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962A -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접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접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962A
KR20060098962A KR1020050019585A KR20050019585A KR20060098962A KR 20060098962 A KR20060098962 A KR 20060098962A KR 1020050019585 A KR1020050019585 A KR 1020050019585A KR 20050019585 A KR20050019585 A KR 20050019585A KR 20060098962 A KR20060098962 A KR 20060098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film
polypropylene
adhesiv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893B1 (ko
Inventor
홍상훈
Original Assignee
홍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훈 filed Critical 홍상훈
Priority to KR102005001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89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은,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O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홀로그램(2a)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2)에 접착제(12a)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12a)가 도포된 합성수지 필름(2)을 소정 온도에서 소정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 필름(2)을 폴리프로필렌(PP) 시트(1)에 부착하여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폴리프로필렌 시트(1) 및 합성수지 필름(2)을 약 60℃의 온도에서 약 12시간 정도 숙성하여 접착부분을 건조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1)과 합성수지 필름(2)의 합지된 시트(41)를 원하는 모양으로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필름을 PP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은 종래 PP시트에 OPP필름 등의 합성수지 필름을 접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종래 PP시트 단독으로만 이용되었던 문구류, 악세사리류 등의 각종 물품에 홀로그램이 새겨진 OPP필름 등의 합성수지 필름을 함께 코팅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향상된 미감을 주고 제품의 고급화를 꾀하며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폴리프로필렌, 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OPP, PET, PVC,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톰슨기, 접착제, 톨루엔, 아세톤, 앨범 표지

Description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Method for attaching synthetic resin film with hologram images to polypropylene sheet}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홀로그램(2a)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2)을 폴리프로필렌 시트(1)에 부착하여 홀로그램(2a)과 그림(1a)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합지시트(41)를 만드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필름(2)을 폴리프로필렌 시트(1)에 접착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정의 구성도이다.
도3은 도2의 합성수지 필름 공급부(20) 및 접착제 도포부(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신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시트의 합지시트를 앨범의 커버로 이용한 완성품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의 작업 흐름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PP시트 1a: 그림
2: 합성수지 필름 2a: 홀로그램 이미지
2b: 합성수지 필름 롤러 10: 접착제도포부
11: 금속롤러 11a: 미세홈
12: 접착제 통 12a: 접착제
12b: 스퀴지 칼 13: 가압롤러
14a,14b: 이송롤러 20: 공급부
30: 건조부 31: 건조실
32: 히터 40: 합지부
41: 합지시트 42: 이송콘베이어
43a: 구동롤러 43b: 피동롤러
43c: 가이드롤러 45a: 이송롤러
45b,45c: 가압롤러 46: 나이프
47: 이송롤러 48: 스태커(stacker)
50: 숙성부 51: 숙성실
52: 보일러 60: 톰슨(Thomson)부
61: 톰슨기 62: 공급롤러
63: 이송콘베이어 63a,63b,64: 롤러
100: PP시트 공급롤러 101: 카트리지
102: 이송롤러 400: 노트표지
401: 부채형 PP시트 420: 하트형 PP시트
C: 완성품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발명자가 발견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7-0033813호 "홀로그램이 형성된 포장용 열접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을 종이 또는 금지(金紙)와 같은 종이 재질의 대상물에는 부착할 수 있었으나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시트나 필름에는 부착할 수 없었던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접착제의 성분을 제시함으로써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쉽게 부착 내지 코팅할 수 있게끔 한 접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 노트, 파일 또는 앨범의 하드 커버로 많이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시트는 그 위에 그림이나 사진을 인쇄하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그 표면의 보호를 위해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을 부착 내지 코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였다. 왜냐하면, 폴리프로필렌 자체가 다른 물질과 붙는 것을 잘 허용하지 않는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종이나 금지(金紙)라고 하는 특수한 용지 위에만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부착할 수가 있을 뿐이어서 라미네이팅용 코팅지로서의 연신 폴리프로필렌의 사용범위가 매우 제한되었으며, 폴리프로필렌도 또한 내마모성, 내후성, 견고성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그 위에 부착하여 홀로그램 이미지를 부가하고 광택을 내는 등의 좀 더 고급스런 미감을 살릴 수 없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연신 폴리프로필렌 이외에 코팅필름의 재질로 많이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나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ET) 역시 폴리프로필렌과는 서로 접착이 어려워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물품을 아름답게 꾸며서 상품가치를 높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들, 특히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투명도가 높고 강도가 강하여 접착표면을 보호하면서도 그 안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보여주는 성질이 우수하여 고급 포장지로서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PET 필름 및 PVC 필름은 그 표면에 홀로그램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필름들에 홀로그램을 표시하여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부착한다면 노트나 앨범 등의 하드 표지로 사용할 때에 사용자들의 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홀로그램 영상이 나타나도록 하여 광학적 신비감을 일으키고 보다 유려한 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OPP 필름, PVC 필름 또는 PET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부착하여 이를 노트, 앨범 등의 하드 커버 또는 각종 문구류, 홍보물품 및 악세사리류의 물품에 적용한다면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발하여 물품의 상업적 가치 및 홍보 효과 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성접착제 또는 유성접착제를 막론하고 어느 접착제를 사용하던 간에 폴리프로필렌 시트에다가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합성수지 필름을 코팅할 수가 없었으며, 설사 코팅하였다 하더라도 그 접착력이 매우 약하여 약간만 사용하면 분리되어 보기 흉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이 형성된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또는 폴리염화비닐(PVC)필름을 폴리올(polyol),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용액과 톨루엔 등 용제와의 혼합에 의해 만들어진 유성접착제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부착함으로써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내구성 뿐만 아니라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투명성, 광택성과 홀로그램 이미지의 광학적 특이성까지 두루 갖춘 합지(合紙)시트를 만들 수 있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홀로그램이 형성된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기 위한 최적의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은,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합성수지 필름을 소정 온도에서 소정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부착하여 합지하는 단계; 상기 폴리프로필렌 시트와 합성수지 필름의 합지된 시트를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숙성하여 접착부분을 건조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시트와 합성수지 필름의 합지된 시트를 원하는 모양으로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접착제의 성분은 폴리올 33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64 중량% 및 인산 3%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용액을 톨루엔 60중량% 및 아세톤 40중량%로 이루어진 용제와 64:36의 비율로 섞어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홀로그램(2a)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2)을 폴리프로필렌 시트(1)에 부착하여 홀로그램(2a)과 그림(1a)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합지시트(41)를 만드는 방법을 개념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홀로그램이란 물체의 영상이 2차원적인 회절영상 및 3차원적인 입체영상으로 재생시킬 수 있도록 기록된 사진필름을 말하며, 이러한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기술을 홀로그래피(holography)라고 한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홀로그램이미지(2a)를 연신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필름(2)상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미리 홀로그램이 새겨진 홀로그램 마스터 롤(master roll)을 만들고, 이 롤을 이용하여 합성수지 필름 위에 홀로그램을 새겨 넣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일단 본 발명에서는 미리 홀로그램 이미지(2a)가 형성되어 있는 합성수지 필름(2)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한 상태에서 이러한 합성수지 필름(2)을 폴리프로필렌 시트(1)에 부착하는 기술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도1에서와 같이, 홀로그램 이미지(2a)가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2)을 그림, 문자(1a) 등이 UV(ultra-violet) 코팅 등의 방법으로 그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 시트(1)위에 접착하게 되면 홀로그램 이미지(2a)와 그림 등(1a)이 한꺼번에 보여 홀로그램의 광학성 특이성과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의 광택성, 감촉적 우수성 등을 함께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견고한 물성까지 향유할 수 있는 합지시트(41)가 만들어진다.
이때,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2)으로는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필름이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합성수지 필름(2)은 OPP 필름, PET 필름 및 PVC 필름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이 필름들에 홀로그램이 형성되고 이 필름들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필름(2)을 폴리프로필렌 시트(1)에 접착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공정의 구성도이고, 도3은 도2의 합성수지 필름 공급부(20) 및 접착제 도포부(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업공정은 크게 합성수지 필름 공급부 (10), 접착제 도포부(10), 건조부(30), 합지부(40), 숙성부(50) 및 톰슨부(Thompson portion, 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부의 구성 및 기능을 작업의 흐름을 따라 차례대로 설명하면, 먼저 합성수지 필름 공급부(10)에서는 합성수지 필름 공급롤(2b)에 감겨 있는 합성수지 필름(2)이 접착제 도포용 금속롤러(11)와 가압롤러(13)의 사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용 금속롤러(11)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전체 롤러 면적 중 아래쪽의 일부 면적이 접착제 통(12)안의 접착제(12a)속에 항상 담궈져 있어서, 이 금속롤러(11)가 회전함에 따라 금속롤러(11)의 표면에 묻은 접착제(12a)가 스퀴지 칼(squeegee knife)에 의해 긁혀져 닦여지고 미세 홈들(11a)안에 묻은 부분만이 남아 가압롤러(13)와 금속롤러(11)의 압착작용에 의해 합성수지 필름(2)위로 옮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 도포부(10)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는 일반적인 유성접착제가 아니라 본 발명자가 각고의 노력 끝에 개발한 새로운 합성물로서, 폴리올(polyol)을 기반으로 한 우레탄계의 합성수지와 유성용제를 64:36의 비율로 섞어 혼합한 것이다. 상기 접착제의 주성분을 이루는 우레탄계 합성수지는 여러 가지 종류의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중 각각 하나씩을 선택하여 혼합함으로써 만들 수 있는데, 이 중 폴리올의 범주에 속하는 물질 중에서는 폴리에테르 타입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을 사용하거나 폴리에스테르 타입의 3메틸-1.5펜탄디올(3-Methyl-1.5-Pentanediol), 1.6헥산디올(1.6-Hexane Diol) 또는 트리메티롤 프로판(Trimethylol propane)을 사용할 수 있고,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또는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ethane diisocyanate)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의 주성분을 이루는 우레탄계 합성수지는 폴리올 25~45 중량%와 디이소시아네이트 50~75 중량% 및 인산 2~5 중량%를 혼합하여 만들며, 상기 우레탄계 합성수지와 섞는 유성용제로는 톨루엔만을 사용하여도 되고, 또는 톨루엔 50~70 중량%와 아세톤 30~50 중량%를 섞은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우레탄계 합성수지를 만드는 폴리올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3-Methyl-1.5-Pentanediol), 1.6헥산디올(1.6-Hexane Diol) 및 트리메티롤 프로판(Trimethylol propane)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되고, 이들 중에서 2가지 이상의 폴리올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역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의 하나만을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되고,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접착제(12a)는 그 합성수지 성분이 폴리올 33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64 중량% 및 인산 3%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제 성분이 톨루엔 60중량% 및 아세톤 40중량%로 이루어졌을 때 최상의 접착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접착제의 성분비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폴리올 중에서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선택하여 이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각각 33:64의 비율로 혼합하면 수산화나트륨의 침전물이 생기는데 이때 인산을 3% 가량 첨가하여 잘 교반하면 이러한 딱딱한 침전물이 다시 녹아 찐득찐득한 용액을 만들게 된다. 이 용액을 톨루엔 용제와 혼합하면 접착제가 만들어진다. 통상적으로 국내의 유성코팅 업계에서는 톨루엔만을 용제로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본 발명자가 실험한 바로는 톨루엔에다 아세톤을 60:40의 비율로 섞으면 접착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접착제의 성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폴리올:
1)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스테르 타입의 폴리올)과,
2)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및 트리메티롤 프로판 (폴레에테르 타입의 폴리올)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2이상의 폴리올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
(2) 디이소시아네이트:
1)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두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
(3) 인산
(4) 용제:
1) 톨루엔만을 사용하거나
2) 톨루엔과 아세톤을 60:40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
도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합성수지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접착방법 을 더 설명하면, 접착제가 도포된 합성수지 필름(2)은 이송롤러(14a)에 의해 건조부(30)로 안내되어 그 안을 통과하면서 히터들(32)에 의해 약 25~35 ℃의 온도로 건조 경화가 이루어진다. 접착제(12a)를 바른 후 곧바로 합성수지 필름(2)을 건조 경화하는 이유는 폴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계통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접착제는 건조 경화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폴리프로필렌 시트(1)와 합지하기 전에 어느 정도는 건조 경화를 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건조실(31)을 통과한 합성수지 필름(2)은 이송롤러(14b)에 의해 빠져나와 이송롤러(45a) 및 이송콘베이어(42)에 의해서 폴리프로필렌 시트(1)와 합지된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폴리프로필렌 시트(1)는 각종 클리어 파일, 노트, 앨범의 표지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약 0.6~0.8 mm 정도의 두께를 가진 것으로서 이 정도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시트(1)는 롤 형태로 감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판자형태로 절단된 것들을 카트리지(101)안에 넣어 차례대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트리지(101)안에 장착된 폴리프로필렌 시트들(1)은 폴리프로필렌 시트 공급롤러(100)의 회전에 의해서 빠져나와 이송롤러들(102)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콘베이어(42)위에 올려지며, 이때 이송콘베이어(42)는 바람직하게는 구동롤러(43a), 피동롤러(43b) 및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43c)들로 구성된다. 물론, 이송콘베이어(42) 이외의 다른 기구적 구성을 채택하여 합지 과정을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폴리프로필렌 시트(1)와 합성수지 필름(2)을 합지한 이후에는 이송콘베이어(42)와 가압롤러들(45b,45c)의 압착력에 의해 합지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며 나 이프(46)에 의해서 합성수지 필름(2)이 절단된 후에는 이송롤러들(47)의 회전력에 의해 뒤에 위치된 합지시트들(41)로부터 이탈되어 스태커(stacker,48)위에 차례대로 쌓여진다.
스태커(48)에 쌓여진 합지시트들(41)은 숙성실(51)에서 약 60℃의 온도로 약 12시간 정도 숙성시켜 접착 부위의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 경화되도록 한다. 도2에서 도면부호 52는 숙성실(50)에 온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이다.
다음으로,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 경화된 합지시트들은 톰슨기(Thompson Machine, 우리말로 '도무송'이라 함)(61)에 의해 원하는 모양으로 재단될 수 있다. 톰슨기는 합판 등을 레이저 커팅 가공하여 그 사이의 공간에 칼을 절곡하여 끼워 넣은 것으로서 프레스 금형과 마찬가지로 대상물을 원하는 모양으로 절단하여 잘라내는 기능을 한다.
톰슨부(60)의 구성에 있어서는, 예들 들어 합지시트들(41)이 공급롤러(62)에 의해 하나씩 차례대로 이송콘베이어(63)위로 공급되며, 이송콘베이어(63) 위의 합지시트들(41)은 톰슨기(61) 본체에 들어가 소정의 모양대로 커팅된 후 배출된다. 도2에서 도면부호 63a, 63b는 상기 이송콘베이어(63)를 이루는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가이드롤러)를 나타낸다.
톰슨기(61)에 의해 배출된 합지시트들은 원하는 모양대로, 즉 노트나 앨범의 표지(400), 혹은 손부채(410), 하트(420) 등의 각종 캐릭터 모양으로 재단될 수 있다. 앨범 표지(400)를 이용하여 속지를 끼우고 스프링 제본 등을 마치면 앨범, 파일 등의 완성품(C)이 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2), 예를 들어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1)에 접착하는 방법에 의해 제작된 연신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 시트의 합지시트(41)를 앨범의 커버로 이용한 완성품(C)을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의 작업 흐름도이다. 도5의 작업흐름도는 도2의 작업공정 구성도에 대응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 다룬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들(즉, OPP필름, PET 필름 및 PVC 필름)중에서 현실적으로 OPP필름의 적용가능성이 제일 크다고 판단되어 도5에서는 OPP필름을 PP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을 대상으로 작업 흐름도를 작성하였다.
먼저 합성수지 필름(2), 즉 OPP필름에 홀로그램 이미지를 기록하고(S1 단계), 폴리프로필렌 시트(1)위에 그림, 문자 등의 이미지를 코팅한다(S2 단계). 이때, 상기 S1 단계와 S2 단계는 서로 별개로 진행되는 것이므로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홀로그램이 형성된 OPP 필름(2)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며(S3 단계), 이때 접착제의 성분비는 우레탄계 합성수지와 유성용제를 각각 64:36의 비율로 섞어 혼합하되, 상기 우레탄계 합성수지는 폴리올 25~45 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50~75 중량% 및 인산 2~5 중량%가 혼합하여 만들고 상기 유성용제는 톨루엔 전부 또는 톨루엔 50~70 중량%와 아세톤 30~50 중량%를 섞어 사용한다. 이때, 상기 우레탄계 합성수지를 이루는 폴리올로는 폴리에테르 타입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을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 타입의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또 는 트리메티롤 프로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최적의 접착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착제(12a)중의 우레탄계 합성수지 성분은 폴리올 33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64중량% 및 인산 3%로 하고, 상기 용제 성분은 톨루엔 60중량% 및 아세톤 40중량%로 하여 우레탄계 합성수지와 용제성분을 각각 64:36의 비율로 혼합하여 접착제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접착제(12a)가 도포된 OPP 필름(2)을 건조실(31)을 통과시키면서 약 25~30℃의 온도로 건조 경화시키며(S4 단계), 그 다음으로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OPP 필름(2)을 폴리프로필렌 시트(1)와 합지시키고(S5 단계), 합지된 시트(41)를 약 60℃의 온도 하에서 12시간 정도 두어 숙성시켜서 접착제를 완전히 건조 경화시킨다(S6 단계).
다음으로는 합지시트들(41)을 톰슨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재단한 다음(S7 단계), 앨범 표지, 노트 표지 등 원하는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S8 단계).
도5에 도시된 작업방법은 OPP필름 이외의 PET 필름 및 PVC 필름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은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합성수지 필름을 접착시키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시트 자체만을 사용하여야 했던 각종 문구류, 홍보물품, 악세사리 류 등의 제품들에 있어서 연신 폴리프로필렌 등의 코팅필름으로 표면을 장식할 수 있도록 하여 폴리프로필렌 시트 의 견고함, 내구성과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투명성, 광택성, 촉감의 우수성 및 고급적 미감 등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필름에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함으로써 광학적 미감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만족도 및 그에 따른 최종 상품의 상업적 가치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홀로그램(2a)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2)에 접착제(12a)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12a)가 도포된 합성수지 필름(2)을 소정 온도에서 소정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 필름(2)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시트(1)에 부착하여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폴리프로필렌 시트(1) 및 합성수지 필름(2)을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숙성하여 접착부분을 건조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필름(1)과 상기 합성수지 필름(2)의 합지된 시트(41)를 원하는 모양으로 재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12a)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25~45 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50~75 중량% 및 인산 2~5 중량%가 혼합된 합성수지 용액을 톨루엔과 섞어 만든 유성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와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ethane diisocyanate)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33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64 중량% 및 인산 3%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용액을 톨루엔과 64:36의 비율로 섞어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12a)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25~45 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50~75 중량% 및 인산 2~5 중량%가 혼합된 합성수지 용액을 톨루엔과 섞어 만든 유성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3메틸-1.5펜탄디올(3-Methyl-1.5-Pentanediol), 1.6헥산디올(1.6-Hexane Diol) 및 트리메티롤 프로판(Trimethylol propane)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3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64 중량% 및 인산 3%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용액을 톨루엔과 64:36의 비율로 섞어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12a)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5~45 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50~75 중량% 및 인산 2~5 중량%가 혼합된 합성수지 용액을 톨루엔 50~70 중량 % 및 아세톤 30~50 중량%와 섞어 만든 유성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33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64 중량% 및 인산 3%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용액을 톨루엔 60중량% 및 아세톤 40중량%의 용제와 64:36의 비율로 섞어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필름(1)은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중의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필름(2)에 상기 접착제(12a)를 도포한 후 약 25~35℃의 온도에서 10초~30초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필름(2)이 폴리프로필렌 시트(1)에 합지된 후에 40~70℃의 온도에서 10~15시간 동안 숙성시켜 접착부분을 건조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접착하는 방법.
KR1020050019585A 2005-03-09 2005-03-09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접착하는 방법 KR10071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585A KR100710893B1 (ko) 2005-03-09 2005-03-09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접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585A KR100710893B1 (ko) 2005-03-09 2005-03-09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접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962A true KR20060098962A (ko) 2006-09-19
KR100710893B1 KR100710893B1 (ko) 2007-04-27

Family

ID=3763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585A KR100710893B1 (ko) 2005-03-09 2005-03-09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접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509B1 (ko) * 2020-12-08 2021-03-08 주식회사 대시앤도트 무광 코팅 종이를 이용한 노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374B1 (ko) 2007-02-22 2009-03-19 김기홍 사진앨범 내지, 사진앨범 및 사진앨범의 제조 방법
KR102372306B1 (ko) 2018-09-11 2022-03-16 (주)한교홀로그램 휴대 단말용 후면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936A (ko) * 1997-03-12 2000-02-25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폴리우레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바인더 조성물 및 장식지용도료조성물 및 그것을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된 직물및 에어백
KR100289301B1 (ko) * 1998-09-25 2001-05-02 김만석 홀로그램이 기록된 포장용필름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509B1 (ko) * 2020-12-08 2021-03-08 주식회사 대시앤도트 무광 코팅 종이를 이용한 노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893B1 (ko)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5501B (zh) 卡片板构造
US20150151515A1 (en) Compostable Composite Multipanel Smartphone, Tablet & Mobile Electronic Device Cover Kits for Consumer Print Personalization and Structural Customization
US8563122B1 (en) Thermoplastic architectural composite laminate material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WO2011149370A1 (en) Cork fabri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710893B1 (ko) 홀로그램이 형성된 합성수지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시트에접착하는 방법
JPH06198831A (ja) 化粧シート
US9713938B2 (en) Artwork surface and method of use
KR101469199B1 (ko) 입체 라벨 및 그 제조방법
ITMI20071212A1 (it) Rivestimento decorativo per oggetti e relativo metodo per decorare
AU2010207543B2 (en) Binding element for manufacturing a binding file and method which makes use of such a binding element for manufacturing the binding file
JP4872876B2 (ja) インサート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CN107002350A (zh) 人造革聚氨酯复合材料的维度增强
JP6094621B2 (ja) 化粧シート及び当該化粧シートを備えた化粧板
JP4892913B2 (ja) エンボス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4504322A (ja) アミン系促進剤を含有する接着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装飾フィルム
CN101642974B (zh) 一种复合膜
CN102325652B (zh) 图形载体的层压体用膜及制备方法
JP3429265B2 (ja) 非晶質ポリエステル樹脂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853427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JP6536549B2 (ja) 化粧シート及び当該化粧シートを備えた化粧板
JP2010234710A (ja) 扉部材の製造方法
JPH04128037A (ja) 化粧材シート及び化粧材
JP5109317B2 (ja) インサート成形用シート
CN110077069B (zh) 一种金/银色片材及其制造方法
JPH07232415A (ja) 化粧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