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9127A -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변경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9127A
KR20000039127A KR1019980054367A KR19980054367A KR20000039127A KR 20000039127 A KR20000039127 A KR 20000039127A KR 1019980054367 A KR1019980054367 A KR 1019980054367A KR 19980054367 A KR19980054367 A KR 19980054367A KR 20000039127 A KR20000039127 A KR 20000039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bration mode
mode
base station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5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9127A/ko
Publication of KR2000003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12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착신 전화벨 모드의 자동 변경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이 점차 생활화되면서, 중요한 회의석, 예술 공연장, 영화관, 집회 장소 등 많은 사람이 모이고 또한 조용해야 할 장소에서, 계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벨 소리에, 일종의 소음 공해로 까지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특정 장소에서는 단말기의 착신 벨 소리 모드를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진동 모드로 변경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의 착신벨 신호를 진동 모드로 변환 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부 하는 진동 모드 요청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진동 모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는 현재의 착신벨 모드를 롬에 저장하고, 진동 모드로 변환한 후, 상기의 진동 모드 변환 단계로 궤환하고, 또한, 상기의 진동 모드 요청 단계에서, 진동 모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단말기는 롬에 저장된 착신 벨 모드로 동작하는 복귀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 변경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착신 전화벨 모드의 자동 변경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이 점차 생활화되면서, 현재 인구 5명당 1대 이상의 이동통신용 휴대 단말기가 보급되어 있고, 이에 따른 부작용도 많이 발생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중요한 회의석, 예술 공연장, 영화관, 집회 장소 등 많은 사람이 모이고 또한 조용해야 할 장소에서, 계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벨 소리에, 일종의 소음 공해까지 발전되고 있다.
더군다나, 음악 연주회 같은 곳에서는 연주자들이 연속되는 휴대 단말기의 착신벨 소리에 연주가 중단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특정 장소에서는 단말기의 착신 벨 소리 모드를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진동 모드로 변경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진동 모드 변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은 일 실시예로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착신 벨의 진동 모드로 변환하는 방법 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용 휴대 단말기의 착신 벨을 변경하는 방법은,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의 "Menu" 버튼을 입력하는 단계(S2)와, 전화벨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4)와, 전화 벨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S6)와, 선택된 전화 벨 모드를 롬(EEPROM)에 저장하는 단계(S8)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한 단말기의 착신벨 선택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언(On) 시킨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버튼 상에 있는 "Menu" 버튼을 입력한다(S2).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여러 가지 메뉴(Menu)가 나타나는데, 이 중에서, "전화벨 선택" 모드를 선택한다(S4).
또, 다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모드 중에서, "전화벨 종류" 모드를 선택한다(S6).
그러면, 소리 모드, 진동 모드, 램프 모드와 같이 착신을 알리는 여러 가지 신호 모드가 나타난다. 이중에서, "진동 모드"를 선택하고, 단말기의 버튼 중, "저장" 버튼을 입력한다(S8). 상기의 벨 종류 선택 단계(S6)에서 선택된 "진동 모드"는 단말기의 롬(EEPROM)에 저장되어 상기의 단계를 반복하면서, 바꾸지 않는 한, 계속 진동 모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착신벨 모드를 바꾸는데 최소한 5번 이상의 버튼 조작을 하여야 하고, 메뉴가 나타나면, 적당한 메뉴를 선택하여야 하는 등, 조작하기가 비교적 복잡하여, 불편할 뿐 아니라, 수동으로 일일이 조작하여야 함으로 매우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착신 벨 모드의 변경 조작을 잠시 잊고, 음악 연주회 또는 연극회, 중요한 회의 장소에 참석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단말기의 착신벨 소리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성상, 시스템의 기지국과, 휴대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통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주기적으로 시스템이 단말기와 통신한다는데 착안하여, 특정의 공공 장소에서는 착신 벨이 진동 모드로 자동 변환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도1 은 일 실시예로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착신 벨의 진동 모드로 변환하는 방법 이고,
도2 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단말기가 착신 벨 모드 자동 변경되는 영역의 표시도 이고,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 변경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단말기 20 : 기지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성이 있다는 특성과, 어디에 있던지 통화가 되어야 한다는 요구 사항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서로 데이터 통신을 한다.
즉, 단말기의 사용자가 음성 채널(Voice Channel)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하지 않아도, 제어 채널(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시로 단말기와 주고받는다.
상기와 같은 제어 채널은 단말기의 고유 ID 번호를 기지국에 통보하는 위치 등록, 기지국과의 거리를 확인하는 신호 세기 측정,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 예상 경로의 제어 채널 주파수 통보, 시간 정보, 사용 가능한 음성 채널 정보 등의 데이터 통신을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주기적으로 계속한다.
이러한 제어 채널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의 착신 벨 신호를 진동 모드로 변환 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부 하는 진동 모드 요청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진동 모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는 현재의 착신 벨 모드를 롬에 저장하고, 진동 모드로 변환한 후, 상기의 진동 모드 변환 단계로 궤환하고, 또한, 상기의 진동 모드 요청 단계에서, 진동 모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단말기는 롬에 저장된 착신 벨 모드로 동작하는 복귀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 변경 방법을 설명한다.
도2 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단말기가 착신 벨 모드 자동 변경되는 영역의 표시도 이고,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 변경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20)에서 단말기(10)로 전송되는 순방향의 제어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10)의 착신 벨 신호를 진동 모드로 변환 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부 하는 진동 모드 요청 단계(S11)와, 상기의 단계(S11)에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진동 모드 변경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10)는 현재의 착신 벨 모드를 롬에 저장하고(S22), 진동 모드로 변환(S33)한 후, 상기의 진동 모드 변환 단계(S11)로 궤환하고, 또한, 상기 진동 모드 요청 단계(S11)에서, 진동 모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단말기(10)는 롬에 저장된 착신 벨 모드로 동작하는 복귀 단계(S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 변경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20)은, 진동 모드 요청 단계(S11)에서, 순방향의 제어 채널(Control Channel)을 통하여, 단말기(10)의 착신 벨 신호 모드를 강제적으로 진동 모드로 변환 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부하고, 단말기(10)는 기지국(20)의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 상기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적으로 내장된 소프트웨어(Soft Ware)에 의하여, 현재의 착신벨 모드를 EEPROM(Electrical Eraserable Program Read Only Memory)에 저장하고(S22), 진동 모드로 변환(S33)한다.
따라서, 기지국(20)의 상기와 같은 진동 모드 요청 단계(S11)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기(10)는 자동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진동 모드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의 기지국(20)은 회의 장소, 음악 연주 장소, 연극 장소 등, 해당 공공 장소의 규모를 서비스 영역으로 하는 세기의 출력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또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작은 출력의 이동용 기지국(20)을 상기의 공공 장소의 요소 요소에 배치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진동 모드 변환 단계(S33)는 상기의 진동 모드 요청 단계(S11)로 다시 궤환 한다.
따라서, 기지국(20)으로부터 진동 모드로 변환하라는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한 데이터가 있는지 반복 확인한다.
그러므로, 상기 기지국(20)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단말기(10)는 상기 진동 모드 요청 단계(S11)에서, 기지국(20)의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진동 모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 단말기(10)의 롬(EEPROM)에 저장된 착신 벨 모드로 동작하는 복귀 단계(S44)를 진행한다.
따라서, 단말기(10)는 하드웨어(Hard Ware)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Soft Ware)만 업그레이드(Up-grade)하면 되고, 기지국은 필요한 기지국(10) 또는 특정의 이동용 간이 기지국(10)에서만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진동 모드로 자동 변경되도록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면, 공공 장소 등에서 단말기(10)의 착신벨 소리에 의한 소음 공해를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용 간이 기지국(20)을 사용하지 않고, 공공 장소가 있는 지역의 고정용 기지국(20)에만 한시적으로, 행사가 있는 시간 동안만,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진동 모드로 변경되도록 데이터 신호를 전송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착신 벨모드 자동 변경 방법은,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만을 변경하고, 특정한 공공 장소에 있는 기지국의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진동 모드 자동 변경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만, 자동으로 진동 모드로 변경되고, 해당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떠나면 롬에 기억되어 있는 본래의 착신벨 모드로 작동하게 됨으로, 공공 장소에서의 착신벨 소리에 의한 소음 공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의 제어 채널에 있어서,
    기지국의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의 착신벨 신호를 진동 모드로 변환 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부 하는 진동 모드 요청 단계와,
    상기의 단계에서, 순방향 제어 채널을 통하여 진동 모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는 현재의 착신벨 모드를 롬에 저장하고, 진동 모드로 변환한 후, 상기의 진동 모드 요청 단계로 궤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 변경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드 요청 단계에서, 진동 모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단말기는 롬에 저장된 착신 벨 모드로 동작하는 복귀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 변경 방법.
KR1019980054367A 1998-12-11 1998-12-11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변경방법 KR20000039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67A KR20000039127A (ko) 1998-12-11 1998-12-11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67A KR20000039127A (ko) 1998-12-11 1998-12-11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변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127A true KR20000039127A (ko) 2000-07-05

Family

ID=1956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367A KR20000039127A (ko) 1998-12-11 1998-12-11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91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203A (ko) * 1999-09-28 1999-12-06 이승렬 이동 전화 단말기의 착신 신호 및 송신 자동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346229B1 (ko) * 1999-10-18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페이징 경고모드 결정장치 및 방법
KR100375540B1 (ko) * 2000-09-15 200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페이징 셀룰러 시스템
KR20040012038A (ko) * 2002-07-31 200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벨소리 모드 제어 방법
KR100732328B1 (ko) * 2006-04-25 2007-06-25 (주) 엘지텔레콤 셀방송서비스를 이용한 특정 지역의 벨소리 자동 변경방법및 그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203A (ko) * 1999-09-28 1999-12-06 이승렬 이동 전화 단말기의 착신 신호 및 송신 자동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346229B1 (ko) * 1999-10-18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페이징 경고모드 결정장치 및 방법
KR100375540B1 (ko) * 2000-09-15 200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페이징 셀룰러 시스템
KR20040012038A (ko) * 2002-07-31 200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벨소리 모드 제어 방법
KR100732328B1 (ko) * 2006-04-25 2007-06-25 (주) 엘지텔레콤 셀방송서비스를 이용한 특정 지역의 벨소리 자동 변경방법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6064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0448253C (zh) 可指定来电模式的通话系统及其方法
JPH09191491A (ja) セルラー/phs携帯電話装置
US20040266416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rogram for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
KR20000039127A (ko) 단말기의 착신 벨 모드 자동변경방법
JPH11196468A (ja) 携帯通信端末の着信形態設定方法
KR1007272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장치
KR1007752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대별 수신모드 전환방법
KR1006773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 및 모닝콜 원격 제어 방법
KR2004008756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모드 설정 방법
KR20040082892A (ko)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매너모드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JP2000349871A (ja) 複合携帯電話機
JPH1117782A (ja) バイブレータ付コードレス電話機
JPH1075469A (ja) 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並びに無線電話の基地局及びその移動局
JP2966754B2 (ja) 基地局、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202265Y1 (ko) 음성발신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이어폰
JP3022835B2 (ja) 移動端末、交換機、無線基地局及び着信鳴動種別可変システム
JP352831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携帯情報端末
JP5094306B2 (ja) 携帯電話機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199010Y1 (ko) 라디오 수신 기능을 갖는 휴대폰
JPH0918964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10061475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모드 자동 변경 방법
KR200248741Y1 (ko)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43145Y1 (ko) 동일한 배경음을 양쪽에서 들을수 있게 한 전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