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139A -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139A
KR20060099139A KR1020050020178A KR20050020178A KR20060099139A KR 20060099139 A KR20060099139 A KR 20060099139A KR 1020050020178 A KR1020050020178 A KR 1020050020178A KR 20050020178 A KR20050020178 A KR 20050020178A KR 20060099139 A KR20060099139 A KR 20060099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control
control signals
response
flash memory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159B1 (ko
Inventor
강한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2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1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2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4Circuits for erasing electrically, e.g. erase voltage switch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제어 회로는, 프로그램 명령, 소거 명령, 및 리드 명령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태 신호들을 발생하는 스테이트 머신; 프로그램 명령, 소거 명령, 및 리드 명령 중 하나와,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타이머; 및 상태 신호들과,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 또는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로직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타이밍 제어 회로가 외부 전압에 따라 해당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스펙에 맞게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동작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스테이트 머신, 타이머, 타이밍 제어 신호

Description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Timing control circuit of flash memory device for adjusting operation timing selectively according to external voltage}
도 1은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커맨드 디코더, 및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커맨드 디코더, 및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 회로로부터 발생되는 타이밍 제어 신호들에 따른 워드 라인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커맨드 디코더, 및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타이밍 제어 회로 110, 220 : 스테이트 머신
120, 230 : 타이머 130, 240 : 로직 회로
AND1∼AND6 : AND 게이트 210 : 외부 전압 검출 회로
211 : 외부 전압 감지 회로 212 : 출력 로직 회로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프로그램 동작, 소거 동작, 및 리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동작 전압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고전압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고전압을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고전압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고전압이 메모리 셀 어레이에 공급되는 시점을 조절하기 위해 타이밍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고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는 현재 발생되는 명령에 응답하여 고전압 발생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은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커맨드 디코더, 및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커맨드 디코더(11)가 외부 제어 신호들(CLE, ALE, WEb)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명령(PROGRAM), 소거 명령(ERASE), 및 리드 명령(READ) 중 하나를 발생할 때, 타이밍 제어 회로(12)가 해당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WLRISE, PGM, DISCH, PVER, PVER_DIS)을 설정된 시점에 발생한다. 따라서, 고전압 발생 회로(13)가 해당 시점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의 워드 라인 전압(VWL)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2)는 미리 설정된 스펙(spec)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들(WLRISE, PGM, DISCH, PVER, PVER_DIS)을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동일한 내부 회로들을 포함하지만 서로 다른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플래 시 메모리 장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V와 1.8V의 외부 전원들을 각각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가 있을 때, 3V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는 1.8V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비하여 그 동작 성능이 더 좋다. 하지만, 종래의 타이밍 제어 회로의 스펙은 1.8V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맞추어 설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타이밍 제어 회로가 3V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사용될 경우, 해당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여,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밍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는, 프로그램 명령, 소거 명령, 및 리드 명령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태 신호들을 발생하는 스테이트 머신; 프로그램 명령, 소거 명령, 및 리드 명령 중 하나와,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타이머; 및 상태 신호들과,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 또는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로직 회로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커맨드 디코더, 및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타이밍 제어 회로(100)는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110), 타이머(120), 및 로직 회로(130)를 포함한다. 커맨드 디코더(21)가 외부 제어 신호들(CLE, ALE, WEb)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명령(PROGRAM), 소거 명령(ERASE), 및 리드 명령(READ) 중 하나를 발생하면, 상기 스테이트 머신(110)이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 상기 소거 명령(ERASE), 및 상기 리드 명령(READ) 중 발생된 하나에 응답하여, 상태 신호들(ST<0>∼ST<5>)을 발생한다. 상기 타이머(120)는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 상기 소거 명령(ERASE), 및 상기 리드 명령(READ) 중 발생된 하나와, 검출 신호(DET)에 응답하여,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T1<0>∼T1<5>)을 순차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을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검출 신호(DET)는 외부 전원 전압, 즉,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설정된 전압 보다 높을 때 (예를 들어, 로우 레벨로) 활성화되는 신호이다. 또, 상기 타이머(120)는 상기 검출 신호(DET)가 비활성 상태일 때(또는 하이 레벨일 때),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 상기 소거 명령(ERASE), 및 상기 리드 명령(READ) 중 발생된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T1<0>∼T1<5>)을 서로 다른 설정 시간들 동안 각각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또, 상기 검출 신호(DET)가 활성화될 때(또는 로우 레벨로 될 때), 상기 타이머(120)가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 상기 소거 명령(ERASE), 및 상기 리드 명령(READ) 중 발생된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을 서로 다른 설정 시간들 동안 각각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T1<0>∼T1<5>)이 각각 인에이블되는 시간들은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이 각각 인에이블되는 시간들 보다 더 길다.
상기 로직 회로(130)는 AND 게이트들(AND1∼AND6)을 포함한다. 상기 AND 게이트들(AND1∼AND6)은 상기 상태 신호들(ST<0>∼ST<5>)과,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T1<0>∼T1<5>) 또는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을 각각 논리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에 따라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들(WLRISE1, PGM, DISCH, WLRISE2, PVER, PVER_DIS)을 각각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AND 게이트(AND1)는 상기 상태 신호(ST<0>)와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0>) 또는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T2<0>)에 응답하여,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WLRISE1)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타이머(120)가 한 번에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T1<0>∼T1<5>) 중 하나 또는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므로,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들(WLRISE1, PGM, DISCH, WLRISE2, PVER, PVER_DIS) 중 하나가 인에이블된다. 고전압 발생 회로(22)는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들(WLRISE1, PGM, DISCH, WLRISE2, PVER, PVER_DIS) 중 인에이블되는 하나 에 응답하여, 그에 대응하는 워드 라인 바이어스 전압(VBWL)을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의 동작과 그에 따른 워드 라인 전압의 변화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 회로로부터 발생되는 타이밍 제어 신호들에 따른 워드 라인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VBWL'는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가 예를 들어, 1.8V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설치된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의 동작에 따른 워드 라인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 점선으로 표시된 VBWL''는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가 예를 들어, 3V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에 설치된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의 동작에 따른 워드 라인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가 1.8V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설치된 경우, 프로그램 동작을 위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커맨드 디코더(21)가 상기 외부 제어 신호들(CLE, ALE, WEb)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을 발생하면, 상기 스테이트 머신(110)이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에 응답하여, 상기 상태 신호들(ST<0>∼ST<5>)을 동시에 발생한다. 이 때, 상기 검출 신호(DET)는 외부 전원이 3V 이상일 때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전원이 1.8V이므로 상기 검출 신호(DET)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또, 상기 타이머(120)는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과 상기 검출 신호(DET)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T1<0>∼T1<5>)을 순차적으로 인에 이블시킨다. 이 때,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T1<0>∼T1<5>)이 각각 인에이블되는 시간들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다. 즉,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0>)가 설정 시간(P1) 동안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1>)가 설정 시간(P2) 동안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2>)가 설정 시간(P3) 동안 인에이블된다. 또,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3>)가 설정 시간(P4) 동안,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4>)가 설정 시간(P5) 동안,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5>)가 설정 시간(P6) 동안 각각 인에이블된다. 그 결과, AND 게이트(AND1)가 상기 상태 신호(ST<0>)와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0>)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1) 동안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WLRISE1)를 인에이블시킨다.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22)는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WLRISE1)에 응답하여, 상기 워드 라인 바이어스 전압(VBWL)을 증가시킨다. 또, 상기 AND 게이트(AND2)는 상기 상태 신호(ST<1>)와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1>)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2) 동안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PGM)를 인에이블시킨다. 그 결과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22)가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PGM)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2) 동안 상기 워드 라인 바이어스 전압(VBWL)의 레벨을 프로그램 전압(VPGM) 레벨로 유지한다.
이 후, 상기 AND 게이트(AND3)는 상기 상태 신호(ST<2>)와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2>)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3) 동안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DISCH)를 인에이블시킨다. 그 결과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22)가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DISCH)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3) 동안 상기 워드 라인 바이 어스 전압(VBWL)을 0V로 발생하여, 워드 라인이 0V로 디스차지되도록 한다. 이 후, 검증을 위해, 상기 AND 게이트(AND4)가 상기 상태 신호(ST<3>)와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3>)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4) 동안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WLRISE2)를 인에이블시킨다.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22)는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WLRISE2)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4) 동안 상기 워드 라인 바이어스 전압(VBWL)을 증가시킨다. 또, 상기 AND 게이트(AND5)는 상기 상태 신호(ST<4>)와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4>)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5) 동안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PVER)를 인에이블시킨다.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22)는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PVER)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5) 동안 상기 워드 라인 바이어스 전압(VBWL)을 검증 전압(VPVER) 레벨로 유지한다. 상기 AND 게이트(AND6)는 상기 상태 신호(ST<5>)와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5>)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6) 동안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PVER_DIS)를 인에이블시킨다.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22)는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PVER_DIS)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 시간(P6) 동안 상기 워드 라인 바이어스 전압(VBWL)을 0V로 발생하여, 워드 라인이 0V로 디스차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가 3V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설치된 경우, 프로그램 동작을 위한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1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커맨드 디코더(21)가 상기 외부 제어 신호들(CLE, ALE, WEb)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을 발생하면, 상기 스테이트 머신(110)이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에 응답하여, 상기 상태 신호들(ST<0>∼ ST<5>)을 동시에 발생한다. 이 때, 외부 전원이 3V이므로, 상기 검출 신호(DET)가 활성화된다. 상기 타이머(120)는 상기 프로그램 명령(PROGRAM)과 상기 검출 신호(DET)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이 때,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이 각각 인에이블되는 시간들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다. 즉,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이 설정 시간들(R1∼R6) 동안 각각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된다. 그 결과, 상기 로직 회로(130)의 상기 AND 게이트들(AND1∼AND6)이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동작하여,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들(WLRISE1, PGM, DISCH, WLRISE2, PVER, PVER_DIS)을 상기 설정 시간들(R1∼R6) 동안 각각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킨다. 이 후, 상기 고전압 발생 회로(22)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T1<0>∼T1<5>)이 각각 인에이블되는 상기 설정 시간들(P1∼P6)이,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이 각각 인에이블되는 상기 설정 시간들(R1∼R6) 보다 각각 더 긴 것을 알 수 있다. 즉, 동작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1.8V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을 위한 각각의 동작 시간들이, 동작 성능이 상대적으로 더 좋은 3V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을 위한 각각의 동작 시간들 보다 더 길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최초의 동작 시점을 결정하는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T1<0>)의 인에이블 시점이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T2<0>)의 인에이블 시점 보다 'F'만큼 지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외부 전원이 변화되면, 즉, 동작 전압이 서로 다 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들에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제어 회로가 설치될 때, 상기 타이밍 제어 회로가 외부의 전원 전압을 감지하여, 해당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스펙(예를 들어, 3V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시간은 150㎲, 1.8V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시간은 200㎲)에 맞는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 제어 회로는 해당 장치의 스펙에 따라 동작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커맨드 디코더, 및 고전압 발생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타이밍 제어 회로(200)는 외부 전압 검출 회로(210), 스테이트 머신(220), 타이머(230), 및 로직 회로(2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트 머신(220), 상기 타이머(230), 및 상기 로직 회로(240)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도 2를 참고하여 상술한 상기 스테이트 머신(110), 상기 타이머(120), 및 상기 로직 회로(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외부 전압 출 회로(210)는 외부 전압 감지 회로(211)와 출력 로직 회로(21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전압 감지 회로(211)는 PMOS 트랜지스터들(PM1∼PM3)과 NMOS 트랜지스터들(NM1, NM2)을 포함한다.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1)의 소스에는 외부 전원 전압(VCC)이 입력되고, 그 드레인은 노드(D1)에 연결되고, 그 게이트는 노드(D2)에 연결된다. 또, 상기 PMOS 트랜지스터들(PM2, PM3)의 게이트들은 상기 노드(D1)에 연결되고,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2)의 소스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VCC)에 연결되고, 그 드레인은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3)의 소스에 연결된다. 상기 PMOS 트랜지 스터(PM3)의 드레인은 상기 노드(D2)에 연결된다.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1)의 드레인과 게이트는 상기 노드(D1)에 연결되고, 그 소스는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1)와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1)의 동작에 따라 상기 노드(D1)에서 제어 신호(A)가 발생된다. 또,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2)의 드레인은 상기 노드(D2)에 연결되고, 그 게이트에는 제어 신호(SET)가 입력되고, 그 소스는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 신호들(A, SET)에 응답하여, 상기 PMOS 트랜지스터들(PM2, PM3)과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2)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노드(D2)에서 감지 신호(B)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출력 로직 회로(212)는 인버터들(213, 215)과 NOR 게이트(214)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13)는 상기 감지 신호(B)를 반전시켜 출력하고, 상기 NOR 게이트(214)는 상기 감지 신호(B)와 기준 신호(REF)에 응답하여, 로직 신호(G)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준 신호(REF)는 로우 레벨로 설정된다. 상기 인버터(215)는 상기 로직 신호(G)를 반전시키고, 그 반전된 신호를 상기 검출 신호(DET)로서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전압 감지 회로(211)와 상기 출력 로직 회로(212)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초기에 상기 제어 신호(SET)가 설정된 시간 동안 인에이블된 후 디세이블된다. 상기 제어 신호(SET)에 응답하여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2)가 턴 온되므로, 상기 감지 신호(B)가 로우 레벨로 된다. 상기 감지 신호(B)에 응답하여,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1)가 턴 온되면, 상기 외부 전압(VCC)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노드(D1)의 전압이 증가한다. 상기 노드(D1)의 전압이 설정된 전압으로 될 때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1)가 턴 온되고, 상기 노드(D1)의 전압이 상 기 설정된 전압 보다 작을 때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1)는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먼저,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1)가 턴 온될 때, 상기 노드(D1)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어 신호(A)가 로우 레벨로 된다. 그 결과, 상기 제어 신호(A)에 응답하여, 상기 PMOS 트랜지스터들(PM2, PM3)이 턴 온된다. 이 때,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2)가 턴 오프된 상태이므로, 상기 노드(D2)에서 발생되는 상기 감지 신호(B)가 하이 레벨로 된다. 이 후, 상기 인버터(213)가 상기 감지 신호(B)를 반전시키고, 상기 NOR 게이트(214)가 상기 기준 신호(REF)와 상기 인버터(213)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로직 신호(G)를 하이 레벨로 출력한다. 상기 인버터(215)는 상기 로직 신호(G)를 반전시켜, 상기 검출 신호(DET)를 로우 레벨로 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상기 타이머(230)가 상기 검출 신호(DET)에 응답하여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T2<0>∼T2<5>)을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한편,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1)는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제어 신호(A)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므로, 상기 PMOS 트랜지스터들(PM2, PM3)이 턴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상기 감지 신호(B)가 로우 레벨로 유지되고, 상기 인버터(215)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검출 신호(DET)는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그 결과, 상기 타이머(230)가 상기 검출 신호(DET)에 응답하여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T1<0>∼T1<5>)을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 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밍 제어 회로가 외부 전압에 따라 해당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스펙에 맞게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동작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7)

  1. 프로그램 명령, 소거 명령, 및 리드 명령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태 신호들을 발생하는 스테이트 머신(state machine);
    상기 프로그램 명령, 상기 소거 명령, 및 상기 리드 명령 중 하나와,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타이머; 및
    상기 상태 신호들과,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 또는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신호는 외부 전원 전압이 설정된 전압 보다 높을 때 활성화되고,
    상기 타이머는 상기 검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프로그램 명령, 상기 소거 명령, 및 상기 리드 명령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서로 다른 제1 설정 시간들 동안 각각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검출 신호가 비활성 상태일 때, 상기 프로그램 명령, 상기 소거 명령, 및 상기 리드 명령 중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서로 다른 제2 설정 시간들 동안 각각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시간들이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2 설정 시간들 보다 더 긴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 중 하나 또는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 중 하나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로직 회로가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들 중 하나를 인에이블시키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회로는, 상기 상태 신호들과, 상기 제1 타이밍 제어 신호들 또는 상기 제2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각각 논리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에 따라 상기 고전압 발생 제어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AND 게이트들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전원 전압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설정된 전압 보다 높을 때 이를 감지하고, 상기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 전압 검출 회로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상기 설정된 전압 보다 높을 때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 전압 감지 회로; 및
    상기 감지 신호와 기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그 출력을 유지하는 출력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KR1020050020178A 2005-03-10 2005-03-10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KR10067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78A KR100673159B1 (ko) 2005-03-10 2005-03-10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178A KR100673159B1 (ko) 2005-03-10 2005-03-10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39A true KR20060099139A (ko) 2006-09-19
KR100673159B1 KR100673159B1 (ko) 2007-01-22

Family

ID=3763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178A KR100673159B1 (ko) 2005-03-10 2005-03-10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27B1 (ko) * 2007-03-14 200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제어신호 발생 방법
US7821836B2 (en) 2007-07-02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in which trim information is stored in memory cell arr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727B1 (ko) * 2007-03-14 200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제어신호 발생 방법
US7791960B2 (en) 2007-03-14 2010-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control signal generating method thereof
US7821836B2 (en) 2007-07-02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in which trim information is stored in memory cell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159B1 (ko) 200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4084B2 (en) Data processing device
US62192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reading of EEPROM cells
US6370063B2 (en) Word line driver having a divided bias line in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word lines
KR2001007360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전압 방전회로
JP2006148858A (ja) パワーオンリセット回路
KR100673159B1 (ko) 외부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 타이밍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 제어 회로
JP4847695B2 (ja) 不揮発性メモリ素子での電源検出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KR10036165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전압 레벨 조절방법
KR101098425B1 (ko) 블록 선택 회로 및 이를 구비한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JP4593089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におけるトリムビット信号生成回路
JP4067908B2 (ja) 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該半導体記憶装置
KR100701683B1 (ko) 센스 앰프 전원제어회로
KR100714045B1 (ko) 고전압 스위치 제어 회로
KR102300824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플래쉬 메모리의 동작 방법
KR100300041B1 (ko) 반도체메모리의리던던시퓨즈롬읽기회로
KR20000006521A (ko) 비휘발성반도체메모리
JP2002245795A (ja) 半導体装置
KR20040002132A (ko) 플래쉬 메모리 장치
KR101005139B1 (ko) 반도체 소자의 파워 업 회로
KR100549622B1 (ko) 코어 전압 액티브 드라이버
KR10072897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퓨즈 연결 제어 회로
KR100723774B1 (ko)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버퍼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40008529A (ko) 플래시 메모리의 캠셀 프로그램/소거 검증 회로
KR20050101834A (ko) 플래쉬 메모리 장치
KR20060033650A (ko) 내부전압 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