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836A - 착색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착색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836A
KR20060088836A KR1020060009580A KR20060009580A KR20060088836A KR 20060088836 A KR20060088836 A KR 20060088836A KR 1020060009580 A KR1020060009580 A KR 1020060009580A KR 20060009580 A KR20060009580 A KR 20060009580A KR 20060088836 A KR20060088836 A KR 20060088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composition
pigment
coating
color fil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1493B1 (ko
Inventor
히데오 타카하시
료 요코테
미에 시미즈
켄 이토이
Original Assignee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2D5/765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Filt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코팅법에 의한 도막 형성에 사용하더라도 기판 외주부에 도막의 막두께 차가 생기기 어렵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착색 조성물의 제공, 및 중심부와 외주부에서 막두께 차가 작으며,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명 수지, 그 전구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색소 담체와, 색소와, 유기용제와,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로서, 상기 착색 조성물의 1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I)과 10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II)이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착색 조성물, 및 기판상에, 다이코팅 방식의 도포장치를 사용해서 상기 착색 조성물을 도포하여,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
[{(I)-(II)}/(I)]×100≤7.0 …(1)
착색 조성물, 컬러필터, 동적 표면 장력

Description

착색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COLORED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다이코팅 방식의 도포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포장치(다이코터)에 의한 도포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도포 헤드 2 : 프론트립
3 : 리어립 4 : 매니폴드
5 : 슬릿 6 : 배관
7 : 밸브 8 : 정량 펌프
9 : 필터 10 : 도포액 탱크
11 : 도막 12 : 도공 기판
13 : 반송 스테이지
본 발명은 컬러 액정 표시장치, 컬러 촬상관 소자 등에 사용되는 컬러필터의 제조에 사용되는 착색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 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 컬러 촬상관 소자(CCD) 등을 구성하는 컬러필터의 제조에 있어서는, 도포액을 투명 기판상에 도포하여, 건조 시의 막두께가 약 1∼3㎛인 균일한 도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도포방식으로서는, 스핀코팅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스핀코팅법은 투명 기판을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투명 기판상에 도포액을 적하하고, 원심력에 의해 도포액을 얇게 펴며, 도포액 점도나 회전수 등에 의해 정해지는 막두께의 도막을 투명 기판의 표면에 형성하는 도포방법이다. 스핀코팅법에는 대기 개방형 및 밀폐 컵식이 있으나, 어떠한 방식에서도, 투명 기판의 회전 중심부분 및 외주부분의 도포막 두께가 그 중간부분에 비해서 너무 두꺼워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 결점을 해소해서, 스핀코팅법에 의해 도포한 경우에 중심부 및 외주부와 중간부분과의 막두께 차가 작으며,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로서, 안료, 바인더 폴리머 및 감방사선 화합물이 특정의 유기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6-3521호 공보 참조).
상기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도막의 막두께 차가 작아지지만, 스핀코팅법에서는, 투명 기판 위에 적하한 도포액 중 투명 기판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은 수%에 불과하고, 나머지 90수%의 도포액은 투명 기판으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낭비가 많다고 하는 결점이 있으며, 최근의 기판 사이즈의 대형화에 따라, 이 결점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핀코팅법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다이코팅법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7-16801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0-193818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공개 2001-195004호 공보 참조). 다이코팅법은 스핀코팅법에 비해서 도포액의 낭비가 적은 것에 더하여, 도포 헤드 선단까지, 도포액의 공급 회로가 모두 밀폐계라고 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다이코팅법에서는 기판 외주부의 도막이 솟아올라, 기판 중심부의 도막에 비해서 두꺼워지는, 이른바 뿔이 생긴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최근의 패널의 대형화에 따라, 기판의 단(端)까지 큰 패널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판 외주부에 막두께 차가 생기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문제는 중심부와 외주부와의 막두께 차가 작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개발된 스핀코팅용의 조성물을 사용한 것에서는, 요구되는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이코팅법에 의한 도막 형성에 사용하더라도 기판 외주부에 도막의 막두께 차가 생기기 어렵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착색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부와 외주부에서 막두께 차가 작으며,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컬러필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부와 외주부에서 막두께 차가 작으며,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투명 수지, 그 전구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색소 담체와, 색소와, 유기용제와,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로서, 상기 착색 조성물의 1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I)과 10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II)이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II)}/(I)]×100≤7.0 …(1)
또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로 형성되는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은 블랙 매트릭스 및/또는 필터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으로서, 기판상에, 다이코팅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도포하여,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개시는 2005년 2월 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05-026230호에 기재된 주제와 관련하고 있으며, 그들의 개시 내용은 인용에 의해 여기에 원용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착색 조성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투명 수지, 그 전구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색소 담체와, 색소와, 유기용제와,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로서, 상기 착색 조성물의 1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I)과 10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II)이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II)}/(I)]×100≤7.0 …(1)
좌변의 값이 7.0보다 큰 착색 조성물을 사용해서 도막을 형성한 경우에는, 기판 외주부의 도막이 기판 중심부의 도막에 비해서 두껍게 솟아올라, 뿔이 생긴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포함되는 레벨링제로서는, 실리콘계 레벨링제, 특히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Figure 112006007586994-PAT00001
식 중, m은 5∼30, 바람직하게는 10∼20의 정수이고, n은 50∼100, 바람직하게는 60∼90의 정수이며, x는 1∼20, 바람직하게는 5∼15의 정수이다.
상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시판의 실리콘계 레벨링제로서는, 빅케미사 제품 "BYK-330"(식 (2)에 있어서, m은 14, n은 77, x는 10이다.) 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시판의 실리콘계 레벨링제로서는, 빅케미사 제품 "BYK-320", "BYK-323", "BYK-333"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레벨링제는 착색 조성물 중의 색소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포함되는 색소 담체는, 투명 수지, 그 전구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의해 구성된다. 투명 수지는 가시광 영역의 400∼700nm의 전파장 영역에 있어서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수지이다. 투명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및 감광성 수지를 들 수 있으며, 그 전구체로서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 경화해서 투명 수지를 생성하는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를 들 수 있고, 그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색소 담체는 착색 조성물 중의 색소 100중량부에 대해서, 30∼7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45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와 그 전구체와의 혼합물을 색소 담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 수지는 착색 조성물 중의 색소 100중량부에 대해서, 20∼4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25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의 전구체는 착색 조성물 중의 색소 100중량부에 대해서, 10∼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20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부티랄 수지,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 합체, 폴리초산비닐,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수지, 고무계 수지, 환화고무계 수지, 셀룰로오스류, 폴리에틸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benzoguanamine) 수지, 로진 변성 말레인산 수지, 로진 변성 푸마르산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감광성 수지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등의 반응성의 치환기를 갖는 선상(線狀) 고분자에, 이소시아네이트기, 알데히드기, 에폭시기 등의 반응성의 치환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화합물이나 계피산을 반응시켜서, (메타)아크릴로일기, 스티릴기 등의 광가교성 기를 상기 선상 고분자에 도입한 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물이나 α-올레핀-무수말레인산 공중합물 등의 산무수물을 포함하는 선상 고분자를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화합물에 의해 하프에스테르화한 것도 사용된다.
투명 수지의 전구체인 모노머 및 올리고머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β-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디 (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메틸올화 멜라민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의 각종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스티렌, 초산비닐, 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트리비닐에테르, (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포름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포함되는 색소로서는, 유기 또는 무기의 안료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안료 중에서는, 발색성이 높고, 또한 내열성이 높은 안료, 특히 내열분해성(耐熱分解性)이 높은 안료가 바람직하며, 통상은 유기 안료가 사용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안료의 구체예를, 컬러 인덱스 번호로 나타낸다.
적색 필터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한 적색 착색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C.I. Pigment Red 7, 9, 14, 41, 48:1, 48: 2, 48:3, 48:4, 81:1, 81:2, 81:3, 97, 122, 123, 146, 149, 168, 177, 178, 180, 184, 185, 187, 192, 200, 202, 208, 210, 215, 216, 217, 220, 223, 224, 226, 227, 228, 240, 246, 254, 255, 264, 272 등의 적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적색 착색 조성물에는, 황색 안료, 오렌지 안료를 병용할 수 있다.
옐로우색 필터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한 옐로우색 착색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C.I. Pigment Yellow 1, 2, 3, 4, 5, 6, 10, 12, 13, 14, 15, 16, 17, 18, 20, 24, 31, 32, 34, 35, 35:1, 36, 36:1, 37, 37:1, 40, 42, 43, 53, 55, 60, 61, 62, 63, 65, 73, 74, 77, 81, 83, 86, 93, 94, 95, 97, 98, 100, 101, 104, 106, 108, 109, 110,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3, 125, 126, 127, 128, 129, 137, 138, 139, 147, 148,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61, 162, 164,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9, 180, 181, 182, 185, 187, 188, 193, 194, 199 등의 황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오렌지색 필터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한 오렌지색 착색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C.I. Pigment Orange 36, 43, 51, 55, 59, 61 등의 오렌지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녹색 필터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한 녹색 착색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C.I. Pigment Green 7, 10, 36, 37 등의 녹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녹색 착색 조성물에는 황색 안료를 병용할 수 있다.
청색 필터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한 청색 착색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C.I. Pigment Blue 15, 15:1, 15:2, 15:3, 15:4, 15:6, 16, 22, 60, 64 등의 청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청색 착색 조성물에는 C.I. Pigment Violet 1, 19, 23, 27, 29, 30, 32, 37, 40, 42, 50 등의 자색 안료를 병용할 수 있다.
시안색 필터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한 시안색 착색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C.I. Pigment Blue 15:1, 15:2, 15:4, 15:3, 15:6, 16, 81 등의 청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마젠타색 필터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위한 마젠타색 착색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C.I. Pigment Violet 1, 19, C.I. Pigment Red 144, 146, 177, 169, 81 등의 자색 안료 및 적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마젠타색 착색 조성물에는, 황색 안료를 병용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한 흑색 착색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카본블랙, 아닐린 블랙(aniline black), 안트라퀴논계 흑색 안료, 페릴렌계 흑색 안료, 구체적으로는 C.I. 피그먼트 블랙 1, 6, 7, 12, 20, 3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흑색 착색 조성물에는, 적색 안료, 청색 안료, 녹색 안료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흑색 안료로서는, 가격, 차광성의 크기에서 카본블랙이 바람직하며, 카본블랙은 수지 등으로 표면처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색조를 조정하기 위해서, 흑색 착색 조성물에는 청색 안료나 자색 안료를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 안료로서는, 황산바륨, 아연화(亞鉛華), 황산납, 황색납, 아연황, 벵갈라(적색 산화철(III)), 카드뮴 레드, 군청, 감청, 산화크롬 그린, 코발트 그린, 엄버(umber), 티탄블랙, 합성 철흑(鐵黑), 산화티탄, 사산화철 등의 금속산화물 분말이나, 금속황화물 분말이나, 금속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안료는 채도와 명도의 밸런스를 취하면서 양호한 도포성, 감도, 현상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 유기 안료와 조합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는, 조색을 위해서, 내열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염료를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기용제로서는, 2-헵타논, 4-헵타논, 시 클로헥사논, 초산 n-부틸, 초산이소부틸, 초산이소아민, 초산 n-아밀, 메틸이소부틸케톤, n-부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1,2,3-트리클로로프로판, o-클로로톨루엔, o-크실렌, m-크실렌, 3-메톡시-3-메틸-1-부탄올, 1,3-부탄디올, 3-메틸-1,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디이소부틸케톤,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톡시-3-메틸부틸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p-클로로톨루엔, o-디에틸벤젠, m-디에틸벤젠, p-디에틸벤젠, o-디클로로벤젠, m-디클로로벤젠, n-부틸벤젠, sec-부틸벤젠, tert-부틸벤젠, 시클로헥사놀, 메틸시클로헥사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된다. 유기용제는 착색 조성물 중의 색소 100중량부에 대해서, 800∼4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0∼250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는, 상기 조성물을 자외선 등의 광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가 첨가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디에톡시아세토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포리노페닐)-부탄-1-온 등의 아세톤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 벤조일안식향산, 벤조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아크릴화 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등의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티옥산톤(thioxanthone),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2,4,6-트리클로로-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톨릴(tolyl))-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피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스티릴-s-트리아진, 2-(나프토-1-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나프토-1-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페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광중합 개시제, 보레이트계 광중합 개시제, 카르 바졸계 광중합 개시제, 이미다졸계 광중합 개시제 등이 사용된다. 광중합 개시제는 착색 조성물 중의 색소 100중량부에 대해서, 5∼2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15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증감제로서는, α-아실옥심에스테르, 아실포스핀옥사이드, 메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벤질, 9,10-페난트렌퀴논, 캄파퀴논, 에틸안트라퀴논, 4,4'-디에틸이소프탈로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화합물을 병용할 수도 있다. 증감제는 착색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 100중량부에 대해서, 0.1∼6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색소를, 레벨링제, 및 필요에 따라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와 함께, 색소 담체 및 유기용제 중에 3개 롤밀, 2개 롤밀, 샌드밀, 니더, 어트리터(attritor) 등의 각종 분산수단을 사용해서 미세하게 분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레벨링제는 색소를 색소 담체 및 유기용제 중에 분산한 후에 첨가해도 좋다. 또한, 2종 이상의 색소를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은 각 색소를 따로따로 색소 담체 및 유기용제 중에 미세하게 분산한 것을 혼합해서 제조할 수도 있다. 색소를 색소 담체 및 유기용제 중에 분산할 때에는, 적절히, 수지형 안료 분산제, 계면활성제, 색소 유도체 등의 분산 조제(助劑)를 함유시킬 수 있다. 분산 조제는 안료의 분산이 우수하며, 분산 후의 안료의 재응집을 방지하는 효과가 크므로, 분산 조제를 사용해서 안료를 색소 담체 및 유기용제 중에 분산해서 이루어지는 착색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투명성이 우수한 컬러필터가 얻어진다. 분산 조제는 착색 조성물 중의 색소 100중량부에 대해서, 0.1∼4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3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지형 안료 분산제는 안료에 흡착하는 성질을 갖는 안료 친화성 부위와, 색소 담체와 상용성이 있는 부위를 갖는 수지이며, 안료에 흡착해서 안료의 색소 담체로의 분산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수지형 안료 분산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투명 수지로서 사용되는 수지 이외의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카르복실산에스테르, 불포화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복실산, 폴리카르복실산(부분)아민염, 폴리카르복실산암모늄염, 폴리카르복실산알킬아민염, 폴리실록산, 장쇄(長鎖) 폴리아미노아미드인산염, 수산기 함유 폴리카르복실산에스테르나, 이들의 변성물, 폴리(저급 알킬렌이민)과 유리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아미드나 그 염 등의 유성 분산제, (메타)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인산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수지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에스테르계,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화합물, 인산에스테르계 등이 사용되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알칼리염, 알킬나프탈린술폰산나트륨,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암모늄, 스테아린산모노에탄올아민, 스테아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모노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 4급 암모늄염이나 그들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alkyl dimethylaminoacetic acid betaine) 등의 알킬베타인, 알킬이미다졸린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색소 유도체는 유기 색소에 치환기를 도입한 화합물이다. 이와 같은 유기 색소에는, 일반적으로 색소라고는 불리고 있지 않은 나프탈렌계, 안트라퀴논계 등의 담황색의 방향족 다환 화합물도 포함된다. 색소 유도체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소63-30517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고 소57-1562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고 소59-4017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고 소63-1710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고 평5-9469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는 조성물의 경시 점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저장 안정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기판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실란커플링제 등의 밀착 향상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저장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트리메틸클로라이드, 디에틸히드록시아민 등의 4급 암모늄클로라이드, 젖산, 수산 등의 유기산 및 그 메틸에테르, t-부틸피 로카테콜, 테트라에틸포스핀, 테트라페닐포스핀 등의 유기 포스핀, 아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저장 안정제는 착색 조성물 중의 색소 100중량부에 대해서, 0.1∼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로서는,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비닐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란류,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메타)아크릴실란류,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에폭시실란류,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아미노실란류,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티오실란류 등을 들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착색 조성물 중의 색소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그라비아 오프셋용 인쇄 잉크, 무수 오프셋 인쇄 잉크, 실크스크린 인쇄용 잉크, 용제 현상형 혹은 알칼리 현상형 착색 레지스트재로서 조제할 수 있다. 용제 현상형 혹은 알칼리 현상형 착색 레지스트재는 색소 담체인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감광성 수지와, 모노머와, 광중합 개시제 와,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 색소를 분산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원심분리, 소결 필터, 박막 필터(membrane filter) 등의 수단으로, 5㎛ 이상의 조대(粗大) 입자,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의 조대 입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의 조대 입자 및 혼입한 먼지의 제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도포 얼룩을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도막을 얻기 위해서, E형 점도계를 사용해서 회전수 20rpm으로 측정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6mPa·s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mPa·s 이상 6mPa·s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사용한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기판상에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블랙 매트릭스와, 적색, 녹색, 청색의 필터 세그먼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는 다이코팅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기판상에 형성된다.
다이코팅 방식에 의한 착색 조성물의 도포는 공지의 다이코터를 사용해서 행할 수 있으며, 그때의 도포 조건은 착색 조성물의 조성, 제조하는 컬러필터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면, 노즐 선단의 립(lip) 폭은 50∼500㎛로 하고, 노즐 선단과 기판면과의 간격은 30∼3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막두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립 주행 속도나 립으로부터의 도출량(塗出量)을 조정하면 된다.
컬러필터의 기판으로서는, 가시광에 대해서 투과율이 높은 소다석회 유리, 저알칼리 붕규산 유리, 무알칼리 알루미노 붕규산 유리 등의 유리판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판이 사용된다. 또한, 유리판이나 수지판의 표면에는, 패널화 후의 액정 구동을 위해서, 산화인듐, 산화주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한 각 색필터 세그먼트 및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행한다. 즉, 용제 현상형 혹은 알칼리 현상형 착색 레지스트재로서 조제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기판상에, 다이코팅 방식의 도포장치를 사용해서, 건조 막두께가 0.2∼10㎛가 되도록 도포한다. 필요에 따라서 건조된 막에는, 이 막과 접촉 혹은 비접촉 상태로 형성된 소정의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통해서 자외선 노광을 행한다. 그 후, 용제 또는 알칼리 현상액에 침지하거나, 혹은 스프레이 등에 의해 현상액을 분무해서 미경화부를 제거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한 후, 동일한 조작을 필요한 색에 대해서 반복하여 각 색필터 세그먼트 및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착색 레지스트재의 중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가열을 실시할 수도 있다. 포토리소그래피법에 따르면, 인쇄법보다 정밀도가 높은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필터 세그먼트 및 블랙 매트릭스의 건조 막두께는 0.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이다. 도포막을 건조시킬 때에는, 감압 건조기, 컨벡션 오븐, IR오븐, 핫플레이트 등을 사용해도 좋다.
현상시에는, 알칼리 현상액으로서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수용액이 사용되고, 디메틸벤질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 알칼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현상액에는, 소포제나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현상 처리방법으로서는, 샤워 현상법, 스프레이 현상법, 딥(침지) 현상법, 패들(액 쌓아 올림) 현상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자외선 노광 감도를 올리기 위해서, 상기 착색 레지스트재를 도포 건조 후, 수용성 혹은 알칼리 가용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이나 수용성 아크릴 수지 등을 도포 건조하고, 산소에 의한 중합 저해를 방지하는 막을 형성한 후, 자외선 노광을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1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과 10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의 변화율이 7.0% 이하이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기판 외주부에 뿔이 없으며, 기판 외주부와 기판 중심부의 막두께 차가 작고, 도포 얼룩이 없는, 균일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사용해서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컬러필터를 수율 좋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부" 및 "%"란 "중량부" 및 "중량%"를 각각 의미한다.
우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아크릴 수지 용액의 조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지의 분자량은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아크릴 수지 용액의 조제)
반응용기에 시클로헥사논 370부를 넣고, 용기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80℃로 가열하며, 동일한 온도에서 하기 모노머 및 열중량 개시제의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서 적하하여 중합반응을 행하였다.
메타크릴산 20.0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0부
부틸메타크릴레이트 55.0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5.0부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4.0부
적하 후 또한 100℃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1.0부를 시클로헥사논 50부로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고, 또한 100℃에서 1시간 반응을 계속하여 아크릴 수지의 용액을 얻었다. 아크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40000이었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수지 용액 약 2g을 샘플링하고 180℃, 20분 가열 건조하여 불휘발분을 측정하며, 앞서 합성한 수지 용액에 불휘발분이 20%가 되도록 시클로헥사논을 첨가하여 아크릴 수지 용액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
하기의 조성의 혼합물을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직경 1mm의 유리 비즈를 사용해서, 샌드밀로 5시간 분산한 후, 5㎛의 필터로 여과하여 구리프탈로시아닌 분산체를 제작하였다.
ε형 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C.I. Pigment Blue 15:6) 12.0부
(BASF 제품 "헤리오겐블 L-6700F")
분산제(제네카사 제품 "솔스파스 20000") 2.4부
아크릴 수지 용액 28.1부
시클로헥사논 57.5부
이어서, 하기 조성의 혼합물을 균일하게 되도록 교반 혼합한 후, 1㎛의 필터로 여과하고, 청색 레지스트재로서 조정한 착색 조성물을 얻었다. 착색 조성물의 조성(착색 조성물 전량을 100으로 한 중량비·괄호 안은 안료 100중량부에 대한 중량)을 표 1에 나타낸다.
구리프탈로시아닌 분산체 45.0부
아크릴 수지 용액 12.5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4.8부
(신나카무라 카가쿠사 제품 "NK에스테르ATMPT")
광중합 개시제(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품 "이르가큐어 907")
2.5부
증감제(호도가야 카가쿠사 제품 "EAB-F") 0.2부
실리콘계 레벨링제(빅케미사 제품 "BYK-330)의
2%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희석용액) 1.0부
시클로헥사논 34.0부
[실시예 2∼7 및 비교예 1]
안료, 분산제, 아크릴 수지,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증감제, 용제, 레벨링제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착색 조성물 전량을 100으로 한 중량비·괄호 안은 안료 100중량부에 대한 중량)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각 색 레지스트재로서 조정한 착색 조성물을 얻었다.
한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색소 담체의 가시광 영역(400∼700nm)의 투과율은 95% 이상이었다.
Figure 112006007586994-PAT00002
청색용 안료: ε형 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C.I. Pigment Blue 15:6) 5.40부
(BASF 제품 "헤리오겐블 L-6700F")
적색용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C.I. Pigment Red 254) 5.08부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품 "이르가포레드 B-CF")
안트라퀴논계 안료(C.I. Pigment Red 177) 0.82부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품 "크로모프탈레드 A2B")
안트라퀴논계 안료(C.I. Pigment Yellow 199) 0.20부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품 "크로모프탈옐로우 GT-AD")
합계 6.10부
녹색용 안료: 할로겐화 구리프탈로시아닌계 안료(C.I. Pigment Green 36)
(도요 잉키 세이조사 제품 "리오놀 그린 6YK") 3.25부
모노아조계 안료(C.I. Pigment Yellow 150) 2.35부
(바이엘사 제품 "판천패스트옐로우(Fanchon Fast Yellow)
Y-5688")
합계 5.60부
흑색용 안료: 카본블랙
(테그사사 제품 "Printex 75") 5.50부
분산제: 제네카사 제품 "솔스파스 20000"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 카가쿠사 제품 "NK에스테르ATMPT")
광중합 개시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품 "이르가큐어 907"
증감제: 호도가야 카가쿠사 제품 "EAB-F"
실리콘계 레벨링제 A: 빅케미사 제품 "BYK-330"의 2%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희석용액
실리콘계 레벨링제 B: 빅케미사 제품 "BYK-323"의 1% 시클로헥사논 희석용액
실리콘계 레벨링제 C: 빅케미사 제품 "BYK-333"의 1% 시클로헥사논 희석용액
실리콘계 레벨링제 D: 빅케미사 제품 "BYK-320"의 1% 시클로헥사논 희석용액
불소계 레벨링제 E: 다이닛폰 잉키 카가쿠 코교사 제품 "BL-20" 5%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희석용액
실시예 1∼7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각 색 레지스트재의 1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Ⅰ)과 10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II)을 동적 표면 장력계(크루스사 제품)로 측정하고, [{(I)-(II)}/(I)]×100의 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얻어진 각 색 레지스트재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를 E형 점도계(도키멕사 제품)를 사용해서 회전수 20rpm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얻어진 각 색 레지스트재를 도 1에 나타내는 다이코팅 방식의 도포장치를 사용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60mm×465mm 사이즈의 유리 기판상에 평균 막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고, 얻어진 도포 기판을 70℃에서 20분간 프리베이크(pre-bake)하여 건조 도막을 얻었다. 얻어진 건조 도막의 짧은 변 중앙으로부터 도공 방향으로 10㎝까지 5mm 간격으로 막두께를 측정하였다. 그때의 최대 막두께를 Tmax, 최소 막두께를 Tmin, 평균 막두께를 Tavg라고 한다. 하기식 (3)에 의해 막두께의 균일성 U(Uniformity)가, 1% 미만을 A, 1% 이상 2% 미만을 B, 2% 이상 5% 미만을 C, 5% 이상을 D라고 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U[%]=(Tmax-Tmin)/(Tavg×2) …(3)
또한, 상기 도포 기판에 대해서, 백색 투과광으로 도포 얼룩 평가를 행하였다. 눈으로 관찰하여 도포 얼룩이 없는 경우를 A, 도포 얼룩이 약간 관찰된 경우를 B, 도포 얼룩이 확실히 관찰된 경우를 C라고 하였다. 막두께 균일성 및 도포 얼룩 평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도 1 또는 2 중, 1은 도포 헤드, 2는 프론트립, 3은 리어립, 4는 매니폴드, 5는 슬릿, 6은 배관, 7은 밸브, 8은 정량 펌프, 9는 필터, 10은 도포액 탱크, 11은 도막, 12는 도공 기판, 13은 반송 스테이지이다.
Figure 112006007586994-PAT00003
실시예 1∼7의 레지스트재를 사용해서 형성된 도막, 특히 상기 식(2)로 나타나는 실리콘계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4의 레지스트재를 사용해서 형성된 도막은 기판 단면부와 기판 중심부의 막두께 차가 작고, 균일한 도막이었다. 한편, 비교예 1의 레지스트재를 사용해서 형성된 도막은 기판 단면부와 기판 중심부의 막두께 차가 컸다.
또한, 실시예 1∼7의 레지스트재를 사용해서 형성된 도막에는 도포 얼룩은 보여지지 않았으나, 비교예 1의 레지스트재를 사용해서 형성된 도막에는 도포 얼룩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7에서 얻어진 레지스트재를 다이코팅법으로 360mm×465mm 사이즈의 유리 기판상에 도포하고, 상기에 나타낸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컬러필터의 제조를 행하였다. 기판 외주부에 뿔이 없고, 도포 얼룩이 없는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코팅법에 의한 도막 형성에 사용하더라도 기판 외주부에 도막의 막두께 차가 생기기 어렵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착색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부와 외주부에서 막두께 차가 작으며,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부와 외주부에서 막두께 차가 작으며,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투명 수지, 그 전구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색소 담체와, 색소와, 유기용제와,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로서, 상기 착색 조성물의 1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I)과 1000ms에 있어서의 동적 표면 장력(II)이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조성물.
    [{(I)-(II)}/(I)]×100≤7.0 …(1)
  2. 제1항에 있어서, 레벨링제가 실리콘계 레벨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레벨링제가 하기식 (2)로 나타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조성물.
    Figure 112006007586994-PAT00004
    (식 중, m은 5∼30의 정수이고, n은 50∼100의 정수이며, x는 1∼20의 정수 이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6mPa·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색 조성물로 형성되는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6. 블랙 매트릭스 및/또는 필터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으로서, 기판상에, 다이코팅 방식에 의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색 조성물을 도포하여, 필터 세그먼트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
KR1020060009580A 2005-02-02 2006-02-01 착색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211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6230 2005-02-02
JP2005026230A JP4553128B2 (ja) 2005-02-02 2005-02-02 着色組成物、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836A true KR20060088836A (ko) 2006-08-07
KR101211493B1 KR101211493B1 (ko) 2012-12-12

Family

ID=3690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580A KR101211493B1 (ko) 2005-02-02 2006-02-01 착색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53128B2 (ko)
KR (1) KR101211493B1 (ko)
CN (1) CN100465671C (ko)
TW (1) TW2006320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88B1 (ko) * 2007-11-08 2011-03-24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1225954B1 (ko) * 2009-02-04 2013-01-24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용 화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1329577B1 (ko) * 2010-04-21 2013-11-15 도요컬러주식회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70B1 (ko) * 2007-03-09 2009-07-06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흑색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차폐용 필터 및 표시 장치
JP6061636B2 (ja) * 2012-11-16 2017-01-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非アルカリ現像型着色組成物、非アルカリ現像型着色転写材料および着色パターン
CN103792789B (zh) * 2014-01-27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刻胶组合物
CN105301916A (zh) * 2015-11-16 2016-02-03 北京中科紫鑫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光刻胶图案的形成方法
CN105301901A (zh) * 2015-11-16 2016-02-03 北京中科紫鑫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正性光刻胶组合物的制备方法
CN106802508B (zh) * 2015-11-26 2020-04-10 上海仪电显示材料有限公司 彩色滤光基板及其形成方法
CN108089377A (zh) 2018-02-13 2018-05-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平电场型的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9445193A (zh) * 2018-02-13 2019-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水平电场型的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JP2020173294A (ja) * 2019-04-08 2020-10-22 Jsr株式会社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106A (ja) * 2001-06-18 2002-12-26 Mitsubishi Chemicals Corp 光重合性組成物
KR100497070B1 (ko) * 2001-11-22 2005-06-27 이소영 마커펜용 백생잉크의 제조방법
JP3484187B2 (ja) * 2001-12-18 2004-01-06 紀和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JP4134608B2 (ja) * 2002-06-25 2008-08-20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重合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CN1487033A (zh) * 2002-08-07 2004-04-07 珠海东诚化工有限公司 用于铝或铝型材表面处理的紫外光固化涂料
CN1175072C (zh) * 2002-08-12 2004-11-10 中国化工建设总公司常州涂料化工研究院 含流变改性树脂的溶剂型高固体分涂料
JP3860806B2 (ja) * 2002-12-19 2006-12-20 Jsr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層の形成方法
JP4034272B2 (ja) * 2003-01-30 2008-01-16 奇美實業股▲分▼有限公司 液晶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4506224B2 (ja) * 2003-03-28 2010-07-21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
KR100482953B1 (ko) * 2003-04-15 2005-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필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제조 방법 및컬러필터 제조 장치
JP4627617B2 (ja) * 2003-05-23 2011-02-09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基板の製造方法
CN101592863B (zh) * 2004-12-15 2012-12-26 三菱化学株式会社 液晶板用树脂组合物和使用其的滤色片以及液晶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88B1 (ko) * 2007-11-08 2011-03-24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1225954B1 (ko) * 2009-02-04 2013-01-24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용 화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1329577B1 (ko) * 2010-04-21 2013-11-15 도요컬러주식회사 컬러 필터용 착색 조성물, 및 컬러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4675A (zh) 2006-08-09
TW200632054A (en) 2006-09-16
JP4553128B2 (ja) 2010-09-29
KR101211493B1 (ko) 2012-12-12
TWI321146B (ko) 2010-03-01
JP2006215160A (ja) 2006-08-17
CN100465671C (zh)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493B1 (ko) 착색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컬러필터 및 그 제조방법
US7361709B2 (en) Colored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lack matrix substrate
JP4484482B2 (ja) 感光性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WO2014208348A1 (ja) タッチパネル用黒色樹脂組成物
JP2011022237A (ja) 青色感光性着色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並びにカラー表示装置
JP2008181011A (ja) 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86149A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剤、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9217241A (ja) カラーフィルタ用緑色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5459949B2 (ja)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201821B2 (ja) 着色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JP5075510B2 (ja) 着色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JP2018025687A (ja) 感光性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4674048B2 (ja) カラーフィルタ形成用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13097355A (ja) 感光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20060100265A (ko) 컬러필터용 착색 조성물 및 컬러필터
JP2012188475A (ja) 顔料分散剤、それを用いた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7163911A (ja) 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5381286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青色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5176430B2 (ja) スピンコート用着色組成物を用いて形成されたカラーフィルタ
JP4972953B2 (ja)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
JP2007233230A (ja) 感光性黒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07161872A (ja) 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2019045591A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4922653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2241499B1 (ko) 적색, 녹색 화소용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