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529A -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529A
KR20140006529A KR1020120073700A KR20120073700A KR20140006529A KR 20140006529 A KR20140006529 A KR 20140006529A KR 1020120073700 A KR1020120073700 A KR 1020120073700A KR 20120073700 A KR20120073700 A KR 20120073700A KR 20140006529 A KR20140006529 A KR 20140006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liding door
catch
open
catch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도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도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도어
Priority to KR102012007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529A/ko
Publication of KR2014000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을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 1 캐치레버; 상기 제 1 캐치레버를 회전 구속하는 제 1 멈춤레버; 상기 제 1 멈춤레버와 링크 결합되며, 작동 케이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1 멈춤레버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오픈레버; 윈도우의 열림 정도에 따라 제 2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는 제 2 캐치레버; 상기 제 2 캐치레버를 회전 구속하는 제 2 멈춤레버; 및 일측이 상기 오픈레버에 링크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2 멈춤레버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오픈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제 2 멈춤레버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멈춤레버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링크레버;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HOLD OPEN LATCH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의 열림 여부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정도를 제한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 프레임 하부에 구비된 레일 등을 따라 이동되어 차실 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에는 경사로 등에서 자중으로 인해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림유지장치 등이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시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스윙식 도어 등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도어에도 윈도우가 구비되며, 윈도우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 등으로 이동되어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때, 윈도우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윈도우의 열린 부분을 통해 탑승자의 신체 등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게 되면 탑승자의 신체가 차체나 도어 프레임과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윈도우의 열림 여부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정도를 제한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을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 1 캐치레버; 상기 제 1 캐치레버를 회전 구속하는 제 1 멈춤레버; 상기 제 1 멈춤레버와 링크 결합되며, 작동 케이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1 멈춤레버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오픈레버; 윈도우의 열림 정도에 따라 제 2 스트라이커와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는 제 2 캐치레버; 상기 제 2 캐치레버를 회전 구속하는 제 2 멈춤레버; 및 일측이 상기 오픈레버에 링크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2 멈춤레버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오픈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제 2 멈춤레버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멈춤레버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링크레버;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레버는, 일측이 제 1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오픈레버에 링크 결합되고, 타측이 제 2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제 2 멈춤레버에 링크 결합되되, 상기 타측에는 상기 제 2 멈춤레버의 회동 반경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 1 링크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힌지핀이 상기 제 1 링크홀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는, 상기 제 2 캐치레버와 링크 결합되며, 상기 윈도우의 열림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 캐치레버를 소정정도 회전시켜, 상기 제 2 캐치레버를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작동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캐치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캐치레버의 회동 반경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 2 링크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는, 일단이 상기 작동레버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링크홀에 삽입 체결된 링크스프링을 통해, 상기 제 2 캐치레버와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는, 일측에 세이프티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세이프티 케이블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세이프티 케이블은, 상기 윈도우가 소정정도 이상 열린 경우에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제 2 캐치레버를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는, 윈도우가 열림 상태인 경우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여, 윈도우 밖으로 탑승자의 신체 등이 노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열리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는 단순히 열림 방향으로의 제한이 아닌, 제 2 캐치레버가 제 2 스트라이커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열림 위치가 고정되게 되므로, 경사로 등에서도 보다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는 링크레버를 통해 제 1, 2 래치부를 연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도어 핸들 조작 등에 의해 간편하게 열림 제한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윈도우가 닫힘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윈도우가 닫힘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윈도우가 닫힘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3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윈도우가 열림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윈도우가 열림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10은 윈도우가 열림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3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슬라이딩 도어(10)는 차체 프레임(20)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도어(10)의 일측에는 상기와 같은 개폐 조작을 위한 도어 핸들(11)이 마련되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10)에는 윈도우(12)가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윈도우(12)는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는 슬라이딩 도어(10)의 일측에 장찰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는 차체 프레임(20)에 마련된 제 1 스트라이커(30) 또는 제 2 스트라이커(40)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를 열림 상태로 유지하거나,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트라이커(30)는 차체 프레임(20)의 일측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1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의 위치를 고정 및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제 2 스트라이커(40)는 슬라이딩 도어(10)의 닫힘 위치에 인접하게 차체 프레임(20)의 중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10)가 완전히 열리기 전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저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서는 베이스 프레임을 생략하고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는 제 1 캐치레버(110), 제 1 멈춤레버(120), 오픈레버(130) 및 작동케이블(C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제 1 캐치레버(110) 내지 작동케이블(C1)은 차체 프레임(20)의 일측단에 슬라이딩 도어(10)를 열림 상태로 위치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캐치레버(110)는 차체 프레임(20)의 일측단에 마련된 제 1 스트라이커(30)와 체결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의 제 1 캐치레버(110) 내지 작동케이블(C1)을 포함한 구성을 제 1 래치부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는, 제 2 캐치레버(140), 제 2 멈춤레버(150), 링크레버(160), 작동레버(170), 캐치레버 스토퍼(180) 및 세이프티 케이블(C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제 2 캐치레버(140) 내지 세이프티 케이블(C2)은 슬라이딩 도어(10)의 윈도우(12)가 소정정도 이상 열려 있는 경우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캐치레버(140)는 차체 프레임(20) 중단에 마련된 제 2 스트라이커(40)와 체결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의 제 2 캐치레버(140) 내지 세이프티 케이블(C2)을 포함한 구성을 제 2 래치부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의 제 1 래치부에서 제 2 래치부의 순으로 각 구성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의 제 1 래치부는 제 1 캐치레버(110), 제 1 멈춤레버(120), 오픈레버(130) 및 작동케이블(C1)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캐치레버(110)는 제 1 스트라이커(30)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를 열림 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제 1 캐치레버(110)는 슬라이딩 도어(1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차체 프레임(20) 일측단의 제 1 스트라이커(30)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를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캐치레버(110)의 일측에는 제 1 스트라이커(30)가 체결되는 제 1 스트라이커 안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스트라이커 안착홈(111)은 제 1 캐치레버(110)의 일측 외면이 내측으로 소정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스트라이커(30)의 충돌시 충격 흡수를 위해 충돌 부위에 제 1 에어 댐핑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캐치레버(110)의 타측에는 제 1 멈춤레버(120)와 걸림 결합하기 위한 제 1 걸림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턱(112)은 제 1 캐치레버(110)의 타측 외면이 소정정도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캐치레버(110)는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캐치레버(110)는 제 1 복원스프링(113)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 1 복원스프링(113)은 제 1 캐치레버(110)의 회동시 제 1 캐치레버(110)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 1 멈춤레버(120)는 제 1 캐치레버(11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스트라이커(30)가 제 1 캐치레버(110)에 체결시, 제 1 스트라이커(3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 1 캐치레버(11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멈춤레버(120)의 일측에는 제 1 걸림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돌기(121)는 제 1 멈춤레버(120)의 일측 외면이 소정정도 돌출 형성된 것으로, 제 1 캐치레버(110)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12)에 대응된다. 즉, 제 1 걸림돌기(121)는 제 1 걸림턱(112)에 걸림 결합되어 제 1 캐치레버(11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제 1 멈춤레버(120)는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멈춤레버(120)는 제 2 복원스프링(122)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 2 복원스프링(122)은 제 1 멈춤레버(120)의 회동시 제 1 멈춤레버(120)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제 1 멈춤레버(120)는 오픈레버(130)와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멈춤레버(120)에는 오픈레버(130)를 향해 돌출된 제 1 링크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링크돌기(123)는 오픈레버(130)에 형성된 제 3 링크홀(131)에 체결되어 제 1 멈춤레버(120)를 오픈레버(130)에 연동시키게 된다.
오픈레버(130)는 작동케이블(C1)의 작동에 따라 제 1 멈춤레버(120)를 회전시켜 제 1 멈춤레버(120)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즉, 오픈레버(130)는 작동케이블(C1)의 작동에 따라 제 1 캐치레버(110)를 구속하던 제 1 멈춤레버(120)를 구속 해제시키고, 제 1 스트라이커(30)가 제 1 캐치레버(11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오픈레버(130)는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픈레버(130)는 제 3 복원스프링(미표시)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3 복원스프링은 오픈레버(130)의 회동시 오픈레버(13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제 1 멈춤레버(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복원스프링(122)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한편, 오픈레버(130)의 일측에는 작동케이블(C1)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오픈레버(130)는 작동케이블(C1)의 밀고 당김에 따라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오픈레버(130)는 제 1 멈춤레버(120)와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픈레버(130)에는 제 3 링크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링크홀(131)에는 제 1 멈춤레버(120)에 형성된 제 1 링크돌기(123)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케이블(C1)의 당김에 따라 오픈레버(130)가 회동되면, 제 1 멈춤레버(120)는 이에 연동하여 소정정도 회동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작동케이블(C1)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픈레버(130)를 소정정도 회동시킬 수 있다. 즉, 작동케이블(C1)은 사용자의 도어 핸들(11) 조작이나 제어 신호에 의한 조작 명령을 오픈레버(130)로 전달하여, 오픈레버(130)를 회동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케이블(C1)은 일단이 오픈레버(13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케이블(C1)이 당겨지게 되면, 오픈레버(130)는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되게 된다.
작동케이블(C1)의 타단은 도어 핸들(11)이나 제어부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작동케이블(C1)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연결 수단을 통해 도어 핸들(11)이나 제어부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기계적인 링크 구조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도어 핸들(11)이나 제어부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작동케이블(C1)은 사용자의 조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도어 핸들(11)을 당기는 경우)에 따라 오픈레버(130)를 소정정도 당기게 되며, 이로 인해, 오픈레버(130)는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제 2 래치부는, 제 2 캐치레버(140), 제 2 멈춤레버(150), 링크레버(160), 작동레버(170), 캐치레버 스토퍼(180) 및 세이프티 케이블(C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캐치레버(140)는 제 2 스트라이커(40)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 2 캐치레버(140)는 차체 프레임(20) 중단에 마련된 제 2 스트라이커(40)와 체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 등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이때, 제 2 캐치레버(140)의 작동은 슬라이딩 도어(10)에 마련된 윈도우(12)의 열림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 2 캐치레버(140)는 윈도우(12)가 소정정도 이상 열린 상태에서만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제 2 스트라이커(40)와 체결 및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캐치레버(140)의 일측에는 제 2 스트라이커(40)가 체결되는 제 2 스트라이커 안착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스트라이커 안착홈(141)은 제 2 캐치레버(140)의 일측 외면이 내측으로 소정정도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트라이커 안착홈(141)에는 제 2 스트라이커(40)의 충돌시 충격 흡수를 위하여 충돌 부위에 제 2 에어 댐핑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캐치레버(140)의 타측에는 제 2 멈춤레버(150)와 걸림 결합하기 위한 제 2 걸림턱(1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턱(143)은 제 2 캐치레버(140)의 타측 외면이 소정정도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캐치레버(140)는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캐치레버(140)는 제 4 복원스프링(145)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 4 복원스프링(145)은 제 2 캐치레버(140)의 회동시 제 2 캐치레버(14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2 캐치레버(140)는 작동레버(170)와 링크 결합되어 작동레버(170)에 의해 소정정도 회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캐치레버(140)에는 제 2 링크홀(1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링크홀(144)에는 작동레버(170)에 체결된 링크스프링(171)의 일단이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링크홀(144)은 제 2 캐치레버(140)의 회동 반경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스프링(171)의 일단은 제 2 링크홀(144)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제 2 멈춤레버(150)는 제 2 캐치레버(140)를 회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스트라이커(40)가 제 2 캐치레버(140)에 체결시, 제 2 스트라이커(4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 2 캐치레버(14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멈춤레버(150)의 일측에는 제 2 걸림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돌기(151)는 제 2 캐치레버(140)에 형성된 제 2 걸림턱(143)에 대응되는 것으로, 제 2 걸림턱(143)에 걸림 결합되어 제 2 캐치레버(14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제 2 멈춤레버(150)는 제 4 회전축(R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멈춤레버(150)는 제 5 복원스프링(152)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 5 복원스프링(152)은 제 2 멈춤레버(150)의 회동시 제 2 멈춤레버(150)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링크레버(160)는 오픈레버(130)와 제 2 멈춤레버(150)를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오픈레버(130)와 제 2 멈춤레버(150) 사이에 링크 결합된다. 링크레버(160)는 작동케이블(C1)로 인한 오픈레버(130)의 작동력을 제 2 멈춤레버(150)로 전달하여, 제 2 멈춤레버(150)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크레버(160)는 일측이 오픈레버(130)에 제 1 힌지핀(161)을 매개로 링크 결합될 수 있으며, 타측이 제 2 힌지핀(162)을 매개로 제 2 멈춤레버(150)에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링크레버(160)의 타측에는 제 1 링크홀(16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제 2 힌지핀(162)은 제 1 링크홀(163)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링크홀(163)은 제 2 멈춤레버(150)의 회동 반경을 따라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힌지핀(162)은 제 1 링크홀(163)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될 수 있다.
작동레버(170)는 윈도우(12)의 열림 정도에 따라 제 2 캐치레버(140)를 소정정도 회전시켜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2 캐치레버(140)와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레버(170)는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세이프티 케이블(C2)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레버(170)는 세이프티 케이블(C2)의 밀고 당김에 따라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170)는 링크스프링(171)을 통해 제 2 캐치레버(140)와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링크스프링(171)은 일단이 작동레버(170)의 일측에 체결되어, 작동레버(170)와 함께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스프링(171)의 타단은 제 2 캐치레버(140)에 형성된 제 2 링크홀(144)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캐치레버 스토퍼(180)는 제 2 캐치레버(140)의 회동 반경을 소정정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제 3 회전축(R3)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제 2 캐치레버(140)의 측면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치레버 스토퍼(180)는 제 2 스트라이커(40)가 제 2 캐치레버(140)에 충돌되어 제 2 캐치레버(140)가 회동되는 경우, 제 2 캐치레버(140)의 측면부에 접촉되어 제 2 캐치레버(140)의 회동 반경을 소정정도 제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충돌시의 충격 흡수를 위해 완충 부재 등이 부가될 수 있다.
세이프티 케이블(C2)은 윈도우(12)의 열림 정도에 따라 작동레버(170)를 소정정도 회동시켜 제 2 캐치레버(140)를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의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이프티 케이블(C2)은 일단이 작동레버(17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이프티 케이블(C2)이 밀거나 당겨지면, 작동레버(170)는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하게 된다.
세이프티 케이블(C2)의 타단은 윈도우(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세이프티 케이블(C2)의 타단은 윈도우(12)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기계적인 링크 구조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윈도우(1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세이프티 케이블(C2)의 타단은 컨트롤러 등을 매개로 윈도우(12)와 연결될 수 있다.
세이프티 케이블(C2)은 윈도우(12)의 열림 상태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윈도우(12)가 닫힘 상태인 경우 세이프티 케이블(C2)은 작동레버(170)를 당겨 제 2 캐치레버(140)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닫힘 상태는 윈도우(12)가 완전히 닫혀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설정치 이하로만 열려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이프티 케이블(C2)은 윈도우(12)가 열림 상태인 경우 작동레버(170)를 밀어 제 2 캐치레버(140)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열림 상태는 윈도우(12)가 완전히 열려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설정치 이상 열려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작동예에서는 윈도우(12)가 닫힘 상태인 경우와, 열림 상태인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닫힘 상태는 윈도우(12)가 설정치 이하로만 열려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열림 상태는 윈도우(12)가 설정치 이상 열려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도 5는 윈도우가 닫힘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의 제 1 작동상태도는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저면도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5를 참고하면, 윈도우(12)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제 2 캐치레버(140)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비활성화 상태는 제 2 캐치레버(140)가 제 2 스트라이커(40)에 걸리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윈도우(12)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세이프티 케이블(C2)이 작동레버(170)를 소정정도 당기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작동레버(170)는 링크스프링(171)을 통해 제 2 캐치레버(140)와 링크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2 캐치레버(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제 2 캐치레버(140)는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더라도 제 2 스트라이커(40)에 충돌되거나 걸리지 않게 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와 같은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에 있다고 정의하기로 한다.
도 6은 윈도우가 닫힘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의 제 2 작동상태도는 슬라이딩 도어(10)가 완전히 열려 차체 프레임(20)의 일측단에 열림 상태로 위치 고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저면도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10)는 차체 프레임(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실 내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캐치레버(140)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으므로, 제 2 스트라이커(40)에 걸리거나 충돌되지 않으며, 슬라이딩 도어(10)는 차체 프레임(20)의 일측단까지 이동되어 완전히 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슬라이딩 도어(10)가 차체 프레임(20)의 일측단까지 이동되면, 제 1 캐치레버(110)는 제 1 스트라이커(30)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를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스트라이커(30)가 제 1 캐치레버(110)에 충돌되면, 충돌력으로 인해, 제 1 캐치레버(110)가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도 6의 시계 방향으로 소정정도 회동되며, 이로 인해, 제 1 스트라이커(30)는 제 1 스트라이커 안착홈(111)에 체결되게 된다. 또한, 제 1 캐치레버(110)가 소정정도 회동됨에 따라, 제 1 멈춤레버(120)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121)는 제 1 캐치레버(110)의 제 1 걸림턱(112)에 걸림 결합되어 제 1 캐치레버(110)의 회전(즉,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회전)을 구속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 1 스트라이커(30)는 제 1 스트라이커 안착홈(111)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슬라이딩 도어(10)는 열림 상태로 위치 고정되게 된다.
도 7은 윈도우가 닫힘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3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의 제 3 작동상태도는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상태 위치 고정이 해제되는 작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저면도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6과 같이 제 1 캐치레버(110)가 제 1 스트라이커(30)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림 상태로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작동케이블(C1)이 당겨지면, 오픈레버(130)는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제 1 멈춤레버(120) 또한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 1 멈춤레버(120)가 회동함에 따라, 제 1 걸림돌기(121)와 제 1 걸림턱(112) 간의 걸림 결합은 해제되며, 제 1 캐치레버(110)는 제 1 복원스프링(113)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회전축(R1)을 중심으로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정도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스트라이커(30)는 제 1 스트라이커 안착홈(111)에서 이탈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사용자 등이 슬라이딩 도어(10)를 닫힘 위치로 밀게 되면, 제 1 스트라이커(30)와 제 1 스트라이커 안착홈(111) 간의 결합은 해제되고, 슬라이딩 도어(10)는 닫힘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 1 캐치레버(110)와 제 1 스트라이커(30) 간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는, 제 2 캐치레버(140)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상기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 1 캐치레버(110)가 작동되는 동안에도, 제 2 캐치레버(140)는 윈도우(12)가 열리지 않는한 전술한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7에서와 같이 오픈레버(130)가 작동케이블(C1)에 의해 회동되는 경우, 오픈레버(130)는 링크레버(160)의 일단을 도 7의 A 방향으로 밀게 되나, 링크레버(170)의 타단에는 장공 형태의 제 1 링크홀(16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오픈레버(130)의 작동력이 제 2 멈춤레버(150)나 제 2 캐치레버(140)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윈도우가 열림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의 제 1 작동상태도는 제 2 캐치레버(140)가 도 5와 같은 비활성화 상태에서 제 2 스트라이커(40)와 결합 가능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작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저면도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8을 참고하면, 전술한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윈도우(12)가 열리게 되면, 세이프티 케이블(C2)이 내려와 작동레버(170)를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작동레버(170)는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도 8의 시계방향으로 소정정도 회동되며, 일단이 작동레버(170)에 체결된 링크스프링(171) 또한 작동레버(170)와 함께 도 8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링크스프링(171)의 타단은 제 2 캐치레버(140)에 형성된 제 2 링크홀(144)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링크스프링(171)의 타단은 제 2 캐치레버(140)를 소정정도 잡아당겨,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제 2 캐치레버(140)를 도 8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제 2 캐치레버(140)는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되어, 제 2 스트라이커(40)와 걸림 또는 충돌 가능한 위치로 내려오게 된다. 즉, 제 2 캐치레버(140)는 도 5의 비활성화 상태에서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되어, 제 2 스트라이커(40)와 걸림 또는 충돌 가능한 위치로 오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와 같이 제 2 캐치레버(140)가 제 2 스트라이커(40)와 걸림 또는 충돌 가능한 위치에 있는 상태를 활성화 상태에 있다고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윈도우(12)가 다시 닫히는 경우에는 제 2 캐치레버(140)는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즉, 윈도우(12)가 다시 닫히는 경우, 세이프티 케이블(C2)은 작동레버(170)를 다시 당기게 되며, 이로 인해, 작동레버(170) 및 제 2 캐치레버(140)가 도 8의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회동되면서, 전술한 도 5와 같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도 9는 윈도우가 열림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의 제 2 작동상태도는 윈도우(12)가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는 경우 제 2 캐치레버(140)에 제 2 스트라이커(40)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을 제한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저면도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9를 참고하면, 전술한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게 되면, 제 2 캐치레버(140)가 제 2 스트라이커(40)에 체결되면서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즉, 윈도우(12)가 열린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도어(10)의 닫힘 위치에 인접하게 마련된 제 2 스트라이커(40)에 제 2 캐치레버(140)가 체결되면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지 않거나, 적어도 슬라이딩 도어(10)가 완전히 열리지 못하도록 열림 정도를 제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게 되면, 제 2 스트라이커(40)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 2 캐치레버(140)에 체결되게 된다. 제 2 스트라이커(40)의 충돌로 인해 제 2 캐치레버(140)는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도 9의 시계방향으로 소정정도 회동되며, 제 2 스트라이커(40)는 제 2 스트라이커 안착홈(141)에 체결되게 된다.
또한, 제 2 캐치레버(140)가 소정정도 회동됨에 따라, 제 2 멈춤레버(150)의 제 2 걸림돌기(151)는 제 2 캐치레버(140)에 형성된 제 2 걸림턱(143)에 걸림 결합되며, 제 2 캐치레버(140)의 회전(즉,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하려는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0)는 제 2 캐치레버(140)와 제 2 스트라이커(40) 간의 결합에 의해 더 이상 열리거나 닫히지 못하고 위치 고정되게 된다.
도 10은 윈도우가 열림 상태인 경우,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의 제 3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제 3 작동상태도는 제 2 스트라이커(40) 및 제 2 캐치레버(140)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이 제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도어 핸들(11) 조작 등에 의해 제 2 스트라이커(40)와 제 2 캐치레버(140)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작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저면도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9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는 윈도우(12)가 열림 상태인 경우 제 2 캐치레버(140)와 제 2 스트라이커(40)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다만, 의도적으로 윈도우(12)가 열려 있는 상태로 슬라이딩 도어(10)를 열고자 하는 경우나, 윈도우(12)가 열려 있더라도 안전상에 문제가 없을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는 사용자의 도어 핸들(11) 조작 등을 통해 간편하게 제 2 캐치레버(140)와 제 2 스트라이커(4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핸들(11) 등을 조작하게 되면, 작동케이블(C1)이 당겨지게 된다. 작동케이블(C1)이 당겨짐에 따라, 오픈레버(130)는 제 2 회전축(R2)을 중심으로 도 10의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정도 회동되며, 이로 인해, 오픈레버(130)의 일측은 링크레버(160)를 도 10의 B 방향으로 밀게 된다.
또한, 오픈레버(130)는 제 2 힌지핀(162)을 통해 제 2 멈춤레버(150)의 일측을 상기 B 방향으로 소정정도 밀게 되며, 이로 인해, 제 2 멈춤레버(150)는 제 4 회전축(R4)을 중심으로 도 10의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정도 회동하게 된다. 즉, 오픈레버(130)의 작동력이 링크레버(160)를 통해 제 2 멈춤레버(150)로 전달되어, 제 2 멈춤레버(150)를 도 10의 시계 방향으로 소정정도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제 2 멈춤레버(150)가 회동됨에 따라, 제 2 걸림돌기(151)와 제 2 걸림턱(143) 간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제 2 캐치레버(140)의 회전 구속이 제거되면, 제 2 캐치레버(140)는 제 4 복원스프링(145)의 복원력에 의해 제 3 회전축(R3)을 중심으로 도 10의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정도 회동된다.
즉, 제 2 캐치레버(140)는 제 2 스트라이커(40)가 체결되기 전, 전술한 도 8과 같은 상태가 되며, 제 2 스트라이커(40)는 제 2 스트라이커 안착홈(141)에서 이탈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동작 제한은 해제되게 되며,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10)를 밀면 제 2 스트라이커 안착홈(141)에서 제 2 스트라이커(40)가 이탈되면서 슬라이딩 도어(10)는 완전히 열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는, 윈도우(12)가 열림 상태인 경우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여, 윈도우(12) 밖으로 탑승자의 신체 등이 노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열리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는 단순히 열림 방향으로의 제한이 아닌, 제 2 캐치레버(140)가 제 2 스트라이커(40)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위치가 고정되게 되므로, 경사로 등에서도 보다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100)는 링크레버(160)를 통해 제 1, 2 래치부를 연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도어 핸들(11) 조작 등에 의해 간편하게 열림 제한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110: 제 1 캐치레버 111: 제 1 스트라이커 안착홈
112: 제 1 걸림턱 113: 제 1 복원스프링
114: 제 1 에어댐핑홀 120: 제 1 멈춤레버
121: 제 1 걸림돌기 122: 제 2 복원스프링
123: 제 1 링크돌기 130: 오픈레버
131: 제 3 링크홀 140: 제 2 캐치레버
141: 제 2 스트라이커 안착홈 142: 제 1 에어댐핑홀
143: 제 2 걸림턱 144: 제 2 링크홀
145: 제 4 복원스프링 150: 제 2 멈춤레버
151: 제 2 걸림돌기 152: 제 5 복원스프링
160: 링크레버 161: 제 1 힌지핀
162: 제 2 힌지핀 163: 제 1 링크홀
170: 작동레버 171: 링크스프링
180: 캐치레버 스토퍼 R1: 제 1 회전축
R2: 제 2 회전축 R3: 제 3 회전축
R4: 제 4 회전축 C1: 작동케이블
C2: 세이프티 케이블

Claims (5)

  1. 제 1 스트라이커(30)와 체결되어 슬라이딩 도어(10)을 열림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 1 캐치레버(110);
    상기 제 1 캐치레버(110)를 회전 구속하는 제 1 멈춤레버(120);
    상기 제 1 멈춤레버(120)와 링크 결합되며, 작동케이블(C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1 멈춤레버(120)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오픈레버(130);
    윈도우(12)의 열림 정도에 따라 제 2 스트라이커(40)와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0)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는 제 2 캐치레버(140);
    상기 제 2 캐치레버(140)를 회전 구속하는 제 2 멈춤레버(150); 및
    일측이 상기 오픈레버(130)에 링크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 2 멈춤레버(150)에 링크 결합되어, 상기 오픈레버(130)의 작동력을 상기 제 2 멈춤레버(150)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멈춤레버(150)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링크레버(160);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레버(160)는,
    일측이 제 1 힌지핀(161)을 매개로 상기 오픈레버(130)에 링크 결합되고, 타측이 제 2 힌지핀(162)을 매개로 상기 제 2 멈춤레버(150)에 링크 결합되되, 상기 타측에는 상기 제 2 멈춤레버(150)의 회동 반경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 1 링크홀(163)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힌지핀(162)이 상기 제 1 링크홀(163)을 따라 소정정도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치레버(140)와 링크 결합되며, 상기 윈도우(12)의 열림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 캐치레버(140)를 소정정도 회전시켜, 상기 제 2 캐치레버(140)를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작동레버(170);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치레버(140)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캐치레버(140)의 회동 반경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 2 링크홀(144)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170)는, 일단이 상기 작동레버(17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링크홀(144)에 삽입 체결된 링크스프링(171)을 통해, 상기 제 2 캐치레버(140)와 링크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170)는, 일측에 세이프티 케이블(C2)이 연결되어 상기 세이프티 케이블(C2)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세이프티 케이블(C2)은, 상기 윈도우(12)가 소정정도 이상 열린 경우에 상기 작동레버(170)를 회전시켜, 상기 제 2 캐치레버(140)를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는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KR1020120073700A 2012-07-06 2012-07-06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KR20140006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700A KR20140006529A (ko) 2012-07-06 2012-07-06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700A KR20140006529A (ko) 2012-07-06 2012-07-06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29A true KR20140006529A (ko) 2014-01-16

Family

ID=5014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700A KR20140006529A (ko) 2012-07-06 2012-07-06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5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6852A (zh) * 2016-10-10 2018-04-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滑动门的锁定装置
CN113738202A (zh) * 2020-05-28 2021-12-03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闩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6852A (zh) * 2016-10-10 2018-04-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滑动门的锁定装置
US10138662B2 (en) 2016-10-10 2018-11-27 Hyundai Motor Company Lock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CN107916852B (zh) * 2016-10-10 2020-07-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滑动门的锁定装置
DE102017201283B4 (de) 2016-10-10 2024-01-25 Hyundai Motor Company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schiebetür
CN113738202A (zh) * 2020-05-28 2021-12-03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闩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8008T3 (es) Enclavamiento de puerta de cabina con bloqueo de umbral
CN106168089B (zh) 具有双致动的闩锁及其构造方法
US10337214B2 (en) Activ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KR102109090B1 (ko) 차량용 록
JP4136835B2 (ja) 自動車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US9856675B2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door handle
CN109881999B (zh) 用于主动式行人安全闩锁的相对移位机构
KR100893442B1 (ko) 오픈 방지 구조를 갖는 차량용 트레이
KR20150096789A (ko) 차량 도어 래치
KR10115430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10179555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락킹 장치
KR101209680B1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KR101566681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154318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20140006529A (ko) 슬라이딩 도어용 열림유지장치
KR100804011B1 (ko) 스크린도어의 비상도어패널
CN110073070B (zh) 具有模块化惯性锁定机构的无框门把手组件
KR101220394B1 (ko) 차량용 도어 록킹 어셈블리
CN107438575B (zh) 可触及式电梯缓冲器
KR101209605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핸들의 스냅백 방지 장치
JP7036350B2 (ja) 自動車の為の閉鎖装置
KR100683227B1 (ko) 돌출형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KR100897693B1 (ko)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102371595B1 (ko)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