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777A -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777A
KR20060087777A KR1020050008601A KR20050008601A KR20060087777A KR 20060087777 A KR20060087777 A KR 20060087777A KR 1020050008601 A KR1020050008601 A KR 1020050008601A KR 20050008601 A KR20050008601 A KR 20050008601A KR 20060087777 A KR20060087777 A KR 2006008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ntrance
mode
signal generator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2926B1 (ko
Inventor
조성재
임덕구
Original Assignee
(주)한국모바일알파텍
조성재
임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모바일알파텍, 조성재, 임희광 filed Critical (주)한국모바일알파텍
Priority to KR1020050008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926B1/ko
Priority to PCT/KR2006/000288 priority patent/WO2006080803A1/en
Publication of KR2006008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영상 및 영상통신, 음성통신, 호출신호, 인터넷, TV방송, 오락게임, 카메라 등의 각각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가 보급되면서 음성, 영상 및 데이터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정보가 교환됨으로서 생활의 편리함이란 긍정적인 면과, 사회에서 남용 또는 악용되는 부정적인 면이 상존하고 있어 사회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공공장소 등의 여과없는 신호 및 통화음으로 인하여 정숙을 요하는 장소가 소음공해로 시달리고, 영상 및 데이터가 무선으로 전송되면서 공공기관 등의 주요 기밀 사항 불법유출과 시험 부정행위 등은 국가차원에서 관리하여야 할 만큼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영상통신이 대중화될 때에는 더 많은 부작용 즉, 정보를 악용하는 수법도 다양화되고 고도화되어 갈 것이다.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작변환모드를 명령하는 실내신호발생기, 이 신호를 검출하는 무선수신기, 이를 내장한 휴대단말기, 누설전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입실 및 퇴실신호발생기로 구성되어 단속이 필요한 장소의 휴대단말기 통신기능 중 제한이 꼭 필요한 동작모드만 선택하여 자동으로 변환 또는 차단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신호발생기는 일반진동변환, 수신진동변환, 통화차단, 영상(카메라, TV 및 오락게임의 영상)차단, 데이터전송금지, 벨울림 및 정상동작모드의 신호를 송출하고, 무선수신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는 이 신호를 검출하여 선택되어진 모드로 자동변환 또는 차단되어 위에서 설명한 모든 부작용을 사전에 기술적으로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 다. 특히 누설전파 문제해소를 위하여 설치되는 입실 및 퇴실신호발생기의 수신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이 적용되고, 전력소모가 최소화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벨울림모드로 통화에 관계없이 벨을 울리게 하여 휴대단말기의 소지 여부와 소지자에게 통신기능의 일부가 제한된다는 것을 사전에 알려주고, 휴대단말기에의한 인터넷 접속차단 및 데이터전송도 금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일반인이 접근하여 무단촬영한 후 이를 악용할 수 있는 고위층 또는 유명인의 신분보장이 강화되도록 휴대신호발생기도 개발하여 어떠한 장소에서도 쉽게 설치하고 휴대하여 정보화사회에 역행될 수 있는 소지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데 기여 할 것이다.
휴대폰, 접속차단, 입실 및 퇴실 신호발생기, 실내신호발생기, 무선수신기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Device for injustice outflow protection of infomation using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발생되는 입실신호, 퇴실신호 및 모드신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호발생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입실신호, 퇴실신호 및 모드신호의 시간에 따른 출력관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드신호만 있는 경우의 구체적인 신호패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수신기를 내장한 휴대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내 컨트롤러의 신호검색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별도의 컨트롤러를 갖는 또 다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한대의 입실신호발생기에 다수의 송신안테나를 설치한 경우의 개념적인 입실신호 송출영역의 구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다수의 입실신호발생기를 적용한 경우 그 발생 입실신호의 시간적 구성예를 설명한 타임 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입실신호발생기를 갖는 신호발생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입실신호발생기를 갖는 경우의 신호패턴의 구성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신호검색 및 동작모드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신호발생기 실제 제품의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장착 무선수신기의 실제 제품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신호발생기 11 : 키입력부
12 : 컨트롤러 13 : 표시장치
14,21,31 : 디지털변조부 15,22,32 : RF변환부
16, 23,33 : RF증폭부 17,24,34 : 감쇄기
18,25,35 : 스위치부 19,26,36 : 안테나
20 : 입실신호발생기 30 : 퇴실신호발생기
40 : 무선수신기 41 : 무선수신기
42 : 전원공급부 43 : 컨트롤러
50 : 휴대단말기 51 : 휴대단말기 컨트롤러
52 : 휴대단말기회로
본 발명은 특정한 영역의 장소나 임의의 지정 개소에서 휴대단말기의 여러 기능들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부작용은 사회적인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미연에 방지하지 않으면 정보통신 강국의 면모를 일시에 무너뜨리는 우를 범하게 될 것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는 첫 번째로 통신의 자유는 누구나 법적으로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제한할 때는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누군가가 선의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제한이 꼭 필요한 곳의 휴대단말기만 적용되도록 입실 및 퇴실 신호발생기로 누설전파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하고, 휴대단말기의 다수기능 중에서 단속이 꼭 필요한 기능만을 선택하여 실행토록 기능선택 버튼을 실내신호발생기에 두어야 한다.
두 번째로, 무선수신기의 동작을 아주 짧은시간에만 동작토록하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고, 무선수신기만 내장하면 어느기기에도 적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세 번째로, 데이터전송금지로 통화는 가능하게 하면서 문자메세지 및 데이터 (컴퓨터파일 등) 송수신을 금지하고, 휴대단말기에 의한 인터넷접속이 차단되어야 한다.
네 번째로, 영상차단으로 정보의 불법유출이나, TV방송 및 오락게임을 무분별하게 청취하거나 즐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 번째로, 일반인이 쉽게 접근하면 안되는 고위층, 유명인사 등의 신분보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휴대신호발생기가 개발되어야 한다.
여서 번째로, 벨울림 모드로 통화와 무관하게 즉시 벨을 울리게 하여 휴대단말기 소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기능중 일부가 제한 된다는 것을 소지자는 사전에 알아야 한다.
일곱 번째로, 설치가 간편하도록 스위치만 꽂으면 작동되고, 설치할 장소의 천정, 벽, 서랍장 등 은폐 또는 노출에 무관하게 설치되며, 제품가격도 저렴하게 제작하여 사용자와 휴대단말기 제조사의 부담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이러한 위의 일곱까지 사항들을 완벽하게 충족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선택적 제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오남용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휴대폰이 사용하는 주파수에 방해 전파를 송출하여 통신을 차단하는 전파차단기와, 휴대폰이 사용하는 주파수로서 S/W에 의해 일부기능을 전환하거나 차단하는 제품이 개발되었거나 개발중인데, 전파차단기는 불법으로 사용할 수 없고, S/W 방식은 공개되지 않아 정확히 알수는 없으나, 예상되는 문제점은 누설전파로 인하여 실외의 휴대폰도 영향을 받을수 있고, 모드변환 예비동작 시간이 길어 영상차단에는 실용성이 떨어지며, 휴대폰이 통화상태로 들어오면 지정하는 모드로 동작되는지 의심 스럽고, 중계기와 유사한 기능이 필요하여 가격이 고가임으로 사용자의 부담이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먼저 실내, 입실 및 퇴실신호발생기는 하나의 주파수를 시분할방식(TDM)으로 신호를 송출토록하여 누설전파로 인한 피해를 막고 상호간섭을 피면서 동작영역을 더욱 확대하는 기술에 이르는 것은 물론, 입실 및 퇴실 그리고 모드신호를 일정한 패턴으로 만들어 전송함으로서 무선수신기의 대부분 시간동안 OFF되고 간헐적으로 ON이되는 유효패턴을 찾아 해당모드로 변환하게 하여 배터리소모 최소화, 신호음을 진동으로 자동변환, 통화는 가능하게 하면서 데이터 전송을 막아 각종시험 부정 등을 예방하고 카메라로 불법촬영, 저장 및 전송을 금지시켜 정보의 불법유출을 막고 TV방송이나 오락게임으로 인한 수업 및 사무 등을 방해하는 부작용을 예방, 휴대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여 무분별한 인터넷 접속 차단과 데이터의 전송금지, 휴대단말기 소지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벨울림 등을 실현하고, 그리고 고객이 꼭 필요한 기능만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고 생산원가를 저렴하게 하여 고객만족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과 이외에 본 발명 기술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모든 기능이 완벽하게 실행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단속장소내에서 모드신호를 송출하는 실내신호발생기와, 출입구 내측에서 입실신호를 송출하는 입실신호발생기와, 출입구 외측에서 퇴실신호를 발생하는 퇴실신호발생기와, 이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하여 동작모드를 자동변환시키는 무선수신기가 내장된 휴대단말기(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본구성은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같이, 실내신호발생기(10), 입실신호발생기(20) 및 퇴실신호발생기(30), 무선수신기(40)가 내장된 휴대단말기(50)로 구성되고 있다.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신호발생기(10)에서 송출되는 동작 신호모드는 일반진동변환, 수신진동변환, 통화차단, 데이터전송금지, 영상차단, 벨울림, 정상동작, 상기모드가 복합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신호(예:영상차단 및 데이터전송금지) 모드이다.
입실신호발생기(20)의 송출신호는 입실을 알리는 신호이고, 퇴실신호발생기(30)의 송출신호는 퇴실을 알리는 신호이다. 그리고 무선수신기(40)에서는 각 모드 신호를 검출하여 휴대단말기의 컨트롤러에게 전송된다.
컨트롤러는 모드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입실신호를 받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입실 및 모드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각각의 신호에따라 동작을 하며, 퇴실신호를 수신한 후에는 모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정상적으로 동작 되도록하여 설치장소외에 있는 휴대단말기가 실내신호발생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입실, 퇴실 및 모드신호가 동시에 존재하게되면 상호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 TDM방식(시분할방식)으로 전송하여 상호간섭을 피하게 한다.
그리고 무선수신기가 항상 ON이 되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소모가 증가됨으로 대부분 시간은 OFF가 되고 검사하는 동안만 잠시 ON되게 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데,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입실, 퇴실 및 모드신호를 Time slot으로 각각 T시간동안(예:40ms) 전송하며, 동기신호(시작신호), guard신호(Low), 코드신호(입실, 퇴실, 모드), stop신호(Low)로 구성하고 이 모든 신호는 일정 비트패턴을 갖도록 송출한다. 이를 도 2에서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신호발생기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키입력부(11)에서 입력되는 키는 각 동작모드별로 고유의 입력키가 필요하며, 컨트롤러(12)는 키입력부(11)로부터 신호를 받아 표시장치(13)에 현재 수신된 모드로 표시하고, 입실 및 퇴실과 모드신호 상호간섭을 피하기 위해(도 4 참조) 시분할방식으로서 구분 송출한다. 이를 도 2에서 보이고 있다.
컨트롤러(12)에서 출력되는 모드신호는 디지털변조부(14)에서 디지털 변조된 후 RF변환부(15)에서 고주파로 변환되고 RF증폭부(16)에서 증폭된다. 그리고 설치장소의 면적에따라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감쇄기(17)를 두고 감쇄의 범위는 스위치부(18)를 통해 조절하여 안테나(19)로 송출되는 RF 출력이 조절된다. 위와 마찬가지로 상기 컨트롤러(12)에서 출력되는 입실신호와 퇴실신호도 디지털 변조부(21,31), RF변환부(22,32), RF증폭부 (23,33), 감쇄기(24,34), 스위치부(25,35), 안테나(26,36)를 거쳐 RF로 출력되어지며 출력되는 양도 조절된다.
입실 및 퇴실 신호가 RF에서 출력이 조절되는 이유는 출입구의 크기가 다를 경우를 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출입구가 없거나 출입여부를 체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동작에 지장이 없도록 키입력부(11)에 도어체크 키를 두고 이 키로서 입실과 퇴실신호를 송출할 것인지 아니면 모드신호만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입실과 퇴실 신호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모드신호만 반복해서 송출한다. 이것을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호라도 출입구 체크가 있고 없음에 따라 모드신호 코드를 다르게 출력하여 출입구체크가 없는 경우는 모드신호를 수신하는 즉시 모드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출입구체크가 있는 경우는 입실 신호를 수신된후에 모드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모드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무선수신기가 일정시간동안 OFF하고 있다가 간헐적으로 ON되어 검색할수 있도록 동기 및 코드신호가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일정한 패턴을 갖는다.
이의 예를 설명하면, 첫째, 동기신호와 코드신호를 각각 5bit 코드로 정의하고 일정한 비트패턴을 반복토록 하는데 이를 얻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0에서1 또는 1에서0처럼 반전되는 경우는 110이고, 반전되지 않는 0인 경우는 01, 반전되지 않는 1인 경우는 10으로 된다.
5bit코드의 초기 비트를 0으로 가정하고 비트패턴에서 연속되는 1의 개수를 2개로 제한하며 마지막 비트패턴이 0으로 끝나는 경우는 1을 추가하여 얻고 16bit를 만들기 위해 0이 추가된다.
5bit 코드인 퇴실신호의 경우 10100을 예로들면 초기에는 0에서1로 반전됨으로 110이 되고 두번째도 1에서0으로 반전됨으로 110, 세번째도 0에서1로 반전됨로 110, 네번째도 1에서0으로 반전됨으로 110, 다섯번째는 반전되지 않은 0이므로 01인데 마지막 비트가 0이 있으므로 1을 추가하여 1101101101101되고, 0을 추가하여 16비트인 1101101101101000이 된다.
이렇게 얻어진 비트패턴의 예를 아래 표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05751973-PAT00001
둘째, 또 다른 비트패턴의 일실시예를 얻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1과0을 반복하는 동기신호와 1과0을 반복하면서 11을 중간에 한번씩 넣어 들어가는 위치에따라 모드 신호를 구분한다. 그리고 입실 및 퇴실신호는 11과00을 한번씩 반복하게 하는데 이것도 들어가는 위치에따라 입실과 퇴실신호로 구분된다.
출입체크가 없는 모드 신호인 경우에는 출입체크가 있는 모드 신호를 반전해서 얻는다. 이렇게 하면 동기신호, 입실신호 및 퇴실신호 1의 개수는 전체비트(16 비트)의 절반 만큼되고, 출입체크가 있는 경우의 모드신호에서는 1의 개수가 16비트중 9비트가 되며, 없는 경우는 0의 개수가 16비트중 9개가 있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비트패턴을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05751973-PAT00002
이것을 통하여 일정한 패턴을 갖는 비트패턴으로 동기신호와 코드신호를 구성하면 무선수신기는 짧은시간에 비트패턴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보이고 있는 무선수신기를 내장한 휴대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는 입,퇴실 및 실내신호발생기로 부터 전파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41)와, 상기 무선수신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2)와, 상기 무선수신기로 수신된 각 신호발생기로부터 입력신호를 처리하는 휴대단말기 컨 트롤러(51)와, 상기 휴대단말기 컨트롤러로부터 처리된 각 신호발생기의 제어신호를 받아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휴대단말기 회로(5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휴대단말기는 먼저 안테나로 수신된 동기신호 및 코드신호가 무선수신기(41)에서 검출되어 컨트롤러(51)로 입력되면 먼저 비트패턴을 검색한 후 비트 패턴이 있으면 모드신호를 검색하여 해당모드로 변환되어 진다.
여기서 무선수신기(41)의 전원은 전원공급부(42)를 통해 ON/OFF되어 진다. 일정한 패턴을 갖는 동기와 코드신호를 실내신호, 입실신호 및 퇴실신호발생기에서 송출하면 무선수신기는 일정시간 Toff(예:0.5~1초)동안 OFF하고 짧은시간 Ton(예:20~40ms)동안 ON되어 패턴을 검색하여 일정패턴이 없으면 일정시간 Toff동안 OFF되고 일정 패턴이 있으면 동기신호를 찾는 과정을 수행하고, 동기신호가 없으면 일정시간 Toff동안 OFF되는 sleep1 과정으로 가며, 동기신호가 있으면 코드신호(입실,퇴실,모드)를 검색하고 해당모드로 변환된 후 일정시간 Toff동안 OFF되는 sleep2 과정으로 가서 짧은시간 Ton동안 ON되어 다시 동기신호를 검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의 흐름을 도 7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무선수신기는 길게 Toff동안 OFF되고 짧게 Ton동안 ON되어 배터리 소모를 줄이게 된다.
이 경우의 전력소모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무선수신기가 일정전압(Vcc)에서 일정전류(Icc)를 소비한다고 가정하여 항상 ON되었을 때 전력소모를 계산하면
P = Vcc ×Icc,on 이다.
그리고 일정시간 Toff동안 OFF되고 짧은시간 Ton동안 ON되는 경우의 전력소비를 계산해 보면
P = Vcc ×Icc,on ×Toff + Vcc ×Icc,on ×Ton / Toff + Ton 이다.
여기서 Icc, off는 OFF동안 흐르는 전류이고 Icc, on은 ON동안 흐르는 전류인데 OFF동안을 0으로 하면
P = Vcc ×Icc,on ×(Ton / Toff + Ton) 이 된다.
그래서 Toff≫Ton임으로
P = Vcc ×Icc,on ×(Ton / Toff) 이 된다.
따라서 Ton시간이 Toff시간에 비해 짧으면 짧을수록 전력소비율은 더욱 줄어드는 것을 알수 있다.
휴대단말기 컨트롤러가 휴대단말기 기능을 수행하면서 무선수신기의 전원을 ON/OFF하고 일정패턴과 동기 및 코드신호를 검색하게 되면 휴대폰 컨트롤러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별도의 작은 컨트롤러(예:8pin 마이크로컨트롤러)를 두어 무선수신기의 전원을 ON/OFF하면서 모드검출을 하게 하고 이 검출된 모드를 휴대폰 컨트롤러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컨트롤러(43)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전원공급부(42)를 통해 일정시간 Toff동안 무선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짧은시간 Ton동안 전원을 공급케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인다. 그리고 전원이 공급되는 Ton동안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선수신기가 검출하여 출력하면 이 신호를 받은 컨트롤러(43)는 비트패턴을 검사한 후에 동기 및 코드신호를 검색하여 동작모드 인지를 판정하고 휴대단말기 컨트롤러 (51)에 전송하여 휴대폰 컨트롤러가 해당모드로 변경하게 한다.
한편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출입구를 빠르게 통과할 경우 입실신호를 받지못하는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입실신호 출력을 크게할 경우 설치장소외에 있는 휴대단말기도 입실신호를 인식할 수 있기때문에 출력을 작게하는 동시에 다수의 안테나로 전파를 송출토록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이를 도 9에서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안테나의 신호는 상호간섭에 의해서 감쇄될 가능성이 있어 입실신호 구성(도 2 참조)을 다시 시분할방식(TDM)으로 구분전송(도 10 참조)하여 하나의 입실 신호 구간을 3개 즉, 입실신호1,2,3으로 하여 T/3시간 동안 전송하는데 각각의 입실신호1,2,3은 동일한 코드의 신호로서 전송되는 시간만 다르게 하고 있다.
여기서 신호발생기의 컨트롤러(12)는 도 11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입실신호1,2,3으로 구분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입실신호구간에 입실신호1,2,3을 교대로 전송하는 방법을 도 12에서 보이고 있는데, 이는 입실신호1,2,3을 입실구간마다 번갈아 가면서 T시간동안 전송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처음에는 입실신호1, 퇴실신호, 모드신호를 전송하고, 다음에는 입실신호2, 퇴실신호, 모드신호를 전송하며, 그 다음에는 입실신호3, 퇴실신호, 모드 신호를 전송하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입실신호1, 퇴실신호, 모드신호으로 전송한다.
한편, 퇴실신호도 같은방법으로 하면되지만 퇴실신호발생기가 설치장소 외부 통로에 있기때문에 설치장소 특성을 고려하여 출력을 크게할 수 있어 큰문제는 없으나 상기 입실신호발생기와 같은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동작모드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휴대단말기 컨트롤러는 일정시간 Toff동안 무선수신기를 OFF하고 짧으시간 Ton동안 ON하여 유효패턴을 검색하고, 없으면 다시 일정기간 Toff동안 OFF되는 Sleep1 과정으로 가고, 있으면 동기신호를 검색하여 코드검사 과정으로 간다.
여기서 일반진동변환 모드인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벨을 진동으로 변환하지만 통화는 가능하게 하고, 수신진동변환 모드인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벨을 진동으로 변환하는 동시 마이크 출력을 차단함으로서 상대방의 통화음은 들을 수 있으나 송화자의 음성은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키의 조작으로 “예” “아니오” “듣고 있습니다” 등을 알려주어 상대방 음성을 듣기만 한다.
다음, 통화차단 모드인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통화 및 데이터전송 등 휴대단말기 모든기능을 근본적으로 정지하는 동작을 하고, 데이터전송금지 모드인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문자메세지 및 데이터 송수신을 금지하는 동시에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되 통화는 가능하게 한다.
다음, 영상차단 모드인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의 촬영과 저장 및 전송을 금지하지만 통화는 가능하게 하고, 벨울림 모드인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통화와 무관하게 벨을 즉시 또는 일정시간(예:5초동안) 울리게 하고, 복합모드(영상차단 및 데이터전송금지)인지 확인하여 맞으면 보안이 요구되는 공공장소에 서 영상의 촬영, 저장, 전송금지와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데이터전송 그리고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접속을 차단함으로서 데이터전송은 물론, 무분별한 TV시청과 오락게임도 금지하지만 통화는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정상동작 모드인지를 확인하고 맞으면 휴대단말기의 모든기능을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한다. 이 모드는 설치장소에서 일시적으로 정상동작이 필요한 경우(예:시험중간에 휴식시간 또는 연주회중간에 공연이 쉬는 동안 등)에 사용한다.
상기의 모든과정이 끝나면 일정기간 Toff동안 무선수신기가 OFF되는 Sleep2 과정으로 간다. 일정기간 Toff가 지난후에 다시 수신기가 짧게 Ton동안 ON되어 동기신호 검사과정으로 가서 상기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무선 수신기가 긴 시간동안은 OFF하고 간헐적으로 ON되게 되는데 이렇게 하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소모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내신호발생기를 개인이 휴대할 수 있도록 휴대신호발생기를 개발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동작모드중에서 필요한 기능만 선택하여 작동시킴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는데 이용된다. 이때 휴대신호발생기는 배터리로 동작이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신호발생기 실제 제품의 도면대용 사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장착 무선수신기의 실제 제품 도면대용 사진이다.
이것은 본 발명 장치를 제작하여 현장에서 1년이상 실용화 시험을 실시한 결과 기능수행에 차질이 없었던 제품사진으로서 휴대폰으로 정보가 불법유출되는 것 을 막기 위한 기능이 부여된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의 실내신호발생기와 기존 휴대폰에 내장된 초소형 모듈의 실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장치는 정해진 지역이나 구역에 실내신호발생기를 설치하고 출입구에는 입실 및 퇴실신호발생기를 두며, 무선수신기로 이 신호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신호에따라 휴대폰컨트롤러가 자동으로 모드를 변환하도록 하는데, 기능제한이 필요한 장소에서 일반진동변환, 수신진동변환, 통화차단, 영상차단, 데이터전송금지 및 정상동작모드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하여 최소한의 일부 기능만을 제한함으로서 소음공해 및 주요정보 불법유출을 사전에 기술적으로 예방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신호 수신의 오류를 방지하여 기능수행에 차질이 없도록 하며 배터리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벨울림 모드를 두어 휴대폰 소지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소지자에게 기능일부가 제한된다는 것을 알려주며,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및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고 데이터전송도 금지하며 또한, 일반인이 고위층 또는 유명인을 불법촬영하여 악용할 수 없게 되는 등 휴대단말기의 오남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면 아래 표 3과 같다.
Figure 112005005751973-PAT00003

Claims (9)

  1. 단속장소내에서 모드신호를 송출하는 실내신호발생기(10), 출입구 내측에서 입실신호를 송출하는 입실신호발생기(20), 출입구 외측에서 퇴실신호를 발생하는 퇴실신호발생기(30), 이 신호를 수신하고 검출하여 동작모드를 자동변환시키는 무선수신기(40)가 내장된 휴대단말기(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실내신호발생기(10)는 다수의 동작모드(정상동작, 일반진동변환, 수신진동변환, 통화차단, 데이터전송금지, 영상차단, 벨울림, 영상차단 및 데이터전송금지의 복합)중에서 설치장소 특성에 맞게 선택된 동작모드의 각 기능들이 정상발휘 되도록 각종 모드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1), 입실 및 퇴실신호와 모드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2), 현재모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3),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모드신호를 디지털로 변조하는 디지털변조부(14), 이 신호를 고주파로 변환하는 RF변환부(15),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RF증폭부(16), 설치장소내의 넓이에따라 출력을 조절하는 스위치부(18) 및 감쇄기(17)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실내신호발생기(10)와 입실신호발생기(20) 및 퇴실신호 발생기(30)는 TDM방식의 통신을 기본으로 하지만 완벽한 통신이 되도록 입실 및 퇴실 과 모드신호를 Time slot(Ton)으로 구분하여 상호간섭을 피하도록 하고 또한, 무선수신기(40)가 일정시간 Toff동안 OFF하고 짧은시간 Ton동안 ON되어 신호를 검색하여 배터리소모를 감소 시키도록 유효패턴을 갖는 신호로 구성된 동기와 코드신호 송출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실내신호발생기(10)와 입실신호발생기(20) 및 퇴실신호발생기(30)는 TDM방식의 통신을 기본으로 하면서 각 신호구간(Ton)을 동기, 가드, 코드 및 스톱신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실내신호발생기(10)는 출입구를 체크하지 않는 모드신호일 때 입실 및 퇴실신호구간을 없애고 동기, 가드, 모드 및 스톱로 구성된 신호를 Ton시간마다 계속 반복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입실신호발생기(20)는 컨트롤러(12)에서 출력되는 입실신호를 디지털로 변조하는 디지털변조부(21), 고주파로 변환하는 RF변환부(22),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RF증폭부(23), 설치장소 출입구크기에 따라 출력을 조절하는 스위치부(25) 및 감쇄기(24)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입실신호발생기(20)는 휴대단말기(50) 소지자가 설치장소로 신속히 입실할 때, 입실신호 누락 방지를 위해 한대의 입실신호발생기가 송출하는 신호를 다수의 송신안테나로 전송하여 전파 도달범위를 넓히거나, 다수의 입실신호를 발생하여 입실신호 구간에 입실신호1을 송출하고 다음 입실신호 구간에 입실신호2를 송출하고 그 다음 입실신호 구간에 입실신호3을 송출하는 방법으로 입실신호 구간마다 다른 입실신호를 차례로 송출함으로써 전파도달 범위를 넓히면서 상호 전파간섭을 피하거나, 하나의 입실신호 구간Ton을 나누어 입실신호1,2,3 등을 순차적으로 구분전송하여 전파도달 범위를 넓히면서 상호 전파간섭을 피하는 방법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퇴실신호발생기(30)는 컨트롤러(12)에서 출력되는 퇴실신호를 디지털로 변조하는 디지털변조부(31), 고주파로 변환하는 RF변환부(32),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RF증폭부(33), 설치장소 출입구 크기에따라 출력을 조절하는 스위치부(35) 및 감쇄기(34)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9. 휴대신호발생기는 설치장소 외에서 개인의 정보 보호를 위하여 휴대용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수신기(40)가 내장된 휴대단말기(50)와 같이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다수의 동작모드(정상동작, 일반진동변환, 수신진동변 환, 통화차단, 데이터전송금지, 영상차단, 벨울림, 영상차단 및 데이터전송금지의 복합)중에서 휴대장소의 특성에 알맞게 선택된 동작모드의 각 기능들이 정상발휘 되도록 각종 모드키를 입력하는 키입력부(11), 입실 및 퇴실신호와 모드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12), 현재모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3),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모드신호를 디지털로 변조하는 디지털변조부(14), 이 신호를 고주파로 변환하는 RF변환부(15),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RF증폭부(16), 전파 도달 범위를 조절하는 스위치부(18) 및 감쇄기(17)의 구조를 갖고, TDM방식으로 전파를 송출하여 휴대단말기와 교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KR1020050008601A 2005-01-31 2005-01-31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KR100762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01A KR100762926B1 (ko) 2005-01-31 2005-01-31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PCT/KR2006/000288 WO2006080803A1 (en) 2005-01-31 2006-01-25 An unlawfulness outflow prevention device of th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01A KR100762926B1 (ko) 2005-01-31 2005-01-31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777A true KR20060087777A (ko) 2006-08-03
KR100762926B1 KR100762926B1 (ko) 2007-10-02

Family

ID=3674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601A KR100762926B1 (ko) 2005-01-31 2005-01-31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2926B1 (ko)
WO (1) WO2006080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6778A1 (de) * 2007-09-13 2009-03-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umschalten des betriebsmodus eines gerätes der automatisierungstechnik sowie gerät und anordnung mit einem solchen gerä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5007B2 (ja) * 1997-08-11 1999-10-1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415097B1 (ko) * 1998-10-30 2004-02-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소그라피 공정용 광학계의 구면 수차 측정 방법
US6721542B1 (en) * 1999-05-28 2004-04-13 Nokia Corporation System for location specific, automatic mobile station behavior control
US6782266B2 (en) * 2001-08-31 2004-08-24 Motorola, Inc.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tricted wireless z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0803A1 (en) 2006-08-03
KR100762926B1 (ko) 200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4795B2 (en) GPSS-bas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or disabling cellphones in predefined zones
KR100640330B1 (ko) 카메라 촬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전화 단말기 및방법
CN101461269B (zh) 用于在蜂窝电话系统中保持到无线电基站的通信链路的移动站中的方法和设备
US2008024228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ell phone noise reduction
JP3624149B2 (ja) 携帯電話の通信制限方法及び妨害装置
KR100762926B1 (ko) 휴대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불법유출 예방장치
JP200702017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電話の機能制御方法及び装置
JP3137079B2 (ja) 携帯電話機の強制パワーオフシステムおよび強制パワーオフ方法
JP2007142593A (ja) 移動通信端末のマナーモードまたはセルフモード設定方式
US2006027618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EP16000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controlling camera function through the radio wave in asynchr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2654B1 (ko) 몰래카메라 검출 기능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976946B2 (ja) 携帯電話使用防止装置
JP3910985B2 (ja) 携帯電話の通信制限方法
JP2007274261A (ja) 携帯端末装置制御システム
KR100514642B1 (ko) 전파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카메라 기능 원격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3150096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275388B1 (ko) 셀룰러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사용 방지방법
KR100678861B1 (ko) 강제 매너 모드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이를 이용한시스템 및 강제 모드 설정 방법
KR200191874Y1 (ko)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JPH11234761A (ja) 無線電話機および禁止情報発信機
JP2005151137A (ja) 無線携帯端末の使用規制システムおよび無線携帯端末
JP2003163967A (ja) 無線端末使用制限システム
KR100566674B1 (ko) 카메라폰의 보안장치 및 그 방법
KR100312315B1 (ko) 파일럿 신호 감지를 통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진동모드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