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746A -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 Google Patents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746A
KR20060100746A KR1020050022496A KR20050022496A KR20060100746A KR 20060100746 A KR20060100746 A KR 20060100746A KR 1020050022496 A KR1020050022496 A KR 1020050022496A KR 20050022496 A KR20050022496 A KR 20050022496A KR 20060100746 A KR20060100746 A KR 2006010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umbrella
cover
shell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7075B1 (ko
Inventor
김석수
Original Assignee
김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수 filed Critical 김석수
Priority to KR102005002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075B1/ko
Priority to PCT/KR2006/000967 priority patent/WO2006098598A1/en
Publication of KR2006010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방수처리 된 시트로 구성되며 양단이 개구된 통모양의 외피와,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에 배수구멍을 갖는 자루형의 방수처리시트로 구성되며 하단이 외피의 하단과 이격되도록 외피의 내부에 수용되어 개구된 상단이 외피의 내주에 접합되는 내피와, 내피의 하단과 이격되도록 외피의 하단부 내주에 원주방향으로 고착되어 외피의 하단을 개폐시키는 지퍼락과, 외피의 개구된 상단부를 폐쇄시키는 폐쇄수단으로 구성된다. 지퍼락은 외피의 내주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내피와 외피가 단일몸체로 이루어져 몸체의 대략 중간부를 접어서 한쪽부분을 나머지부분 안으로 넣어 내피와 외피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우산을 완전히 수용하여 빗물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집수된 빗물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젖은 우산을 수납한 상태에서 거꾸로 뒤집히더라도 내부에 수집된 빗물이 누수 될 우려가 거의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우산, 빗물, 낙수방지, 커버, 지퍼락, 배수

Description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Umbrella cover for preventing dripping rainwater from umbrella}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3은 도2의 Ⅲ부위를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4는 도2의 Ⅳ를 따라 취한 부분 절단 평면도,
도5는 도4의 Ⅴ-Ⅴ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 우산커버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 우산커버에 수집된 빗물을 배수시키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발췌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 측면도,
도10은 도9의 Ⅹ-Ⅹ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우산커버 10: 외피
11: 포켓 20: 내피
21: 배수구멍 23: 탄성밴드
30: 지퍼락 31: 소켓채널
32: 플러그바 40: 폐쇄수단
41: 폐쇄끈 42: 스트링통로
43: 지퍼락 50: 손잡이
U: 우산 W: 빗물
본 발명은 우산을 깔끔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우산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렉시블(flexible)한 방수(防水)천 등으로 구성되어 우산을 사용한 후 비에 젖은 우산을 접어서 휴대하거나 실내에 보관할 때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그 내부에 안전하게 집수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젖은 우산에 의한 여러 가지 폐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비가 오는 날 바깥출입을 할 때에는 통상 우산을 사용하게 되 고, 예컨대 은행이나 상점 등을 이용하기 위해 건물의 실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지하철과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에는 우산을 접어 휴대하게 되는데, 이때 가장 큰 문제점은 우산을 접었을 때 우산에서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은 실내바닥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내에서 자신은 물론 밀집해 있는 주위 사람들의 옷을 젖게 하여 본의 아니게 타인에게 폐를 끼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건물의 출입구에 비닐커버 공급기를 구비하여 우산을 접어서 공급기의 삽입구에 꽂아 당기면 젖은 우산이 낱개의 비닐커버에 수용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에 의한 실내오염을 방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1회용 비닐의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과 자원낭비의 문제가 있고, 대중교통의 이용시에는 사용할 수 없는 제한이 따른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우산 빗물낙수 방지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개2000-333714호와 특개평11-32821호 및 특개평11-137318호 등에는 우산축의 선단 돌출부에 저수실(貯水室)을 갖는 집수캡을 장착하고 이 집수캡에 텔레스코픽(telescopic)이나 벨로우즈(bellows) 형태의 신축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여, 우산을 접은 후 커버를 펼쳐 감싸줌으로써 빗물이 외부 물체에 묻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빗물을 집수캡의 저수실에 집수하여 배출구를 통해 일괄 배수함으로써 낙수에 의한 실내오염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빗물 낙수방지용 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집수캡이 우산축의 돌출부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우산의 외관에도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특히 구조적 특성상 우산축에 돌출부가 없는 접는 우산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사용상 제한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커버가 우산을 완전히 수용하지 않고 손잡이 근처까지만 감싸주기 때문에 우산을 거꾸로 들 경우 빗물이 흘러내릴 우려가 여전한 문제도 있다.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26050호와 일본 특개평7-143906호에는 방수천으로 이루어진 케이스의 내부에 집수구조를 갖는 우산고정용 홀더(holder)나 통체를 구비하고, 케이스의 개구에 지퍼(zipper)를 달아 우산을 완전히 밀폐 수용함으로써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우산용 백(bag)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우산용 백은 케이스의 내부에 우산을 고정하여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홀더나 통체와 같은 경질의 우산 고정수단을 구비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비가 높을 뿐 아니라, 특히 케이스를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없어 우산을 사용할 때 백을 비에 젖지 않도록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번잡함이 있다.
물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26050호와 같이 백을 우산에 일체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백에 의한 무게편중에 의해 우산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우산사용이 용이치 못할 뿐 아니라, 백이 비에 젖어 본연의 기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종래의 또다른 기술로서,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085331호에는 방수시트로 된 원추형 자루본체의 하단에 배수부(drain)를 구성하고 상단 개구에 폐쇄끈을 구비하여 손잡이를 제외한 우산의 전부위를 기밀하게 수용토록 함과 함께, 자루본체의 상단부에 그 하단부를 접어서 걸어줄 수 있는 걸고리와 권취끈을 구비하여 접는 우산도 수용할 수 있는 우산수납주머니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자루본체가 한겹으로 이루어져 있고 넓은 상단 개구부를 손잡이 아랫부분에 폐쇄끈으로 조여서 묶어주기 때문에 우산축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우산을 거꾸로 들 경우 내부에 수집된 빗물이 우산축과 자루본체 상단간의 틈새로 누수될 우려가 매우 많으며, 특히 접는 우산을 수용할 경우에는 우산의 일부가 노출되어 누수의 우려가 더욱 많을 뿐 아니라 넓은 자루본체를 중첩되게 말아서 권취끈으로 묶어주기 때문에 외관도 크게 떨어진다.
또한 특개2000-300321호에는 방수시트로 된 통(筒)상의 커버몸체 하단개구를 단추로 채운 뒤 하단부를 우산길이에 맞춰 적당히 접어서 클립(clip)이나 벨크로(velcro) 등으로 고정하고, 커버몸체의 상단개구에 지퍼로 개폐되는 수납케이스를 구비하여 우산을 완전히 수용하도록 된 휴대용 우산커버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 역시 커버몸체가 한겹이면서 단순히 하단부위를 접어서 빗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때문에 거꾸로 들거나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높게 위치될 경우 집수된 빗물이 쏟아질 우려가 대단히 많아 휴대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우산을 완전히 수용하여 빗물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집수된 빗물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젖은 우산을 수납한 상태에서 거꾸로 뒤집히더라도 내부에 수집된 빗물이 누수 될 우려가 거의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는, 방수처리 된 시트로 구성되며, 양단이 개구된 통모양의 외피;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에 배수구멍을 갖는 자루형의 방수처리시트로 구성되며, 하단이 외피의 하단과 이격되도록 외피의 내부에 수용되어 개구된 상단이 외피의 내주에 접합되는 내피; 내피의 하단과 이격되도록 외피의 하단부 내주에 원주방향으로 고착되어 외피의 하단을 개폐시키는 지퍼락(zipper lock); 외피의 개구된 상단부를 폐쇄시키는 폐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지퍼락이 외피의 내주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내피와 외피가 단일몸체로 이루어져 몸체의 대략 중간부를 접어서 한쪽부분을 나머지부분 안으로 넣어 내피와 외피를 구성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폐쇄수단이, 외피의 상단 근처에 외피와 내피간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트링통로(string way) 및 이 스트링통로에 감겨져 양단부가 외피 밖으로 노출되는 고리형 끈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피의 상단 근처 내주에 고착되는 지퍼락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우산을 완전히 수용하여 빗물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집수된 빗물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젖은 우산을 수납한 상태에서 거꾸로 뒤집히더라도 내부에 수집된 빗물이 누수 될 우려가 거의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우산커버의 신뢰성과 안전성 및 우산사용의 편의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는, 이중구조를 이루는 외피(10)와 내피(20), 빗물(W)의 집수와 배수를 위해 외피(10)의 하단을 개폐시키는 지퍼락(30) 및 우산(U)을 수납한 상태에서 외피(10)의 상단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40)으로 구성된다.
외피(10)와 내피(20)는 빗물(W)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제 비닐시트로 이루어지거나, 방수처리 된 직물시트로 이루어진다. 외피(10)는 양단이 개구 된 통(筒)모양으로 구성되고, 내피(20)는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에는 배수구멍(21)을 갖는 대략 자루형태로 구성된다.
내피(20)는 외피(10)와 별도의 몸체로 구성되어 외피(10)내에 수용되도록 외피(10)의 내주에 접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몸체로 이루어진다.
즉, 비닐시트나 직물시트를 하나의 긴 통형 몸체로 성형한 뒤, 몸체의 대략 중간부를 접어서 한쪽부분(내피를 구성할 부분)을 나머지부분(외피를 구성할 부분)의 안쪽에 넣어서 외피(10)와 내피(20)를 단일몸체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내피(20)의 길이는 외피(1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되어 내피(20)의 하단은 외피(10)의 하단으로부터 적절히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는 커버의 내부를 내피(20)에 의한 우산수납공간(1a)과 외피(10)에 의한 빗물집수공간(1b)으로 구획하여,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피(20)내에 우산(U)을 넣었을 때 내피(20)의 하단부가 우산(U)의 하단을 지지하여 우산(U)에서 흘러내린 빗물(W)만이 배수구멍(21)을 통해 외피(10)의 빗물집수공간(1b)에 모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내피(20)가 하단에 배수구멍(21)을 갖는 자루형태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20)의 하단을 구성할 커버몸체의 일단 둘레에 재봉(裁縫) 등의 방법으로 스트링통로(22)를 형성하고, 이 스트링통로(22)에 예컨대 개구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고무줄과 같은 링형의 탄성밴드(elastic band:23)를 수납시켜 그 개구가 오므라들도록 함으로써 내피(20)를 하단에 배수구 멍(21)을 갖는 자루형태로 구성한다.
여기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외피(20, 10)를 구성할 커버몸체 자체를 그 일단에 배수구멍(21)을 갖는 자루형태로 성형함으로써 내피(20)가 하단에 배수구멍(21)을 갖는 자루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외피(10)의 외면 한쪽에는 바람직하기로 포켓(11)을 함께 구비하여, 예컨대 휴대폰이나 기타 여러 가지 물품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지퍼락(30)은 외피(10)의 하단부 내주에 접착이나 재봉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착된다. 지퍼락(30)은 도3 및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긴 연질 합성수지제 소켓채널(socket channel:31)과 이 소켓채널(31)에 결합되는 플러그바(plug bar:32)로 이루어져 외피(10)의 내주 둘레를 양분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부착된다.
이러한 지퍼락(30)은 1개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보다 확실한 누수방지를 위해서 외피(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수단(40)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외피(10)의 상단(우산 출입구) 근처를 묶어주는 폐쇄끈(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피(10)와 내피(20) 사이에 재봉 등의 방법으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트링통로(42)를 구성하고, 이 스트링통로(42)에 폐쇄끈(41)을 끼워 폐쇄끈(41)의 양 단부를 외피(10) 밖으로 인출시킨다.
그리고 외피(10)의 밖으로 인출된 폐쇄끈(41)의 양단은 서로 묶어 고리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내에 우산(U)을 수납하여 그 개구를 묶어준 뒤 사용자가 팔에 걸거나 손으로 잡고 휴대할 수 있도록 손잡이로 기능시키기 위함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비가 오는 날 우산(U)을 사용하고 나서, 건물내로 들어가거나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우산(U)을 접은 후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지하고 있던 우산커버(1)의 상단 개구를 통해 비에 젖은 우산(U)을 손잡이(H)가 위로 가도록 우산커버(1)에 넣는다.
그러면, 우산(U)은 자루형으로 구성된 내피(20)의 하단부에 걸려 커버(1)의 우산수납공간(1a)에만 수용되고, 외피(10)에 의해 우산수납공간(1a)의 하부에 형성된 빗물집수공간(1b)으로는 진입하지 못한다.
다음, 우산(U)을 커버(1)에 넣은 상태에서 외피(10)의 상단부 둘레에 구비된 고리형의 폐쇄끈(41)을 도6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으로 잡아당겨 커버(1)의 상단 개구를 폐쇄시킨 후, 폐쇄끈(41)을 손으로 잡거나 팔에 걸어서 휴대한다.
그러면, 젖은 우산(U)에 묻어 있던 빗물(W)이 내피(20)의 하단에 형성된 배 수구멍(21)을 통해서 외피(10)에 의해 형성된 커버(1)의 빗물집수공간(1b)으로 흘러내려 모이게 된다.
즉, 외피(10)의 하단은 지퍼락(30)에 의해 2단계로 확실하게 밀봉되어 있으므로 내피(20)에 수납된 우산(U)으로부터 유입된 빗물(W)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외피(10)의 하단부내에 형성된 빗물집수공간(1b)에 저장되는 것이며, 따라서 빗물(W)의 낙수에 의한 실내오염은 물론이고 젖은 우산(U)과의 접촉에 의해 옷이 젖는 등의 폐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산(U)을 커버(1)내에 완전히 수용하도록 우산커버(1)의 상단 개구를 폐쇄끈(41)으로 묶어주기 때문에 틈새가 거의 없어 뒤집어지더라도 누수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커버(1)가 외피(10)와 내피(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우산수납공간(1a)과 빗물집수공간(1b)으로 물리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바, 커버(1)를 거꾸로 들더라도 빗물집수공간(1b)에 있던 빗물(W)이 내피(2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작은 배수구멍(21)을 통해 우산수납공간(1a)으로 역류하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커버(1)의 상단 개구를 통한 누수의 염려가 최소화된다.
즉, 우산수납공간(1a)의 하부에 빗물집수공간(1b)이 형성되어 있고, 양자는 내피(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바, 커버(1)가 기울어질 경우 빗물집수공간(1b)에 있는 빗물(W)은 유체의 특성상 낮은 곳(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흘러 수면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설사 커버(1)가 뒤집어진다 하더라도 빗물집수공간(1b)내의 빗물(W)은 외피(10)의 내면을 따라 내·외피(20,10)간의 틈새로 스며들게 되지, 내피(2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멍(21)으로 직접 역류하지는 않는 것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우산커버(1)는 비에 젖은 우산(U)을 낙수의 우려없이 안전하게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우산(U)을 완전히 그 내부에 수용하므로 휴대시의 미관향상에도 기여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커버(1)의 빗물집수공간(1b)에 집수된 빗물(W)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피(10)의 하단부에 구비된 지퍼락(30)을 좌우로 벌려 외피(10)의 하단을 개방해줌으로써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빗물(W)의 배출 후에는 지퍼락(30)을 다시 닫아 외피(10)의 하단을 밀봉한다.
도8에는 본 발명 우산커버(1)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커버(1)의 상단에 별도의 손잡이(50)를 더 구비시킨 구성이다. 이 경우, 폐쇄끈(41)을 더욱 단단히 묶어줄 수 있어 커버(1)의 상단 개구를 통한 누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9 및 도10에는 본 발명 우산커버(1)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첫 번째 실시예의 구성에서, 폐쇄수단(40)이 폐쇄끈(41) 대신 외피(10)의 하단을 밀봉시키는 것과 같은 지퍼락(43)으로 이루어지고, 커버(1)의 상단에 손잡이(50)가 구비된 구성이다. 폐쇄수단(40)으로서의 지퍼락(43)은 서로 맞물리는 소켓채널(44)과 플러그바(45)가 내피(20)의 상단부 내주에 마주보도록 고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커버(1)의 상단 개구를 통한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 빗물(W)의 누수가 전혀 없으며, 이에 따라 우산(U)을 안심하고 자유롭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을 접는 우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의 목적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1)를 충분히 길게 구성하여 접지 않는 긴 우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빗물의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집수된 빗물을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우산을 커버의 내부에 완전 수용하여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젖은 우산을 수납한 상태에서 거꾸로 뒤집히더라도 내부에 수집된 빗물이 누수 될 우려가 거의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우산커버의 신뢰성과 안전성 및 우산사용의 편의성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방수처리 된 시트로 구성되며, 양단이 개구된 통모양의 외피;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에 배수구멍을 갖는 자루형의 방수처리시트로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외피의 하단과 이격되도록 외피의 내부에 수용되어 개구된 상단이 외피의 내주에 접합되는 내피;
    상기 내피의 하단과 이격되도록 상기 외피의 하단부 내주에 원주방향으로 고착되어 외피의 하단을 개폐시키는 지퍼락;
    상기 외피의 개구된 상단부를 폐쇄시키는 폐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락이 상기 외피의 내주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누수방지용 우산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와 외피가 단일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의 대략 중간부를 접어 한쪽부분을 나머지부분 안으로 넣어서 내피와 외피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이 상기 외피의 상단 근처에 외피와 내피간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스트링통로와, 이 스트링통로에 감겨져 양단부가 외피 밖으 로 노출되는 고리형 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이 상기 내피의 상단 근처 내주에 고착되는 지퍼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누수방지용 우산커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상단에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누수방지용 우산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표면에 포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누수방지용 우산커버.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배수구멍이, 내피의 하단 개구 둘레에 스트링통로를 형성하고, 이 스트링통로에 내피의 개구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탄성밴드를 삽입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KR1020050022496A 2005-03-18 2005-03-18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KR100647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496A KR100647075B1 (ko) 2005-03-18 2005-03-18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PCT/KR2006/000967 WO2006098598A1 (en) 2005-03-18 2006-03-16 Umbrella cover for preventing rainwater drip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496A KR100647075B1 (ko) 2005-03-18 2005-03-18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338U Division KR200385673Y1 (ko) 2005-03-18 2005-03-18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746A true KR20060100746A (ko) 2006-09-21
KR100647075B1 KR100647075B1 (ko) 2006-11-23

Family

ID=3699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496A KR100647075B1 (ko) 2005-03-18 2005-03-18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7075B1 (ko)
WO (1) WO2006098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2560A (en) * 2007-09-06 2009-03-11 Roy Leo Leonello Dunthorne An umbrella bag
GB2457442A (en) * 2008-02-12 2009-08-19 Wes Lee Emond A rain protecting device foldable into a pocket
WO2013014642A1 (en) * 2011-07-28 2013-01-31 Kjaro S.R.L. Containing structure for umbrella
ITMI20120900A1 (it) * 2012-05-24 2013-11-25 Kjaro Srl Custodia mpermeabile per ombrello bagnato
EP2798971A1 (de) * 2013-04-29 2014-11-05 Yotrio Group Co., Ltd. Hülle für Schirme
KR101428652B1 (ko) 2013-08-27 2014-08-13 유승재 휴대용 우산 보관함
GB201915160D0 (en) * 2019-10-18 2019-12-04 Patel Sanjay Umbrella case
KR102440286B1 (ko) 2021-06-15 2022-09-06 황인수 우산용 빗물 저장 및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576Y2 (ja) * 1991-07-18 1995-08-09 健司 井上 傘の雫回収装置
JPH07143906A (ja) * 1993-11-24 1995-06-06 Katsuhiko Nishimoto 折畳み傘の収納具
JP2000225012A (ja) * 1999-02-05 2000-08-15 Tomiko Ono 折畳み傘の収納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075B1 (ko) 2006-11-23
WO2006098598A1 (en)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075B1 (ko)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US6149305A (en) Waterproof container and method
US8590551B2 (en) Umbrella cover
KR200385673Y1 (ko) 빗물 낙수방지용 우산커버
KR100655402B1 (ko) 빗물받이 우산집
EP2736371B1 (en) Containing structure for umbrella
KR200449655Y1 (ko) 보조손잡이캡이 부설된 밀폐형 접이식 우산
JP3195744U (ja) 折り畳み傘用の収納カバー
KR100745702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우산
JP3209871U (ja) 雨傘の雨しずくカバー
KR102113516B1 (ko) 가방용 우산걸이
KR200188829Y1 (ko) 가방에 착, 탈 가능한 우산주머니
KR200239197Y1 (ko) 우산커버가 일체화 된 우산
WO2013071349A1 (en) Personal care bag assembly
JP3157432U (ja) 折畳み傘収納ケース
JP5378464B2 (ja) リュックサック
JP2019000602A (ja) 折りたたみ傘収納袋
JP3072199U (ja) 折り畳み傘の携帯収納具
JPS583564Y2 (ja) カバ−付きルックザック
KR200244327Y1 (ko) 우산주머니 보관집이 구비된 우산
KR200325390Y1 (ko) 우산 케이스가 내장된 가방
KR200245279Y1 (ko) 공기주입식 방수가방
KR200297004Y1 (ko) 일체형 접이식 우산 방수팩
JPH07143906A (ja) 折畳み傘の収納具
KR200467444Y1 (ko) 우산수납수단이 구비된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