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508A -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508A
KR20110032508A KR1020090090035A KR20090090035A KR20110032508A KR 20110032508 A KR20110032508 A KR 20110032508A KR 1020090090035 A KR1020090090035 A KR 1020090090035A KR 20090090035 A KR20090090035 A KR 20090090035A KR 20110032508 A KR20110032508 A KR 20110032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grip
handle
do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0766B1 (ko
Inventor
제명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7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아웃사이드 핸들이 원하지 않게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핸들 그립이 도어 열림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립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 그립 스토퍼가 평상시 도어 열림을 위한 핸들 그립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충돌 순간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한다.
즉, 그립 스토퍼가 평상시 도어의 열림을 위한 핸들 그립의 동작시에도 연동하게 됨으로써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먼지 등에 의한 빙결이나 먼지 침착 등을 방지하여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 메커니즘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측면 충돌, 관성, 도어, 열림, 스토퍼, 그립 스토퍼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A outside handle of doo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그립(이하, 핸들 그립이라고 함)을 잡아당기면 핸들 그립의 걸림부가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레버(이하, 핸들 레버라고 함)의 돌출부를 당기게 되어 핸들 레버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핸들 레버에 연결된 로드 또는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래치가 해제되어 차량 도어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차량에 측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측면 충돌에 의해 도어 패널이 차량의 내부로 이동되는 반면, 도어 핸들은 관성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되어 핸들 그립을 잡아당기는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낳게 되며, 결과적으로 차량 도어가 열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렇게,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가 열리게 되면 탑승자가 차량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문제가 초래되어 충돌에 의한 부상 외에 문열림에 의한 추가 부상의 위험이 우려된다.
따라서, 관련 법규에 따라 기존 차량 도어에는 측면 충돌시 핸들 레버가 관성력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어가 원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 레버의 도어 열림방향(혹은 회동방향)에 대응되게 무게를 부여하는 밸런스 웨이트가 핸들 레버에 설치되거나, 혹은 측면 충돌시 핸들 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백업 레버 시스템이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베이스(이하 핸들 베이스라고 함)에 장착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된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종래 밸런스 웨이트가 차량의 측면 충돌시 L방향 관성에는 힘이 평형을 이루고 회동방향 관성에는 약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에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핸들 그립(1)이 원하지 않게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밸런스 웨이트(2)가 설치될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2)는 핸들 레버에 연결 구성된 회동축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소정부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측면 충돌 발생시 상기 밸런스 웨이트(2)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밸런스 웨이트(2)가 시계방향(도 3 참조)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회 동축을 통한 핸들 레버의 도어 열림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밸런스 웨이트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 개발 기간 동안 실차 충돌시험을 통한 튜닝을 수차례 수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 방법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필드에서도 불안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 밸런스 웨이트를 대체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첨부한 도 4와 도 5는 종래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의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본공개특허 2001-12113호(도 4 참조)는 차량의 충돌 순간 발생하는 관성을 이용하여 핸들의 도어 열림 동작을 저지하는 메커니즘을 가짐으로써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작동의 신뢰성이 기대될 수 있으나, 이는 열림방지 스토퍼(도 4의 도면부호 63, 도 5의 도면부호 5 참조)가 차량의 측면 충돌로 인한 외력이 가해지는 순간에만 동작하게 되므로 차량이 오래될수록 도어열림방지 메커니즘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통상 차량 도어의 내부는 수분이나 먼지 등이 항상 출입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그에 따른 빙결이나 먼지 침착 등의 이유로 충돌 순간에 도어 열림 방지의 메커니즘이 미작동되어 차량 도어가 열릴 확률이 매우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메커니즘의 작동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아웃사이드 핸들이 원하지 않게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핸들 그립이 도어 열림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립 스토퍼를 설치하고, 이 그립 스토퍼가 평상시 도어 열림을 위한 핸들 그립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충돌 순간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들 베이스(110)의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그립 스토퍼(130)와, 이 그립 스토퍼(130)의 회전축(133)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 스토퍼(130)의 복귀를 지원하는 스토퍼 리턴 탄성체(134)가 구성되고,
상기 그립 스토퍼(130)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핸들 그립(120)의 회동을 방지하는 도어열림방지단(131)과, 평상시 핸들 그립(120)의 도어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에 간섭되어 연동 회전되게 하는 도어열림단(132)이 구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핸들 그립의 도어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을 방지하는 그립 스토퍼가 평상시 도어의 열림을 위한 핸들 그립의 동작시에도 연동하게 됨으로써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먼지 등에 의한 빙결이나 먼지 침착 등을 방지하여 의도치 않은 도어 열림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열림 방지의 메커니즘의 주요 구성부가 핸들 베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수분 유입을 최소화하고, 더불어 도어 열림 방지 메커니즘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메커니즘의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의 우려가 매우 적으며, 평상시의 도어 열림을 위한 핸들 그립의 동작시에도 그립 스토퍼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고장 발생시 사용자가 인지하여 사전 조치가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측면 충돌시 그립 스토퍼의 미작동으로 인한 추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의 신뢰성이 향상된 차량 도어 의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그립 스토퍼(130)가 평상시 핸들 그립(120)의 도어 열림을 위한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먼지 침착이나 빙결 등을 방지하여 그립 스토퍼(130)의 충돌 순간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와 요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에 A-A에서 바라본 내부 단면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핸들의 평상시 작동상태와 차량의 충돌 발생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핸들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어 패널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핸들 베이스(110)와, 상기 핸들 베이스(1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 그립(120)과, 상기 핸들 그립(120)의 도어 열림을 위한 동작을 저지하거나 도어 열림을 위한 동작에 연동되는 그립 스토퍼(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스토퍼(130)는 핸들 베이스(110)의 내측에 힌지결합으로 장착되고, 이 힌지결합을 위한 그립 스토퍼(130)의 회전축(혹은 스토퍼 회전축)(133)에는 반시계 방향(도 8 참조)으로 회전된 그립 스토퍼(130)의 복귀를 위한 스토퍼 리턴 스프링(134, 혹은 스토퍼 리턴 탄성체)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그립 스토퍼(130)는 차량의 측면 충돌 사고 발생시에 아웃사이드 핸들이 외력을 받아서 도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시 핸들 그립(120)의 의도치 않은 회동을 저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평상시 핸들 그립(120)의 도어 열림을 위한 동작에도 회동되도록 설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메커니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그립 스토퍼(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ㅅ'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블럭 모양의 2단 구조로 형성된다.
그립 스토퍼(130)의 제1단으로서 아래쪽으로 돌출(도 7 참조) 형성된 도어열림방지단(131)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관성에 의해 회전되어 핸들 그립(120)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그립 스토퍼(130)의 제2단으로서 오른쪽으로 돌출(도 7 참조) 형성된 도어열림단(132)은 평상시 핸들 그립(120)의 도어 열림을 위한 회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은 그립 스토퍼(130)의 오랜 미작동으로 인한 먼지 침착이나 빙결 등을 방지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상기 그립 스토퍼(13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들 그립(120)의 도어 오픈을 위한 동작시, 그립 스토퍼(130)와 간섭되는 핸들 그립(120)의 부분(이하, 스토퍼 간섭부(121)라고 함)이 이동하는 궤적(L)은 도 7에 상하방향으로 도시된 점선(L)과 같으며, 이 점선(L)을 따라 스토퍼 간섭부(121)는 차량 도어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도 7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선(L)은 상기 핸들 그립(120)의 도어열림단(132)을 가로지르며 전개되고, 평상시 도어 열림 동작시에 도어열림단(132)이 스토퍼 간섭부(121)에 걸리게 되어 그립 스토퍼(130)를 회동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도어열림방지단(131)은 도 7와 같이 점선(L)에 접하지 않음으로써 평상시 도어 열림 동작시에는 그립 스토퍼(130)를 회동하게 하지 않고, 도 9와 같이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관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그립 스토퍼(130)가 회동하게 되면 이 도어열림방지단(131)이 스토퍼 간섭부(121)에 걸리게 되면서 핸들 그립(120)의 회동을 방지하여 도어 열림 동작을 저지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상기 핸들 그립(120)의 스토퍼 간섭부(121)에는 이탈방지단(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단(121a)은 스토퍼 간섭부(121)가 도어열림방지단(131)에 걸려 핸들 그립(120)의 회동이 저지될 시, 상기 스토퍼 간섭부(121)의 경사진 측면(도어열림방지단(131)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 형상으로 인해 이 스토퍼 간섭부(121)가 도어열림방지단(131)을 이탈하여 핸들 그립(120)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핸들 베이스(110)에는 그립 스토퍼(130)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복귀 가드(111)와 스토퍼 동작 가드(112)가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도어 열림을 위해 사용자가 핸들 그립(120)을 잡아당기게 되면, 핸들 그립(120)의 회전과 함께 그립 스토퍼(130)의 도어열림단(132)이 스토퍼 간섭부(121)에 걸려 연동 회전하게 되고, 사용자가 핸들 그립(120)을 놓게 되면 스토퍼 간섭부(121)가 이동한 궤적(L)을 따라 복귀하게 되며, 그립 스토퍼(130)는 스토퍼 리턴 스프링(134)의 지원을 받아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 복귀 가드(111)가 복귀하는 그립 스토퍼(130)를 저지하여 그립 스토퍼(13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 충돌시 그립 스토퍼(130)가 관성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그립 스토퍼(130)의 도어열림방지단(131)이 상기 스토퍼 간섭부(121)의 궤적(L)에 접하여 스토퍼 간섭부(121)의 이동을 간섭함으로써 핸들 그립(120)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이때 관성력에 의해 핸들 그립(120)이 계속 회동(혹은 스토퍼 간섭부(121)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그립 스토퍼(1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 동작 가드(112)가 그립 스토퍼(130)의 회전을 차단하여 핸들 그립(120)의 회동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도어 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 동작 가드(112)는 평상시 도어 열림을 위한 그립 스토퍼(130)의 회동시에도 그립 스토퍼(13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으나, 그립 스토퍼(130)의 도어열림단(132)이 도어열림방지단(131)보다 핸들 베이스(110)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평상시 핸들 동작에 의한 핸들 그립(120)의 회전각 및 스토퍼 간섭부(121)의 이동이 차량의 측면 충돌시 핸들 동작에 의한 이동보다 더 크게 될 수 있어 도어 열림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핸들 그립(120)의 도어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을 방지하는 그립 스토퍼(130)가 평상시 도어의 열림을 위한 핸들 그립(120)의 동작시에도 회동하게 됨으로써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나 먼지 등에 의한 빙결 및 먼지 침착 등을 저지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그립 스토퍼(130)의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 열림 방지 메커니즘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의 도어 열림을 위한 핸들 동작시에도 그립 스토퍼(13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도어열림방지를 위한 메커니즘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도어 오픈을 위한 핸들 그립(120)의 회동시 무언가 걸린 듯한 조작감이 느껴지거나 핸들 그립(120)의 작동이 어려워지므로 사용자가 도어 열림 방지 메커니즘의 고장을 인지하여 사전 조치가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측면 충돌시 그립 스토퍼(130)의 미작동으로 인한 추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된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종래 밸런스 웨이트가 차량의 측면 충돌시 L방향 관성에는 힘이 평형을 이루고 회동방향 관성에는 약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와 도 5는 종래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의 측면 충돌시 도어열림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와 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6에 A-A에서 바라본 내부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핸들의 평상시 작동상태와 차량의 충돌 발생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사이드 핸들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핸들베이스
111 : 스토퍼 복귀 가드
112 : 스토퍼 동작 가드
120 : 핸들 그립
121 : 스토퍼 간섭부
121a : 이탈방지단
130 : 그립 스토퍼
131 : 도어열림방지단
132 : 도어열림단
133 : 스토퍼 회전축
134 : 스토퍼 리턴 스프링

Claims (4)

  1. 핸들 베이스(110)의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그립 스토퍼(130)와, 이 그립 스토퍼(130)의 회전축(133)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 스토퍼(130)의 복귀를 지원하는 스토퍼 리턴 탄성체(134)가 구성되고,
    상기 그립 스토퍼(130)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핸들 그립(120)의 회동을 방지하는 도어열림방지단(131)과, 평상시 핸들 그립(120)의 도어 열림 방향으로의 회동에 간섭되어 연동 회전되게 하는 도어열림단(132)이 구비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열림방지단(131)이 핸들 그립(120)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동작 가드(112)가 상기 핸들 베이스(110)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열림단(132)에 의해 회전된 그립 스토퍼(130)의 복귀시, 이 그립 스토퍼(130)의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토퍼 복귀 가드(111)가 상기 핸들 베이 스(110)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 그립(120)의 스토퍼 간섭부(121)에 이탈방지단(121a)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간섭부(121)가 도어열림방지단(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20090090035A 2009-09-23 2009-09-23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108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35A KR101080766B1 (ko) 2009-09-23 2009-09-23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35A KR101080766B1 (ko) 2009-09-23 2009-09-23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508A true KR20110032508A (ko) 2011-03-30
KR101080766B1 KR101080766B1 (ko) 2011-11-07

Family

ID=4393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035A KR101080766B1 (ko) 2009-09-23 2009-09-23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7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64B1 (ko) * 2013-11-06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KR101481309B1 (ko) * 2013-08-21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KR20180032859A (ko) * 2016-09-23 2018-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US10190341B2 (en) 2016-09-12 2019-01-29 Hyundai Motor Company Door outside handle
US10267067B2 (en) 2014-10-17 2019-04-2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door having outside handle from opening
US11248400B2 (en) * 2017-09-25 2022-02-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oor handle device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door, and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4205B2 (ja) 2000-08-04 2006-09-2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におけるドア係止解除防止機構
JP5038212B2 (ja) 2008-03-31 2012-10-0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ドアアウタハンドル構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09B1 (ko) * 2013-08-21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US9279275B2 (en) 2013-08-21 2016-03-08 Hyundai Motor Company Outside handle for vehicle
KR101459964B1 (ko) * 2013-11-06 201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US9617759B2 (en) 2013-11-06 2017-04-11 Hyundai Motor Company Door holding device for vehicle
US10267067B2 (en) 2014-10-17 2019-04-2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door having outside handle from opening
US10190341B2 (en) 2016-09-12 2019-01-29 Hyundai Motor Company Door outside handle
KR20180032859A (ko) * 2016-09-23 2018-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KR101879871B1 (ko) * 2016-09-23 2018-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US11248400B2 (en) * 2017-09-25 2022-02-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oor handle device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door, and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766B1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766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US6971688B2 (en) Inertia locking mechanism
JP4791464B2 (ja) 慣性安全システムを備える自動車等を対象にしたドアハンドル
JP5526004B2 (ja) 自動車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システム
KR101801399B1 (ko) 자동차 문짝용 핸들
US20110187132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6065797A (en) Locking mechanism of door lock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KR101209680B1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KR20140130175A (ko) 차량 도어 록
KR101664565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KR101449265B1 (ko) 자동차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KR20160054990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핸들 장치
US20220034127A1 (en) Opening control device with reversible and irreversible inertial safety locking
CN110306888A (zh) 具有惯性安全阻挡件的开启控制设备
KR101470248B1 (ko)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100747227B1 (ko) 자동차의 도어아웃사이드 핸들
KR101154318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1144044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KR20050047984A (ko)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100897693B1 (ko) 차량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KR20160099901A (ko) 차량 측면 충돌 시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101080771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0941108B1 (ko) 자동차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열림 방지 구조
KR101976862B1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록킹장치
KR100368405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