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899A - 암치료를 위한 약제 - Google Patents

암치료를 위한 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899A
KR20060095899A KR1020067000743A KR20067000743A KR20060095899A KR 20060095899 A KR20060095899 A KR 20060095899A KR 1020067000743 A KR1020067000743 A KR 1020067000743A KR 20067000743 A KR20067000743 A KR 20067000743A KR 20060095899 A KR20060095899 A KR 20060095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cancer
amino acid
lactoferrin
cytotoxic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3259B1 (ko
Inventor
기요히코 하타케
야스히토 데루이
유지 미시마
아키오 야마다
다쿠마 사쿠라이
다케히토 이토
Original Assignee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9Transferrins, e.g. lactoferrins, ovotransfer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를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한다.
락토페린, 암, 항체요법, 락토페린 가수분해물, 항체 의약, 펩신

Description

암치료를 위한 약제{Medicine for cancer therapy}
본 발명은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당해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락토페린의 부분 펩타이드 또는 화학합성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는 락토페린의 부분 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 세포에 대한 항체 의약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항체가 특정한 항원을 인식하여, 생체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작에 관해서는 옛날부터 연구되고 있다. 한편, 치료에서의 항체의 응용은 면역 글로불린 제제가 유명하지만, 역가가 불충분하거나, 미지의 감염원을 혼입시키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밀스테인(Milstein) 및 코흘러(Kohler)에 의한 모노클로날 항체의 작제기술의 발명은 다양한 항체기술에 비약적인 진보를 가져왔다. 포스트 게놈이라고 호칭되는 오늘날에는 종양 세포나 병원인자가 갖는 특이적인 유전자나 이의 발현 산물 이 계속하여 명백해지고 있으며, 이들을 표적으로 하는 연구법 또는 이들을 이용하는 치료법의 개발에 항체기술이 크게 공헌하고 있다. 그리고, 금후에도 항체기술의 발전에 큰 기대와 주목을 모으고 있다.
악성 종양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 의약은 분자 표적치료의 분야에서, 놀라운 발전을 이루고 있다. 일본에서는 승인된 항체 의약은 아직 2품목뿐이지만, 현재 공지되어 있는 것만으로도, 악성 림프종(CD20, HLA-DR, CD5), 급성 골수성 백혈병(CD33, CD66),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D52, CD20),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CD19, CD20, CD22), 다발성 골수증(Id-idiotype, HM1.24), 유방암(HER2/neu), 상피성 암(EGF-R, VEGF), 대장암(17-1A, CEA), 난소암(CA125) 등에 대한 항체 의약이 있다(예: 비특허 문헌 1).
이들 악성 종양에 대한 항체 의약의 작용 기작으로서는 크게 3가지의 기작이 생각되고 있다. 즉, 제1 기작은 항체가 악성 종양의 세포 표면에 결합되면 종양 세포에 어떤 하나의 시그날이 전달되어, 세포를 사멸시키는 기작이다. 제2 기작은 생체내에 존재하는 주효체 세포(호중구, 마크로파지, NK 세포 등)가 항원 항체반응으로 종양 세포에 부착된 항체를 인식하여, 세포 독성 활성에 의해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는 기작이다. 제3 기작은 생체내의 보체 성분이 항원 항체반응으로 종양 세포에 부착된 항체를 인식하여, 보체계의 활성화 경로중의 통상적인 경로에 따라 세포 독성 작용을 일으키고,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는 기작이다(예: 비특허 문헌 2).
항체 의약의 개발에 따라 많은 암 환자의 목숨이 구제됐지만, 유감스럽게도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가진 악성 종양이 재발하여, 항체 의약 에서의 치료가 곤란한 환자도 다수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화학요법제와의 병용 치료법이 검토되고 있지만, 부작용을 막기 위한 치료의 제한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예: 비특허 문헌 3).
종양 세포의 항체 의약에 대한 내성 획득의 기작으로서, 보체 제어인자라고 호칭되는 분자(CD46, CD55, CD59)의 종양 세포 표면에서의 발현량이 증가되며, 상기한 3번째의 작용 기작에서 보체의 통상적인 경로를 불활성화하는 것에 의한, 저항성을 획득하고 있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어 있다(예: 비특허 문헌 4). 이러한 기작에 따라 보체계의 세포 독성 활성이 저하되며, 결과적으로 표적 종양 세포에 관한 항체 의약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악성 종양에 대한 보체계의 세포 독성 활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락토페린은 포유동물의 유즙, 타액, 눈물, 정액, 각종 점액 등에 존재하는 비헤모글로빈 철 결합 당단백질이며, 철 흡착작용, 세포 증식 촉진작용, 면역 조정작용 및 항균작용을 갖는 다기능 단백질이다. 소 락토페린은 유제품 공장에서 일상적으로 취급되는 생탈지유 또는 치즈·유장으로부터 용이하면서, 또한 대량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상품으로서 즉시 이용할 수 있다.
락토페리신(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상표)는 본원 발명의 발명자등에 의해 소·락토페린의 효소 가수분해물 중에서 처음으로 단리된 신규한 펩타이드이다(예: 특허 문헌 1). 소·락토페린으로부터 단리된 락토페리신은 예를 들면,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있다. 락토페리신은 사람 및 동물의 각종 질병의 원인으 로 되는 그램 양성 및 그램 음성의 세균, 효모 등의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하여 저농도에서 항균작용을 갖는 매우 유용한 물질이다. 임상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다른 대부분의 항균제는 사람 및 동물에게 있어서 이물질인 화학물질이지만, 락토페리신은 화학물질 및 화학적으로 합성된 아미노산 유도체를 포함하지 않는 천연의 펩타이드이므로 사람 및 동물의 건강에 유익하며, 또한 안전하다. 왜냐하면, 락토페리신은 통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우유에 함유되는 락토페린의 위장 펩신 분해에 의해 사람의 위장 안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락토페리신은 안전하면서 또한 효과적인 항균제로서 예를 들면, 점안제, 구강제, 화장품, 피부제, 임상용 식품, 페트용 제품 등의 다종다양한 상품에 이용할 수 있으며 매우 큰 가치를 갖고 있다.
종래, 락토페린에 의한 항종양 효과에 관해서는 항종양제(특허 문헌 2), 비경구용 항종양제(특허 문헌 3), 경구암 전이억제제(특허 문헌 4)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기술은 모두 락토페린이 직접적으로 종양 세포에 작용하는 효과에 따르는 것이며 최근의 암치료에서 주목되고 있는 항체요법에 의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따른 항종양 효과와는 상이한 것이다. 즉, 락토페린의 가수분해 혼합물이나 락토페린의 부분 펩타이드가, 암의 항체요법, 특히 내성을 갖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은 종래에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2818056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 63-51337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7-309771호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 내지 59864호
비특허 문헌 1: 최신의학, 니이쓰 요시로·가토 가즈노리저, 제58권, 제12호, 2003년, p.5-12(Niizu Y. & Kato K., Saishin Igaku, Vol. 58, No.12, pp.5-12, 2003)
비특허 문헌 2: 면역학 최신 일러스트레이티드, 고야스 시게오편, 기노시타 다로저, 2003년, p.35-50(Koyasu S. ed., Kinoshita T., Current Immunology Illustrated, pp.35-50, 2003)
비특허 문헌 3: 혈액 프론티어, 하타케 기요히코저, 제12권, 11호, 2002년, p.65-71(Hatake K., Blood Frontier, Vol. 12, No.11, pp.65-71, 2002)
비특허 문헌 4: 온코진(Oncogene), 제22권, 2003년, p.7359-7368(Oncogene, Vol. 22, pp.7359-7368, 2003)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암의 항체요법, 특히 내성을 갖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며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안전성이 높은 약제, 동약제를 함유하는 음식물 또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등은 보다 효과적으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높여, 치료 성과의 향상으로 이어지는 기술에 주목하는 가운데, 악성 종양의 환자에 있어서 항체 의약에 대한 내성이 확인된 상태이더라도, 표적 종양 세포에서의 항체 의약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면, 보체계의 세포 독성 활성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집중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 항체와 보체에 의한 세포 독성 작용을 발현하는 실험계에서, 락토페린의 가수분해 혼합물 및 당해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펩타이드가 표적 종양 세포에 작용하여, 항체 의약에 대한 감수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는 락토페린에 의한 항종양 효과와는 본질적으로 상이하며 지금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약제가 거의 발견되지 않던 암에 대해 특히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항체요법에서 당해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에 근거하는 락토페린의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당해 락토페린의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분리되는 락토페린의 부분 펩타이드 또는 화학합성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는 락토페린의 부분 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신규한 약제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의 제1 발명은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이다.
상기 제1 발명은 하기의 1) 내지 6)을 바람직한 형태로 하고 있다.
1)가수분해 효소가 펩신인 것.
2)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분해율이 6 내지 20%인 것.
3)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5000인 것.
4)암이 유방암, B세포 림프종 또는 대장암의 어느 하나인 것.
5)암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인 것.
6)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표적 종양 세포에서의 항체 의약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인 것.
제1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용도이다. 또한, 제1 발명의 별도의 형태는 항체 의약을 사용하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의 제2 발명은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이며, 하기 (a) 내지 (d)의 펩타이드의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제이다.
(a)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b)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c)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d)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제2 발명은 하기의 7) 내지 9)를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7)암이 유방암, B세포 림프종 또는 대장암의 어느 하나인 것.
8)암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인 것.
9)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표적 종양 세포에서의 항체 의약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인 것.
제2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펩타이드의 용도이다. 또한, 제2 발명의 별도의 양태는 항체 의약을 사용하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약제를 함유하는 음식물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의 제3 발명은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며,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부착한 음식물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의 제4 발명은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락토페린 가수분해물 및 항체 의약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암의 항체요법용의 약제이다.
제4 발명은 하기의 10) 내지 14)를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10)가수분해 효소가 펩신인 것.
11)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분해율이 6 내지 20%인 것.
12)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5000인 것.
13) 항체 의약이 항CD20 항체, 항HER2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17-1A(사람 종양 관련 상피 세포 접착인자) 항체인 것.
14)암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인 것.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의 제5 발명은 암의 항체요법용의 약제이며, 하기 (a) 내지 (d)의 펩타이드의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혼합물 및 항체 의약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제이다.
(a)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b)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c)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d)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제5 발명은 하기의 15) 및 16)을 바람직한 양태로 하고 있다.
15)항체 의약이 항CD20 항체, 항HER2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17-1A(사람 종양 관련 상피 세포 접착인자) 항체인 것.
16)암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인 것.
본 발명은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당해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락토페린의 부분 펩타이드 또는 화학합성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는 락토페린의 부분 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에 관한 것이며 보체와 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표적이 되는 종양 세포를 효율적으로 살상할 수 있다.
또한, 특히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종양 세포에 대해 보체와 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을 회복하는 효과도 겸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성을 갖는 암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유효 성분은 우유 등의 비교적 염가인 원료로부터 수득되는 점으로부터,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은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용으로 표시된 음식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약제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리툭시마브(Rituximab)의 Raji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활성에 부여하는 본 발명의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및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의 영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은 배양액에 대하여 t< 0.001인 것을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백분률은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질량에 의한 표시이다.
본 발명의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 또는 암의 항체요법용의 약제(이하, 단순히 「본 발명의 약제」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의 유효 성분은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이하,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이라고 한다.) 또는 하기 (a) 내지 (d)의 펩타이드의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혼합물(이하,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라고 한다)이다.
(a)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b)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 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c)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d)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또한, 서열번호 2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에 상당한다. 또한, 서열번호 3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서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이란 암 세포의 표면에 결합되는 항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며, 항체가 암 세포에 결합함으로써 암 세포를 살상하는 의약을 말한다. 항체 의약의 작용으로서는 암 세포의 증식 시그날을 억제하는 것, 세포 사멸 시그날을 활성화함으로써 암 세포를 살상하는 것, 보체 의존성 세포 독성 활성 또는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 활성에 의해 암 세포를 살상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킨다」라는 것은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 즉 항체 의약의 표적이 되는 종양 세포를 보체 및/또는 항체 의약이 살상하는 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에 추가하여,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종양 세포에 대해 항체 의약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 즉 보체 및/또는 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을 회복시키는 것을 포함한 다. 또한,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다」라는 것은 항체 의약 및/또는 보체가 종양 세포를 살상하는 작용(세포 독성 활성)에 내성인 점, 바꿔 말하면, 상기 작용이 약하거나 동 작용을 받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항체 의약에 대한 내성은 보체 제어 인자에 기인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요인으로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경우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의 유효 성분인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및 당해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락토페린의 부분 펩타이드(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는 락토페린을 출발 물질로서 조제할 수 있다. 락토페린은 시판하는 락토페린이나, 포유동물(예: 사람 또는 소 등.)의 초유, 이행유, 상유(常乳), 말기유 또는 이들 젖의 처리물인 탈지유, 유장 등을 원료로 하며 예를 들면,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 원료로부터 분리하여 수득되는 락토페린을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공업적 규모로 제조되는 시판하는 락토페린(예: 모리나가뉴교사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유전공학적 수법에 따라 미생물, 동물 세포, 형질전환된 동물 등에서 생산되는 락토페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펩타이드(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직접, 화학합성 또는 유전공학적 수법 등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락토페린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약제의 유효 성분인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조제하는 방법으로서는 가수분해 효소 등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락토페린을 가수분해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락토페 린의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효소는 락토페린을 분해하며,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가수분해 효소이면, 어떠한 가수분해 효소라도 양호하다.
가수분해 효소로서는 예를 들면, 펩신, 판크레아틴, 트립신, 키모트립신, 아스페르길루스·오리재(Aspergillus oryzae) 유래의 프로테아제, 스트렙토마이세스·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유래의 프로테아제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가수분해 효소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2종류 이상의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효소반응은 동시에 실시하거나 따로따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펩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엔도형 프로테아제를 엑소형 가수분해 효소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수분해 반응시간은 효소반응의 분해율을 모니터하면서, 바람직한 분해율에 도달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의 유효 성분인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분해율은 6 내지 20%가 바람직하며, 8 내지 12%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단백질의 분해율은 예를 들면, 케르달법(일본식품공업학회편, 「식품분석법」, 제102페이지, 가부시키가이샤고린, 쇼와 59년)에 의해 시료의 전체 질소량을 측정하며, 포르몰 적정법(미쓰다 외 편, 「식품공학실험서」, 상권, 제547페이지, 요켄도, 1970년)에 의해 시료의 포르몰 질소량을 측정하여, 이들 측정치로부터 다음 일반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분해율(%)=(포르몰 질소량/전체 질소량)×100
분해율이 바람직한 값에 도달하면, 효소반응을 정지하면 양호하다. 효소반 응의 정지는 가수분해액 중의 효소의 실활에 의해 실시되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 가열 실활처리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가열 실활처리의 가열온도와 유지시간은 사용되는 효소의 열안정성을 고려하여, 충분하게 실활할 수 있는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80 내지 130℃의 온도범위에서 30분 내지 2초 동안의 유지시간으로 실시할 수 있다. 수득된 반응액은 시트르산 등의 산에 의해 pH를 5.5 내지 7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에 불용물이 있는 경우에는 원심하거나 여과하는 방법에 따라 이들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 내지 5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000 내지 4000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균 분자량(Number Average of Molecular Weight)는 예를 들면, 문헌(사단법인 고분자학회편, 「고분자 과학의 기초」, 제116-119페이지, 가부시키가이샤도쿄가가쿠도진, 1978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의 평균치를 다음과 같이 상이한 지표에 근거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즉, 단백질 가수분해물 등의 고분자 화합물은 불균일한 물질이며, 또한 분자량에 분포가 있으므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은 물리화학적으로 취급하기 위해서는 평균 분자량으로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며 수평균 분자량(이하, Mn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은 분자의 개수에 관한 평균이며, 펩타이드쇄 i의 분자량이 Mi이며, 이의 분자수를 Ni로 하면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06002078962-PCT00001
이와 같이 수득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은 그대로 본 발명의 약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분말로서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의 다른 유효 성분인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득되는 락토페린의 가수분해 산물에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를 가한 것일 수 있다.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로서 구체적으로는 서열표의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의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2)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들 수 있다. 이하,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의 아미노산(서열번호 3)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락토페린F36-F60,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락토페린F36-A61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락토페린F36-F60 및 락토페린F36-A61의 양자를 포함하는 것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경우에는 락토페린F36-F60 및 락토페린F36-A61의 혼합비는 락토페린F36-F60:락토페린F36-A61= 1:20 내지 20:1이 바람직하며 이중에서도 락토페린F36-F60:락토페린 F36-A61= 1:10 내지 2:3이 특히 바람직하다.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 구체적으로는 락토페린F36-F60 및/또는 락토페린F36-A61은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제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출발 물질로 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238948호에 기재된 락토페리신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락토페린F36-F60 및/또는 락토페린F36-A61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 및/또는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을 갖는 펩타이드이면, 화학합성에 의해 합성 펩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유전자 재조합 기술 등을 이용하는 유전공학적 수법을 사용하여 재조합체 펩타이드를 합성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 등에 의해 조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전공학적 수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는 당해 영역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기초로 적당한 프라이머를 작제하여, 당해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c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 등에 의해 염기서열을 증폭하며, 수득된 염기서열을 적당한 발현계를 사용하여 발현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유전자에서는 종, 속, 개체 등의 차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의 하나 이상의 염기의 치환, 결실, 삽입, 부가 또는 역위 등의 변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변이를 갖는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의 아미노산에서도 변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락토페린F36-F60 및 락토페린F36-A61에는 내성을 갖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러한 변이를 함유하는 것도 포함된다. 락토페린F36-F60 또는 락토페린F36-A61이 함유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 결실, 삽입, 부가 또는 역위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개이다. 또한,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아미노산끼리의 치환, 소위 보존적 치환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락토페린F36-F60 또는 락토페린F36-A61의 변형체가 락토페린F36-F60 또는 락토페린F36-A61보다 긴 경우에는 부가되는 아미노산은 락토페린의 36위치로부터 N말단측 또는 60위치 또는 61위치로부터 C말단측의 서열에 대응하는 아미노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변형체가 원하는 작용을 갖는 한, 부가되는 아미노산은 임의의 아미노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당해 작용은 요오드화프로피듐(Propidium iodide)(PI: Dojindo사제: 카탈로그 번호 P378)를 사용하는 방법[사이트메트리(Cytometry) 제8권, 제4호, 1987년, 제421 내지 426페이지] 또는 칼세인(Calcein)-AM(Doindo사제: 카탈로그 번호 341-07901)을 사용하는 방법[아폽토시스(Apoptosis), 제3권, 제3호, 1998년, 제195-202페이지]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하기하는 실시예에서 당해 측정방법에 관해서 상세하게 기재한다.
본 발명의 약제는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 또는 이들을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제 담체와 배합하여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의 항체요법용의 약제에서는 또한, 상기 성분과 함께 항체 의약을 배합한다. 본 발명의 약제의 제제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치료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제, 환제, 산제, 액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캡슐제, 시럽제, 좌제, 주사제, 연고제, 첨부제, 점안제, 점비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제제화에 있어서는 제제 담체로서 통상적인 약제에 범용되는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안정제, 교미교취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주사제용 용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중에 함유되는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선택하면 양호하지만, 예를 들면,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은 제제중에 10μg/ml 내지 50mg/ml, 바람직하게는 50μg/ml 내지 10mg/ml로 하는 것이 양호하며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는 제제중에 0.5μg/ml 내지 200μg/ml, 바람직하게는 1μg/ml 내지 100μg/ml로 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약제의 투여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항체 의약의 투여전, 투여후 또는 항체 의약과 동시에 어떤 때도 할 수 있으며 대상으로 되는 암종의 치료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투여시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투여형태는 제제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기타 조건, 환자의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제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은 용법, 환자의 연령, 성별, 질환의 정도, 기타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유효 성분으로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의 양은 0.001 내지 60mg/kg/일,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mg/kg/일의 범위로 되는 양을 목표로 하는 것이 양호하며 1일 1회 또는 복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는 암, 예를 들면, 유방암, B세포 림프종 또는 대장암 등의 어느 하나에서 항체 의약을 사용하는 치료의 치료제, 치료효과 증진제, 치료 보조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중에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와 함께 항체 의약을 함유하는 약제는 암의 항체요법용의 약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암의 항체요법용의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시 항체 의약, 또한 본 발명의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는 특히, 암 중에서도,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에 매우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항체 의약으로서는 항CD20 항체(리툭시마브), 항HER2 모노클로날 항체(트라스투주마브:trastuzumab), 항17-1A(사람 종양 관련 상피세포 접착인자) 항체(edrecolomab)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기타, 암치료에서 항체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항체 의약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공지되어 있는 항체 의약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후 개발되는 항체 의약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는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 투여 시기가 동시인지 여부는 상관하지 않는다), 공지된 암질환의 예방·치료 제(증진제·보조제도 포함된다)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병용함으로써 암질환의 예방·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병용하는 예방·치료제의 투여량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병용하는 암질환의 예방·치료제를 본 발명의 약제의 조성물 중에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약제의 조성물 중에는 함유시키지 않고 별개의 약제로서 조합하여 상품화하며, 사용할 때에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또는 동약제의 유효 성분인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는 음식물(음료 또는 식품)에 함유시킬 수 있다. 음식물로서는 유효 성분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고 경구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형태나 성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시키는 이외에는 통상적인 음식물에 사용되는 원료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의 용도로서는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각종 용도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 등, 특히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의 위험요인의 감소·제거에 유용한 음식물 등의 용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은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등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은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에 기인하는 각종 질병·합병증 등의 예방 및 이들 질병·합병증등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은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부착한 음식물, 예를 들면 「암의 항 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용으로 기재된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를 함유하는 음식물」 또는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용으로 기재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음식물」 또는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음식물」 또는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용으로 기재된 락토페린의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음식물」,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용으로 기재된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음식물」,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용으로 기재된 락토페린의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음식물」,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용으로 기재된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음식물」 등으로서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 등은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작용을 갖는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음식물은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용」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표시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언은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용」이라는 문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문언이라도,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에 대한 보조효과 또는 증진효과를 나타내는 문언이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문언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요자에 대해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 증진 또는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보조·증진효과를 인식시키도록 하는 각종 용도에 근거하는 표시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 등의 위험요인(위험성)의 감소·제거에 유용하다」 등의 표시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표시에서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한다」라는 문언은 생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란 수요자에 대하여 용도를 알게 하기 위한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용도를 상기·유추시킬 수 있는 것 같은 표시이면, 표시의 목적, 표시의 내용, 표시하는 대상물·매체 등의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본 발명의 「표시」에 해당된다. 그러나, 수요자가 용도를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현에 의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음식물에 따른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용도를 기재하는 행위,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용도를 기재한 것을 양도하며 인도, 양도 또는 인도를 위해 전시하며 수입하는 행위, 상품에 관한 광고, 가격표 또는 거래서류에 용도를 기재하여 전시하거나 반포하며, 또는 이들을 내용으로 하는 정보에 용도를 기재하여 전자기적(인터넷 등) 방법에 따라 제공하는 행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로서는 행정 등에 의해 인가된 표시(예: 행정이 정하는 각종 제도에 기초하여 인가를 받고, 이러한 인가에 기초한 양태로 하는 표시)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포장, 용기, 카탈로그, 팜플렛, POP 등의 판매 현장에서의 선전재, 기타 서류 등에 대한 표시가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건강식품, 기능성 식품, 경장 영양식품, 특별 용도식품, 영양 기능식품, 의약용 부외품 등으로서의 표시를 예시할 수 있으며 기타 후생노동성에 의해 인가되는 표시, 예를 들면, 특정 보건용 식품, 이에 유사한 제도로써 인가되는 표시를 예시할 수 있다. 후자의 예로서는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표시, 조건부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표시, 신체의 구조나 기능에 영향을 주는 취지의 표시, 질병 위험성 감소표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 말하면, 건강증진법 시행규칙(헤이세이 15년 4월 30일 일본국 후생 노동성령 제86호)에 정해진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표시(특히 보건 용도의 표시) 및 이에 유사한 표시가 전형적인 예로서 열거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의 제조
탈지유로부터 분리된 소·락토페린(모리나가뉴교사제. 순도 약 90%) 2.0kg을 5질량%의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하며, 1규정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3.0으로 조정한다. 결정 펩신(디프코사제)를 기질의 3질량%의 비율로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가수분해한다. 다음에 80℃에서 15분 동안 가열하여 펩신을 실활시켜 1규정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7.0으로 조정하며,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하며 분무 건조하고, 분말상의 락토페린 가수분해물 약 1.9kg을 조제한다. 또한, 제조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의 분해율은 10%이다.
[제조예 2]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한 출발 물질(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600g을 5질량%의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한다. 약 3000ml의 소수성 담체(부틸·도요팔. 상표. 도소사제) 650M을 물로 충분하게 세정하여 평형화한다. 교반기 부착 탱크내에서 출발 물질 용액을 소수성 담체와 혼합한 다음, 액을 분리하여, 소수성 담체를 칼럼(길이 10cm, 직경 20cm)에 충전하며, 분리된 액을 칼럼에 통과시킨다. 다음에 세정액의 280nm에서 흡광도가 0.06이하가 될 때까지 400ml/분의 유속으로 물을 사용하여 칼럼을 충분하게 세정한다.
이어서 10밀리몰 염산을 칼럼에 통액하여,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를 용출하며, 등량의 마킬베인 완충액(0.1M 아세트산 177용(容)+0.2M 제1인산나트륨 823용의 혼합물. pH 7.0)과 혼합하여, 소수성 담체에 흡착시킨다. 소수성 담체를 칼럼에 충전하여, 6000ml의 동일한 완충액으로 세정하고, 9000ml의 마킬베인 완충액(0.1M 아세트산 485용+0.2M 제1인산나트륨 515용의 혼합물. pH 5.0)으로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를 용출한다. 칼럼에 10mM 염산 및 물을 통해서 소수성 담체를 재생하고, 1규정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용출액의 pH를 7.0으로 조정한다. 이러한 칼럼에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용출액을 통액하며, 30리터의 물로 세정하여 완충액의 염을 제거한 다음, 10mM 염산을 칼럼에 통액하여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를 용출하여, 동결 건조하고, 분말상의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 약 10.5g을 수득한다. 수득된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를 HPLC법에 따라 순도 측정한 결과, 순도는 99%이다. 또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 열을 측정한 결과, 제조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는 락토페린 F36-F60 및 락토페린F36-A61의 양쪽 펩타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이들 펩타이드의 존재비는 락토페린F36-F60:락토페린F36-A61= 1:6이다.
다음에 시험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예 1]
본 시험은 보체와 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작용에 미치는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의 부가적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다.
(1)시험 시료
7.5% 소태아 혈청(기브코사제: 카탈로그 번호 10099-141)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기브코사제: 카탈로그 번호 15070-063)을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Sigma사제: 카탈로그 번호 R8758)[이하, 이러한 용액을 「희석 용액」이라고 기재한다.]에 제조예 1에서 조제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100Oμg/ml로 되도록 조제하여 시험 시료1을 조제한다. 또한, 희석 용액을 사용하여, 락토페린을 1000μg/ml로 되도록 희석하여 대조군 시료 1을 조제한다.
보체와 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표적 세포, 사람 바 키트 림프종 Raji[ATCC CCL-86: 어메리컨·타입·컬쳐·콜렉션(10801 University Boulevard, Manassas, VA 20110-2209, USA)에서 입수]을 사용하여, 세포수가 2×106개/ml가 되도록 희석 용액을 사용하여 현탁하여 Raji 세포 현탁액을 조제한다. 항체 의약 용액은 CD20 항원을 인식하는 리툭시마브(젠야쿠고교: 니혼 로슈한 바이)를 사용하며, 희석 용액을 사용하여 200μg/ml로 되도록 조제한다. 보체 용액은 사람 혈청 AB(코스모바이오사제: 카탈로그 번호 832000027)를 사용한다. 이들 항체 의약 용액 및 보체 용액은 하기하는 시험예 2 내지 5에 관해서도 사용한다.
세포의 생사 판정에는 요오드화프로피듐(PI: Dojindo사제: 카탈로그 번호 P378)를 사용하는 방법[사이트메트리(Cytometu) 제8권, 제4호, 1987년, 제421 내지 426페이지] 또는 칼세인(Calcein)-AM(Dojindo사제: 카탈로그 번호 341-07901)을 사용하는 방법[아포토시스(Apoptosis), 제3권, 제3호, 1998년, 제195 내지 202페이지]에 준하여 실시한다.
(2)시험방법
24웰 배양용 플레이트(NUNC사제: 카탈로그 번호 143982)의 각 웰에 Raji 세포 현탁액을 각각 100μl씩(2×105개씩) 첨가한다. 24웰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중의 1그룹(6웰)에 항체 의약 용액 50μl와 희석 용액 250μl를 첨가하여 「항체 의약 첨가」로 한다. 또한, 다른 1그룹(6웰)에 보체 용액 100μl와 희석 용액 200μl를 첨가하여 「보체 첨가」라고 한다. 또한, 다른 1그룹(6웰)에 항체 의약 용액 50μl와 보체 용액 100μl와 희석 용액 150μl를 첨가하여 「항체 의약+보체 첨가」라고 한다. 나머지 1그룹(6웰)에 희석 용액 300μl를 첨가하여 「무첨가」라고 한다.
이상의 4그룹 각각에 대해 상기 시험 시료1(4그룹×2웰), 대조군 시료1(4그룹×2웰) 또는 희석 용액(4그룹×2웰)을 각각 100μl씩 첨가하여, 각각 「시험 시 료군 1」, 「대조 시료군 1」, 「음성 시료군 1」이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한 24웰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Napco사제: 카탈로그 번호 5300)를 사용하여 37℃, 5% 이산화탄소의 조건하에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각 시료군의 세포를 회수하여, 각각의 사멸된 세포의 비율을 상기한 PI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검토한다. 세포 독성 활성은 전체 표적 세포가 사멸된 경우를 100%로 하여 산출한다.
(3)시험결과
본 시험의 결과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항체 의약+보체 첨가」에서 각 시료군에서 세포 독성 활성(「시험 시료군 1」: 45.7%, 「대조 시료군 1」: 24.3%, 「음성 시료군 1」: 30.7%)이 확인되지만, 이중에서도 특히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시험 시료군 1)은 현저하게 세포 독성 활성이 증진(음성 시료군 1과 비교하여 약 50% 증가)되는 것이 명백해진다. 이에 대해 대조 시료군 1에서는 음성 시료군과 비교하여 세포 독성 활성은 증가하지 않는 점으로부터 세포 독성 활성의 증진은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에 특이적인 활성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세포 독성 활성(%)
시험시료군 1 대조 시료군 1 음성 시료군 1
항체의약 + 보체첨가 45.7 24.3 30.7
항체의약첨가 0.9 1.0 1.0
보체첨가 1.5 1.2 1.1
무첨가 1.2 1.0 1.3
[시험예 2]
본 시험은 배양할 때에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첨가하여 배양한 표적 종양 세포에서 보체와 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다.
(1)시험 시료
제조예 1에서 조제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시험예 1에서 사용하는 희석 용액을 사용하여, 1000μg/ml로 되도록 희석하여 시험 시료 2를 조제한다.
(2)시험방법
사람 바 키트 림프종 Raji를 세포수가 2×105개/배양 플라스크(BD사제: 카탈로그 번호 35-3014)가 되도록 희석 용액 6.3ml에 현탁한다. 이때에 상기한 시험 시료 2를 0.7ml 첨가하는 그룹(시험 시료군 2)과 희석 용액을 0.7ml 첨가하는 그룹(음성 시료군 2)을 각각 준비하며, 인큐베이터를 사용하여 37℃, 5% 이산화탄소의 조건하에 3일 동안 배양한다.
양쪽 시료군의 세포는 희석 용액을 새롭게 10ml 각각 가하여, 원심분리기(KUBOTA사제: 카탈로그 번호 5910)에 의해 상등액을 제거하는 작업(1100rpm×6분)을 3번 반복한 다음, 시험예 1의 「항체 의약+보체 첨가」 및 「무첨가」와 동일한 시스템에 의해 세포 독성 활성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다.
(3)시험결과
본 시험의 결과는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첨가하여 3일 동안 배양한 표적 종양 세포의 그룹(시험 시료군 2)은 음성 시료군 2에 비하여, 명백하게 「보체+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에 대한 감수성이 항진하고 있으며 시험예 1에서 명백해진 증진작용에 관해서는 표적 종양 세포에 작용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세포 독성 활성(%)
시험 시료군 2 음성 시료군 2
항체의약 + 보체첨가 53.9 34.8
무첨가 1.9 1.5
[시험예 3]
본 시험은 보체와 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작용에 미치는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의 첨가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실시한다.
(1)시험 시료
제조예 1에서 조제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시험예 1에서 사용하는 희석 용액을 사용하여, 1000μg/ml로 되도록 희석하여 시험 시료 3을 조제한다. 또한, 제조예 2에서 조제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를 동일한 희석 용액을 사용하여, 1000μg/ml로 되도록 희석하여 시험 시료 4를 조제한다.
(2)시험방법
사람 바 키트 림프종 Raji를 세포수가 2×105개/ml로 되도록 희석 용액을 사용하여 현탁하여 세포 현탁액을 조제하며, 당해 세포 용액을 96웰 배양용 플레이트(NUNC사제: 카탈로그 번호 167008)의 18웰에 각각 50μl(1×104개씩) 첨가한다. 18웰을 2그룹으로 나누어 한쪽의 1그룹(9웰)에 항체 의약 용액 10μl와 보체 용액 20μl와 희석 용액 10μl를 첨가하여 「항체 의약+보체 첨가」라고 한다. 나머지 1그룹(9웰)에 희석 용액 40μl를 첨가하여 「무첨가」라고 한다. 이상의 2그룹의 각각에 대해 시험 시료3(2그룹×3웰), 시험 시료4(2그룹×3웰) 또는 희석 용액(2그룹×3웰)을 각각 10μl씩 첨가하여, 각각 「시험 시료군 3」, 「시험 시료군 4」, 「음성 시료군」이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한 96웰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를 사용하여 37℃, 5% 이산화탄소의 조건하에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각 시료군의 세포를 회수하여, 각각의 사멸된 세포의 비율을 상기한 PI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검토한다. 세포 독성 활성은 전체 표적 세포가 사멸된 경우를 100%로 하여 산출한다.
(3)시험결과
본 시험의 결과는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시험 시료군 4)에 관해서도, 보체와 항체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을 현저하게 증진(음성 시료군 2에 비하여 약 67% 증가)시키는 것이 명백해진다.
세포 독성 활성(%)
시험 시료군 3 시험 시료군 4 음성 시료군 2
항체의약 + 보체첨가 77.4 86.5 51.9
무첨가 -0.1 3.1 -0.5
[시험예 4]
본 시험은 보체와 항체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에 대한 감수성이 다른 표적 종양 세포를 사용하는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의 세포 독성 활성의 증진작용(감수성 회복)에 관해서 검토한다.
(1)시험 시료
제조예 1에서 조제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시험예 1에서 사용하는 희석 용액을 사용하여, 1000μg/ml로 되도록 희석하여 시험 시료 5를 조제한다.
(2)시험방법
림프종 유래 세포 Daudi(ATCC CCL-213: 어메리컨·타입·컬쳐·콜렉션에서 입수), Raji(ATCC CCL-86: 어메리컨·타입·컬쳐·콜렉션에서 입수), SKW6.4(ATCC TIB-215: 어메리컨·타입·컬쳐·콜렉션에서 입수) 및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림프종 유래 세포 ARH-77(ATCC CRL-1621: 어메리컨·타입·컬쳐·콜렉션에서 입수)를 각각 세포수가 2×106개/ml로 되는 바와 같이 희석 용액을 사용하여 현탁하며, 각각 세포 용액을 조제하여, 24웰 배양용 플레이트(NUNC사제: 카탈로그 번호 143982)에 각 세포 용액 100μl씩(2×105개씩)을 첨가한다.
세포 독성 활성의 검토는 시험예 1의 「항체 의약+보체 첨가」의 시스템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즉, 각 세포 용액을 첨가한 웰에 항체 의약 용액 50μl와 보체 용액 100μl와 희석 용액 150μl를 첨가하여, 시험 시료5 또는 희석 용액을 각각 100μl씩 첨가하여, 각각 「시험 시료군 5」, 「음성 시료군 3」이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된 24웰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Napco사제: 카탈로그 번호 5300)를 사용하여 37℃, 5% 이산화탄소의 조건하에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각 시료군의 세포를 회수하여, 각각의 사멸된 세포의 비율을 상기한 PI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검토한다. 세포 독성 활성은 전체 표적 세포가 사멸된 경우를 100%로 하여 산출한다.
(3)시험결과
본 시험의 결과는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은 보체와 항체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는 Daudi에 관해 이의 감수성을 감소시켜 약화시키는 것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Raji, SKW6.4에 대해서는 보체와 항체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확인된다.
또한, 보체와 항체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에 저항성을 나타내는(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다) 림프종 유래 세포인 ARH-77에 관해서는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에 의해 세포 독성 활성에 대한 저항성을 해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된다. 이것은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종양 세포에 대해 세포 독성 활성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며, 보체와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회복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고찰된다.
세포 독성 활성(%)
시험 시료군 5 음성 시료군 3
Daudi 97.1 96.4
Raji 49.0 27.2
SKW6.4 38.9 19.8
ARH-77 15.5 0.0
[시험예 5]
본 시험은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 및 대조군으로서 미분해의 락토페린 등을 시료로 하여 보체와 항체 의약의 표적 세포 사람 바 키트 림프종 Raji에 대한 세포 독성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다.
(1)시험 시료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시료 A로 하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를 시료 B로 한다. 또한, 대조군 시료로서, 시판하는 소·락토페린(모리나가뉴교사제)를 대조군 A, 황산프로타민(Protamine Sulfate)를 대조군 B로 한다.
(2)시험방법
대수 증식기에 있는 Raji 세포를 표적 세포로서 사용한다. 세포 현탁액을 원심하여 회수한 Raji 세포를 신규한 배양액(RPMI 1640, 10% FCS)에 현탁하고, 계수한 다음, 24웰 플레이트에 1.0×105/웰에 첨가한다. 여기에 리툭시마브(10mg/ml)와 시료 A, 시료 B, 대조군 A, 대조군 B를 각각 1.0mg/ml의 최종 농도로 첨가(또는 각 시료 대신에 배양액 첨가)한 다음, 사람 정상 혈청(AB형)을 최종 농도가 10%로 되도록 첨가하여 1시간 동안 CO2 인큐베이터로 배양하며 배양의 최후 15분 동안에 PI(Propidium iodide, 1mg/ml)를 첨가한다. 배양 종료후, 전체 Raji 세포를 회수하며 원심분리하여 이의 상등액을 제거하고, PBS(인산 완충액) 0.5ml에 세포를 재현탁한다. 배양중에 사멸된 Raji 세포의 계수는 사멸된 세포가 PI에 의한 핵 염색으로 양성이 되는 것을 이용하여, 이러한 현탁액을 유동세포측정기(FAC Scan)로 해석한다.
본 시험에서 세포 독성 활성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세포 독성 활성(%)= (PI 양성 세포수)/(전체 세포수)×100
(3)시험결과
본 시험의 결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시료로서 대조군 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양액과 동일한 정도의 세포 독성 활성[사멸된 세포수(%)]이지만, 시료 A를 사용하는 경우에 세포 독성 활성은 상승하며, 다시 시료 A인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시료 B를 사용하는 경우, 시료 A에 비하여 세포 독성 활성의 상승이 관찰된다. 그러나, 대조군 B의 첨가에서는 이러한 활성의 상승은 관찰되지 않는다.
즉, 시료 A의 함유 성분인 시료 B에도 CDC(보체 의존성 세포 독성 활성)의 작용을 증진시키는 첨가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시료 B와 유사한 염기성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는 물질인 대조군 B에는 CDC의 반응을 증진시키는 것은 확인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펩타이드의 물성(염기성)이 CDC의 반응을 증진시키는 작용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도 명백해진다. 이들 결과로부터, 항체 의약과 보체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은 시료 A(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또는 시료 B(락토페린 부분 펩타이드)에 매우 특이적인 효과인 것이 판명됐다.
[제조예 3]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 치료제의 제조
유당(메그레사제) 600g, 옥수수 전분(닛신세이훈사제) 400g, 결정 셀룰로스(와코쥰야쿠고교사제) 400g 및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혼합물 600g을 50메쉬의 체(야마토가가쿠사제)에 의해 체 분리하고, 두께 0.5mm의 폴리에틸렌제의 포대에 취하고 전도 혼합하여 전자동 캡슐 충전기(세세레·페디니사제. 프레스식)을 사용하고, 분말을 캡슐(니혼엘란코사제. 1호 젤라틴 캡슐, Op. Yellow No.6 Body, 공중량 75mg)에 내용량 275mg으로 충전하여,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캡슐제 7000개를 수득한다.
[제조예 4]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암의 치료제의 제조
1000ml 용량의 막자 사발(나카지마작세이사쿠쇼사제)에 결정 셀룰로스(와코쥰야쿠고교사제) 20g을 취하고, 물 20ml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미리 48메쉬의 체(와료모리사제)로 체 분리한 유당(메그레사제) 25g을 첨가하며, 제조예 2에서 조제한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 55g을 첨가하여, 혼화한다. 수득된 습윤괴를 스테인레스 제20메쉬 체(와료모리사제) 위에 취하고, 건조용 스테인레스판 위에 손으로 압출하여 과립을 형성하며, 재빠르게 균등하게 분포시켜 건조기에 투입하며 25℃에서 2일 동안 건조하여, 미세한 과립으로 한다. 당해 과립을 폴리에틸렌 제20메쉬 체(와료모리사제)로 체 분리하여, 체를 통과한 과립을 넓은 종이 위에 확대하고 미리 48메쉬로 체 분리한 스테아르산마그네슘(간토가가쿠사제) 2g을 첨가하여, 손으로 혼합하여 균질하게 한다. 이것을 타정기(기무라세이사쿠쇼사제, KT-2형)에 의해 직경 8mm의 R 공이를 사용하여 타정수를 10, 정제 중량 6.2g, 및 몬산트 경도 3.5 내지 5.0kg의 조건으로 압축 압력을 설정하여, 타정하며 락토페린 가수분해 펩타이드 약 50%를 함유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약제 16개를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 암치료를 위한 약제의 유효 성분은 우유 등의 비교적 염가인 원료로부터 수득되는 점으로부터 대량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에 의해 보체와 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표적이 되는 종양 세포를 효율적으로 살상할 수 있다. 또한,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종양 세포에 대해 보체와 항체 의약에 의한 세포 독성 활성을 회복하는 효과도 겸비하고 있다. 즉,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가진 악성 종양이 재발하며, 항체 의약에서 치료가 곤란하다고 판단된 환자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약제를 병용하는 것은 계속해서 항체 의약에서의 치료를 하고 싶다는 요망에 부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곧 암치료에서 항체 의약 내성의 극복에 대한 신규한 도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110>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120> Medicine for Cancer Therapy <130> FP160OPC5001 <150> JP2004-80454 <151> 2004-03-19 <160> 3 <170> KopatentIn 1.7 <210> 1 <211> 708 <212> PRT <213> Bos taurus <220> <221> sig_peptide <222> (1)---(19) <223> Lactoferrin <400> 1 Met Lys Leu Phe Val Pro Ala Leu Leu Ser Leu Gly Ala Leu Gly Leu 1 5 10 15 Cys Leu Ala Ala Pro Arg Lys Asn Val Arg Trp Cys Thr Ile Ser Gln 20 25 30 Pro Glu Trp Phe Lys Cys Arg Arg Trp Gln Trp Arg Met Lys Lys Leu 35 40 45 Gly Ala Pro Ser Ile Thr Cys Val Arg Arg Ala Phe Ala Leu Glu Cys 50 55 60 Ile Arg Ala Ile Ala Glu Lys Lys Ala Asp Ala Val Thr Leu Asp Gly 65 70 75 80 Gly Met Val Phe Glu Ala Gly Arg Asp Pro Tyr Lys Leu Arg Pro Val 85 90 95 Ala Ala Glu Ile Tyr Gly Thr Lys Glu Ser Pro Gln Thr His Tyr Tyr 100 105 110 Ala Val Ala Val Val Lys Lys Gly Ser Asn Phe Gln Leu Asp Gln Leu 115 120 125 Gln Gly Arg Lys Ser Cys His Thr Gly Leu Gly Arg Ser Ala Gly Trp 130 135 140 Ile Ile Pro Met Gly Ile Leu Arg Pro Tyr Leu Ser Trp Thr Glu Ser 145 150 155 160 Leu Glu Pro Leu Gln Gly Ala Val Ala Lys Phe Phe Ser Ala Ser Cys 165 170 175 Val Pro Cys Ile Asp Arg Gln Ala Tyr Pro Asn Leu Cys Gln Leu Cys 180 185 190 Lys Gly Glu Gly Glu Asn Gln Cys Ala Cys Ser Ser Arg Glu Pro Tyr 195 200 205 Phe Gly Tyr Ser Gly Ala Phe Lys Cys Leu Gln Asp Gly Ala Gly Asp 210 215 220 Val Ala Phe Val Lys Glu Thr Thr Val Phe Glu Asn Leu Pro Glu Lys 225 230 235 240 Ala Asp Arg Asp Gln Tyr Glu Leu Leu Cys Leu Asn Asn Ser Arg Ala 245 250 255 Pro Val Asp Ala Phe Lys Glu Cys His Leu Ala Gln Val Pro Ser His 260 265 270 Ala Val Val Ala Arg Ser Val Asp Gly Lys Glu Asp Leu Ile Trp Lys 275 280 285 Leu Leu Ser Lys Ala Gln Glu Lys Phe Gly Lys Asn Lys Ser Arg Ser 290 295 300 Phe Gln Leu Phe Gly Ser Pro Pro Gly Gln Arg Asp Leu Leu Phe Lys 305 310 315 320 Asp Ser Ala Leu Gly Phe Leu Arg Ile Pro Ser Lys Val Asp Ser Ala 325 330 335 Leu Tyr Leu Gly Ser Arg Tyr Leu Thr Thr Leu Lys Asn Leu Arg Glu 340 345 350 Thr Ala Glu Glu Val Lys Ala Arg Tyr Thr Arg Val Val Trp Cys Ala 355 360 365 Val Gly Pro Glu Glu Gln Lys Lys Cys Gln Gln Trp Ser Gln Gln Ser 370 375 380 Gly Gln Asn Val Thr Cys Ala Thr Ala Ser Thr Thr Asp Asp Cys Ile 385 390 395 400 Val Leu Val Leu Lys Gly Glu Ala Asp Ala Leu Asn Leu Asp Gly Gly 405 410 415 Tyr Ile Tyr Thr Ala Gly Lys Cys Gly Leu Val Pro Val Leu Ala Glu 420 425 430 Asn Arg Lys Ser Ser Lys His Ser Ser Leu Asp Cys Val Leu Arg Pro 435 440 445 Thr Glu Gly Tyr Leu Ala Val Ala Val Val Lys Lys Ala Asn Glu Gly 450 455 460 Leu Thr Trp Asn Ser Leu Lys Asp Lys Lys Ser Cys His Thr Ala Val 465 470 475 480 Asp Arg Thr Ala Gly Trp Asn Ile Pro Met Gly Leu Ile Val Asn Gln 485 490 495 Thr Gly Ser Cys Ala Phe Asp Glu Phe Phe Ser Gln Ser Cys Ala Pro 500 505 510 Gly Ala Asp Pro Lys Ser Arg Leu Cys Ala Leu Cys Ala Gly Asp Asp 515 520 525 Gln Gly Leu Asp Lys Cys Val Pro Asn Ser Lys Glu Lys Tyr Tyr Gly 530 535 540 Tyr Thr Gly Ala Phe Arg Cys Leu Ala Glu Asp Val Gly Asp Val Ala 545 550 555 560 Phe Val Lys Asn Asp Thr Val Trp Glu Asn Thr Asn Gly Glu Ser Thr 565 570 575 Ala Asp Trp Ala Lys Asn Leu Asn Arg Glu Asp Phe Arg Leu Leu Cys 580 585 590 Leu Asp Gly Thr Arg Lys Pro Val Thr Glu Ala Gln Ser Cys His Leu 595 600 605 Ala Val Ala Pro Asn His Ala Val Val Ser Arg Ser Asp Arg Ala Ala 610 615 620 His Val Lys Gln Val Leu Leu His Gln Gln Ala Leu Phe Gly Lys Asn 625 630 635 640 Gly Lys Asn Cys Pro Asp Lys Phe Cys Leu Phe Lys Ser Glu Thr Lys 645 650 655 Asn Leu Leu Phe Asn Asp Asn Thr Glu Cys Leu Ala Lys Leu Gly Gly 660 665 670 Arg Pro Thr Tyr Glu Glu Tyr Leu Gly Thr Glu Tyr Val Thr Ala Ile 675 680 685 Ala Asn Leu Lys Lys Cys Ser Thr Ser Pro Leu Leu Glu Ala Cys Ala 690 695 700 Phe Leu Thr Arg 705 <210> 2 <211> 25 <212> PRT <213> Bos taurus <400> 2 Phe Lys Cys Arg Arg Trp Gln Trp Arg Met Lys Lys Leu Gly Ala Pro 1 5 10 15 Ser Ile Thr Cys Val Arg Arg Ala Phe 20 25 <210> 3 <211> 26 <212> PRT <213> Bos taurus <400> 3 Phe Lys Cys Arg Arg Trp Gln Trp Arg Met Lys Lys Leu Gly Ala Pro 1 5 10 15 Ser Ile Thr Cys Val Arg Arg Ala Phe Ala 20 25

Claims (26)

  1.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
  2. 제1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효소가 펩신인 약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분해율이 6 내지 20%인 약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5000인 약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이 유방암, B세포 림프종 또는 대장암인 약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표적 세포에서의 항체 의약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8.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로서,
    (a)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b)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c)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및
    (d)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중 어느 한 종류의 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제.
  9. 제8항에 있어서, 암이 유방암, B세포 림프종 또는 대장암의 어느 하나인 약 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암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표적 세포에서의 항체 의약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를 함유하는 음식물.
  13.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며,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암의 항체요법에 사용되는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취지의 표시를 부착한 음식물.
  14.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락토페린 가수분해물 및 항체 의약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암의 항체요법용의 약제.
  15. 제14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효소가 펩신인 약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분해율이 6 내지 20%인 약제.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5000인 약제.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의약이 항CD20 항체, 항HER2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17-1A(사람 종양 관련 상피 세포 접착인자) 항체인 약제.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0. 암의 항체요법용의 약제로서,
    (a)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b)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c)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및
    (d)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중 어느 한 종류의 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항체 의약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
  21. 제20항에 있어서, 항체 의약이 항CD20 항체, 항HER2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항17-1A(사람 종양 관련 상피 세포 접착인자) 항체인 약제.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암이 항체 의약에 내성을 갖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23.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의 용도.
  24.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a)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b)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c)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및
    (d)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중 어느 한 종류의 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용도.
  25. 락토페린을 가수분해 효소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락토페린 가수분해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항체 의약을 사용하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26. (a)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b)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이며,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
    (c)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및
    (d)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아미노산 번호 36 내지 6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부가 또는 역위를 포함하며 또한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갖는 펩타이드중 어느 한 종류의 펩타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항체 의약을 사용하는 암의 항체요법에서 항체 의약의 세포 독성 활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20067000743A 2004-03-19 2005-03-09 암치료를 위한 약제 KR100773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80454 2004-03-19
JPJP-P-2004-00080454 2004-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899A true KR20060095899A (ko) 2006-09-04
KR100773259B1 KR100773259B1 (ko) 2007-11-05

Family

ID=3499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743A KR100773259B1 (ko) 2004-03-19 2005-03-09 암치료를 위한 약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419667B2 (ko)
EP (1) EP1726310B1 (ko)
JP (1) JP3998702B2 (ko)
KR (1) KR100773259B1 (ko)
CN (2) CN101444624B (ko)
AT (1) ATE541581T1 (ko)
AU (1) AU2005224209B2 (ko)
CA (1) CA2533753C (ko)
DK (1) DK1726310T3 (ko)
ES (1) ES2381189T3 (ko)
HK (2) HK1128113A1 (ko)
NZ (1) NZ544448A (ko)
PT (1) PT1726310E (ko)
WO (1) WO20050897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06B1 (ko) * 2012-07-17 2014-10-27 엘에스엠 주식회사 세포 증식 촉진용 사람 락토페린의 펩신 가수분해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55134A (en) * 2004-11-19 2010-07-30 Fonterra Co Operative Group Methods of immune or haematological enhancement, inhibiting tumour formation or growth, and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ES2842210T3 (es) * 2006-12-21 2021-07-13 Biokine Therapeutics Ltd 4F-benzoil-TN14003 para la movilización de células progenitoras hematopoyéticas con vistas al trasplante
WO2009033785A2 (en) * 2007-09-11 2009-03-19 Mondobiotech Laboratories Ag Use of a peptide as a therapeutic agent
MX2011013459A (es) 2009-06-14 2012-05-08 Biokine Therapeutics Ltd Terapia de peptido para incrementar los niveles de plaquetas.
WO2013160895A1 (en) 2012-04-24 2013-10-31 Biokine Therapeutics Ltd. Peptides and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large cell lung cancer
EP3205347A4 (en) * 2014-10-08 2018-06-06 Keio University White blood cell extracellular trap formation inhibitor
EP3943098A3 (en) 2015-07-16 2022-05-11 Biokine Therapeutics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SG10201912792YA (en) * 2015-10-06 2020-02-27 Univ Minnesota Therapeutic compounds and methods
KR102033920B1 (ko) 2016-02-23 2019-10-18 바이오라인알엑스 리미티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을 치료하는 방법
CN113354726B (zh) * 2021-06-11 2022-12-27 南方科技大学 乳铁蛋白活性肽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1337A (ja) 1986-08-22 1988-03-04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抗腫瘍剤
JPS63186260A (ja) 1987-01-28 1988-08-01 Minolta Camera Co Ltd 作像装置
JP2818056B2 (ja) 1990-09-07 1998-10-30 森永乳業株式会社 抗菌性ペプチドおよび抗菌剤
JP3110078B2 (ja) * 1991-06-21 2000-11-20 森永乳業株式会社 高純度抗菌性ペプチドの大量製造法
DE69220679T2 (de) * 1992-01-23 1997-10-23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Antibakterielles mittel und behandlung von gegenständen mit diesem
JP3207647B2 (ja) 1993-12-21 2001-09-10 森永乳業株式会社 IgGおよびIgMクラスの抗体産生を促進する免疫賦活剤
JP3738042B2 (ja) 1994-05-17 2006-01-25 森永乳業株式会社 非経口用抗腫瘍剤
JP3506274B2 (ja) * 1994-09-01 2004-03-15 雪印乳業株式会社 新規ペプチドおよび免疫賦活剤
JP3693377B2 (ja) 1995-04-20 2005-09-07 森永乳業株式会社 生体内で感染防御作用を有するペプチド混合物と、このペプチド混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
JPH1059864A (ja) 1996-08-15 1998-03-03 Morinaga Milk Ind Co Ltd 経口がん転移抑制剤
WO1998033509A2 (en) 1997-02-03 1998-08-06 Pharming Intellectual Property Bv Useful properties of human lactoferrin and variants thereof
GB9818938D0 (en) 1998-08-28 1998-10-21 Alpharma As Bioactive peptides
JP2000229881A (ja) 1999-02-10 2000-08-22 Morinaga Milk Ind Co Ltd 癌疾患の予後改善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06B1 (ko) * 2012-07-17 2014-10-27 엘에스엠 주식회사 세포 증식 촉진용 사람 락토페린의 펩신 가수분해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26310T3 (da) 2012-05-07
WO2005089788A1 (ja) 2005-09-29
NZ544448A (en) 2009-10-30
US7419667B2 (en) 2008-09-02
JP3998702B2 (ja) 2007-10-31
JPWO2005089788A1 (ja) 2008-01-31
CA2533753C (en) 2012-10-16
EP1726310B1 (en) 2012-01-18
ATE541581T1 (de) 2012-02-15
CA2533753A1 (en) 2005-09-29
CN1838965A (zh) 2006-09-27
CN101444624B (zh) 2012-10-10
HK1128113A1 (en) 2009-10-16
AU2005224209A1 (en) 2005-09-29
ES2381189T3 (es) 2012-05-23
KR100773259B1 (ko) 2007-11-05
PT1726310E (pt) 2012-04-27
EP1726310A4 (en) 2009-06-24
CN1838965B (zh) 2011-07-06
AU2005224209B2 (en) 2007-04-19
CN101444624A (zh) 2009-06-03
HK1093436A1 (en) 2007-03-02
EP1726310A1 (en) 2006-11-29
US20060204501A1 (en)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259B1 (ko) 암치료를 위한 약제
Meisel Overview on milk protein-derived peptides
Davoodi et al. Health-related aspects of milk proteins
Nagpal et al. Bioactive peptides derived from milk proteins and their health beneficial potentials: an update
Kitts et al. Bioactive proteins and peptides from food sources. Applications of bioprocesses used in isolation and recovery
Lönnerdal et al. Nutritional and physiologic significance of α-lactalbumin in infants
Shimazaki Lactoferrin: A marvelous protein in milk
Lopez-Exposito et al. Protective effect of milk peptides: antibacterial and antitumor properties
JP2008509073A (ja) カゼイン由来ペプチドおよびその治療的使用
KR20050044758A (ko)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억제제
JP4250599B2 (ja) プロテアーゼ阻害剤
JP4740531B2 (ja) 骨吸収抑制剤
Jabbari et al. Antimicrobial peptides from milk proteins: a prospectus
KR101170852B1 (ko) 골 형성 촉진 및/또는 골 흡수 억제제
WO1998006424A1 (fr) Inhibiteurs des metastases cancereuses administres par voie orale
JP5120971B2 (ja) 骨吸収抑制剤
Jauregi Bioactive peptides from food proteins: new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P5379884B2 (ja) 骨吸収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