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468A - Dc―dc컨버터 - Google Patents

Dc―dc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468A
KR20060096468A KR1020067013227A KR20067013227A KR20060096468A KR 20060096468 A KR20060096468 A KR 20060096468A KR 1020067013227 A KR1020067013227 A KR 1020067013227A KR 20067013227 A KR20067013227 A KR 20067013227A KR 20060096468 A KR20060096468 A KR 20060096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ide
frequency
switching means
resonant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706B1 (ko
Inventor
히로유키 에구치
모토히로 시미즈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H02M3/3359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having a synchronous rectifier circuit or a synchronous freewheeling circui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스위칭손실을 억제하여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변압기(1)의 2차측에는 LC 공진회로(3)가 삽입되어 있다. 구동수단(4)으로 스위칭수단(2)을 온.오프 구동하면, 변압기(1)를 거쳐 2차측에 출력이 얻어진다. 전류검출용 변류기(5)와 주파수 검지부(6)로 이루어지는 공진 전류 주파수 검출수단은, LC 공진회로(3)의 작동에 의한 공진 전류의 주파수를 검출한다. 이 주파수는 구동수단(4)으로 피드백된다. 이 결과, 구동수단(4)은 스위칭수단(2)을 LC 공진회로(3)의 공진주파수에 합치한 주파수로 온/오프 구동한다.

Description

DC―DC컨버터{DC―DC CONVERTER}
본 발명은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칭손실을 억제하여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DC-DC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전류 공진방식의 DC-DC 컨버터는, 스위칭수단에 직렬로 접속된 공진회로를 구비하고, 스위칭수단을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로 온/오프 구동한다. 도 4는 DC-DC 컨버터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압기(1)(transformer)의 1차측에는 예를 들면 4개의 스위칭소자의 브릿지접속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칭수단(2)이 설치되고, 2차측에는 공진회로(3)가 설치된다. 공진회로(3)는, 공진용 초크(리액터)와 공진용 콘덴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2차측에는 정류, 평활수단이 더 설치되나 도시 생략한다.
구동수단(4)에 의하여 스위칭수단(2)을 공진회로(3)의 공진주파수로 온/오프구동하면, 그 온/오프 구동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로 변압기(1)를 거쳐 승압 또는 강압이 행하여진다.
이때의 공진회로(3)의 공진주파수(f)는, 공진회로(3)에서의 초크의 인덕턴스를 L 이라 하고, 콘덴서의 커패시턴스를 C 라 하면, f = 1/2π√LC로 나타내고, 예를 들면 L = 130μH, C = 0.47μF이면, f≒20.4 KHz가 된다.
도 5(a)는, 스위칭수단(2)이 공진회로(3)의 공진주파수와 동일 주파수로 온/오프 구동되고 있을 때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도이고, 전류가 제로가 된 시점에서 스위칭수단(2)이 온/오프된다.
그런데 공진회로(3)를 구성하는 초크나 콘덴서 등의 소자는, 소자 정수(인덕턴스, 커패시턴스)에 불균일이 있고, 또 소자 정수는 경년 변화되며, 또한 온도 특성에 따라, 주위 온도에 따라 변화된다. 이 변화에 수반하여 스위칭수단(2)의 온/오프구동주파수와 공진회로(3)의 공진주파수에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 어긋남은, 회로 배선의 처리에 의한 인덕턴스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도 5(b), 도 5(c)는 각각 스위칭수단(2)의 스위칭주기에 대하여 공진회로(3)의 공진주기(T)(T = 1/f)가 길어진 경우와 짧아진 경우의 전류파형을 나타낸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수단(2)의 온/오프 구동 주파수와 공진회로(3)의 공진주파수에 어긋남이 생기면, 공진 전류의 영 크로스 부근에서 스위칭수단의 온/오프의 변환이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스위칭손실이 증대하여 충분한 성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스위칭수단의 구동주파수와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와의 어긋남을 없애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개시된 기술은 입력전압 및 출력전류에 의거하여 스위칭수단에 공진 전류가 흐르고 있는 시간을 산출하여, 스위칭수단의 온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이, 산출된 시간이 된 시점에서 스위칭수단을 오프로 변환한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5824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전압 및 출력전류, 또는 공진용 리액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이것에 의거하여 스위칭수단에 공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타이밍을 산출하여, 이 타이밍으로 스위칭수단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변환한다는 구성에서는 스위칭수단의 온시점이나 온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정확하게 검지할 필요가 있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과제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1에는 공진용 리액터에 흐르는 공진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공진 전류를 사용하여 스위칭수단에 공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시점을 구하여, 구해진 시점에서 스위칭수단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변환한다는 구성도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같은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스위칭손실을 억제하여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와,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을 가지고 전압 변환비를 결정하는 변압기와, 상기 1차측 단자와 상기 1차측 권선과의 사이에 삽입된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에 직렬로 접속된 공진용 리액터 및 이 공진용 리액터와 공진하는 공진용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LC 공진회로와, 상기 스위칭수단을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LC 공진회로의 작동에 의한 공진 전류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공진주파수 검출수단과,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주파수를 상기 구동수단으로 피드백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을 상기 LC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로 온/오프 구동하는 점에 제 1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을 상기 변압기의 1차측에 설치한 점에 제 2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저압측 단자와, 고압측 단자와, 저압측 권선 및 고압측 권선을 가지고 전압 변환비를 결정하는 변압기와, 상기 저압측 단자와 상기 저압측 권선과의 사이에 삽입된 저압측 스위칭수단과, 상기 고압측 단자와 상기 고압측 권선과의 사이에 삽입된 고압측 스위칭수단과, 상기 저압측 스위칭수단의 각 스위칭소자에 병렬 접속된 저압측 정류소자와,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의 각 스위칭소자에 병렬 접속된 고압측 정류소자와, 상기 저압측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소자 및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양방향의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권선과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과의 사이 또는 상기 저압측 권선과 상기 저압측 스위칭수단과의 사이에 LC 공진회로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LC 공진회로의 작동에 의한 공진 전류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공진주파수 검출수단과,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주파수를 상기 구동수단으로 피드백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을 상기 LC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로 온/오프 구동하는 점에 제 3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LC 공진회로를 상기 고압측 권선과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과의 사이에 설치한 점에 제 4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압측 스위칭수단 및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은 모두 4개의 스위칭소자를 브릿지접속하여 구성되는 점에 제 5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스위칭수단의 구동주파수와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스위칭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공진회로를 구성하는 회로 소자의 소자 정수에 제조단계에서 불균일이 있거나, DC-DC 컨버터에 대한 조립 후에 그 소자 정수에 경년 변화나 주위 온도에 따른 변화 등이 있거나 하여도 스위칭수단의 구동주파수가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에 일치하도록 자동조정되기 때문에 회로나 소자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또, 제 2 특징에 의하면, 공진주파수 검출수단과 구동수단으로 전압기준 라인을 공통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진주파수 검출수단과 구동수단과의 사이의 절연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제 3 특징에 의하면, 저압측 스위칭수단과 고압측 스위칭수단을 동일한 구동 타이밍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양방향에서 전력을 서로 융통하는 변환이 가능하게 되어, 그 경우의 스위칭손실을 간단한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에 의한 전류파형이 LC 공진회로에서 정현파상이 되어, 스위칭수단의 구동주파수가 LC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에 일치하도록 자동 조정되기 때문에, 공진 전류의 영 크로스점에 아주 가까운 시점에 스위칭소자의 오프타이밍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스위칭손실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4 특징에 의하면, LC 공진회로가 설치되는 고압측은, 전류값이 작기 때문에 LC 공진회로에서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5 특징에 의하면, 고압측 및 저압측의 스위칭수단 및 정류소자는, 이른바 브릿지형의 단상 인버터를 구성하기 때문에, 변압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변압기의 전송 지연 등에 따라 스위칭소자의 단락방지 데드타임을 크게 취하거나, 스위칭소자의 구동시간을 짧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변환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DC-DC 컨버터의 원리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DC-DC 컨버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체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DC-DC 컨버터의 원리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DC-DC 컨버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전류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압기 1-1 : 저압측 권선
1-2 : 고압측 권선 2, 9 : 스위칭수단
2-1~2-4, 9-1~9-4 : FET 3 : LC 공진회로
4 : 구동수단(제어회로) 5 : 공진 전류 검출용 변류기
6 : 주파수 검지부 7-1, 7-2 : 저압측 단자
8-1, 8-2 : 고압측 단자 10, 11 : 평활 콘덴서
12 : 발전기 13 : 배터리
14 : 구동용 인버터(정류회로) 15 : 레귤레이터
16 : 인버터 100 : 양방향 DC-DC 컨버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DC-DC 컨버터의 원리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동일 또는 동등부분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도 1이 도 4와 다른 것은, 공진회로(3)의 작동에 의한 공진 전류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공진 전류 주파수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에 의하여 검출된 주파수를 구동수단(4)으로 피드백한 점이다. 공진 전류 주파수 검출수단은, 예를 들면 변압기(1)의 1차측의 공진 전류가 흐르는 라인에 대하여 배치된 공진 전류 검출용변류기(5)와 이에 의하여 검출된 공진 전류의 주파수를 검지하는 주파수 검지부(6)로 구성된다.
다음에 도 1의 동작을 설명한다. 구동수단(4)은 먼저 공진회로(3)의 회로 소자의 소자 정수에 의거하여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스위칭수단(2)을 온/오프구동한다. 이에 의하여 변압기(1)의 1차측에서 2차측으로의 DC-DC 변환이 행하여진다.
공진 전류 검출용 변류기(5)는, 변압기(1)의 1차측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값으로서 검출하고, 주파수 검지부(6)는 검출된 전압값의 변화로부터 주파수를 산출함으로써 전류의 주파수를 검지한다. 주파수 검지부(6)에서 검지된 주파수는 구동수단(4)으로 피드백된다.
구동수단(4)은 주파수 검지부(6)에서 검지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스위칭수단(2)을 온/오프한다. 이에 의하여 스위칭수단(2)은, 주파수 검지부(6)에서 검지된 실제의 공진 전류의 주파수, 즉 공진회로(3)의 현재의 실제의 공진주파수에 합치한 주파수로 온/오프된다. 따라서 공진회로(3)를 구성하는 회로 소자의 소자 정수에 제조단계에서 불균일이 있거나, DC-DC 컨버터에의 조립 후에 그 소자 정수에 경년 변화나 주위 온도에 따른 변화가 생기거나 하여도 스위칭수단(3)의 온/오프 주파수와 공진회로(3)의 공진주파수와의 사이의 어긋남은 억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DC-DC 컨버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체 회로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저압측 단자(7-1, 7-2)에 접속되는 직류전원과 고압측 단자(8-1, 8-1)에 접속되는 직류전원과의 사이에서 변압기(1)를 거쳐 양방향으로 전력을 서로 융통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로서 구성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저압측 단자(7-1, 7-2)측을 1차측, 고압측 단자(8-1, 8-2)측을 2차측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변압기(1)는, 1차측의 저압측 권선(1-1)과 2차측의 고압측 권선(1-2)을 포함한다. 이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승압비는, 저압측 권선(1-1)과 고압측 권선(1-2)의 권선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저압측 스위칭수단(2)은, 저압측 단자(7-1, 7-2)와 저압측 권선(1-1)과의 사이에 삽입되고, 고압측 스위칭수단(9)은, 고압측 단자(8-1, 8-2)와 고압측 권선(1-2)과의 사이에 삽입된다.
저압측 스위칭수단(2)은 FET 등의 4개의 스위칭소자(이하, FET라 기재한다) (2-1~2-4)를 브릿지접속하여 구성할 수 있고, 고압측 스위칭수단(9)도 4개의 FET(9-1~9-4)를 브릿지접속하여 구성할 수 있다.
FET(2-1~2-4, 9-1~9-4)의 각각은 다이오드 등의 정류소자가 병렬 접속된다. 이들 정류소자는, FET의 기생 다이오드로 좋고, 따로 접속한 접합 다이오드이어도 좋다. 병렬 접속된 정류소자를 맞추면 저압측 스위칭수단(2) 및 고압측 스위칭수단(9)은 각각 스위칭·정류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고압측 단자(8-1, 8-2)와 고압측 권선(1-2)과의 사이에는 LC 공진회로(3)가 삽입된다. 저압측 스위칭수단(2)의 FET(2-1~2-4) 및 고압측 스위칭수단(9)의 FET(9-1~9-4)는 CPU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회로(4)에 의하여 온/오프된다. 또한 저압측 단자(7-1, 7-2) 사이 및 고압측 단자(8-1, 8-2)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콘덴서(10, 11)는 출력 평활용 콘덴서이다.
변압기(1)의 저압측 권선(1-1)과 저압측 스위칭수단(2)과의 사이에 공진 전류검출용 변류기(5)가 삽입되고, 이것에 의한 검출출력은 주파수 검지부(6)에 주어진다. 전류 검출용 변류기(5)와 주파수 검지부(6)는 공진 전류 주파수 검출수단을 구성한다.
CPU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회로(4)는, 주파수 검지부(6)에서 검지된 주파수 에 의거하여 저압측 스위칭수단(2)의 FET(2-1~2-4)나 고압측 스위칭수단(9)의 FET (T9-1~9-4)를 온/오프한다. 또한 주파수 검지부(6)는, 제어회로(4)의 일부로서 소프트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고, 주파수는 예를 들면 공진 전류파형의 피크위치 등의 특정위치의 어긋남을 판단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다.
도 2의 동작의 개략을 설명한다. 먼저 1차측(도면의 좌측)으로부터 2차측 (도면의 우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저압측 스위칭수단(2)의 FET 2-1, 2-4의 한쌍과 FET 2-2, 2-3의 한쌍을 교대로 온/오프시킨다. 이 온/오프에 따르는 전류가 변압기(1)의 저압측 권선(1-)1에 흐른다.
고압측 권선(1-2)으로 유기된 전류는, LC 공진회로(3)를 통하여 고압측 스위칭수단(9)에 입력되고, FET(9-1~9-4)에 병렬 접속된 정류소자에 의하여 정류되고, 평활콘덴서(11)에서 평활되어 출력된다. 이때 1차측 및 2차측에 흐르는 전류는, LC 공진회로(3)의 존재에 의하여 정현파상이 된다.
또, 전류검출용 변류기(5)와 주파수 검지부(6)로 이루어지는 공진 전류 주파수 검출수단에 의한 피드백기능으로, 저압측 스위칭수단(2)의 FET(2-1~2-4)는 LC 공진회로(3)의 현재의 실제의 공진주파수에 합치한 주파수로 온/오프된다.
이상은, 1차측에서 2차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의 동작이나, 2차측에서 1차측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1차측과 2차측을 완전동기로, 즉 1차측과 2차측을 동일 구동신호로 구동하여 서로 자동적으로 전력을 주고 받게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는 변압기 권선비에 의한 1차측과 2차측의 상대 전압차로 전력의 주고 받음이 행하여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예는 발전기(12)를 포함하는 직류전원과 배터리(13)로 전력을 서로 융통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에 도 2의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적용한 예이다. 발전기(12)는 예를 들면 엔진 구동식 3상의 다극 자석 발전기이다.
본 적용예에서도, 전류 검출용 변류기(5)와 주파수 검지부(6)로 이루어지는 공진 전류 주파수 검출수단에 의한 피드백기능으로, 양방향 DC-DC 컨버터의 스위칭수단은 LC 공진회로의 현재의 실제의 공진주파수에 합치한 주파수로 온/오프 구동되기 때문에, 변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먼저 엔진의 시동시에는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저압측 스위칭수단을 구동하고, 이에 의하여 승압한 배터리(13)의 DC 전압을 구동용 인버터(정류회로)(14)에 인가한다. 구동용 인버터(14)는 인가된 DC 전압을 3상의 AC 전압으로 변환하여 발전기(12)에 인가하고, 이것을 엔진시동용 전동기로서 기동한다.
엔진이 시동되면, 발전기(12)는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고, 구동용 인버터(14)의 스위칭동작은 정지된다. 발전기(12)의 출력은 정류회로(구동용 인버터)(14)에서 정류되고, 레귤레이터(15)로 조정되며, 또한 인버터(16)로 소정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되어 부하에 공급된다.
배터리(13)의 전압이 저하하였을 때,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고압측 스위칭수단을 구동하면, 정류회로(14)의 출력을 양방향 DC-DC 컨버터(100)에 의하여 강압하고, 강압한 전압으로 배터리(13)를 충전할 수 있다.
발전기(12)가 엔진으로 구동되고 있을 때에, 양방향 DC-DC 컨버터(100)의 저압측 스위칭수단과 고압측 스위칭수단을 완전동기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정류회로(구동용 인버터)(14)측과 배터리(13)측에서 변압기 권선비에 의한 1차측과 2차측의 상대 전압차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력의 주고 받음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는 다이오드에 의한 순방향 강하 전압(약 0.7 V)에 의한 손실이 없고, 스위칭수단의 온저항만의 손실이 되기 때문에, 특히 저압측에서의 효율을 높 일 수 있다.
또한 본 적용예는 엔진 구동식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직류전원과 배터리 사이에서 전력을 서로 융통하는 예이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배터리, 통상의 발전기, 태양광 발전, 풍력발전, 연료전지 등의 적절한 직류 전원계에서 전력을 서로 융통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차량 등에서의 주행 전력계와 보안 전장계에서 전력의 주고 받음을 행하게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러자기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공진 전류 검출용 변류기 대신에 저항을 공진 전류가 흐르는 라인에 삽입함에 의해서도 공진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전류 검출용 변류기나 저항 등은 1차측 대신에 2차측에 설치할 수도 있고, LC 공진회로도 2차측이 아니라 1차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Claims (5)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와,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을 가지고 전압 변환비를 결정하는 변압기와, 상기 1차측 단자와 상기 1차측 권선과의 사이에 삽입된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에 직렬로 접속된 공진용 리액터 및 이 공진용 리액터와 공진하는 공진용 콘덴서로 이루어지는 LC 공진회로와, 상기 스위칭수단을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LC 공진회로의 작동에 의한 공진 전류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공진주파수 검출수단과,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주파수를 상기 구동수단으로 피드백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을 상기 LC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로 온/오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을 상기 변압기의 1차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저압측 단자와, 고압측 단자와, 저압측 권선 및 고압측 권선을 가지고 전압 변환비를 결정하는 변압기와, 상기 저압측 단자와 상기 저압측 권선과의 사이에 삽 입된 저압측 스위칭수단과, 상기 고압측 단자와 상기 고압측 권선과의 사이에 삽입된 고압측 스위칭수단과, 상기 저압측 스위칭수단의 각 스위칭소자에 병렬 접속된 저압측 정류소자와,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의 각 스위칭소자에 병렬 접속된 고압측 정류소자와, 상기 저압측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소자 및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양방향의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고압측 권선과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과의 사이 또는 상기 저압측 권선과 상기 저압측 스위칭수단과의 사이에 LC 공진회로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LC 공진회로의 작동에 의한 공진 전류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공진주파수 검출수단과,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주파수를 상기 구동수단으로 피드백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공진주파수 검출수단으로 검출된 주파수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을 상기 LC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로 온/오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LC 공진회로를 상기 고압측 권선과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과의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측 스위칭수단 및 상기 고압측 스위칭수단은 모두 4개의 스위칭소자를 브릿지접속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KR1020067013227A 2003-12-02 2004-11-19 Dc―dc컨버터 KR100810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3094A JP2005168167A (ja) 2003-12-02 2003-12-02 Dc−dcコンバータ
JPJP-P-2003-00403094 2003-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468A true KR20060096468A (ko) 2006-09-11
KR100810706B1 KR100810706B1 (ko) 2008-03-07

Family

ID=3465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227A KR100810706B1 (ko) 2003-12-02 2004-11-19 Dc―dc컨버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041222A1 (ko)
EP (1) EP1858146A4 (ko)
JP (1) JP2005168167A (ko)
KR (1) KR100810706B1 (ko)
CN (1) CN100499334C (ko)
DE (1) DE04819760T1 (ko)
TW (1) TW200522488A (ko)
WO (1) WO20050554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876A (ko) * 2014-12-29 2016-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복합 전자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8174B2 (ja) * 2003-12-11 2009-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4527616B2 (ja) * 2005-06-24 2010-08-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絶縁共振形双方向dc/dcコンバ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EP2161823A4 (en) * 2007-06-28 2013-10-23 Shindengen Electric Mfg BIDIRECTIONAL DC / DC CONVERTER
FR2927482B1 (fr) * 2008-02-07 2010-03-05 Renault Sas Dispositif de generation de haute tension.
US8058743B2 (en) * 2008-09-30 2011-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for coupling power converters with a transformer
JP2010104075A (ja) * 2008-10-21 2010-05-06 Yutaka Denki Seisakusho:Kk 電源回路
CN101552559B (zh) * 2009-01-06 2011-08-10 西安爱科电子有限责任公司 具有倍频输出磁路耦合变压器的三电平dc-dc变换器
JP5391100B2 (ja) * 2010-02-03 2014-0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
US8811039B2 (en) * 2010-07-16 2014-08-19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Pulse width modulated resonant power conversion
JP5437530B2 (ja) * 2011-03-07 2014-03-12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および、電源システム
TWI452809B (zh) 2011-03-08 2014-09-11 Green Solution Tech Co Ltd 全橋驅動控制電路及全橋式轉換電路
JP5799825B2 (ja) * 2012-01-19 2015-10-28 富士通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半導体集積回路及びdc−dc変換方法
JP5552149B2 (ja) * 2012-10-05 2014-07-16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コンバータ及び双方向コンバータ
US9461546B2 (en) * 2013-02-08 2016-10-04 Advanced Charging Technologies, LLC Power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JP6133704B2 (ja) * 2013-06-19 2017-05-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及び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の制御方法
FR3010257B1 (fr) * 2013-08-27 2016-10-28 Airbus Operations Sas Alimentation a decoupage a architecture modulable
US9793788B2 (en) 2013-12-20 2017-10-17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 storage system for renewable energy source
UA120844C2 (uk) * 2014-02-27 2020-02-25 Денмаркс Текніске Юніверсітет Резонансний dc-dc перетворювач потужності з керуванням включанням і виключанням
US20160049858A1 (en) * 2014-08-13 2016-02-18 Hyundai Motor Company Lc resonant converter using phase shift switching method
EP2996237A1 (en) * 2014-09-15 2016-03-16 Alstom Technology Ltd Resonant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JP2016201893A (ja) * 2015-04-09 2016-12-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系統連系システム
TWI580150B (zh) * 2015-05-15 2017-04-2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諧振式無線電源接收電路及其控制電路與無線電源轉換方法
US9973099B2 (en) * 2015-08-26 2018-05-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AC/DC converters with wider voltage regulation range
JP6390823B2 (ja) * 2016-06-06 2018-09-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6787743A (zh) * 2017-01-16 2017-05-31 湖北文理学院 一种dc‑dc变换器
CN111130357B (zh) * 2019-12-31 2021-05-14 杭州茂力半导体技术有限公司 谐振变换器及其控制电路和控制方法
JP2022002454A (ja) * 2020-06-22 2022-01-06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CN114710043B (zh) * 2022-06-06 2022-09-06 茂睿芯(深圳)科技有限公司 双向谐振变换器及其控制方法、装置、电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6255A (en) * 1987-06-05 1990-01-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wer pack comprising resonant converter
DE3842465A1 (de) * 1988-12-16 1990-06-28 Flachenecker Gerhard Schaltregler zur gleichspannungswandlung
DE4334592C1 (de) * 1993-10-11 1994-07-21 Siemens Ag Hochfrequenz-Generator
JP3690822B2 (ja) * 1994-02-01 2005-08-31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Dc−dcコンバータ
JP3484751B2 (ja) * 1994-03-31 2004-01-06 ソニー株式会社 電流共振型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5568036A (en) * 1994-12-02 1996-10-22 Delco Electronics Corp. Contactless battery charging system with high voltage cable
JP3470511B2 (ja) * 1996-07-31 2003-11-25 株式会社明電舎 コンデンサ充電装置
JPH10225122A (ja) * 1997-02-07 1998-08-21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
WO1999008359A1 (en) * 1997-08-08 1999-02-18 Meins Jurgen G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contactless power
JP3674283B2 (ja) * 1997-12-26 2005-07-20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絶縁形電力変換装置
US6301128B1 (en) * 2000-02-09 2001-10-09 Delta Electronics, Inc. Contact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CA2353422C (en) * 2000-07-24 2004-03-02 Chippower.Com, Inc. High frequency dc to ac inverter
US6934167B2 (en) * 2003-05-01 2005-08-23 Delta Electronics, Inc. Contact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primary side current feedback control and soft-switched secondary side rectif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876A (ko) * 2014-12-29 2016-07-08 삼성전기주식회사 복합 전자 부품
US10020790B2 (en) 2014-12-29 2018-07-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5407A1 (ja) 2005-06-16
TW200522488A (en) 2005-07-01
DE04819760T1 (de) 2009-10-08
EP1858146A1 (en) 2007-11-21
EP1858146A4 (en) 2009-05-13
KR100810706B1 (ko) 2008-03-07
JP2005168167A (ja) 2005-06-23
CN100499334C (zh) 2009-06-10
CN1890864A (zh) 2007-01-03
US20070041222A1 (en)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706B1 (ko) Dc―dc컨버터
KR100810707B1 (ko) Dc―dc 컨버터
US7177163B2 (en) Two-way DC-DC converter
US8648574B2 (en) Output control device for hybrid engine-driven power generator
US10090709B2 (en) Bidirectional non-contact power supply device and bidirectional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US20070029799A1 (en) Power supply device
US6989655B2 (en) Engine generator
US20050173985A1 (en) Power supply apparatus
US9487098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JP201515971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電力変換装置
JP4454444B2 (ja)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US20070183176A1 (en) Power supply apparatus
JPH08317508A (ja)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
KR102269872B1 (ko) 인터리브드 pwm 가변 주파수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14747113A (zh) 充电设备和用于运行充电设备的方法
KR101515875B1 (ko) 2단 방식의 ac/dc 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