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874Y1 -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874Y1
KR200191874Y1 KR2020000006405U KR20000006405U KR200191874Y1 KR 200191874 Y1 KR200191874 Y1 KR 200191874Y1 KR 2020000006405 U KR2020000006405 U KR 2020000006405U KR 20000006405 U KR20000006405 U KR 20000006405U KR 200191874 Y1 KR200191874 Y1 KR 200191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obile phone
incoming
repeate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수
Original Assignee
전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수 filed Critical 전형수
Priority to KR2020000006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휴대폰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폰의 착신모드가 벨소리모드 또는 진동모드로 전환되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극장이나 지하철과 같은 공공장소에 위치했을 때 사용자의 실수로 휴대폰을 미처 진동모드로 전환시키지 않게되면 극장의 영화상영중에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휴대폰의 벨소리가 주변사람들에게 소음으로 작용하게되어 피해를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고안은 중계영역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벨소리모드, 진동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이를 중계기에 설치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해당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설정하기위한 착신모드선택신호를 링신호와함께 전송하도록 하며, 휴대폰에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착신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착신모드가 벨모드 또는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므로서, 극장이나 지하철 등과같은 공공장소에서는 그 지역에 설치된 중계기를 진동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이 중계기의 중계영역 권 내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폰이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됨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일일이 사용자가 휴대폰을 진동모드로 전환시키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CALL INCOMING MODE-SELECTED SYSTEM OF PORTABLEPHON}
본 고안은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극장이나 지하철 등과같은 공공장소에서는 그 지역에 설치된 중계기를 진동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이 중계기의 중계영역 권 내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폰이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됨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일일이 사용자가 휴대폰을 진동모드로 전환시키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과 같은 무선 통신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자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주는 기능이 벨소리모드와 진동모드로 크게 나누어진다.
벨소리모드는 전화가 걸려왔을 때 소정의 벨소리를 출력하여 전화가 걸려왔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고, 진동모드는 전화가 걸려왔을 때 진동하여 전화가 걸려왔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폰의 착신모드가 벨소리모드 또는 진동모드로 전환되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극장이나 지하철과 같은 공공장소에 위치했을 때 사용자의 실수로 휴대폰을 미처 진동모드로 전환시키지 않게되면 극장의 영화상영중에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휴대폰의 벨소리가 주변사람들에게 소음으로 작용하게되어 피해를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설정해야만 함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계영역 내에 조재하는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벨소리모드, 진동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이를 중계기에 설치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해당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설정하기위한 착신모드선택신호를 링신호와함께 전송하도록 하며, 휴대폰에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착신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착신모드가 벨모드 또는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므로서, 극장이나 지하철 등과같은 공공장소에서는 그 지역에 설치된 중계기를 진동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이 중계기의 중계영역 권 내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폰이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됨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일일이 사용자가 휴대폰을 진동모드로 전환시키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중계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착신모드 선택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3 은 본 고안의 중계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폼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중계기, 2: 휴대폰,
11: 통신모듈, 12: 진동모드 키이,
13: 벨모드 키이, 14: 오프키이,
15: 착신모드 선택부, 16: 선택신호 발생부,
17: 링신호 발생부, 18: 입출력부,
21: 통신부, 22: 링신호 검출부,
23: 선택신호 검출부, 24: 제어부,
25: 진동모듈, 26: 벨소리 모듈,
27: 송수화부, 28: 메모리,
도 1 내지 도 3 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정 중계영역 권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2)으로 링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1)과, 휴대폰(2)의 진동모드 선택을 위한 진동모드키이(12)와, 휴대폰(2)의 벨모드선택을 위한 벨모드키이(13)와, 휴대폰(2)의 착신불가모드를 선택 하기위한 오프키이(14)와, 상기 키이들 중 설정된 키이에 대응하는 착신모드를 선택하는 착신모드 선택부(15)와, 상기 착신모드 선택부(15)에서 선택된 벨모드, 진동모드, 또는 오프모드에 대응하는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16)와, 휴대폰(2)으로 전송할 링신호를 발생시키는 링신호발생부(17)와, 상기 링신호와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합성하여 통신모듈(11)을 통해 해당 휴대폰(2)으로 전송하는 입출력부(18)로 구성된 중계기(1)와;
상기 중계기(1)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통신부(21)와,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검출부(22)와, 검출된 링신호로부터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검출하는 선택신호 검출부(23)와, 상기 선택신호 검출부(23)에서 검출된 착신모드 선택신호로서 휴대폰(2)이 벨모드 또는 진동모드로 자동 설정되도록 하는 제어부(24)와, 상기 제어부(24)의 제어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착신모드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착신모드 설정부(29)와, 착신모드 설정부(29)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제어부(24)에서 출력되는 링신호를 절환시키는 스위치(SW)와, 스위치(SW)를 통해 입력되는 링신호에 의해 진동하여 전화가 걸려왔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진동모듈(25)과, 스위치(SW)를 통해 입력되는 링신호에 의해 소정의 벨소리를 출력하여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주는 벨소리모듈(26)로 구성된 휴대폰(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기(1)는 지하철이 운행하는 지하도나 공공건물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며, 중계기운용자가 진동모드키이(12), 벨모드키이(13) 또는 오프키이(14)를 선택함에 따라 이 중계기(1)의 중계영역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2)은 착신모드가 진동모드 또는 벨소리모드로 자동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설명된 도면부호 27은 사용자가 상태 통화자와 통화하는데 필요한 송수화부이고, 28은 제어부(24)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28)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중계기(1)를 법원이나 극장과 같은 장소에 설치하고, 중계기(1)에 구비된 진동모드키이(12), 벨모드키이(13), 오프키이(14)중 어느 하나를 온상태로 설정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각각의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 중계기운용자가 진동모드키이(12)를 설정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진동모드키이(12)를 설정하게되면, 착신모드선택부(15)는 사용자가 입력한 진동모드키이(12)를 인식하여 진동모드를 선택하고, 선택신호발생부(16)는 휴대폰(2)을 진동모드로 설정하기위한 착신모드선택신호를 발생시켜 입출력부(18)로 출력한다.
이때, 링신호발생부(17)에서는 휴대폰(2)으로 전송하기위한 소정의 링신호를 발생시키고, 입출력부(18)는 상기 링신호의 앞부분에 도 3 과같이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결합시켜 통신모듈(11)을 통해 무선 송신한다.
상기 중계기(1)의 중계영역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2)의 통신부(21)는 상기 중계기(1)에서 전송된 링신호를 수신하고, 링신호검출부(22)는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중 링신호를 검출하며, 선택신호검출부(23)는 링신호검출부(22)에서 검출된 링신호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24)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24)는 선택신호검출부(23)에서 검출된 선택신호로서 진동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인식한 후 착신모드설정부(29)를 구동시켜 스위치(SW)가 진동모듈(25)로 전환되도록 하여 진동모듈(25)을 구동시켜 전화가 걸려왔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진동모듈(25)의 동작에 의해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식한 사용자는 송수화부(27)를 통해 상대 통화자와 통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진동모드는 중계기(1)가 극장이나 지하철, 법원 등과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었을 때 사용하는 착신모드이며, 이와같은 진동모드를 설정하게되면 중계기(1)의 중계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폰이 착신시 진동모드로 동작하게됨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극장이나 법원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핸드폰을 진동모드로 전환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두 번째, 사용자가 벨모드키이(13)를 설정하였을 경우,
중계기운용자가 벨모드키이(13)를 설정하게되면, 착신모드선택부(15)는 입력된 벨모드키이(13)를 인식하여 벨모드를 선택하고, 선택신호발생부(16)는 휴대폰(2)을 벨모드로 설정하기위한 착신모드선택신호를 발생시켜 입출력부(18)로 출력하며, 입출력부(18)는 링신호발생부(17)에서 출력된 링신호의 앞부분에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결합시켜 통신모듈(11)을 통해 무선 송신한다.
상기 중계기(1)의 중계영역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2)의 통신부(21)는 상기 중계기(1)에서 전송된 링신호를 수신하고, 링신호검출부(22)는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중 링신호를 검출하며, 선택신호검출부(23)는 링신호검출부(22)에서 검출된 링신호의 앞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24)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24)는 선택신호검출부(23)에서 검출된 선택신호로서 벨소리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인식한 후 착신모드설정부(29)를 구동시켜 스위치(SW)가 벨소리모듈(26)로 절환되도록하여 벨소리모듈(26)을 구동시켜 전화가 걸려왔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벨소리모듈(26)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착신음으로서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식한 사용자는 송수화부(27)를 통해 상대 통화자와 통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벨소리모드는 중계기(1)가 공공장소가 아닌 야외장소나 휴대폰으로부터 벨소리가 나더라도 타인에게 크게 피해를 주지않는 장소에 설치되었을 때 사용하는 착신모드이다.
세 번째, 중계기운용자가 오프키이(14)를 설정하였을 경우,
중계기운용자가 오프키이(14)를 설정하게되면, 착신모드선택부(15)는 사용자가 입력한 오프키이(14)를 인식하여 동작하지 않게되고, 이와동시에 중계기(1)의 중계동작이 중지되어 이 중계기(1)의 중계영역에 존재하는 휴대폰(2)은 타 통신기기와 통화를 할 수 없게된다.
이와같은 오프모드는 통신라인에 문제가 있을경우와 같이 부득이하게 휴대폰의 사용을 일시 정지시켜야 할 때 사용된다.
상기 설명에서와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를 이용하면 중계기(1)가 설치된 장소의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중계기(1)에서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게됨에 따라 휴대폰 사용자가 일일이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번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훨씬더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중계동작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중계기(1)들이 전국 곳곳에 설치되어 각각의 중계기(1)가 갖는 중계영역 권 내에서 휴대폰(2)의 통화가 가능해지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같이 중계기(1)에서 휴대폰(2)의 착신모드를 임의대로 설정하게되면 휴대폰 사용자가 일일이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2)의 착신모드는 사용자가 착신모드설정부(29)를 조작하여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휴대폰(2)을 소유한 사용자가 중계기(1)의 중계영역을 벗어났을 경우 사용되며, 사용자가 중계기(1)의 중개영역을 벗어났을 경우 제어부(24)는 선택신호 검출부(23)에서 선택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모드설정부(29)의 모드설정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본 고안의 중계기(1) 영역에 종재할 때에는 상기 중계기(1)의 제어에 이해 착신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중계기(1)의 중계영역을 벗어났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착신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중계영역 내에 조재하는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벨소리모드, 진동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이를 중계기에 설치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라 해당 휴대폰의 착신모드를 설정하기위한 착신모드선택신호를 링신호와함께 전송하도록 하며, 휴대폰에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전송된 착신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착신모드가 벨모드 또는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므로서, 극장이나 지하철 등과같은 공공장소에서는 그 지역에 설치된 중계기를 진동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이 중계기의 중계영역 권 내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폰이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됨에 따라 공공장소에서 일일이 사용자가 휴대폰을 진동모드로 전환시키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일정 중계영역 권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2)으로 링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1)과, 휴대폰(2)의 진동모드 선택을 위한 진동모드키이(12)와, 휴대폰(2)의 벨모드선택을 위한 벨모드키이(13)와, 휴대폰(2)의 착신물가모드를 선택하기위한 오프키이(14)와, 상기 키이들 중 설정된 키이에 대응하는 착신모드를 선택하는 착신모드 선택부(15)와, 상기 착신모드 선택부(15)에서 선택된 벨모드, 진동모드, 또는 오프모드에 대응하는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선택신호 발생부(16)와, 휴대폰(2)으로 전송할 링신호를 발생시키는 링신호발생부(17)와, 상기 링신호와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합성하여 통신모듈(11)을 통해 해당 휴대폰(2)으로 전송하는 입출력부(18)로 구성된 중계기(1)와;
    상기 중계기(1)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통신부(21)와, 통신부(21)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신호검출부(22)와, 검출된 링신호로부터 착신모드 선택신호를 검출하는 선택신호 검출부(23)와, 상기 선택신호 검출부(23)에서 검출된 착신모드 선택신호로서 휴대폰(2)이 벨모드 또는 진동모드로 자동 설정되도록 하는 제어부(24)와,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여 전화가 걸려왔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진동모듈(25)과,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벨소리를 출력하여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주는 벨소리모듈(26)로 구성된 휴대폰(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그리고, 상기 중계기(1)는 지하철이 운행하는 지하도나 공공건물과 같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며, 중계기 운용자가 진동모드키이(12), 벨모드키이(13) 또는 오프키이(14)를 선택함에 따라 이 중계기(1)의 중계영역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2)은 착신모드가 진동모드 또는 벨소리모드로 자동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KR2020000006405U 2000-03-07 2000-03-07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KR200191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05U KR200191874Y1 (ko) 2000-03-07 2000-03-07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05U KR200191874Y1 (ko) 2000-03-07 2000-03-07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874Y1 true KR200191874Y1 (ko) 2000-08-16

Family

ID=1964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405U KR200191874Y1 (ko) 2000-03-07 2000-03-07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8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940B1 (ko) 2010-11-09 2012-05-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의 호출 모드 변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940B1 (ko) 2010-11-09 2012-05-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의 호출 모드 변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4489B1 (en) Incoming call notif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a multimode radio device
JPH0746298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US6259931B1 (en)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mode telecommunications signaling
KR200191874Y1 (ko)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KR20010087590A (ko) 휴대폰의 착신모드 선택장치
KR100605876B1 (ko)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50174992A1 (en) Landline telephones converted to transmit and receive cell phones telecommunication
JP3845393B2 (ja)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通信状態通知方法及び通知制御プログラム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200254220Y1 (ko) 진동 착신 알림 유무선 전화기
KR20000039127A (ko)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변경방법
KR20040080650A (ko) 휴대폰
JP3529283B2 (ja) 回線選択装置
JPH06252837A (ja) 無線電話装置
KR200291328Y1 (ko) 휴대 전화기 벨음향 뮤트 및 진동모드로의 자동 전환장치
JP200105383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10048834A (ko) 기존 휴대 이동 통신기의 벨, 진동, 차단 모드의 자동전환 방법
KR200202265Y1 (ko) 음성발신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이어폰
JP3738878B2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KR100602716B1 (ko) 통화시 출력 데이터 제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KR100194414B1 (ko) 무선전화기의 비밀번호에 따른 링발생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JPH01235442A (ja) コードレス電話
KR200400933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긴급수신모드 구현 방법
KR20000019255A (ko) 휴대이동통신기의벨울림방지및통화차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