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619A -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619A
KR20060092619A KR1020050013636A KR20050013636A KR20060092619A KR 20060092619 A KR20060092619 A KR 20060092619A KR 1020050013636 A KR1020050013636 A KR 1020050013636A KR 20050013636 A KR20050013636 A KR 20050013636A KR 20060092619 A KR20060092619 A KR 20060092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lever
control box
tilting
lever system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873B1 (ko
Inventor
장선오
김학신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5001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873B1/ko
Priority to US11/180,011 priority patent/US7395894B2/en
Priority to JP2005204465A priority patent/JP4711764B2/ja
Priority to DE602005015077T priority patent/DE602005015077D1/de
Priority to EP05017469A priority patent/EP1693522B1/en
Priority to CN200510092001A priority patent/CN100575624C/zh
Publication of KR20060092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58Rests or guides for relevant parts of the operator's body
    • G05G1/62Arm 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레버의 재작동이 없는 한 콘트롤박스의 하강을 방지하고, 여기에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키는 리미트수단을 적용시켜 전원이 임의로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자가 승하차하기 위하여 콘트롤박스를 틸팅할 때 안전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조종레버 또는 콘트롤박스에 전원을 단락시켜 운전자의 오작동으로 인한 굴삭기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틸팅 후 안전레버의 작동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콘트롤박스를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없는 기구적인 구성으로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오작동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수 있다.
틸팅, 리미트스위치, 운전석, 스토퍼, 콘트롤박스

Description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safety lever device of heavy ep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레버 시스템이 운전실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상태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고정플레이트            12: 회전축
20: 운전석                   22: 조종레버
24: 콘트롤박스               30: 안전레버
40: 틸팅장치                 41: 가이드핀
42: 회동브라켓               42a: 단부
44: 스프링브라켓             45: 힌지축
50: 리미트수단
본 발명은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운전실로 승하차시 발생하는 각종 조작레버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 등의 운전실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안전레버 시스템은 운전자가 승하차하는 경우 조정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콘트롤박스를 상측으로 틸팅시켜 전원을 차단시킨 다음 운전실을 빠져 나올수 있게 되어 있으나, 이때 운전자의 부주의로 각종 조정레버 또는 버튼을 오조작하게 되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중장비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안전레버 시스템을 재작동 시킬때까지 전원의 인가를 차단하여 승하차시 발생할지 모르는 불의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공지의 예들로서, 위와같은 안전레버 시스템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거나 양수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996-0032082호 "중장비용 안전레버장치", 2003-0008834호 "중장비용 조종레버 안전장치", 2003-0008991호 "중장비용 조종레버 안전장치" 등에 다양하게 개시되고 클레임되어 있다.
위와같은 공지의 예들은 운전석을 상하로 틸팅하는 경우 운전자가 실수로 조작레버 또는 콘트롤박스를 오조작하여 발생하는 중장비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 전원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리미트스위치 또는 다양한 기구적인 장치를 적용시켜 운전자가 안전레버를 다시 조작하지 않는한 중장비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같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개시되고 클레임된 공지의 발명들에 조심스럽고 신중을 가함으로써 이를 더욱 개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석의 출입공간을 확보하도록 안전레버가 운전석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은,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안전레버와 연계된 틸팅장치에 의해 운전석이 틸팅되도록 하며, 여기에 연동하는 리미트수단을 결합시켜 전원을 단속시킨다.
본 발명의 틸팅장치에 있어서는, 안전레버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회동브라켓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있고, 그 아래에 스프링브라켓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안전레버의 작동으로 회동브라켓, 스프링브라켓은 연동하여 회동하고 틸팅에 마감되면 스프링브라켓이 걸림단에 걸려서 안전레버의 재작동을 수행하지 않으면 운전석이 하강하지 못하도록 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리미트수단은 전원을 단락시키거나 인가하도록 리미트 스위치를 콘트롤박스에 일체로 장착시켜 틸팅장치의 회동에 따라 틸팅하는 콘트롤박스의 틸팅반경을 따라 리미트스위치가 움직이도록 하고, 여기에 일정한 거리로 마련된 리미트홀더를 따라 안내되어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레버의 재작동이 없는 한 콘트롤박스의 하강을 방지하고, 여기에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키는 리미트수단을 적용시켜 더욱 안전한 콘트롤박스의 틸팅을 수행하도록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을 개량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기 운전실내에 고정되며, 회전축을 구비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회전축을 지점으로 장착, 고정되는 운전석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회전축에 일체로 장착되며, 조종레버를 구비한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어 틸팅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은 상기 콘트롤박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콘트롤박스를 연동시켜 틸팅시키는 안전레버와, 상기 안전레버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트롤박스와 일체로 작동되되, 일 지점이 힌지결합되어 이를 중심 으로 상기 안전레버의 작동방향으로 연동되어 상기 콘트롤박스를 회동시키고, 회동 후 고정되어 상기 운전석을 고정시키는 틸팅장치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콘트롤박스 틸팅하는 경우 동일한 회동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콘트롤박스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단락시키는 리미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레버의 일단과 결합된 회동브라켓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된 후 연장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일하게 힌지결합된 스프링브라켓이 상기 회동브라켓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브라켓은 일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핀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회동브라켓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박스에는 상기 회동브라켓의 단부가 전, 후방으로 회동할 때 그 회동간격을 제지하는 회동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스프링브라켓을 항시 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틸팅 후 상기 스프링브라켓의 걸림단에 걸려 상기 운전석을 고정시키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운전석과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틸팅시 그 틸팅거리를 한정하는 제2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브라켓은 상기 회동브라켓의 연장된 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연장된 고정단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단은 틸팅 후 상기 고정축에 걸려 상기 운전석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틸팅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홈과, 틸팅시 상기 고정축을 안내하는 작동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브라켓은 복귀시 상기 고정축을 상기 작동홈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리미트홀더와, 상기 운전석이 틸팅하면 그 회동각도에 맞추어 상기 리미트홀더를 따라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홀더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작동깊이를 조절하는 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안내부를 따라 움직이며, 그 작동깊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레버 시스템이 운전실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의 측면 도이고,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은 굴삭기 본체에 고정되며, 회전축(12)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1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상측에 장착, 고정되는 운전석(20)과, 상기 고정플레이트(10)에 장착되며, 조종레버(22)를 포함하는 콘트롤박스(24)를 구비하여, 상기 콘트롤박스(24)가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어 틸팅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24)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콘트롤박스(24)를 상측으로 틸팅시키는 안전레버(30)와, 안전레버(30)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고, 콘트롤박스(24)와 일체로 작동되며, 힌지축(45)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이를 지점으로 안전레버(30)의 작동방향으로 연동되어 콘트롤박스(24)를 회동시키고, 회동 후 고정되어 상기 콘트롤박스(24)를 고정시키는 틸팅장치(40)와, 콘트롤박스(24)의 일측에 장착되어 콘트롤박스(24)가 틸팅하는 경우 동일한 회동각도로 회동하여 콘트롤박스(24)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단락시키는 리미트수단(5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전방은 운전자가 운전석(20)에 착석한 상태에서 주시하는 앞쪽을 의미하고, 상향은 안전레버(30)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0)는 굴삭기의 본체 실내에 고정된 프레임을 의미하고, 운전석(20)은 그 위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콘트롤박스(24)는 고정플레이트(10)에 대하여 회동, 바람직하게는 틸팅하도록 상기 회전축(12)에 피봇 결합되어 있고, 특히 상기 회전축(12)은 고정플레이트 (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여기에 상기 콘트롤박스(24)가 삽입된 다음 결합되어 회전축(12)을 지점으로 회동한다.
콘트롤박스(24)의 전방 상단으로는 조종레버(22)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조종레버(22)가 상기 콘트롤박스(24)와 함께 연동됨을 알 수 있고, 조종레버(22)는 굴삭기의 붐 또는 버켓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콘트롤박스(24)는 미세한 굴삭기의 조종을 담당한다.
특히 콘트롤박스(24)에 마련된 다양한 버튼은 터치방식으로 돌출되어 있어 운전자의 무의식적인 행동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이곳으로 전원이 인가되거나 단락되어 목적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종래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운전자는 운전실 내부로 승, 하차시 콘트롤박스(24)를 상측으로 틸팅시킨 후 승, 하차하여 소정의 조종공간을 확보하도록 하고, 승, 하차시 운전자가 부주의로 의한 조종레버(22) 또는 콘트롤박스(24)를 잘못 건드려 굴삭기를 오조작시키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전장치인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를 구비하게 되는바,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박스(24)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를 상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콘트롤박스(24)가 상측으로 틸팅되는 안전레버(30)가 마련된다.
안전레버(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석(20)에 착석하게 되면 운전자의 무릎 근방에 위치하게 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운전자를 측면에서 가로막도록 형성시킨다.
위와같이 안전레버(30)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시키는 이유는 운전자가 실내로 출입하는 경우 그 출입을 방해하여 더 한번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함이고, 이로 인해 운전자는 전술한 조종레버(22) 또는 콘트롤박스(24)의 오조작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레버(30)의 작동으로 콘트롤박스(24)를 틸팅시키는 틸팅장치(40)는 안전레버(30)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고, 콘트롤박스(24)와 일체로 작동되며, 힌지축(45)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이를 지점으로 안전레버(30)의 작동방향으로 연동되어  콘트롤박스(24)를 회동시키고, 회동 후 고정되어 콘트롤박스(24)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틸팅장치(40)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전술한 안전레버(30)의 일단과 결합된 회동브라켓(42)이 힌지축(45)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된 후 연장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45)을 중심으로 동일하게 힌지결합된 스프링브라켓(44)이 상기 회동브라켓(42)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동브라켓(42)과 스프링브라켓(44)은 안전레버(30)로부터 인가된 힘을 받아 회동함을 알 수 있고, 스프링브라켓(44)의 회동은 후술한다.
한편, 회동브라켓(42)은 일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단부(4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전술한, 힌지축(45)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경우 인가되는 힘의 방향을 일정한 각도로 외부로 인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회동하는 안전레버(30)의 회동각도에 비례하는 각도로 움직인다. 이러한 상기 단부(42a)에는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핀(41)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콘트롤박스(24)에는 회동브라켓(42)의 단부(42a)의 회동간격을 제한하 는 회동스토퍼(46)(46‘)를 더 구비하고, 이것은 안전레버(30)의 작동으로 단부(42a)가 전, 후방으로 회동할 때 그 회동간격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계속하여 회동브라켓(42)의 단부(42a)에는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실린더(48)가 마련된다.
제1실린더(48)는 회동 가능한 링크의 역할로 일정한 길이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부(42a)가 회동하는 경우 일정한 길이로 늘어나거나 압축되면서 회동할 뿐만 아니라, 아울러 회동충격를 흡수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40)에는 안전레버(30)의 작동으로 회동브라켓(42), 스프링브라켓(44)이 회동하여 콘트롤박스(24)를 틸팅하는 경우 콘트롤박스(24)의 틸팅거리 또는 틸팅각도를 한정하는 제2실린더(49)가 콘트롤박스(24) 및 고정플레이트(1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틸팅장치(40)의 일 구성요소인 회동브라켓(42)에 의하여 틸팅된 콘트롤박스(24)를 고정시키거나 다시 제자리로 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프링브라켓(44)이 회동브라켓(42)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브라켓(44)은 회동브라켓(42)과 동일한 힌지축(45)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를 지점으로 회동한다는 것도 전술한 바와 같다.
스프링브라켓(44)에는 안내홈(44a)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브라켓(4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핀(41)이 상기 안내홈(44a)에 삽입된다.
가이드핀(41)은 안내홈(44a)을 따라 움직이며, 안내홈(44a)의 마감된 부분에서 멈추어 걸리게 되면 가이드핀(41)의 힘으로 스프링브라켓(44)이 회동브라켓 (42)과 같은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프링브라켓(44)은 콘트롤박스(24)를 틸팅하기 전에는 항시 하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탄성체(47)가 스프링브라켓(44)의 일단(44b)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콘트롤박스(24)가 상향으로 틸팅된 후 운전자가 운전을 위해 이를 복귀시키고자 할 때에 안전레버(30)를 먼저 조작시키지 않고 콘트롤박스(24)를 눌렀을 경우 스프링브라켓(44)의 걸림단(44c)에 설치된 걸림홈(44f)에 걸려 콘트롤박스(24)가 더 이상 복귀하지 않게 하는 고정축(52)이 상기 고정석(10)에 돌출되어져 있다.
잠시, 여기에서 스프링브라켓(44)의 일단(44b)과 걸림단(44c)은 전술한 힌지축(45)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단부를 의미한다.
또한, 스프링브라켓(44)은 상기 걸림단(44c) 이외에도 스프링브라켓(44)이 회동시 고정축(52)을 안내하는 작동홈(44d)과 안내면(44e)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작동홈(44d)은 틸팅장치(40)가 작동하는 경우 고정축(52)을 착탈시키는 역할을 하고, 안내면(44e)은 콘트롤박스(24)를 원위치 시킬 경우 상기 고정축(52) 안내하여 상기 작동홈(44d)에 고정축(52)을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기구학적으로 다양하게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도시된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틸팅 후 조종레버(22) 또는 콘트롤박스(24)의 오조작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콘트롤박스(24)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리미트수단(50)을 구비한다.
이러한 리미트수단(50)은 고정플레이트(10)의 회전축(12)에 고정되어 있는 리미트홀더(60)와, 운전석(20)이 틸팅하면 그 회동각도에 맞추어 상기 리미트홀더(60)를 따라 안내되어 온/오프(on/off)되는 리미트스위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리미트스위치(70)는 콘트롤박스(24)와 미도시된 전원공급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리미트스위치(70)의 작동에 따라 콘트롤박스(24)에 전원을 온/오프 시키게 된다.
한편, 리미트홀더(60)는 리미트스위치(70)가 따라 움직이는 나선형의 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리미트스위치(70)는 안내부의 깊이에 따라 작동하는 롤러플런져형이 적용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전술한 틸팅장치(40)와 연동되어 틸팅과 동시에 전원을 오프시킨다. 그러므로 안전레버(30)의 재작동이 없는 한 콘트롤박스(24)의 하강을 방지하고, 여기에 상기 콘트롤박스(24)의 위치에 따라 전원을 인가 또는 단락시키는 리미트수단(50)을 적용시켜 더욱 안전한 운전석의 틸팅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의 작동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동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레버(30)를 상향으로 작동시키면 안전레버(30)의 일단과 결합된 회동브라켓(42)은 안전레버(30)에 연동되어 상기 안전레버(30)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고, 단부(42a)와 제1실린더(48)는 팽창하여 후방으로 회동한 후 회동스토퍼(46)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동브라켓(42)의 가이드핀(41)은 안내홈(44a)을 따라 움직인 후 안내홈(44a)의 마감된 부분에 멈추어 걸린 다음 스프링브라켓(44)을 상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고정축(52)은 스프링브라켓(44)의 작동홈(44d)을 따라 안내되어 가다가 결국은 상기 작동홈(44d)을 이탈하여 빠져나오게 되어 스프링브라켓(44)을 해제시켜 운전석(20)을 틸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브라켓(44)의 일단(44b)에 연결된 탄성체(47)는 팽창하게된다.
도 5는 콘트롤박스(24)가 완전히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탄성체(47)와 제2실린더(49)는 완전히 팽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제된 스프링브라켓(44)과 제2실린더(49)의 작동에 의해서 콘트롤박스(24)는 올라가게 되고, 고정축(52)은 스프링브라켓(44)을 완전히 이탈한다.
이때, 걸림단(44c)은 고정축(52)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리미트스위치(70)는 리미트홀더(60)에 안내되어 일정한 높이에 이르면 콘트롤박스(24)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콘트롤박스(24)가 완전 틸팅된 상태에 있다. 틸팅된 콘트롤박스(24)는 스프링브라켓(44)의 걸림단(44c) 바로 아래에 고정축(52)이 위치하고 있어 인위적으로 콘트롤박스(24)를 내려 눌러도 상기 걸림단(44c)의 걸림홈(44f)이 고정축(52)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않아 상기 콘트롤박스(24)는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전원은 항시 오프된 상태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도 7은 안전레버(30)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콘트롤박스(24)를 하강시킬 때 고정축(52)이 걸림홈(44f)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않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리미트스위치(70)에는 원천적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없어 오조작의 가능성이 없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레버(30)를 하향으로 작동시키면 콘트롤박스(24)를 하강시킬 때 걸림홈(44f)이 고정축(52)의 우측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정축(52)이 걸림홈(44f)에 걸리지 않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24)를 계속해서 하강시키면, 스프링브라켓(44)이 하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스프링브라켓(44)의 회동으로 스프링브라켓(44)의 안내면(44e)은 고정축(52)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체(47)가 팽창된 상태에서 제2실린더(49)는 압축되고, 고정축(52)은 스프링브라켓(44)의 안내면(44e)을 따라 안내되어 작동홈(44d)의 내부로 삽입시킬 준비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축(52)은 안내면(44e)의 끝단부에 이르게 되고, 탄성체(47)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축(52)은 작동홈(44d)으로 삽입된다. 이때, 리미트스위치(70)는 리미트홀더(60)를 따라 하향으로 안내되어 전원을 온(on)시킨다.
계속하여 안전레버(30)를 하향으로 작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52)은 상기 작동홈(44d)에 완전히 삽입되고, 고정되며, 탄성체(47)는 완전히 복원된다.
따라서, 위와같은 틸팅장치(40)와 리미트수단(50)의 작동 때문에 운전석(20) 을 완벽히 틸팅시킬 수 있고, 안전하게 전원을 개폐시켜 운전자의 오조작으로 인한 굴삭기의 오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고정축(52)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단(44c)을 고정축(52)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본 발명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자가 승하차하기 위하여 콘트롤박스(24)를 틸팅할 때 안전레버(30)의 작동에 의하여 조종레버(22) 또는 콘트롤박스(24)에 전원을 단락시켜 운전자의 오조작으로 인한 굴삭기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고, 틸팅 후 안전레버(30)의 작동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콘트롤박스(24)를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없는 기 구적인 구성으로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오조작의 가능성을 처음부터 배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굴삭기의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아 굴삭기 신뢰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굴삭기 운전실내에 고정되며, 회전축을 구비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고정되는 운전석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회전축에 일체로 장착되며, 조종레버를 구비한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어 틸팅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은 상기 콘트롤박스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콘트롤박스를 연동시켜 틸팅시키는 안전레버와, 상기 안전레버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트롤박스와 일체로 작동되며, 일 지점이 힌지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기 안전레버의 작동방향으로 연동되어 상기 콘트롤박스를 회동시키고, 회동 후 고정되어 상기 콘트롤박스를 고정시키는 틸팅장치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콘트롤박스 틸팅하는 경우 동일한 회동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콘트롤박스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단락시키는 리미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안전레버의 일단과 결합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된 후 연장되어 있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일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회동브라켓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브라켓은 일측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핀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4. 제 2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회동브라켓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에는 상기 회동브라켓의 단부가 전, 후방으로 회동할 때 그 회동간격을 제지하는 회동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스프링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틸팅 후 상기 스프링브라켓의 걸림단에 걸려 상기 운전석을 고정시키는 고정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운전석과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틸팅시 그 틸팅거리를 한정하는 제2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9. 제 3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브라켓은 상기 회동브라켓의 연장된 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연장된 걸림단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단은 틸팅 후 상기 고정축에 걸려 상기 운전석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에는 상기 고정축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11.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틸팅시 이를 안내하는 안내홈과, 틸팅시 상기 고정축을 안내하는 작동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브라켓은 복귀시 상기 고정축을 상기 작동홈으로 안내하는 안내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리미트홀더와, 상기 운전석이 틸팅하면 그 회동각도에 맞추어 상기 리미트홀더를 따라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홀더는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작동깊이를 조절하는 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안내부를 따라 움직이며, 그 작동깊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KR1020050013636A 2005-02-18 2005-02-18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KR100652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636A KR100652873B1 (ko) 2005-02-18 2005-02-18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US11/180,011 US7395894B2 (en) 2005-02-18 2005-07-12 Safety lever system in cab of excavator
JP2005204465A JP4711764B2 (ja) 2005-02-18 2005-07-13 掘削機キャブ内の安全レバーシステム
DE602005015077T DE602005015077D1 (de) 2005-02-18 2005-08-11 Baggerkabine mit einem Sicherheitshebelsystem.
EP05017469A EP1693522B1 (en) 2005-02-18 2005-08-11 Cab of an excavator with a safety lever system.
CN200510092001A CN100575624C (zh) 2005-02-18 2005-08-12 挖掘机驾驶室中的保险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636A KR100652873B1 (ko) 2005-02-18 2005-02-18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619A true KR20060092619A (ko) 2006-08-23
KR100652873B1 KR100652873B1 (ko) 2006-12-01

Family

ID=3608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636A KR100652873B1 (ko) 2005-02-18 2005-02-18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95894B2 (ko)
EP (1) EP1693522B1 (ko)
JP (1) JP4711764B2 (ko)
KR (1) KR100652873B1 (ko)
CN (1) CN100575624C (ko)
DE (1) DE602005015077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4263A (zh) * 2016-11-14 2017-03-15 青岛雷沃挖掘机有限公司 分体式座椅、操控箱承载装置及挖掘机
KR102016287B1 (ko) * 2019-07-02 2019-08-29 안국수 굴삭기용 콘솔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33B1 (ko) * 2007-06-22 2011-06-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콘솔박스
JP4609900B2 (ja) * 2007-09-14 2011-01-1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の作業レバー取付体跳ね上げ装置
JP5122896B2 (ja) * 2007-09-25 2013-01-1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US7878288B2 (en) * 2008-03-14 2011-02-01 Clark Equipment Company Swing-out joystick
US8483914B2 (en) * 2008-09-03 2013-07-09 Caterpillar Inc. Electrically adjustable control interface
US8820463B2 (en) 2011-09-27 2014-09-02 Shane Phillips Safety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heavy equipment
EP2574699B1 (en) * 2011-09-30 2014-04-30 Caterpillar, Inc. Security blocking of cabin exit
DE202012003790U1 (de) * 2012-04-13 2013-07-17 Joseph Vögele AG Straßenfertiger mit verstellbarem Bedienpult
CA2903552C (en) * 2013-03-15 2021-08-24 Stryker Corporation Medical support apparatus
JP6702999B2 (ja) 2015-10-30 2020-06-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CN107075835B (zh) * 2016-10-21 2020-01-2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WO2017051933A1 (ja) * 2016-10-21 2017-03-3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US10829202B2 (en) * 2017-09-05 2020-11-10 Textron Innovations Inc. Adjustable armrest system
EP3656932A4 (en) * 2017-12-27 2021-05-12 Kubota Corporation WORK EQUIPMENT AND ITS PRODUCTION PROCESS
JP7281869B2 (ja) * 2018-03-14 2023-05-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GB2579075B (en) * 2018-11-19 2021-06-16 Caterpillar Inc Work machine with sensor enabled use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1179B2 (ja) 1995-03-30 1998-04-15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コンソールボックス装置
JP2989522B2 (ja) 1995-07-28 1999-12-13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用走行車の操作部構造
JP3642865B2 (ja) 1996-01-30 2005-04-27 しげる工業株式会社 作業機械のスイッチ切換機構
KR980009677A (ko) 1996-07-31 1998-04-30 김무 중장비용 안전레버장치
JP3361032B2 (ja) 1997-04-04 2003-01-0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における操作レバー装置
US6352133B1 (en) 1999-04-21 2002-03-0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ry
JP2000328604A (ja) 1999-05-17 2000-11-28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
JP3950267B2 (ja) 1999-07-14 2007-07-25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の油圧操作レバー部構造
JP4229224B2 (ja) 1999-08-03 2009-02-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作業機操作装置
JP2001329572A (ja) 2000-05-22 2001-11-3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ゲートロックレバー跳ね上げ機構
JP3822048B2 (ja) * 2000-11-10 2006-09-1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運転操縦装置
DE10138364B4 (de) 2000-11-10 2005-03-31 Kubota Corp. Antriebs-Steuer-Vorrichtung für ein Arbeitsfahrzeug
KR100458562B1 (ko) 2001-07-20 2004-12-03 주식회사 사주닷컴 2인 이상의 공동운세를 산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420122B1 (ko) 2001-07-21 2004-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971279B2 (en) 2003-02-12 2005-12-06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Control lever safety apparatus for heavy equi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4263A (zh) * 2016-11-14 2017-03-15 青岛雷沃挖掘机有限公司 分体式座椅、操控箱承载装置及挖掘机
KR102016287B1 (ko) * 2019-07-02 2019-08-29 안국수 굴삭기용 콘솔박스
US11274420B2 (en) 2019-07-02 2022-03-15 Gugsoo An Console box for exca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95894B2 (en) 2008-07-08
EP1693522B1 (en) 2009-06-24
DE602005015077D1 (de) 2009-08-06
CN1821494A (zh) 2006-08-23
JP2006226096A (ja) 2006-08-31
CN100575624C (zh) 2009-12-30
JP4711764B2 (ja) 2011-06-29
EP1693522A3 (en) 2007-06-27
EP1693522A2 (en) 2006-08-23
US20060232116A1 (en) 2006-10-19
KR100652873B1 (ko)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873B1 (ko)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JP5324892B2 (ja) 建設機械用エンジンルームフードステー装置
KR101806565B1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JP4658582B2 (ja) フードラッチアセンブリのセーフティレバー作動構造
JP2004245025A (ja) 重装備用操縦レバー安全装置
EP2204505A1 (en) Device adapted for working machine and used to raise operation lever mounting body
JP3064801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スイッチ
JP4185141B2 (ja) 射出成形機の安全扉
JP4555268B2 (ja)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チルト角度調節装置
JP2008025141A (ja) 作業用機械における乗降遮断装置
JP2000320214A (ja) 引戸用施錠機構
US11939797B2 (en) Door lock device
JP5052984B2 (ja) 遊技機用施錠装置
KR101051313B1 (ko) 창문 개폐장치의 열림 방지장치
JPH0735882Y2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KR200360334Y1 (ko)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KR100511198B1 (ko) 중장비용 조종레버 안전장치
KR100559292B1 (ko) 중장비용 조종레버 안전장치
KR102681921B1 (ko) 관성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0783954B1 (ko) 차량의 도어 락 스위치 오작동 방지장치
JPH0525977A (ja) 隔壁装置
JP2000328605A (ja) 建設機械の安全装置
JP3874459B2 (ja) 安全スイ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機構
CN111185828B (zh) 电动工具
KR100986857B1 (ko) 굴삭기 주행레버 안전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