미수; 0.25, 0.5, 1, 2, 4 mg/ml, 레티노익 에시드(Sigma, USA); 0.001, 0.01, 0.1, 1, 10, 100 μM)를 웰당 2 ml씩 넣고 24시간 동안 37℃, 5% CO2 공기혼합배양기 (Vision, Korea)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상층액을 걷어내어 상업용 키트 (Procollagen Type IC-Peptide EIA Kit)(Takara, Japan)로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을 간단히 소개하자면, 세포 배지의 상층액을 제품에 들어있는 희석용액으로 1:10의 비율로 희석한 후, 항체(procollagen type I carboxy-terminal peptide)가 코팅된 96웰 조직배양접시에 시료 또는 표준용액을 100 ㎕ 씩 넣고, 37℃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인산완충된 생리식염수 (PBS, 즉 phosphate buffered solution)로 3회 씻어낸 후 각 웰에 항체-POD conjugate 용액을 100 ㎕씩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인산완충된 생리식염 수 (PBS, 즉 phosphate buffered solution)로 3회 씻어낸 후 각 웰에 기질 용액(hydrogen peroxide 와 tetramethylbenzidine가 함유된)을 100 ㎕씩 넣고, 20-30℃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각 웰에 1 N H2SO4용액을 100 ㎕씩 넣어 반응을 멈추게 한 후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 도 1과 같다.
[표 1]
프로콜라겐 (ng/ml) 시료 농도 (μM, mg/ml) 레티노익 에시드 장미수 (실시예1)
0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113.7±18.4
0.001μM 99.2±32.6
0.01μM 129.6±27.3
0.1μM 132.9±28.3
0.25 mg/ml 121.6±22.6
0.5 mg/ml 166.9±39.3
1μM, mg/ml 187.0±26.6 149.0±33.4
2 mg/ml 127.8±43.6
4 mg/ml 105.1±21.3
10μM 174.9±37.1
100μM 103.1±59.3
본 실험의 결과 레티노익 에시드는 0.01~1μM 까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13~64% 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다가 고농도(100μM에서는 다시 감소한다. 장미수는 0.5 mg/ml의 농도에서 가장 많이 증가(대조군의 46% 증가)했고, 고농도로 갈수록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장미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콜라겐 형성을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섬유아세포 (Fibroblast cell, Human)에서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활성 억제효과]
섬유아세포를 10%의 우태아 혈청 (Fetal Bovine Serum, 즉 FBS)이 첨가된 MEM (Minimum Essential Medium Eagle)(Sigma-Aldrich, USA)배지에서 배양한 후 트립신-EDTA (Gibco, USA)용액으로 부착되어 있는 세포를 떼어낸다. 인산완충된 생리식염수 (PBS, 즉 phosphate buffered solution)로 2회 세척한 후 10% FBS + 90% MEM 배지를 가하여 105 cells/ml의 세포 현탁액을 만들었다. 24웰 조직배양 접시 (well tissue culture plates)(Corning, USA)에 웰당 위의 현탁액을 1 ml 씩 가한 후 14시간 방치하여 세포를 부착시켰다.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배지를 걷어내고 각각의 웰에 농도별로 약물이 첨가된 배지 (실시 예 1에서 얻은 장미수; 0.25, 0.5, 1, 2, 4 mg/ml, 레티노익 에시드(Sigma, USA); 0.001, 0.01, 0.1, 1, 10, 100 μM)를 웰당 2 ml씩 넣고 24시간 동안 37℃, 5% CO2 공기혼합배양기 (Vision, Korea)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상층액을 걷어내어 상업용 키트 (Matrix Metalloproteinase-1, Human, Biotrak ELISA Kit)(Amersham, USA)로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을 간단히 소개하자면, 세포 배지의 상층액을 항체(mouse anti-MMP-1)가 코팅된 96웰 조직배양접시에 표준용액과 샘플을 100 ㎕ 씩 넣고, 20-25℃에서 2시 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인산완충된 생리식염수 (PBS, 즉 phosphate buffered solution)로 4회 씻어낸 후 각 웰에 항혈청을 100 ㎕씩 넣고, 20-25℃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인산완충된 생리식염수 (PBS, 즉 phosphate buffered solution)로 4회 씻어낸 후 각 웰에 peroxidase conjugate를 100 ㎕씩 넣고, 20-3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인산완충된 생리식염수 (PBS, 즉 phosphate buffered solution)로 4회 씻어낸 후 즉시, 각 웰에 기질용액 (3,2',5,5'-Tetramethylbenzidine, TMB substrate)을 100 ㎕씩 넣고, 15-30℃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1 N H2SO4용액을 100 ㎕씩 넣어 반응을 멈추게 한 후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표 2]
MMP-1 (ng/ml) 시료 농도 (μM, mg/ml) 레티노익 에시드 장미수 (실시예1)
0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3.0±0.1
0.001μM 2.77±0.12 -
0.01μM 2.61±0.12 -
0.1μM 2.64±0.04 -
0.25 mg/ml - 2.68±0.07
0.5 mg/ml - 2.63±0.11
1μM, mg/ml 2.81±0.05 2.63±0.04
2 mg/ml - 2.44±0.39
4 mg/ml - 2.87±0.22
10μM 2.58±0.09 -
100 2.77±0.06 -
본 실험의 결과 레티노익 에시드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농도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장미수의 경우는 2mg/ml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낮아졌으나 4mg/ml에서는 다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 역시 대조군에 비해서는 낮았다. 따라서 주름 형성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 레티노익 에시드는 물론 장미수도 피부 주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미 추출물은 콜라겐 전구물질의 생성을 촉진하고, 섬유아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장미 추출물은 피부 주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장미의 꽃과 잎으로 부터 추출되며,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시키는 피부 주름 개선용 장미 추출물.
  2. 제1항의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 레티놀 팔미테이트, 폴리에톡실화 레틴아미드, 아데노신, 카이네틴, 누에고치 추출물, 이소플라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의 장미 추출물과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 첨가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장미의 꽃과 잎을 분쇄시키는 제1단계 ; 상기 분쇄물을 세척하고 살균하는 제2단계 ; 상기 살균된 장미 분쇄물을 증류하고, 여과한 후 저온살균 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장미수의 제조방법.
KR1020050022963A 2005-03-19 2005-03-19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KR20060101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963A KR20060101096A (ko) 2005-03-19 2005-03-19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963A KR20060101096A (ko) 2005-03-19 2005-03-19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096A true KR20060101096A (ko) 2006-09-22

Family

ID=3763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963A KR20060101096A (ko) 2005-03-19 2005-03-19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10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34B1 (ko) * 2011-02-16 2013-03-18 최주순 장미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비누의 제조방법
KR101516198B1 (ko) * 2013-05-23 2015-05-18 주식회사 큐브앤코 화장품에 사용감 개선 및 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8261A (ko) * 2017-08-14 2019-02-22 (주)모아캠 갈산 및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미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034B1 (ko) * 2011-02-16 2013-03-18 최주순 장미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비누의 제조방법
KR101516198B1 (ko) * 2013-05-23 2015-05-18 주식회사 큐브앤코 화장품에 사용감 개선 및 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8261A (ko) * 2017-08-14 2019-02-22 (주)모아캠 갈산 및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미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0166B2 (ja) 化粧料
JP7053887B2 (ja) トリシン含量が増加した真菰草酵素処理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美白、しわ改善、抗炎症、抗アレルギー、保湿用組成物
JP2008156330A (ja) 賦活化剤及び抗老化剤
JP2017114814A (ja) 化粧料
JP2015129112A (ja) カタラーゼ発現誘導剤
JP5889546B2 (ja) 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幹細胞増殖因子mRNA発現上昇抑制剤、過酸化水素細胞障害の予防・改善剤及び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
WO2020022131A1 (ja) 皮膚の抗老化用剤及び抗老化関連遺伝子発現調節用剤
KR20060101096A (ko)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KR20130114808A (ko) 콜라겐 천연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9798A (ko)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6666650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JP2008239548A (ja) 細胞賦活化剤
JP5216228B2 (ja) 細胞外マトリックス産生向上剤
KR20060101095A (ko)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적포도 추출물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60101100A (ko) 피부 미백 효능이 있는 장미 추출물
KR20050116455A (ko) 아스타잔틴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제
CN112546107A (zh) 佛手柑发酵汁液用于制备改善皮肤老化组合物的用途
KR20140018596A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6969760B2 (ja) 毛髪の成長を促進させる組成物
JP5449703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6744537B2 (ja) 毛髪の成長を促進させる組成物
KR20170076351A (ko) 브루세인 디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