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801A - 문자학습용 필기구 - Google Patents

문자학습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801A
KR20060091801A KR1020050012232A KR20050012232A KR20060091801A KR 20060091801 A KR20060091801 A KR 20060091801A KR 1020050012232 A KR1020050012232 A KR 1020050012232A KR 20050012232 A KR20050012232 A KR 20050012232A KR 20060091801 A KR20060091801 A KR 2006009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ice
predetermined
storage unit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무
Original Assignee
조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무 filed Critical 조성무
Priority to KR102005001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1801A/ko
Publication of KR2006009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학습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를 음성 및 영상을 통해 제공하는 문자학습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문자학습용 필기구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를 음성 및 영상으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부, 몸체,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힌지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설치된 선단캡,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필심을 포함한다.
필기구, 문자, PC

Description

문자학습용 필기구{WRITING MATERIALS USDE FOR STUDING LET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용 필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용 필기구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부의 회로도.
도 3a 및 3b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추가 문자정보를 얻기 위하여 문자학습용 필기구가 PC에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멀티미디어부 110: 제어부
120: 표시부 130: 저장부
140: 음성출력부 160: 키입력부
180,2080: 케이블 접속부 200: 몸체
210: 힌지부 220: 선단캡
230: 필심 1000: 문자학습용 필기구
2000: PC 3000: 접속 케이블
본 발명은 문자학습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를 음성 및 영상을 통해 제공하는 문자학습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유치원 등에서 5세 전후의 나이에 1234 등의 숫자, ?△☆ 등의 도형, ㄱㄴㄷㄹ 등의 한글을 배우는데 있어 아이들은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적어 준 문자나 각종 문자가 적혀진 학습용 교재 등을 보고 이를 반복 필기하는 방법을 통하여 문자를 학습한다.
또한, 학생, 성인들이 국제화 시대에 필수불가결한 외국어 등을 배우는 경우에는 외국어가 적혀진 책자를 보거나 학원강사의 지도를 받으며 반복 필기하면서 문자를 학습한다.
이렇게, 문자학습시 종래의 필기구는 문자를 종이에 쓰는 역할만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한글 또는 외국어 등과 같은 문자의 학습을 위해서는 별도의 교재를 구비하거나, 별도의 학습보조자가 함께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를 음성 및 영상으로 제공함으로써 필기구만을 가지고 다양한 문자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는 문자학습용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용 필기구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를 음성 및 영상으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부; 몸체;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힌지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설치된 선단캡;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필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부는, 다수의 키로 이루어졌으며 소정의 문자 모드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키입력부; 다수의 문자에 대한 음성 및 영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 및 영상 정보를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된 음성 정보에 따라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된 영상 정보에 따라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숫자, 도형, 한글, 한자, 영어, 일어, 중국어, 독일어, 또는 러시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추가 문자에 대한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가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용 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용 필기구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부의 회로도이다. 또한, 도 3a 및 3b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추가 문자정보를 얻기 위하여 문자학습용 필기구가 PC에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용 필기구(1000)는 멀티미디어부(100), 몸체(200), 선단캡(220), 및 필심(230)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부(100)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를 멀티미디어적으로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표시부(120), 음성출력부(140), 키입력부(160), 및 케이블 접속부(18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120)는 소정의 문자, 예를 들어 숫자, 도형, 한글, 한자, 영어, 일어, 중국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음성출력부(140)는 소정의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표시부(120)에 'B'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음성 '비~'를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160)는 표시부(120)와 음성출력부(140)에서 디스플레이 및 출력되는 숫자, 도형, 한글, 한자, 영어, 일어, 중국어 등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키입력부(160)는 게임 모드키도 포함하고 있어 도형, 숫자, 한글 등을 게임모드에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더욱이 시간설정키도 포함하고 있어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기설정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간설정을 30초로 설정한 경우에는 한글모드에서 먼저 '가'를 디스플레이한 후 30초후에 자동적으로 다음 문자인 '나'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시간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접속부(180)는 소정의 케이블, 예를 들면 USB 케이블을 통해 PC의 케이블 접속부와 연결하여 PC로부터 다양한 문자의 음성 및 영상 정보를 다운 로드할 수 있다.
다음, 몸체(200)의 상단부에는 힌지부(210)가 설치되어 있어 멀티미디어부(100)와 힌지결합되어 멀티미디어부(10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면에서는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음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하단부에는 선단캡(220)이 설치되어 있으며, 몸체(200) 내부에는 사용자가 문자를 쓰는데 사용되는 필심(2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문자학습용 필기구(1000)에 있어 멀티미디어부(100)의 동작원리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용 필기구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멀티미디어부(100)는 제어부(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음성출력부(140), 키 입력부(160), 및 케이블 접속부(180)를 포함한다.
먼저, 키입력부(160)를 통해 소정의 문자 모드, 예를 들어 한글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한글에 대한 영상 정보와 음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30)에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가 독출되어 영상 정보는 표시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음성 정보는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120)에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문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3a는 사용자가 키입력부(160)의 모드 선택을 통해 한글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고, 도 3b는 사용자가 영어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 는 화면이다).
또한, 여기서 저장부(130)에는 표 1에 예시한 것과 같이 한글 정보 뿐만 아니라 숫자, 도형 등 유아에서부터 학생, 성인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다.
구분 연령대 활용 데이터 수록내용(1차) 2차(단어)
유아용 3~5 도형 △ □Ο☆♡
숫자 1 2 3 4 5 6
한글(자음) ㄱ ㄴ ㄷ ㄹ
유치원생 6~7 도형 △ □Ο☆♡
숫자 1 2 3 4 5 6 11 21 101 201
한글(자음) ㄱ ㄴ ㄷ ㄹ
한글(모음) ㅏ ㅑ ㅓ ㅕ
한글 가 나 다 라 가방 나비 다람쥐
초등학생 8~13 한글 강 낭 당 많 강낭콩 낭자 당신
한문 一 二 三 四
영어(대문자) A B C D E
영어(소문자) a b c d e
중,고,대학생 성인 14~55 한문 恭 黨 喪 梨
영어 This and or
일어(히라가나) ぁぃぅぇぉ ぁりかとぅ
일어(가다카나) アイウエオ アメリカ
캐릭터 배용준 박용하 사진 프로필
다음, 케이블 접속부(180)는 PC의 케이블 접속부와 연결되어 PC로부터 혹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의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케이블 접속부(180)의 구현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추가 문자정보를 얻기 위하여 문자학습용 필기구가 PC에 연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PC(2000)의 케이블 접속부(2080)(예를 들면, USB 포트)에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용 필기구(1000)의 케이블 접속부(180)를 접속 케이블(3000)(바람직하게는,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문자학습용 필기구(1000)의 소정의 문자정보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PC(2000)로부터 추가 문자정보(예를 들면, 러시아어, 독일어, 단어, 숙어, 대화문 등)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추가 문자정보는 PC(2000)의 하드 디스크내에 저장되어 있거나 혹은 특정 웹사이트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필기구와 함께 사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멀티미디어부는 필기구와 별도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렇게 멀티미디어부가 별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부를 옆에 놓고 보면서 문자를 학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를 음성 및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를 통해 추가 문자정보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고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 은 거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문자를 음성 및 영상으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부; 몸체;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힌지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설치된 선단캡; 및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필심을 포함하는 문자학습용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부는, 다수의 키로 이루어졌으며 소정의 문자 모드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키입력부; 다수의 문자에 대한 음성 및 영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 및 영상 정보를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된 음성 정보에 따라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된 영상 정보에 따라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용 필기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숫자, 도형, 한글, 한자, 영어, 일어, 중국어, 독일어, 또는 러시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용 필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에는 시간설정키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소정 시간으로 설정가능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문자학습용 필기구.
  5. 제 2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추가 문자에 대한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가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용 필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용 필기구.
  7. 다수의 키로 이루어졌으며 소정의 문자 모드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키입력부; 다수의 문자에 대한 음성 및 영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소정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 및 영상 정보를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된 음성 정보에 따라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독출된 영상 정보에 따라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부.
KR1020050012232A 2005-02-15 2005-02-15 문자학습용 필기구 KR20060091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232A KR20060091801A (ko) 2005-02-15 2005-02-15 문자학습용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232A KR20060091801A (ko) 2005-02-15 2005-02-15 문자학습용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801A true KR20060091801A (ko) 2006-08-22

Family

ID=3759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232A KR20060091801A (ko) 2005-02-15 2005-02-15 문자학습용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1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97B1 (ko) * 2013-01-18 2014-08-13 (주)씨앤엔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시 재생 기능을 갖는 학습용 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0161A (en) * 1984-06-28 1988-04-26 Didier Schwartz Educational toy for stimulating writing
KR0130331Y1 (ko) * 1995-12-14 1998-12-15 김태숙 유아용 승용물의 음성합성 교육장치
KR200244461Y1 (ko) * 2001-05-18 2001-10-15 주식회사 상진하이테크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20060026564A (ko) * 2004-09-21 2006-03-24 박재열 언어학습기 및 언어학습기의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0161A (en) * 1984-06-28 1988-04-26 Didier Schwartz Educational toy for stimulating writing
KR0130331Y1 (ko) * 1995-12-14 1998-12-15 김태숙 유아용 승용물의 음성합성 교육장치
KR200244461Y1 (ko) * 2001-05-18 2001-10-15 주식회사 상진하이테크 필기용지 기능을 구비한 필기구
KR20060026564A (ko) * 2004-09-21 2006-03-24 박재열 언어학습기 및 언어학습기의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97B1 (ko) * 2013-01-18 2014-08-13 (주)씨앤엔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시 재생 기능을 갖는 학습용 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70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ictographic languages
KR100989455B1 (ko) 수서입력기능을 구비한 전자사전장치
US6535204B2 (en) Manuscript input data processing device
BRPI0617061A2 (pt) teclado portátil
KR101116689B1 (ko)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도트코드 기반 정보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60109377A (ko) 한글 교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장치
US8489389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dictionary function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060091801A (ko) 문자학습용 필기구
KR10137355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속기 장치
KR20220093019A (ko) 문자학습용 필기구
JP2008234085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30022784A (ko) 생각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35222B1 (ko) 외국어 번역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S5918518Y2 (ja) 翻訳装置
KR20160086169A (ko) 알파벳과 한글 상호간 오버래핑 방식이 적용된 학습용 단말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 방법 및 학습용 단말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450100Y1 (ko) 표시 기능을 가지는 스페이스 기능키 버튼을 구비한 컴퓨터용 키보드
JPS5917454B2 (ja) 漢字入力方法
JP6153299B2 (ja)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615244B1 (ko) 키패드에서의 셀렉트 버튼과 펑크션 버튼을 이용한 다국어기반 다중 문자 입력 장치와 입력방법 및 배치방법
JP4689389B2 (ja) 点字表示装置、点字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を点字表示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5215597A (ja) 発音表記出力システム
JP2008217770A (ja) 言語データ表示システム、言語データ表示方法、及び言語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JP2003084656A (ja) 白紙に直接書く感覚で文字等の書き順が学習できる装置
JP2002229721A (ja)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