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784A - 생각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생각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784A
KR20030022784A KR1020027013591A KR20027013591A KR20030022784A KR 20030022784 A KR20030022784 A KR 20030022784A KR 1020027013591 A KR1020027013591 A KR 1020027013591A KR 20027013591 A KR20027013591 A KR 20027013591A KR 20030022784 A KR20030022784 A KR 20030022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xicon
image
group
sub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지에밀르 리에우
Original Assignee
리에우, 죠지 에밀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에우, 죠지 에밀르 filed Critical 리에우, 죠지 에밀르
Publication of KR20030022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7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각을 표현하는 이미지의 편집에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장치 및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를 사용하여 생각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이것은 이미지들의 제1 서브-군을 입력-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동작과, 선택된 어휘소-이미지가 표시되게 하는 제1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서브-군의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된 생각을 나타내는 이미지에 관련된 생각을 나타내는 이미지의 제2 서브-군이 표시되게 하는 제2 제어에 의해 제1 서브-군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국제적인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각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IMAGES REPRESENTING IDEAS}
인간 두뇌의 양 대뇌 반구는 완전히 다른 영역에 대응하여 사고(thought) 정보를 처리한다. 좌뇌는 세밀한 분석에 특유한 한편, 우뇌는 종합적인 관찰력이나 시각 언어에 특유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사고를 창조하기 위해, 우뇌는 매우 빠른 속도로 동작하여 생각을 결합하고 이미지 형태로 연상시키고, 이어서 사고가 생성되면, 이를 좌뇌로 옮겨 음성 언어로 조직화하여 그 구두 표현을 제어한다. 두뇌의 자연어에 있어서, 이미지 형태의 생각은 어휘를 표시하는 이미지의 특징을 갖고 있다.
언어학에서 "표의(表意) 문자"란 용어는 형태소 혹은 낱말("단어")을 구성하는 최소 그래픽 기호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어휘소"란 용어는 의미 있는 단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비누", "비누질의", "비누로 씻다" 등의 단어는 하나의 어휘에 해당한다. 어휘는 음성(발음)이나 간단한 이미지로 표현할 수도있다. 본문은 생각을 나타내며 이와 같이 "어휘소-이미지"라고 불리는 이미지에 관련되고, 특히 George Rieu에 의해 Brenator에서 출판된 "Le langage naturel du cerveau : "Flash Bren" langue du futur?" [자연어와 두뇌: "플래시 브렌" 미래의 언어?](ISBN: 2-9504144-1-9)라는 저술에 정의된 것들에 관련된다.
발명의 이해를 위해, "플래시 브렌" 언어에서 어휘소-이미지가 무엇을 구성하는지를 보다 분명히 정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상술한 저술은 생각을 기술하는 여러 가지 방법 및 이를 전개하는 방법을 참조하여, 어휘소-이미지군의 확립에 대한 기반, 특히 생리학적, 정신 생리학적, 역사적 기반을 제시한다.
두뇌의 자연어는 다른 언어를 갖는 사람들간, 예컨대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웹 검색자들간의 교환, 또는 다른 언어들간의 번역을 위한 기준 언어 확립을 매우 기대하고 있지만, 상술한 저술은 수기 또는 인쇄만으로 어휘소-이미지를 기술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수단은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고, 상기 모두 전자 메시지 교환에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메시지를 기술할 수 있도록 어휘소-이미지를 편집하는 효율적인 수단에 관련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이 어휘소-이미지들의 보다 정확한 일부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유익하다. 각 어휘소-이미지는 우뇌에 의해 빠르게 이해되는 간단한 생각의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여, 비교적 단순하고 세계적인 것이어야 하지만, 그 세계적인 의미에 관해서는 의심할 여지가 없어야 한다. 불확실한 점이 존재한다면, 우뇌로부터 훨씬 덜 신속하게 동작하는 좌뇌로 처리가 전환되어, 이해의 처리가 느려지게 된다.
도 1은 그 하부에 "중간" 레벨 어휘소-이미지, 즉 과도한 단순화와 과도한 상세화 사이에 합의를 이루는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중간" 표현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색상과 관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1에서 "경찰"을 나타내는 두 번째 어휘소-이미지는 모자를 포함하고 있고, 그것이 모자라는 것을 이해하기 쉽도록 그 안을 어두운 색으로 하고 있는데, 종이 위에 크레용으로 모자를 색칠하는 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따라서, 그 "제1" 방식으로, 어휘소-이미지를 모자에 색을 칠하지 않고 표현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어휘소-이미지를 연필 한 획으로 그릴 수 있다. 그 획은 첨두에서 시작하여, 모자 뒤로 가서 모자 꼭대기 부분으로 올라갔다 내려와 얼굴 전체를 그린 다음, 다시 아래로 내려가기 전에 모자 뒤로 올라간다. 이 "제1" 방식에서, "플래시 브렌" 언어는 연필 한 획 또는 두 획, 가장 복잡한 어휘소-이미지는 최대 5획으로 편리하게 그려지는 어휘소-이미지로 구성된다. 그러나, 쓰기에 유용한 이 제1 표현법과 출판에 유용한 제2 표현법 외에도, 도 9를 참조하여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색상으로 어떤 어휘소-이미지를, 특히, 여전히 간단한 생각의 단위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합적인" 생각에 관련된 어휘소-이미지를 훨씬 더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표현법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문제, 즉, 이미지, 구체적으로는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 편집에 관련된 문제에 관해서는 뒤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표의 문자 편집기, 특히 중국어 및 일본어 편집기는 이미 존재한다. 이 편집기들은 대개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음성 요소에 해당하는 표의 문자의 서브-군을 요구한다. 따라서, 일본어 편집기에 대해 문자 숫자식 키보드의 사용자는 대개 3∼10개의 문자로 이루어진 음성 표현을 입력한다. 이 음성 요소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명령키를 눌러 표의 문자의 서브-군이 나타나고, 이들 중에서 사용자는 어떤 특정한 표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표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여러 문자가 고정되어 있어야 하고, 명령키에 따라 테이블에서 예컨대 포인팅 부재를 사용하여 선택해야 한다. 이와 같이 편집하는 것은 매우 느리다. 매우 많은 수의 표의 문자(수천)가 주어져 이들을 분류(단음 다의어)하는 것이 어려운 일군의 표의 문자를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표의 문자의 입력은 항상 표시할 하나의 표의 문자에 대해 순서대로 오른쪽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일군의 어휘소(lexeme)-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어휘소-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다른 언어로 편집된 문장을 나타낸다.
도 3은 표시장치의 편집창의 예를 문자와 숫자를 조합한 문장과 함께 나타낸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한 표시창을 나타내는데, 문자 숫자식 키보드에 의해 선택된 일본어 표의 문자를 표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3 및 도 4와 유사한 편집창을 나타내는데, "플래시 브렌" 언어의 어휘소-이미지를 그 발음 및 해당 단어와 함께 표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문자 숫자식 키보드의 예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형식으로 나타낸다.
도 7은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의 서브-군을 표시하고 있는 도 6의 키보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1, 제2 및 제3 서브-군을 연속하여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루트 서브-군의 다른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전자장치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전자장치의 간략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어휘소-이미지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알려져 있는 방법과 완전히 다르다. 이것은 "플래시 브렌" 언어의 어휘소-이미지가 생각의 기본 단위를 표현한다는 사실에 의한다. 따라서, 어휘소-이미지로 표현할 때 이 생각의 기본 단위들만 사용함으로써, 생각의 기본 단위들간에 두뇌에 존재하는 개념적인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50, 200 또는 200개의 어휘소-이미지로 구성되어, 생각 전역을 커버하는 제1 제한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를 준비하며, 원하는 어휘소-이미지가 이 "루트" 서브-군에서 발견되면, 커서를 그 위에 위치시켜 선택한 다음, 제1 명령에 의해 간단히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하는 어휘소-이미지가 이 서브-군에 존재하지 않으면, 관련된 어휘소-이미지에 커서를 위치시켜 선택한 다음, 선택된 어휘소-이미지 및 원하는 어휘소-이미지와 관련된 규정된 생각을 갖는 다른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를 제2 명령에 의해 호출한다.
제1 예에서, 루트 서브-군은 매우 일반적인 생각의 기본 단위들로 이루어지고, 이 루트 서브-군에서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은,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에 관련된 생각을 보다 정확하게 취급하는 어휘소 이미지로 이루어진 제2 서브-군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제2 예에서, 루트 서브-군은 단순하고 일반적인 생각의 요소들을 나타내는 어휘소-이미지들로 이루어지고, 제2 서브-군은 보다 구체적이고, 적어도, 상기 제1 서브-군에서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의 부분을 포함하는 생각의 요소들의 어휘소-이미지로 이루어진다. 이 두 예는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은, 각 선택단계에서,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여 직접 편집하거나,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에 관련된 다른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진행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문자 숫자식 타이핑으로 하는 것보다 훨씬 신속하게, 또한 중국어나 일본어 표의 문자를 편집하는 알려진 방법보다 훨씬 빠르게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다른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는 처리를 여러 번 연속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은 편집 영역 및 입력-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일군의 어휘소-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어휘소-이미지들을 편집하는 편집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이 방법은 상기 일군의 어휘소-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을 상기 입력-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브-군에서 어휘-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동작은, 선택된 어휘소-이미지가 상기 표시장치의 편집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1 명령에 의해 상기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동작; 및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에 연관된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이 상기 표시장치의 입력-표시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2 명령에 의해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동작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제2 선택 동작 뒤에, 제2 서브-군의 어휘소 이미지를 선택하는 다른 동작을 더 포함하고, 이 동작은 선택된 어휘소-이미지가 상기 표시장치의 편집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1 명령에 의해 상기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동작; 및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에 연관된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이 상기 표시장치의 입력-표시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2 명령에 의해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동작 중에서 선택된다.
논리적인 형태의 제1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단순하고 일반적인 생각의 예들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상기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보다 더 구체적인 생각의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3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상기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보다 더 구체적인 생각의 요소들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적인 제2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단순하고 일반적인 생각의 요소들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보다 구체적이고, 적어도, 상기 제1 서브-군에서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의 부분을 포함하는 생각의 요소들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입력장치가 키보드일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입력-표시 영역에 상기 키보드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이미지 내 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첫째로 키보드의 대응하는 키가 갖고 있는 기호와, 둘째로 키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되는 어휘소-이미지인, 두 개의 기호들을 갖는다.
이 다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명령 중 하나는 선택해야 하는 키를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키와 동시에 선택해야 하는 키를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입력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버튼을 구비한 포인터 장치일 때, 상기 제1 명령은 제1 버튼을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명령은 제2 버튼을 조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입력장치가 적어도, 그래픽스 태블릿을 형성하는 부분(즉, 표시 화면이 아닌 배경에 이미지가 입력되게 하는 장치)을 포함하는 경우, 이 방법은 태블릿 상에 형성된 그림들을 식별하여, 해당하는 어휘소-이미지 또는 그림그 자체를 표시하기 위한 형상 인식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에서는, 적어도 한 줄에 배치된 연속적으로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것 외에도, 이 방법은 편집창에, 어휘소-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요소의 시퀀스를 적어도 한 줄에, 어휘소-이미지의 해당 줄과 평행하게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변형예에서, 적어도 한 줄에 배치된 연속적으로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것 외에도, 이 방법은 편집창에, 어휘소-이미지에 대응하는 언어로 언어 요소의 시퀀스를 적어도 한 줄에, 어휘소-이미지의 해당 줄과 평행하게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어의 언어 요소들은 예컨대 중국어 표의 문자들 또는 표의 문자군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응용에 있어서, 이 방법의 실시에 의해 편집되는 어휘소-이미지는 적어도 메시지의 일부를 구성하고, 이 방법은 전자메일 시스템을 통해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응용에서, 입력장치가 키보드를 포함하는 경우, 어휘소-이미지의 선택은 어휘소 음성, 즉 어휘소-이미지를 나타내는 음성의 발음을 동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편집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제공하며, 이 표시장치는 편집 영역 및 입력-표시 영역을 갖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는 입력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터치-감응 화면(즉,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따라 입력이 행해질수 있게 하는 터치-감응 장치를 갖는 장치)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 터치-감응 화면은 표시장치 및 입력장치를 모두 구성하며, 입력장치는 표시장치의 적어도 입력-표시 영역을 커버하는 터치-감응 장치로 구성된다. 이 제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서, 터치-감응 화면은 그 적어도 일부분에, 입력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그래픽스 태블릿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는 표시장치, 및 입력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키보드를 형성하는 화면을 구비하며, 상기 화면의 입력-표시 영역은 키보드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입력-표시 영역과 협동하여 입력장치를 형성하는 포인터 장치를 형성하는 화면을 구비한다.
변형예에서, 입력장치는 마이크로폰, 및 발음에 따라 인식되는 연속적인 어휘소-이미지를 표시하는 보이스 인식 툴로 이루어진 제2 입력장치를 구비한다. 이 특징은 한 어휘소 음성에 어휘소-이미지 하나만이 대응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다른 변형예에서, 전자장치는 각각의 어휘소-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요소들의 시퀀스를 발음하는 보이스 합성 툴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전자장치는 각각의 어휘소-이미지에 대응하는 중국어 언어 요소의 시퀀스를 연속하여 발음하는 보이스 합성 툴을 더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툴을 더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전자장치는 또한 이동 전화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편집방법의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기준 언어로서 "플래시 브렌"의 추가적인 특징을 기재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 1은 영어 문장, 동일한 중국어 문장 및 동일한 "플래시 브렌" 언어 문장을 연속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마지막 두 줄 사이의 대응 관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며, 각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는 하나,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중국어 표의 문자와 관련된다. "플래시 브렌" 언어로 작성된 문장은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를 중국어 표의 문자 또는 표의 문자군으로 대체하는 것만으로 중국어로 직접 번역될 수 있다. 거꾸로도 이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물론, 이 특징이 일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것은 "플래시 브렌" 언어가 어떻게 기준 언어를 구성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휘소 음성에 하나의 어휘소-이미지만이 대응되기 때문에, 어떤 언어에서 "플래시 언어"로 변환하는 것은 자동적이 될 수 있지만, 그 반대 변환은 관련 언어의 문법 사항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더 복잡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보다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편집 방법은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를 실행시킨다. 표시 장치는 단순히 컴퓨터 화면 상 또는 임의의 화면상에 표시된 창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각종 포맷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3은 문자 숫자식의 문자를 이용한 영문자 입력을 도시한다. 도 4는 문자숫자식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편집한 일련의 일본어 표의 문자와 음소를 도시한다. 도 5는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를, 옵션으로 나타날 수도 있는 대응 영문자와 그 음성 발음표기와 함께 도시한다.
편집창의 통상 기능 이외에, 도 3 내지 도 5의 창은, 복수의 평행 편집 선을 표시한다는 선택적인 유리한 특징을 보유하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그래픽스 태블릿을 이용한 그림 입력을 포함하더라도, 이들 라인은 특정 표시 기능(예를 들면, 어휘소-이미지만, 음성 요소만 등)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반대로 이들은 각각 임의의 일련의 요소가 적절하고, 또한 결정된 크기로 포맷될 수 있는 곳에 표시될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이 편집 방법에 의해 실시된 입력 장치는 본래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것은 입력을 위해 연속적으로 요소의 복수의 서브-군 요소를 나타낸다. 이들 요소는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 또는 단순히 문자 숫자식의 문자(도 7 및 도 8) 또는 그 밖의 요소일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의 우측 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텍스트를 편집하기 위해 문자 숫자의 알파벳을 선택하기 위한, 또는 다른 언어에 대응하는 알파벳을 선택하기 위한(언어를 정의하는 플래그를 진행시키는 오른쪽 맨 끝 박스를 선택함), 또는 "플래시 브렌" 언어 서브-군을 선택하는 두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몇 개의 박스를 가지고 있다. 이들 두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논리 방법과 도 9에 도시된 분석 방법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도면에서,어휘소-이미지의 3개의 서브-군이 오프셋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소정 순간에 이들 서브-군 중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서브-군을 통한 역방향으로, 즉, 제3 서브-군에서 제2 서브-군으로, 또는 제2 서브-군에서 제1 서브-군으로, 또는 어느 앞의 서브-군으로 직접 항해하는 것은, 표시된 박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 등의 임의의 적절한 특정 명령(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군에서, 사용자는 포인터의 커서를 어휘소-이미지 중 하나에, 즉 우측 최상단의 새에 위치시킨다. 이 때, 사용자는, 예를 들면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 또는 왼쪽 버튼의 두 명령이 가능하다. 왼쪽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새"의 어휘소-이미지가 표시창에 표시된다. 그러나,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새를 표현하는 제2 서브-군이 나타난다. 그 다음에 사용자가 이 제2 서브-군의 맨위 라인을 따라 제4 어휘소-이미지에 커서를 위치시킨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왼쪽 마우스를 누르면, 표시창에 "오리" 어휘소-이미지가 나타난다. 그러나, 사용자가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보다 상세한 오리 유형의 새의 서브-군이 나타난다. 이 서브-군에서, 사용자는 그 다음에 제3 서브-군의 제2 라인의 제1 어휘소-이미지에 포인터 커서를 위치시켜 왼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백조"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터치 감응 화면을 이용할 때, 두 명령은 다음과 같다, 즉, 각 어휘소-이미지 박스의 2개의 한정된 영역 중 하나와 스타일러스의 선단 사이를 접속시키거나; 또는, 스타일러스의 상하 이동과 스타일러스로 진행된 버튼의 이동 중 어느 하나, 또는 스타일러스의 선단과 터치 감응 화면 사이의 접촉을 길게 또는 짧게 유지시키는 것 등에 의해, 터지 감응 화면의 다소 큰 면적과 스타일러스의 선단 사이를 접촉시키는 것이다.
요약하면, 단일 명령에 의해 사용자는 제1 서브-군 또는 루트 서브-군으로부터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고, 두 명령에 의해 사용자는 제2 서브-군으로부터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세 명령에 의해 제3 서브-군으로부터 어휘소-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어휘소-이미지에 대해 40 박스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 예에서, 이들 3 레벨의 서브-군은 64,000 어휘소-이미지에 이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입력 장치는, 화면당 100 또는 200 박스를 가지면, 3 레벨의 서브-군에 의해 수백만개의 박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레벨은 실제적으로 무제한으로 가산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본래의 "플래시 브렌" 언어 모두를 커버하는데는 서브-군들 중 3 레벨의 선택이면 충분하다.
본래, 모든 서브-군이 동일한 수의 어휘소-이미지를 가질 필요가 없고, 일부가 감응하게 되어 어휘소-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이 어려움을 나타낼 수 있다. 대응 서브-군의 부분이 확대되게 하는 확대 글라스 유형의 컴퓨터 툴을 갖는 것은 이로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밖의 기호 또는 이미지를 어휘소-이미지와 혼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술 통신에서는, 각종 기술 분야(전기, 전자, 기계 등)의 표준 기호 등의 일련의 어휘소-이미지 기호에 포함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제1 또는 루트 서브-군이 일반적인 의미의 "새" 생각의 기본 유닛을 선택하는데 사용되고, 제2 서브-군이 "오리 유형의 새"를 특정하는데 사용되며, 제3 서브-군이 보다 상세히 "백조 유형의 오리 유형의 새"를 특정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방법의 논리 도구에 관한 것이다.
도 9에 도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도면은 "oneirology"를 의미하는 어휘소-이미지를 나타낸다. 이 개념은 꿈(감은 눈과 구름("oneiro")으로 표시됨)과 공부(손과 연필("logy")의 조합으로 표시됨)에 관한 것이다. 이 예에서, 이것은, 오른쪽에 도시된 4개의 어휘소-이미지(감은 눈, 구름, 손, 연필) 중 하나를 루트 서브-군으로부터 선택함으로써 분석적으로 "oneirology" 어휘소-이미지에 모인다. 이후에 제2 서브-군은 루트 서브-군에서 선택된 어휘소-이미지로 분석 링크를 갖는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선택된 어휘소-이미지가 구름이면,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구름을 포함하는 표시의 어휘소-이미지들을 포함한다. 어휘소-이미지 이 서브-군에 있지 않으면, "꿈" 어휘소-이미지가 선택되고, 제3 서브-군이 감은 눈과 구름 모두를 포함하는 모든 어휘소-화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편집 방법을 이용하여 준비된 문서를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해서, 각각의 어휘소-이미지를 코드, 예컨대 "유니코드" 군에 의해 인지됨으로써 각각의 어휘소-이미지가 그래픽보다는 오히려 단일 "문자"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맹인들이 사용하기에 이로운 변형예에서, 이용되는 장치는 양각(relief)의 키보드를 가지며, (이들 환경 하에서 표시될 수 없는) 어휘소-이미지의 선택은 소리내어지는 어휘소 사운드 즉, 어휘소-이미지를 나타내며 맹인들에 의해 선택되어 통지된 사운드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판독되거나 청취 가능한 메시지를 예컨대, 이메일로 전송한 후, 맹인들이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어휘소-이미지의 전체 군은 다운로딩에 의해 또는 자기 매체 상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군의 관리 및 그 업데이트는 독립적인 권한의 책임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 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하기에 기술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편집 방법을 구현한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도면이다. 본래, 이 장치는 터치-감응 화면을 구비한다. 터치-감응이 필요 없는 스크린의 상부(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식의 편집창을 형성한다. 하부(12)는 입력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터치-감응 영역이며, 예컨대 입력 영역은 도 6 내지 도 9의 입력 장치와 상응하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변형예에서, 도 10의 12 등의 특정 명령 버튼 또는 스크린의 터치-감응 영역을 이용하여 적용된 명령은 어휘소-이미지를 스타일러스로 쓰는 것이 가능한 터치-감응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그래픽 태블릿을 만들 수 있게 한다. 형상 인식 소프트웨어에 의해 어휘소-이미지가 인식될 때마다 편집창에 표시된다. 또한 손으로 그린 그림 또는 글씨는 임의로 포맷되어 편집 라인 상에 그래픽 형태로 직접 편집된다.
도 11에 도시된 제2 실시형태에서,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종류의 편집창(16)을 그 상부에 가지며, 그 하부에 장치와 연결된 키보드(20)의이미지(18)를 갖는 스크린을 구비한다. 키보드(20)는 통상 문자 숫자식 기호인 기호를 전달하는 키를 갖는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도 11의 스크린의 하단부에 형성된 키보드의 이미지(18)는 키보드의 레이아웃에 상응하는 이미지이며, 키보드의 키를 나타내는 각각의 정사각형은 그 키 위에 실제로 표시된 기호 및 선택된 기능에 따라 불려질 기호(문자 숫자식, "플래시 브렌", 다른 언어)를 전달한다.
도 12에 도시된 제3 실시형태에서, 마찬가지로 장치는 상부에 편집창(22)을 가지며, 하부에 도 6 내지 도 9와 유사한 키보드의 이미지(24)를 갖는 스크린을 구비하며, 장치는 일반적인 명령 버튼에 추가하여 포인터 장치(26)를 더 구비한다. 이는 휴대용 컴퓨터에 흔히 존재하는 형태의 터치-감응 영역 또는 종래의 마우스 또는 트랙 볼(track ball)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13은 상기 언급한 제1 또는 제3 실시형태에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지만, 표시 장치 및 입력 장치를 형성하는 2개의 부분은 분리되어, 그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힌지(hinge)로 체결된다. 상기 부분 중 일측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 화면,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며, 하부는 어떠한 형태의 입력 장치, 터치-감응 화면 또는 포인터 장치에 의해 선택이 실행될 수 있는 키보드의 이미지를 갖는 스크린을 나타낸다. 상기 부분 중 일측은 휴대폰의 전체 구성요소의 외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도 13은 안테나가 설치되어 휴대폰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연결에 적당한 "플래시 브렌" 자연어를 편집하는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을 나타낸다.
이 요소에 대해서는 전자장치의 제조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요소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자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본 발명의 이점 또는 편집 옵션을 보완하는 다른 공지된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집창은 나란히 배치된 어휘소-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언급된다. 또한,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 음성의 발음 표기 및 언어에 상응하는 단어가 평행선 또는 동일선상에 나타내는 것으로 언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의 언어에 의해, 평행선상에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에 상응하는 문자 또는 표의문자를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휴대폰 또는 이용중인 다른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에서 구현되는 편집 방법은 다른 언어의 인터넷 검색자가 공용언어, "플래시 브렌" 자연언어의 메시지로 변환하는데 매우 이점이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플래시 브렌" 편집기가 이들 장치에 이용된 이메일 시스템에 결합되는데 이점이 있다. 특히, 실행된 편집이 그래픽 요소를 포함한다면, 팩스로 상응하는 문서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언급된 장치에는 전자공학에서 널리 공지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음성 인식이 하나의 기능이다. 장치가 마이크로폰 및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면, 발음된 음성을 인식하여 직접 "플래시 브렌" 어휘소-이미지로 기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편집된 문장 또는 특정 언어로 그들의 번역에 상응하는 말로 발음할 수 있는 음성 합성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편집 방법의 이점으로는 다양한 종래의 워드 프로세서 기능 특히, 선택 또는 오려두기 및 붙이기를 구현한다.
또한, 장치의 이점으로는 새로운 어휘소-이미지가 도입되고, 즉시 장치에 이미지가 생성되거나 이미지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치가 그래픽 태블릿을 구비하는 부분을 가질 때(제1 실시형태), 특히, 새로운 어휘소-이미지가 도입될 수 있다. 물론, 태블릿은 단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 이상의 편집 라인에 배치되는 신호를 입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서만 기술하여 도시되었으며, 그 구성요소에 상응하는 어떠한 기술적 동등물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편집 영역 및 입력-표시 영역을 갖는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일군의 어휘소-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어휘소-이미지들을 편집하는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일군의 어휘소-이미지들 중에서 선택된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을 상기 입력-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브-군에서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동작은,
    선택된 어휘소-이미지가 상기 표시장치의 편집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1 명령에 의해 상기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동작; 및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에 연관된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이 상기 표시장치의 입력-표시 영역에 표시되게 하는 제2 명령에 의해 상기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동작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소-이미지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단순하고 일반적인 생각의 예들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상기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보다 더 구체적인 생각의 요소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소-이미지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단순하고 일반적인 생각의 요소들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서브-군의 어휘소-이미지들은 보다 구체적이고, 상기 제1 서브-군에서 선택된 어휘소-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생각의 요소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소-이미지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키보드일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입력-표시 영역에 상기 키보드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이미지 내 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첫째로 상기 키보드의 대응하는 키가 갖고 있는 기호와, 둘째로 키를 조작함으로써 선택되는 어휘소-이미지인, 두 개의 기호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소-이미지 편집 방법.
  5.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버튼을 구비한 포인터 장치일 때, 상기 제1 명령은 제1 버튼을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명령은 제2 버튼을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소-이미지 편집 방법.
  6. 표시장치 및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로서, 상기 전자장치는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집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며, 상기 표시장치가 편집 영역(10) 및 입력-표시 영역(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입력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터치-감응 화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표시장치를 이루는 화면, 및 상기 입력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키보드(20)를 구비하며, 상기 화면의 입력-표시 영역(18)은 상기 키보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표시장치를 이루는 화면, 및 상기 표시장치의 입력-표시 영역(24)과 협동하여 상기 입력장치를 이루는 포인터(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027013591A 2000-04-10 2001-04-06 생각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227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4592A FR2807560B1 (fr) 2000-04-10 2000-04-10 Procede et appareil d'edition d'images representatives d'idees
FR00/04592 2000-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784A true KR20030022784A (ko) 2003-03-17

Family

ID=884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591A KR20030022784A (ko) 2000-04-10 2001-04-06 생각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78326B2 (ko)
EP (1) EP1272919A1 (ko)
JP (1) JP2004517375A (ko)
KR (1) KR20030022784A (ko)
CN (1) CN1427966A (ko)
AU (1) AU2001248486A1 (ko)
FR (1) FR2807560B1 (ko)
WO (1) WO2001077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86456A1 (en) 2000-08-11 2002-02-25 Jens Erik Sorensen Management of ideas accumulated in a computer database
FR2835084A1 (fr) * 2002-01-21 2003-07-25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et dispositif d'apprentissage d'une langue pivot
WO2003063021A2 (fr) * 2002-01-21 2003-07-31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Procede et dispositif d'apprentissage et d'edition d'une langue pivot
FR2835085B1 (fr) * 2002-01-21 2005-04-29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et dispositif d'edition de lexemes-images
EP1355227A1 (en) * 2002-04-15 2003-10-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input in a mobile device
US7145309B2 (en) * 2004-09-14 2006-12-0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Open loop motor parking method and system
GB0513888D0 (en) * 2005-07-06 2005-08-10 Btg Int Ltd Core 2 GLCNAC-T Inhibitors II
FR2941797B1 (fr) * 2009-02-03 2012-02-17 Centre Nat Rech Scient Procede et dispositif d'ecriture universelle naturel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9908D0 (en) * 1986-12-15 1987-01-28 Kemano Ltd Words & characters computer input device
US5065347A (en) * 1988-08-11 1991-11-12 Xerox Corporation Hierarchical folders display
CA2137981C (en) * 1993-12-22 2001-04-17 Steven A. Shaima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lternatives for selection using adaptive learning
WO1996009579A1 (en) * 1994-09-22 1996-03-28 Izak Van Cruyningen Popup menus with directional gestures
US5857212A (en) * 1995-07-06 1999-01-05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horizontal alignment of tokens in a structural representation program editor
US6122741A (en) * 1997-09-19 2000-09-19 Patterson; David M. Distributed method of and system for maintaining application program security
US6173441B1 (en) * 1998-10-16 2001-01-09 Peter A. Klein Method and system for compiling source code containing natural language instructions
US6691282B1 (en) * 1999-06-22 2004-02-10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navigating containment hierarchies
US6785677B1 (en) * 2001-05-02 2004-08-31 Unisys Corporation Method for execution of query to search strings of characters that match pattern with a target string utilizing bit v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7803A1 (fr) 2001-10-18
AU2001248486A1 (en) 2001-10-23
US20040216051A1 (en) 2004-10-28
CN1427966A (zh) 2003-07-02
FR2807560B1 (fr) 2002-07-05
FR2807560A1 (fr) 2001-10-12
US6978326B2 (en) 2005-12-20
JP2004517375A (ja) 2004-06-10
EP1272919A1 (fr)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im Electric language: A philosophical study of word processing
KR940005434B1 (ko) 초서체 한자(漢字)를 선택, 기억 및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Raman Auditory user interfaces: toward the speaking computer
US20040218451A1 (en) Accessible user interface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0953979B1 (ko) 수화 학습 시스템
US6140913A (en)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rsons to generate graphical data in a computer
WO2005022296A2 (en) Method and system for mutely communication in a spoken language
Dhanjal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sign language notation systems for Indian sign language
KR20030022784A (ko) 생각을 표현하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
Kumar Human computer interaction
WO2000060560A1 (en) Text processing and display methods and systems
US20030003428A1 (en)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for supporting reading of a text
Dasgupta et al. A speech enabled Indian language text to Braille transliteration system
Hersh et al. Accessible information: an overview
KR100505346B1 (ko) 플래쉬 기법을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Edwards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visually disabled users
KR100805259B1 (ko)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Perfetti et al. 11 Writing Systems and Global Literacy Development
JP7109498B2 (ja) 音声入力装置
Fateman Handwriting+ speech for computer entry of mathematics
Mudur On the need for cultural representation in interactive systems
EP1221082B1 (en) Use of english phonetics to write non-roman characters
Soiffer et al. Mathematics and statistics
Nandadasa A Bliss Writing System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