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871B1 - 차량용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871B1
KR101879871B1 KR1020160122047A KR20160122047A KR101879871B1 KR 101879871 B1 KR101879871 B1 KR 101879871B1 KR 1020160122047 A KR1020160122047 A KR 1020160122047A KR 20160122047 A KR20160122047 A KR 20160122047A KR 101879871 B1 KR101879871 B1 KR 10187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ever
lever
rotation
open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859A (ko
Inventor
최재훈
박상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원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원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8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도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도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동되는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 레버를 포함하고, 정방향 관성력 또는 역방향 관성력이 아웃사이드 핸들 또는 오프닝 레버에 작용하더라도 관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컨트롤 레버에 의해 오프닝 레버가 회전하지 않는 구조를 가져 차량의 도어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DO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의도치 않게 도어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도어의 외측면에는 아웃사이드 핸들이 장착되어 있고, 도어의 내측면에는 인사이드 핸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의 내부에는 리모콘, 키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도어 래치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어를 정상적으로 열고자 할 때, 리모콘 등의 열림 버튼을 조작시키면, 리모콘의 신호를 받은 도어 래치 어셈블리의 솔레노이드가 도어의 열림 방향으로 작동하여 도어 래치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열림 방향으로 당겨줌으로써, 도어가 열리게 된다.
한편, 차량의 도어 측면 충돌 시,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성력이 작용하여 아웃사이드 핸들이 열림 방향으로 들리면서 도어가 열리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탑승객이 차량의 외부로 튀어나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에는 측면 충돌 시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도어 열림 방지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안전성을 개선한 차량용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의도치 않게 차량의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아웃사이드 핸들에 도어의 외측 방향으로 관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오프닝 레버가 회전하지 않는 구조를 적용한 차량용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프닝 레버에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관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오프닝 레버가 회전하지 않는 구조를 적용한 차량용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도어 패널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동되는 오프닝 레버,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 레버, 및 상기 컨트롤 레버를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연결하는 더블 액팅 힌지(double acting hin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버는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보다 작은 관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오프닝 레버보다 작은 관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회전 허용부 및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회전 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저지부는,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1 부분, 및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허용부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프닝 레버는, 상기 컨트롤 레버의 상기 회전 허용부를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 저지부에 의해 저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오프닝 레버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회전 저지부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저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지면은 상기 회전 저지부의 저면에 배치되며 돌출부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블 액팅 힌지는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힌지 결합부 및 상기 컨트롤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더블 액팅 힌지는 상기 컨트롤 레버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컨트롤 레버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더블 액팅 힌지의 상기 제2 힌지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힌지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도어 패널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동되는 오프닝 레버, 및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회전 허용부 및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회전 저지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버는 관성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및 상기 오프닝 레버보다 작은 관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저지부는,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및 상기 컨트롤 레버에 상기 도어 패널의 외측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할 때 상기 컨트롤 레버가 상기 도어 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1 부분, 및 상기 오프닝 레버 및 상기 컨트롤 레버에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할 때 상기 컨트롤 레버가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개선된 차량용 도어의 구조에 의해 차량의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차량의 도어가 의도치 않게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는 도어의 외측 방향 관성력 또는 도어의 내측 방향 관성력이 아웃사이드 핸들 또는 오프닝 레버에 작용하더라도 관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컨트롤 레버에 의해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는 구조를 가져 차량의 도어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선된 차량용 도어의 구조에 의해 차량의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 적용된 차량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열림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오프닝 레버 및 컨트롤 레버에 도어의 외측 방향 관성력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오프닝 레버 및 컨트롤 레버에 도어의 내측 방향 관성력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가 적용된 차량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도어(10)는 차량(1)의 내부 공간에 출입할 수 있도록 차량(1)의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도어(10)는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패널(11)과 도어(10)의 개방을 위해 도어 패널(11)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도어(10)의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는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100), 베이스(100)에 장착되며 도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110),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아웃사이드 핸들(110)과 연동되는 오프닝 레버(12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와 아웃사이드 핸들(110) 사이에는 도어 패널(11)이 배치되며, 베이스(100)는 도어 패널(11)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고,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어 패널(11)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핸들(110)은 당김 조작 시 오프닝 레버(120)를 회전 시킬 수 있도록 도어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당김 레버(111)를 포함한다. 오프닝 레버(120)에는 도어 래치(미도시)를 작동시키기 위한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125)를 포함하며,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아웃사이드 핸들(110)이 당김 조작되면 오프닝 레버(120)가 회전되어 케이블을 작동시킨다. 오프닝 레버와 도어 래치 어셈블리(미도시)의 연결에 케이블 외에 커넥팅 로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오프닝 레버(120)는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오프닝 레버(120)에는 중공의 회전축(121)이 마련될 수 있고, 회전축(121)의 양단이 베이스(100)에 마련된 레버 결합부(102)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레버 결합부(102)에 마련된 홀(103)과 회전축에 마련된 홀(122)을 관통하는 핀(140)에 의해 오프닝 레버(120)는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핀(140)의 일단부에는 핀(140)이 베이스(100)의 레버 결합부(102)에 마련된 홀(103)의 내측벽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톱니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핀(140)의 일단에는 핀(140)이 홀(103)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핀(140)의 단면 넓이보다 넓은 단면을 가지는 헤드(141)가 마련되며, 베이스(100)의 레버 결합부(102)의 일측 홀에는 핀(140)의 헤드(1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 수용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당김 레버(111)의 단부에는 오프닝 레버(120)를 당길 수 있도록 오프닝 레버(120)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2)가 마련되고, 오프닝 레버(120)에는 당김 레버(111)의 돌출부(112)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부(127)가 마련될 수 있다.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당김 조작에 의해 오프닝 레버(120)가 회전할 때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오프닝 레버(120)에는 스토퍼(12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0)에는 오프닝 레버(120)의 스토퍼(126)가 안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스토퍼 지지부(106)가 마련될 수 있다.
오프닝 레버(120)가 회전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축(121)에는 스프링(13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130)의 일 단부는 오프닝 레버(120)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부(123)에 지지될 수 있고, 스프링(130)의 타 단부는 베이스(100)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부(105)에 지지될 수 있다.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아웃사이드 핸들(110) 및 오프닝 레버(120)에 관성 하중이 발생하여 아웃사이드 핸들(110)이 당겨지거나 오프닝 레버(120)가 회전하면 차량의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10)는, 차량의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레버(210)를 포함한다. 또한, 오프닝 레버(120)는, 컨트롤 레버(21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될 수 있도록, 컨트롤 레버(210)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는 컨트롤 레버(210)를 통과하거나 컨트롤 레버(210)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돌출부(124)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 반경과 같은 곡률 반지름을 가지도록 구부러진 판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 조립체(200)는 컨트롤 레버(210)와 컨트롤 레버(210)가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 조립체(200)가 베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220)은 베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베이스 결합부(221)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100)에는 하우징 결합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컨트롤 레버 조립체(200)는 베이스(100)가 아닌 도어 내부의 다른 구성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레버(210)가 베이스(100)에 직접 설치되거나, 도어 내부의 다른 구성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즉, 컨트롤 레버 조립체(200)의 하우징(220)은 베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어 내부의 다른 구성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 레버 조립체(200)는 컨트롤 레버(210)를 도어의 내부에 연결하는 더블 액팅 힌지(double acting hinge)(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는 더블 액팅 힌지(230)에 의해 하우징(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210)는 더블 액팅 힌지(230)에 의해 베이스(100) 또는 도어 내부의 다른 구성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블 액팅 힌지(230)는, 컨트롤 레버(21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컨트롤 레버(210)가 두 개의 힌지에 의해 하우징(2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더블 액팅 힌지(230)는 도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힌지 결합부(231)와 컨트롤 레버(210)에 결합하는 제2 힌지 결합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힌지 결합부(231)는 하우징(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1 힌지 결합부(231)에는 제1 힌지핀(240)이 관통할 수 있는 제1 힌지홀(232)이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220)의 상부 벽(222) 및 하부 벽(223)에는 제1 힌지핀(240)이 결합할 수 있는 제1 힌지핀 결합홀(22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힌지핀(240)의 일 단부에는 제1 힌지핀(240)이 이탈되지 않도록 제1 힌지핀(240)의 단면 넓이 보다 넓은 헤드(241)가 마련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우징(220)의 상부 벽(222) 또는 하부 벽(223)의 외측면에는 제1 힌지핀(240)의 헤드(2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1 힌지 결합부(231)에는 더블 액팅 힌지(230)가 제1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회전한 후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제1 힌지 스프링(26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힌지 스프링(260)의 일 단부는 하우징(220)의 상부 벽(222)에 마련되는 제1 힌지 스프링 지지홀(226)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고, 제1 힌지 스프링(260)의 타 단부는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1 힌지 스프링 지지면(237)에 지지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는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2 힌지 결합부(2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힌지 결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는 대략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힌지 결합부(213)는 사다리꼴의 단변 측 한 모퉁이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의 제3 힌지 결합부(213)에는 제2 힌지핀(250)이 관통할 수 있는 제2 힌지홀(214)이 마련될 수 있고,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2 힌지 결합부(233)에는 제2 힌지핀(250)이 결합할 수 있는 제2 힌지핀 결합홀(234)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힌지핀(250)의 일 단부에는 제2 힌지핀(250)이 이탈되지 않도록 제2 힌지핀(250)의 단면 넓이 보다 넓은 헤드(251)가 마련된다. 제2 힌지핀 결합홀(234)이 형성되는 제2 힌지 결합부(233)의 외측면에는 제2 힌지핀(250)의 헤드(251)가 안착될 수 있는 헤드 수용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의 제3 힌지 결합부(213)에는 컨트롤 레버(210)가 제2 힌지핀(250)을 중심으로 회전한 후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제2 힌지 스프링(27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힌지 스프링(270)의 일 단부는 컨트롤 레버(210)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2 힌지 스프링 지지부(216)에 지지될 수 있고, 제2 힌지 스프링(270)의 타 단부는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2 힌지 스프링 지지면(미도시)에 지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힌지 스프링 지지면은 제1 힌지 스프링 지지면(237)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가 제2 힌지핀(25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컨트롤 레버(210)에는 스토퍼(215)가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의 스토퍼(215)는 제3 힌지 결합부(213)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토퍼(215)는 대략적으로 사다리꼴로 형성된 컨트롤 레버(210)의 제3 힌지 결합부(213)가 형성된 모퉁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더블 액팅 힌지(230)의 일면은 스토퍼(215)를 지지하는 스토퍼 지지면(236)이 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레버(210)가 제1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컨트롤 레버(210)의 제1 측면(218)은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20)의 일 측벽(224)의 단부가 컨트롤 레버(210)의 제1 측면(218)을 지지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가 제1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는 더블 액팅 힌지(230) 역시 동시에 회전한다. 즉, 컨트롤 레버(21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컨트롤 레버(210)의 제2 측면(219)과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3 측면(238)은 서로 맞닿아 있으며, 컨트롤 레버(210)가 제1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는 컨트롤 레버(210)의 제2 측면(219)과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3 측면(238)이 맞닿은 상태로 동시에 회전한다. 그리고, 컨트롤 레버(210)가 제2 힌지핀(25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는 컨트롤 레버(210)의 제2 측면(219)과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3 측면(238)이 떨어져 멀어지면서 컨트롤 레버(210)만이 회전한다.
컨트롤 레버(210)는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회전 허용부(211)와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되 회전 저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허용부(211)는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가 컨트롤 레버(2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컨트롤 레버(210)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허용부(211)는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된 컨트롤 레버(210)의 장변 측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된 컨트롤 레버(210)의 장변 측에 절개되지 않은 부분이 회전 저지부(212)가 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컨트롤 레버(210)가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회전 경로를 차단하지 않으며,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는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허용부(211)를 통과할 수 있다.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에 따라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가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허용부(211)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허용부(211)는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회전 반경과 같은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레버(210)가 제1 힌지핀(240) 또는 제2 힌지핀(250)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회전 경로는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저지부(21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저지부(212)는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저지면(217)을 포함하며, 회전 저지부(212)의 저지면(217)은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가 닿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저지부(212)의 저지면(217)은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오목하게 또는 물결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24)가 삽입되도록 돌출부 수용홈(217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오프닝 레버(120)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는 컨트롤 레버(210)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회전 저지부(212)의 저지면(217)은 회전 저지부(212)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저지부(212)는, 컨트롤 레버(210)가 제1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제1 방향(A)으로 회전하였을 때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1 부분(212a)과 컨트롤 레버(210)가 제2 힌지핀(250)을 중심으로 제2 방향(B)으로 회전하였을 때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분(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가 제1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방향(A)은 컨트롤 레버(210)가 제2 힌지핀(2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방향(B)과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허용부(211)는 회전 저지부(212)의 제1 부분(212a)과 회전 저지부(212)의 제2 부분(212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가 제1 방향(A)으로 회전하는 경우 더블 액팅 힌지(230)도 동시에 회전하며, 컨트롤 레버(210)의 제1 측면(218)이 하우징(220)의 일 측벽(224)의 단부에 닿을 때까지 회전이 가능하다.
컨트롤 레버(210)와 더블 액팅 힌지(230)가 제1 방향(A)으로 회전하면 제1 힌지 스프링(260)은 제2 방향(B)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컨트롤 레버(210)와 더블 액팅 힌지(23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B)으로 회전하는 경우 컨트롤 레버(210)의 스토퍼(215)가 더블 액팅 힌지(230)의 스토퍼 지지면(236)에 닿을 때까지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B)으로 회전하는 경우 컨트롤 레버(210)의 제2 측면(219)과 더블 액팅 힌지(230)의 제3 측면(238)이 떨어져 멀어지면서 컨트롤 레버(210)만이 회전한다.
컨트롤 레버(210)가 제2 방향(B)으로 회전하면 제2 힌지 스프링(270)은 제1 방향(A)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컨트롤 레버(21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열림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오프닝 레버 및 컨트롤 레버에 도어의 외측 방향 관성력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오프닝 레버 및 컨트롤 레버에 도어의 내측 방향 관성력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적인 상황에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110)을 당기는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당김 레버(111)가 도어의 외측 방향(C), 즉 도어 패널의 외측 방향(C)으로 당겨지며,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동작과 연동하여 오프닝 레버(120)가 회전하게 된다.
컨트롤 레버(210)에 어떠한 힘도 가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컨트롤 레버(210)는 제1 방향(A) 또는 제2 방향(B)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허용부(211)를 통과할 수 있고, 오프닝 레버(120)는 도어를 개방하는 방향(E)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차량에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초기에는 충돌이 발생한 측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110), 오프닝 레버(120) 및 컨트롤 레버(210)는 관성에 의하여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관성력을 받게 된다. 이후, 측면 충돌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충돌이 발생한 측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110), 오프닝 레버(120) 및 컨트롤 레버(210)는 관성에 의하여 도어의 내측 방향(D), 즉 도어 패널의 내측 방향(D)으로 다시 관성력을 받게 된다.
한편, 차량에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이 발생한 측의 반대 측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110), 오프닝 레버(120) 및 컨트롤 레버(210)는 관성에 의하여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 관성력을 받은 후 다시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관성력을 받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아웃사이드 핸들(110)에 도어의 외측 방향(C)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관성에 의해 아웃사이드 핸들(110)이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당김 레버(111)가 오프닝 레버(120)를 열림 방향(E)으로 회전시키려고 하게 된다.
한편, 컨트롤 레버(210)에 도어의 외측 방향(C)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컨트롤 레버(210)는 제1 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가 제1 방향(A)으로 회전하게 되면,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저지부(212)의 제1 부분(212a)이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경로를 차단하여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컨트롤 레버(210)의 제1 방향(A)의 회전이 아웃사이드 핸들(110)이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당겨지는 것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컨트롤 레버(210)는 아웃사이드 핸들(110)보다 작은 관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오프닝 레버(120)에 도어의 내측 방향(D)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오프닝 레버(120)의 관성에 의해 오프닝 레버(120)가 도어의 열림 방향(E)으로 회전하려고 하게 된다.
한편, 컨트롤 레버(210)에 도어의 내측 방향(D)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컨트롤 레버(210)는 제2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210)가 제2 방향(B)으로 회전하게 되면, 컨트롤 레버(210)의 회전 저지부(212)의 제2 부분(212b)이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경로를 차단하여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컨트롤 레버(210)의 제2 방향(B)의 회전이 오프닝 레버(120)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컨트롤 레버(210)는 오프닝 레버(120)보다 작은 관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트롤 레버(310)는 더블 액팅 힌지(230) 없이 단독으로 하우징(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가 결합하는 하우징(320)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하우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컨트롤 레버(310)는 더블 액팅 힌지(230) 없이 베이스(100) 또는 도어 내부의 다른 구성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는 하우징(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힌지 결합부(313)는 사디리꼴의 단변 측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의 힌지 결합부(313)에는 힌지핀(340)이 관통할 수 있는 힌지홀(314)이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320)의 상부 벽(322) 및 하부 벽(323)에는 힌지핀(340)이 결합할 수 있는 힌지핀 결합홀(325)이 마련될 수 있다. 힌지핀(340)의 일 단부에는 힌지핀(340)이 이탈되지 않도록 힌지핀(340)의 단면 넓이 보다 넓은 헤드(341)가 마련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우징(320)의 상부 벽(322) 또는 하부 벽(323)의 외측면에는 힌지핀(340)의 헤드(3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는 힌지핀(340)을 중심으로 제1 방향(A) 및 제2 방향(B)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의 힌지 결합부(313)에는 컨트롤 레버(310)가 힌지핀(340)을 중심으로 제1 방향(A) 또는 제2 방향(B)으로 회전한 후 중심 위치로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힌지 스프링(350)이 설치될 수 있다.
힌지 스프링(350)의 일 단부는 컨트롤 레버(310)의 상면에 마련되는 스프링 지지부(316)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고, 힌지 스프링(350)의 타 단부는 하우징(320)의 상부 벽(322)에 마련되는 스프링 지지홀(326)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앞선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에 적용된 스프링(260, 270)은 한 방향의 복원력만을 제공하면 되기 때문에 컨트롤 레버(210)의 상면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부(216)가 스프링(260, 270)의 단부를 한 방향에서만 지지하면 충분하다. 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310)는 하나의 스프링(350)이 양 방향의 복원력을 모두 제공하여야 하므로 컨트롤 레버(310)의 상면에 마련된 스프링 지지부(316) 역시 스프링의 단부를 양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가 힌지핀(340)을 중심으로 제1 방향(A)으로 회전할 때 컨트롤 레버(31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컨트롤 레버(310)에는 제1 스토퍼(315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레버(310)가 힌지핀(340)을 중심으로 제2 방향(B)으로 회전할 때 컨트롤 레버(31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컨트롤 레버(310)에는 제2 스토퍼(315b)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토퍼(315a) 및 제2 스토퍼(315b)는 대략적으로 사다리꼴로 형성된 컨트롤 레버(310)의 단변 측 양 모퉁이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우징(320)에는 제1 스토퍼(315a) 및 제2 스토퍼(315b)를 지지하는 스토퍼 지지부(324)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 지지부(324)는 하우징(320)의 일 측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는 제1 부분(312a) 및 제2 부분(312b)을 포함하는 회전 저지부(312), 회전 허용부(311),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 저지면(317), 돌출부 수용홈(317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되 컨트롤 레버(310)의 구성들과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아웃사이드 핸들(110)에 도어의 외측 방향(C)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관성에 의해 아웃사이드 핸들(110)이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당김 레버(111)가 오프닝 레버(120)를 열림 방향(E)으로 회전시키려고 하게 된다.
컨트롤 레버(310)에 도어의 외측 방향(C)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컨트롤 레버(310)는 힌지핀(340)을 중심으로 제1 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컨트롤 레버(310)에 도어의 외측 방향(C)의 관성력이 작용하면, 컨트롤 레버(310)는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가 제1 방향(A)으로 회전하게 되면, 컨트롤 레버(310)의 회전 저지부(312)의 제1 부분(312a)이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경로를 차단하여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컨트롤 레버(310)의 제1 방향(A)의 회전이 아웃사이드 핸들(110)이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당겨지는 것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컨트롤 레버(310)는 아웃사이드 핸들(110)보다 작은 관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오프닝 레버(120)에 도어의 내측 방향(D)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오프닝 레버(120)의 관성에 의해 오프닝 레버(120)가 도어의 열림 방향(E)으로 회전하려고 하게 된다.
컨트롤 레버(310)에 도어의 내측 방향(D)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컨트롤 레버(310)는 힌지핀(340)을 중심으로 제2 방향(B)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컨트롤 레버(310)에 도어의 내측 방향(D)의 관성력이 작용하면, 컨트롤 레버(310)는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310)가 제2 방향(B)으로 회전하게 되면, 컨트롤 레버(310)의 회전 저지부(212)의 제2 부분(312b)이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경로를 차단하여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컨트롤 레버(310)의 제2 방향(B)의 회전이 오프닝 레버(120)가 열림 방향(E)으로 회전하는 것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컨트롤 레버(310)는 오프닝 레버(120)보다 작은 관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컨트롤 레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컨트롤 레버(410)는 하우징(4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가 결합하는 하우징(420)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하우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컨트롤 레버(410)는 베이스(100) 또는 도어 내부의 다른 구성에 직접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는 하우징(4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딩 핀 결합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 핀 결합부(413)는 사각형의 한 변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의 슬라이딩 핀 결합부(413)에는 슬라이딩 핀(440)이 결합할 수 있는 슬라이딩 핀 결합홀(414)이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420)의 상부 벽(422) 및 하부 벽(423)에는 슬라이딩 핀(440)이 관통하여 슬라이딩 할 수 있는 슬라이딩 홀(425)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핀(440)은 컨트롤 레버(410)가 슬라이딩 핀(44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단면이 기다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레버(410)의 슬라이딩 핀 결합부(413)에 마련된 슬라이딩 핀 결합홀(414) 역시 슬라이딩 핀(44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핀(440)의 일 단부에는 슬라이딩 핀(440)이 슬라이딩 홀(425)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핀(440)의 단면 넓이 보다 넓은 헤드(441)가 마련된다. 하우징(420)의 상부 벽(422)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딩 핀(440)의 헤드(4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 수용부(427)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는 슬라이딩 홀(425)을 따라 도어의 외측 방향(C) 및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핀(440)의 헤드(441)에는 컨트롤 레버(410)가 슬라이딩 홀(425)을 따라 도어의 외측 방향(C) 및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 이동한 후 중심 위치로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스프링(45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450)은 적절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450)의 일 단부는 슬라이딩 핀(440)의 헤드(441)에 마련되는 제1 스프링 고정부(442)에 결합될 수 있고, 스프링(450)의 타 단부는 하우징(420)의 상부 벽(422)에 마련되는 제2 스프링 고정부(426)에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가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이동하면 스프링(450)은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컨트롤 레버(41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레버(410)가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 이동하면 스프링(450)은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컨트롤 레버(410)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는 슬라이딩 홀(425)을 따라 도어의 외측 방향(C) 또는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홀(425)의 길이에 의해 컨트롤 레버(410)의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는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회전 허용부(411)와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되 회전 저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의 회전 허용부(411)는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가 컨트롤 레버(4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컨트롤 레버(410)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허용부(411)는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컨트롤 레버(410)의 슬라이딩 핀 결합부(413)가 형성된 변과 마주하는 변 측의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컨트롤 레버(410)의 회전 허용부(411)가 형성된 변 측에 절개되지 않은 부분이 회전 저지부(412)가 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는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 저지면(417), 돌출부 수용홈(417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컨트롤 레버(210)의 구성들과 형상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아웃사이드 핸들(110)에 도어의 외측 방향(C)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관성에 의해 아웃사이드 핸들(110)이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당김 레버(111)가 오프닝 레버(120)를 열림 방향(E)으로 회전시키려고 하게 된다.
컨트롤 레버(410)에 도어의 외측 방향(C)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컨트롤 레버(410)는 슬라이딩 홀(425)을 따라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가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레버(410)의 회전 저지부(412)의 제1 부분(412a)이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경로를 차단하여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컨트롤 레버(410)의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의 이동이 아웃사이드 핸들(110)의 도어의 외측 방향(C)으로 당겨지는 것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컨트롤 레버(410)는 아웃사이드 핸들(110)보다 작은 관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오프닝 레버(120)에 도어의 내측 방향(D)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오프닝 레버(120)의 관성에 의해 오프닝 레버(120)가 도어의 열림 방향(E)으로 회전하려고 하게 된다.
컨트롤 레버(410)에 도어의 내측 방향(D)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컨트롤 레버(410)는 슬라이딩 홀(425)을 따라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 이동할 수 있다. 컨트롤 레버(410)가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 레버(410)의 회전 저지부(412)의 제2 부분(412b)이 오프닝 레버(120)의 돌출부(124)의 경로를 차단하여 오프닝 레버(1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레버(410)의 도어의 내측 방향(D)으로의 이동이 오프닝 레버(120)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컨트롤 레버(410)는 오프닝 레버(120)보다 작은 관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차량 10: 차량용 도어
11: 도어 패널 100: 베이스
110: 아웃사이드 핸들 111: 당김 레버
120: 오프닝 레버 130: 스프링
140: 핀 200: 컨트롤 레버 조립체
210, 310, 410: 컨트롤 레버 211, 311, 411: 회전 허용부
212, 312, 412: 회전 저지부 220, 320, 420: 하우징
230: 더블 액팅 힌지 240, 250, 340: 힌지핀
440: 슬라이딩 핀 260, 270, 350, 450: 스프링

Claims (15)

  1. 도어 패널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동되는 오프닝 레버;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 레버; 및
    상기 컨트롤 레버를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연결하는 더블 액팅 힌지(double acting hinge);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회전 허용부 및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회전 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저지부는,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1 부분; 및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는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보다 작은 관성을 가지는 차량용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오프닝 레버보다 작은 관성을 가지는 차량용 도어.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허용부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 레버는, 상기 컨트롤 레버의 상기 회전 허용부를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 저지부에 의해 저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오프닝 레버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회전 저지부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저지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면은 상기 회전 저지부의 저면에 배치되며 돌출부 수용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액팅 힌지는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힌지 결합부 및 상기 컨트롤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블 액팅 힌지는 상기 컨트롤 레버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컨트롤 레버와 동시에 회전하는 차량용 도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더블 액팅 힌지의 상기 제2 힌지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12. 도어 패널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과 연동되는 오프닝 레버; 및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마련된 회전 허용부 및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회전 저지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저지부는,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1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1 부분; 및
    상기 컨트롤 레버가 제2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는 관성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및 상기 오프닝 레버보다 작은 관성을 가지는 차량용 도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레버는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차량용 도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및 상기 컨트롤 레버에 상기 도어 패널의 외측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할 때 상기 컨트롤 레버가 상기 도어 패널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오프닝 레버 및 상기 컨트롤 레버에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할 때 상기 컨트롤 레버가 상기 도어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오프닝 레버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
KR1020160122047A 2016-09-23 2016-09-23 차량용 도어 KR101879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47A KR101879871B1 (ko) 2016-09-23 2016-09-23 차량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47A KR101879871B1 (ko) 2016-09-23 2016-09-23 차량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59A KR20180032859A (ko) 2018-04-02
KR101879871B1 true KR101879871B1 (ko) 2018-07-19

Family

ID=6197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047A KR101879871B1 (ko) 2016-09-23 2016-09-23 차량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307B1 (ko) * 2018-05-30 2019-08-01 주식회사 서연전자 블로킹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CN108843158A (zh) * 2018-07-31 2018-11-20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把手惯性锁止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931B1 (ko) * 2006-12-12 2008-0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측면충돌시 도어열림 방지장치
JP2009256961A (ja) * 2008-04-16 2009-11-0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20110032508A (ko) * 2009-09-23 2011-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20140114360A (ko) * 2011-12-22 2014-09-26 발레오 에스.피.에이. 차량 도어 핸들용 안전 장치
KR101459964B1 (ko) * 2013-11-06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931B1 (ko) * 2006-12-12 2008-0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측면충돌시 도어열림 방지장치
JP2009256961A (ja) * 2008-04-16 2009-11-0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20110032508A (ko) * 2009-09-23 2011-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20140114360A (ko) * 2011-12-22 2014-09-26 발레오 에스.피.에이. 차량 도어 핸들용 안전 장치
KR101459964B1 (ko) * 2013-11-06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59A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6472B1 (en) Safety switch
EP1205617B1 (en)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sliding door
KR100373242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콘트롤러
US7232164B2 (en) Safety apparatus f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ies
US20130221690A1 (en) Vehicle door handle comprising an inertial mass
JP4616098B2 (ja) 安全スイッチ付き扉ロック装置
KR101879871B1 (ko) 차량용 도어
JP6137761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20150122681A (ko) 자동차용 래치
US10100561B2 (en) Vehicular door handle with electrically deployable latch connection and overload compensating device
JP2007154499A (ja) プッシュプル錠
WO2021126834A1 (en) Closure locking system
JPH05338496A (ja) 蓋開閉装置
US11833376B2 (en) Horizontal lifeline shuttle apparatus
US20180025878A1 (en) Electronic switching device
EP3328777B1 (en) Lock strike plate provided with an emergency unlocking system, and lock-ing device comprising said lock strike plate
KR101605784B1 (ko) 트럭용 윙도어 잠금장치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82281B1 (ko) 차량의 연료도어 장치
KR101181905B1 (ko) 도어 개폐장치
RU2694909C2 (ru) Прибор для установки между створкой и неподвижной рамой окна, двери или т.п., а также окно, дверь или т.п. с таким прибором
JP4440025B2 (ja) 開閉装置
JP6892482B2 (ja) 電気式施解錠装置
CN112443200B (zh) 门锁的推拉模块
KR200359308Y1 (ko) 회동식 창호용 핸들 오조작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