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334Y1 -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334Y1
KR200360334Y1 KR20-2004-0016788U KR20040016788U KR200360334Y1 KR 200360334 Y1 KR200360334 Y1 KR 200360334Y1 KR 20040016788 U KR20040016788 U KR 20040016788U KR 200360334 Y1 KR200360334 Y1 KR 200360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window
carrier bar
guide ho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기
Original Assignee
(주)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진 filed Critical (주)명진
Priority to KR20-2004-0016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arms fixed on the wing pivoting about an axis outsid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vertically-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41Tilt-and-tur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이 틸팅모드로 개방된 상태에서 핸들이 로킹되어 터닝모드로 이중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식 창호용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창틀(10)의 상단에 힌지축(13)에 의해 장착되는 제1 링크(22)와, 창문(20)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그 중간부의 장공(25)에서 상기 제1 링크(22)의 선단부 힌지축(14)에 축지지되는 제2 링크(24)와,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4) 사이에 회동각도를 규제하기 위해 힌지축(16,18)에 의해 이들 링크(22,24)에 축연결된 제3 링크(26)와, 상기 제2 링크(24)에 인접한 창문(20)측에 배치되며 제2 링크(24) 일측의 가이드부재(27)을 따라 승강하도록 가이드공(29)이 형성된 캐리어바(28)를 포함하며, 제3 링크(26)의 제2 링크(24)에 면한 부위에는 경사돌기(42)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바(28)의 가이드공(29) 상부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턱(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24)의 상기 가이드공(29)의 이동궤적 내에는 소경부(44)와 대경부(46)가 단턱을 이루도록 형성된 이단핀(43)이 상기 제2 링크(24)의 경사돌기(42)에 의해 출몰가능하게 구비된다.

Description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Mishandling protection device for tilt and turn type window}
본 고안 회동식 창호용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틸트 앤드 턴' 방식 창호에서 창문이 틸팅모드로 개방된 상태에서 핸들이 로킹되어 터닝모드로 이중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식 창호용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시스템 창호의 일종으로 틸트 앤드 턴 방식의 창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런 틸트 앤드 턴 방식의 창호는 창틀에 장착된 창문의 상단부를 상하방향으로 회동개방하는 틸트 기능과 창문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턴 기능을 행한다. 이러한 틸트 앤드 턴 창호는 틸트기능과 턴기능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해, 대체로 창문을 개폐조작하는 핸들의 작동모드를 잠금모드, 틸팅모드 및 터닝모드로 구분된다. 예를 들면, 잠금모드에 위치된 핸들을 90도 회전시키면 터닝모드로 전환되어 핸들을 당기면 수평개방되고, 잠금모드에서 핸들을 180도 회전시키면 틸팅모드로 전환되어 창문의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이러한 틸트 앤드 턴 창호는 틸팅모드와 터닝모드가 서로 선택적으로 작동되어야 하며, 만일 창호가 틸팅모드와 터닝모드가 동시에 구현되어 창호가 틸팅개방과 동시에 수평개방이 함께 이루어지면, 창호는 불안전한 상태로 되어 창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낙하되면서 사람이나 인접 물체에 충돌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일으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게 위해 종래의 이러한 회동식 창호에는 틸팅개방상태에서 바로 터닝모드로 전환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러한 '틸트 앤드 턴' 방식의 창호를 보여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에 대해 창문(20)이 틸팅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창틀의 상단에 힌지축(13)에 의해 장착되는 제1 링크(22)와, 그 중간부의 장공(25)에서 상기 제1 링크(22)의 선단부 힌지축(14)에 축지지되는 제2 링크(24), 및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4) 사이에 회동각도를 규제하기 위해 힌지축(16,18)에 의해 이들 링크(22,24)에 축연결된 제3 링크(2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링크(24)는 개폐되는 창문(20)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이 제2 링크(24)의 내측에는 가이드공(29)이 형성된 캐리어바(28)가 제2 링크(24)의 가이드부재(27)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캐리어바(28)의 상부에는 로킹핀(32)이 구비되고, 제2 링크(24)에는 상기 로킹핀(32)이 관통되어 승강안내되는 장공(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링크(22)의 상단부에는 상기 로킹핀(32)이 상승 위치에서는 걸려서 잠금되고 로킹핀(32)의 하강 위치에서는 걸림이 해제되는 레일형상의 로킹부재(36)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창문의 틸팅개방 상태에서 핸들의 오조작에 의한 수평방향의 터닝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종래에는 상기 제3 링크(26)가 제2 링크(24)와 연결되는 힌지축(18)의 일단부에는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걸림편(33)이 제3 링크(26)의 길이방향 축선에 정렬되도록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되고,이에 대응하여 상기 캐리어바(28)의 가이드공(29)에는 그 내측에 상기 걸림편(33)이 길이방향으로는 통과되지만 폭방향으로는 통과될 수 없는 걸림턱(3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2 링크(24)와 제3 링크(26)가 완전히 포개진 경우, 즉 창문(20)이 창틀(10)에 완전히 닫힌 경우에는, 힌지축(18)의 걸림편(33)이 가이드공(29)의 걸림턱(34) 사이로 자유로이 통과되므로, 상기 캐리어바(28)가 제2 링크(24)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캐리어바(28)의 상부에 구비된 로킹핀(32)이 제1 링크(22)의 로킹레일(36)에 걸리거나 해제되어 틸팅모드에서의 도어의 개방 또는 잠금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창문(20)이 틸팅개방되어 제2 링크(24)와 제1 링크(22)가 소정 각도 이상 벌어지면, 제2 링크(24)의 힌지축(18) 일측의 걸림편(33)도 함께 회동되므로, 상기 캐리어바(28)의 가이드공(29)의 걸림턱(34)이 걸림편(33)을 통과할 수 없게 되어 캐리어바(28)의 승강이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하더라도 캐리어바(28)의 승강이 불가능하여 실수로 창호가 터닝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안전장치는 틸팅개방 상태에서 힌지축(18)의 일단부에 제2 링크(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걸림편(33)이 가이드공(29)의 걸림턱(34) 사이로 통과되지 않도록 규격이 정해지지만, 걸림턱(34)의 폭과 걸림편(33) 의 폭간의 공차로 인해, 창문(20)이 약간만 틸팅개방되면, 걸림편(33)도 약간만 회동되어 그 회동된 상태의 걸림편(33)의 통과 폭이 걸림턱(34)의 간격 보다 작으면 창호가 틸팅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캐리어바(28)가 승강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핸들 오조작에 의해 창호가 터닝모드로 전환되어 이중개방이 가능한불완전하고 위험한 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는 창문이 약간만 틸팅개방되었을 경우에는 터닝모드로 전환될 소지가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틸트 앤드 턴 방식의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틸팅모드에서 약간만 창문이 개방되더라도 캐리어바의 승강이 저지되어 핸들의 오조작에 의한 터닝모드 개방이 불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틸트 앤드 턴 방식 창호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구성도
도 3는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창틀 20. 창문
22. 제1 링크 24. 제2 링크
26. 제3 링크 28. 캐리어바
29. 가이드공 34. 걸림턱
42. 경사돌기 43. 이단핀
44. 소경부 46. 대경부
본 고안에 따르면, 창틀(10)과, 이 창틀(10)에 대하여 수평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는 창문(20)과, 상기 창틀(10)에 대해 창문(20)이 상하방향으로 틸팅개방되도록 상기 창틀(10)의 상단에 힌지축(13)에 의해 장착되는 제1 링크(22)와, 창문(20)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그 중간부의 장공(25)에서 상기 제1 링크(22)의 선단부 힌지축(14)에 축지지되는 제2 링크(24)와,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4) 사이에 회동각도를 규제하기 위해 힌지축(16,18)에 의해 이들 링크(22,24)에 축연결된 제3 링크(26)와, 상기 제2 링크(24)에 인접한 창문(20)측에 배치되며 제2 링크(24) 일측의 가이드부재(27)을 따라 승강하도록 가이드공(29)이 형성된 캐리어바(28)와, 상기 캐리어바(28)의 상부에 돌출구비되며 제2링크(24)의 장공(35)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로킹핀(32)과, 제1 링크(22) 상단에 구비되며 캐리어바(28)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로킹핀(32)과 걸림 또는 해제되는 걸림부재(36)를 포함하는 회동식 창호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26)의 상기 제2 링크(24)에 면한 부위에는 경사돌기(42)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바(28)의 가이드공(29) 상부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턱(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24)의 상기 가이드공(29)의 이동궤적 내에는 소경부(44)와 대경부(46)가 단턱을 이루도록 형성된 이단핀(43)이 상기 제2 링크(24)의 경사돌기(42)에 의해 출몰가능하게 지지블록(48)에 탄설되어 이루어지며, 창문(20)이 닫혀서 상기 제3링크(26)가 제2 링크(24)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면 이단핀(43)이 상기 경사돌기(42)에 맞닿아 후퇴되고, 이에 따라 이단핀(43)의 소경부(44)가 가이드공(29)의 걸림턱(34) 사이로 통과되어 캐리어바(28)가 승강가능하게 되고, 창문(20)이 틸팅개방되어 상기 제3 링크(26)가 제2 링크(24)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면 이단핀(43)이 경사돌기(42)에서 벗어나서 탄성적으로 돌출되면 이단핀(43)의 대경부(46)가 상기 가이드공(29)의 걸림턱(34)에 걸려서 캐리어바(28)의 승강이 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에는 제1 링크(22)가 장착되고 창문(20)에는 제2 링크(24)가 장착되며, 제3 링크(26)가 제1 링크(22) 및 제2 링크(24)를 연결하며, 캐리어바(28)가 제2 링크(24)의 내측에 배치되는 등의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링크(26)의 제2 링크(24)에 면한 부위에는 제3 링크(26)의 길이방향으로 능선이 배치된 산형 경사돌기(42)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제2 링크(24)에는 스프링(47)이 탄지되어 지지블록(48)에 탄설되는 이단핀(43)이 구비된다. 이 이단핀(43)은 창문(20)이 틸팅개폐되어 회동됨에 따라 제3 링크(26)의 경사돌기(42)에 맞닿아 후퇴되거나 경사돌기(42)가 퇴피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단핀(43)은 그 선단부의 소경부(44)와 기단부의 대경부(46)로 구분되어 단턱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이단핀(43)은 캐리어바(28)의 가이드공(29)에 관통되도록 제2 링크(24)에 설치되어 캐리어바(28)의 승강시에 가이드핀으로 작용한다. 한편, 가이드공(29)의 상부에는 내향하는 걸림턱(34)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34)에 의해 이루어지는 틈새는 이단핀(43)의 소경부(43)는 통과되지만 대경부(46)는 통과될 수 없는 크기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창문(20)이 창틀(10)에 맞닿아 닫히면, 모든 링크들(22,24,26)가 일직선으로 정렬되고, 이에 따라 제3 링크(26)의 경사돌기(42)가 이단핀(43)을 가압하게 되고, 이단핀(43)이 후퇴되면 이단핀(43)의 소경부(44)가 캐리어바(28)의 가이드공(29)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이단핀(43)은 가이드공(29)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도시 안된 핸들의 조작에 의해 캐리어바(28)의 승강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창문에 대한 임의의 조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핸들을 조작하여 캐리어바(28)를 하강시키면 이단핀(43)은 가이드공(29)의 걸림턱(34)을 지나서 가이드공(29)의 상단에 위치되고 이 때, 로킹핀(32)이 걸림부재(36)로부터 해제되어 도어의 틸팅개방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여기서 핸들을 당기면 창문(20)이 창틀(10)로부터 틸팅개방되며 제2링크(24)와 제3 링크(26)가 약간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동되므로, 이에 따라 제3 링크(26)의 경사돌기(42)가 이단핀(43)으로부터 퇴피되는데, 그러면 이단핀(43)이 탄성적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이단핀(43)의 대경부(46)가 캐리어바(28)의 가이드공(29)에 놓이게 되고, 이 대경부(46)는 가이드공(29)의 걸림턱(34)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캐리어바(28)를 상승시키려고 해도, 이 이단핀(43)의 대경부(46)에 걸려서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창문이 틸팅개방된 상태에서 실수로 핸들을 오조작하여 수평방향의 터닝개방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창문이 조금만 개방되어 제3 링크(26)의 경사돌기(42)가 이단핀(43)에서 퇴피되기만 하면, 이단핀(43)이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가이드공(29)에 걸리게 되므로 안전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제3 링크(26)에 경사돌기(42)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링크(24)에는 캐리어바(28)의 가이드공(29)에 탄성적으로 걸림 또는 해제되는 이단핀(43)을 구비하는 간단한 구조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창문이 약간만 회동되어 틸팅 개방되더라도 이단핀(43)이 가이드공(29)에 걸릴 수 있어서 실수에 의한 오조작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있다.

Claims (1)

  1. 창틀(10)과, 이 창틀(10)에 대하여 수평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는 창문(20)과, 상기 창틀(10)에 대해 창문(20)이 상하방향으로 틸팅개방되도록 상기 창틀(10)의 상단에 힌지축(13)에 의해 장착되는 제1 링크(22)와, 창문(20)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그 중간부의 장공(25)에서 상기 제1 링크(22)의 선단부 힌지축(14)에 축지지되는 제2 링크(24)와,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4) 사이에 회동각도를 규제하기 위해 힌지축(16,18)에 의해 이들 링크(22,24)에 축연결된 제3 링크(26)와, 상기 제2 링크(24)에 인접한 창문(20) 측에 배치되며 제2 링크(24) 일측의 가이드부재(27)를 따라 승강하도록 가이드공(29)이 형성된 캐리어바(28)와, 상기 캐리어바(28)의 상부에 돌출구비되며 제2 링크(24)의 장공(35)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로킹핀(32)과, 제1 링크(22) 상단에 구비되며 캐리어바(28)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로킹핀(32)과 걸림 또는 해제되는 걸림부재(36)를 포함하는 회동식 창호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26)의 상기 제2 링크(24)에 면한 부위에는 경사돌기(42)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바(28)의 가이드공(29) 상부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턱(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24)의 상기 가이드공(29)의 이동궤적 내에는 소경부(44)와 대경부(46)가 단턱을 이루도록 형성된 이단핀(43)이 상기 제2 링크(24)의 경사돌기(42)에 의해 출몰가능하게 지지블록(48)에 탄설되어 이루어지며, 창문(20)이 닫혀서 상기 제3링크(26)가 제2 링크(24)와 일직선으로 정렬되면 이단핀(43)이 상기 경사돌기(42)에 맞닿아 후퇴되고, 이에 따라 이단핀(43)의 소경부(44)가 가이드공(29)의 걸림턱(34) 사이로 통과되어 캐리어바(28)가 승강가능하게 되고, 창문(20)이 틸팅개방되어 상기 제3 링크(26)가 제2 링크(24)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면 이단핀(43)이 경사돌기(42)에서 벗어나서 탄성적으로 돌출되면 이단핀(43)의 대경부(46)가 상기 가이드공(29)의 걸림턱(34)에 걸려서 캐리어바(28)의 승강이 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KR20-2004-0016788U 2004-06-15 2004-06-15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KR200360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788U KR200360334Y1 (ko) 2004-06-15 2004-06-15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788U KR200360334Y1 (ko) 2004-06-15 2004-06-15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334Y1 true KR200360334Y1 (ko) 2004-08-25

Family

ID=4943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788U KR200360334Y1 (ko) 2004-06-15 2004-06-15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13B1 (ko) 2009-07-27 2011-07-22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문 개폐장치의 열림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13B1 (ko) 2009-07-27 2011-07-22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창문 개폐장치의 열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24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콘트롤러
US7456368B2 (en) Safety switch
RU23348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да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при блокировании фиксируемой защелки в дверном замке
JPH04238976A (ja) 電気機械的装置の施錠可能化装置
JP200008609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KR200360334Y1 (ko) 회동식 창호의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JP6485667B2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4520709B2 (ja) 安全スイッチ
KR100785705B1 (ko) 슬라이딩 창호의 개폐틸트장치
KR101879871B1 (ko) 차량용 도어
KR200359308Y1 (ko) 회동식 창호용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HU223108B1 (hu) Kapcsoló
RU2694909C2 (ru) Прибор для установки между створкой и неподвижной рамой окна, двери или т.п., а также окно, дверь или т.п. с таким прибором
JP4993269B2 (ja) 車両のドア不正開放防止構造
KR101051313B1 (ko) 창문 개폐장치의 열림 방지장치
KR200340893Y1 (ko) 출입게이트용 회전문
KR100539421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안전 장치
KR200371857Y1 (ko) 턴/틸트식 창호시스템의 오작동 방지장치
KR20140006529A (ko)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JP7492400B2 (ja) 扉閉鎖順位調整器、観音開き式扉、警報装置
JPH047534Y2 (ko)
KR100539420B1 (ko) 차량용 슬라이드 도어의 안전 장치
KR20090000942U (ko)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오조작 방지구조
JP4441343B2 (ja) 障子施錠機構の誤操作防止装置
KR200291651Y1 (ko) 도어핸들용 날개 회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