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646A -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646A
KR20060087646A KR1020050008413A KR20050008413A KR20060087646A KR 20060087646 A KR20060087646 A KR 20060087646A KR 1020050008413 A KR1020050008413 A KR 1020050008413A KR 20050008413 A KR20050008413 A KR 20050008413A KR 20060087646 A KR20060087646 A KR 2006008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device
light emitting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7646A/ko
Priority to JP2005380498A priority patent/JP2006210337A/ja
Priority to TW095101899A priority patent/TW200702837A/zh
Priority to US11/344,794 priority patent/US20060171140A1/en
Priority to CNA2006100071445A priority patent/CN1815320A/zh
Publication of KR2006008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서포트 부재는 제1 기판 및 제 2 기판이 결합하여 발광영역과 비 발광 영역을 형성하는 면광원 장치 및 광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부재의 사이에 개재된다. 서포트 부재는 면광원 장치의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 및 광학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트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면광원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서 영상의 휘도 및 영상의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SUPPORTING MEMBER,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UPPORTING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BACK LIGHT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포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 및 면광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부 및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부 및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부 및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부 및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Ⅳ-Ⅳ'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면광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면광원 장치의 Ⅴ-Ⅴ'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 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영상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키는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을 제어하는 액정 제어 유닛 및 액정으로 광을 제공하는 광 제공 유닛을 필요로 한다.
광 제공 유닛은 광을 발생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은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점광원, 냉음극선관 램프와 같은 선광원 및 평판형광램프와 같은 면광원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면광원은 대형 액정표시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면광원 장치는 광이 발생되는 발광 영역 및 광이 차단되는 비 발광 영역이 교대로 형성되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로부터는 휘선이 발생될 수 있다. 면광원 장치에 의하여 발생된 휘선은 영상의 휘도 균일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영상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 면광원 장치는 확산판을 포함한다. 확산판은 면광원 장치에 의하여 발생된 휘선을 제거하여 영상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확산판은 면광원 장치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면광원 장치로부터 이격된 확산판은 자중에 의하여 휨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확산판 및 면광원 장치가 이루는 간격이 국부적으로 변경되어 면광원 장치의 휘선에 의해 영상의 휘도 균일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점 및 제한을 실질적으로 제거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목적은 면광원 장치 및 확산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영상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서포트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포트 부재는 고정부 및 서포트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면 형태의 광학분포를 갖는 광을 발생시키는 면광원 장치의 일면에 배치되고, 고정부에 배치된 서포트부는 광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부재를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수납용기, 면광원 장치, 광학부재 및 서포트 부재를 포함한다. 면광원 장치는 수납용기에 수납되며,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들을 갖는다. 광학부재는 수납용기에 수납되며,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킨다. 서포트 부재는 광학부재를 서포트 하는 서포트부 및 서포트부를 면광원 장치 상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제1 기판 및 제 2 기판이 결합하여 발광영역과 비 발광 영역을 형성하는 면광원 장치, 면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된 광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부재, 광학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서포트 부재 및 면광원 장치 및 광학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광학 부재를 통과한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면광원 장치 및 면광원 장치와 마주보는 곳에 배치된 광학부재의 사이에 광학부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서포트부재를 개재하여 영상의 표시품질 및 영상의 휘도 분포를 보다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서포트 부재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원(light source device;50)은 면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을 발생한다. 이하, 면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50)을 면광원 장치(surface light source device)라 칭하기로 한다.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광학부재(optical member;40)는 면광원 장치(50)로부 터 발생된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부재는, 예를 들어,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light diffusing plate)이다.
면광원 장치(50)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해 광학부재(40)는 면광원 장치(50)에 대하여 지정된 간격 G로 상호 이격 된다. 면광원 장치(50) 및 광학부재(40)들 사이의 간격 G가 국부적으로 불균일 할 경우, 광학부재(40)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은 크게 감소된다.
서포트 부재(supporting member;10)는 면광원 장치(50) 및 광학 부재(40)들의 사이에 개재된다. 서포트 부재(10)에 의하여 면광원 장치(50) 및 광학부재(40)들 사이의 간격 G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서포트 부재(10)는 고정부(fixing portion;20) 및 서포트부(supporting portion;30)를 포함하고, 면광원 장치(50) 및 광학 부재(40)는 서포트 부재(10)에 의하여 지지된다. 서포트 부재(10)는 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 부재(10)를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고정부(20)는 면광원 장치(50)의 일면, 예를 들면, 광이 출사되는 광출사면 상에 배치된다. 고정부(20)는 면광원 장치(50)의 지정된 위치에 서포트부(30)를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고정부(20) 및 면광원 장치(50)의 사이에는 접착부재(adhesive member;미도시)가 개재되고, 고정부(20)는 면광원 장치(50) 상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재는, 예를 들어,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서포트부(30)는 고정부(20) 상에 형성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부(30)는 광학부재(40)와 접촉되어 광학부재(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서포트 부재(10)의 고정부(20)는 서포트부(3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고정부(20)의 상면에 배치 또는 형성된 서포트부(30)는, 예를 들어,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는 실시예 1의 서포트부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서포트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서포트 부재(10)의 서포트부(30)는, 예를 들어, 기둥 형상을 갖고, 서포트부(30)는 고정부(20)로부터 광학부재(40)를 향해 돌출 된다.
서포트부(30) 및 광학부재(4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경우, 면광원 장치(50)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는 서포트부(30)에 의하여 차단되고, 광학부재(40)에는 암부(dark region)가 발생된다. 따라서, 암부의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서포트부(30) 및 광학부재(40)의 접촉 면적은 감소된다.
서포트부(30) 및 광학부재(40)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포트부(30)는 뿔(hone)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부(30)는, 예를 들어, 삼각뿔, 사각뿔, 다각뿔 및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트부(30) 는, 예를 들어, 원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서포트부(30) 및 광학부재(40)의 접촉 면적이 감소될 경우, 서포트부(30)의 단부에 가해지는 압력은 증가되고, 이로 인해 서포트부(30)의 단부 또는 광학부재(40)는 파손될 수 있다. 서포트부(30)의 단부는 부드러운 곡면부를 포함하고, 서포트부(30)의 단부에 가해지는 압력은 곡면부에 의하여 감소되고, 서포트부(30)의 단부 또는 광학부재(40)의 파손은 방지된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는 실시예 1의 서포트부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서포트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포트 부재(10)의 서포트부(30)는 서포트부(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한다. 서포트부(3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경우, 서포트부(30)의 두께 및 고정부(20)의 두께의 차이는 감소되고, 이로 인해 서포트부(30) 및 고정부(20)의 형상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포트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는 실시 예 1의 서포트부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서포트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트 부재(10)의 서포트부(33)는 광학부재(40)와 접촉되고, 이로 인해 서포트부(33)는 광학부재(40)를 지지한다. 반면, 면광원 장치(50)에서 발생된 광의 일부는 서포트 부재(10)의 서포트부(33)에 의하여 차단되고, 이로 인해 광학부재(40)에는 암부가 형성한다.
암부의 면적은 서포트부(33) 및 광학부재(40)의 접촉 면적 및 고정부(20)와 접촉된 서포트부(33)의 하단부 둘레 길이에 비례한다.
서포트부(33) 및 광학부재(40)의 접촉 면적 및 서포트부(33)의 하단부 둘레 길이를 감소시킬 경우, 광학부재(40)에 형성된 암부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광학부재(40)에 형성된 암부의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서포트부(33)는 암부 개선부(33a)를 포함할 수 있다. 암부 개선부(33a)는 서포트부(33)의 측면의 일부에 형성되고, 이로 인해 서포트부(33)의 하단부 둘레 길이는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암부 개선부(33a)는 서포트부(33)의 측면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다. 이때, 절단 방향은 서포트부(22)의 단부로부터 고정부(20)를 향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암부 개선부(33a)는 서포트부(33)의 측면에 적어도 1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암부 개선부(33a)는, 예를 들어, 서포트부(33)의 측면에 2 ∼ 4 개가 형성된다.
실시예 5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 및 면광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는 실시예 1의 고정부의 위치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서포트 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들을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50)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면광원 장치(50)는 광이 출사되는 발광부(51)들 및 발광부(51)들 사이에 형성된 비 발광부(52)를 포함한다.
발광부(51)들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제 1 면적을 갖는다. 비 발광부(51)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제 1 면적보다 작은 제 2 면적을 갖는다.
면광원 장치(50)는 제 1 기판(54), 제 2 기판(55), 밀봉부재(58) 및 공간분할부재(56) 및 전극(미도시)들을 포함한다.
제 1 기판(54) 및 제 2 기판(55)들은 상호 마주본다. 밀봉부재(58)는 제 1 및 제 2 기판들(54, 55)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 1 및 제 2 기판들(54, 55)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공간 분할 부재(56)는 공간을 적어도 2 개로 분할하고, 복수개의 발광공간을 제공한다.
공간 분할 부재(56)에 의하여 분할된 발광공간에는 방전가스(53)가 주입되 고, 방전가스(53)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형광층(57)이 도포된다.
전극들은 제 1 기판(54) 또는 제 2 기판(55) 상에 한 쌍이 이격 되어 배치되며, 각 방전 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전극들은 발광공간에 방전을 일으켜 발광공간으로부터 비가시광선을 발생시킨다. 비가시광선은 형광층(57)에 의하여 가시광선으로 변경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면광원 장치(50)에서 발생된 광은 휘선을 포함하고, 휘선은 발광공간을 형성하는 공간 분할 부재(56)에 기인하여 발생된다.
광학부재(40)는 면광원 장치(50) 중 광의 진행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에 포함된 휘선을 제거한다. 광에 포함된 휘선을 제거하기 위해 면광원 장치(50) 및 광학부재(40)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된다. 광학부재(40)에 의하여 면광원 장치(50)에서 발생된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은 크게 향상된다.
광에 포함된 휘선을 제거하기 위해 광학부재(40) 및 면광원 장치(50)가 상호 이격 될 경우, 광학부재(40)의 중심부는, 예를 들어, 중력에 기인하는 휨이 발생된다. 광학부재(40)에 중력에 기인하는 휨이 발생할 경우, 광학부재(40)의 광학 특성은 크게 저하된다.
서포트 부재(10)는 광학부재(40) 및 면광원 장치(50)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 결과 중력에 기인하는 광학부재(40)의 휨은 방지된다.
서포트 부재(10)는 면광원 장치(50)의 비 발광부(52)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 부재(10)가 면광원 장치(50)의 비 발광부(52) 상에 배치될 경우, 면광원 장치(50)에서 발생된 광의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 발광부(52) 상에 형성된 서포트 부재(10)는 고정부(20) 및 서포트부(30)를 포함한다.
고정부(20)는, 예를 들어, 비 발광부(5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고정부(20)는 서포트부(30)를 지지하고, 서포트부(30)는 광학부재(40)를 지지한다.
실시예 6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부 및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는 실시예 1의 고정부의 위치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서포트 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20)는 제 1 고정부(21) 및 제 2 고정부(22)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21)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제 1 고정부(21)는 비 발광부(52) 상에 형성된다. 제 1 고정부(21) 상에는 서포트부(30)가 고정된다.
제 2 고정부(22)는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제 2 고정부(22)는 면광원 장치(50)의 표면을 따라 제 1 고정부(2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고정부(22)에 의하여 제 1 고정부(21)는 면광원 장치(50) 상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2 고정부(22)는 제 1 고정부(21)의 제 1 단부(21a)로부터 비 발광부(52)의 양쪽에 형성된 발광부(51)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2 고정부(22)는 제 1 고정부(21)의 제 1 단부(21a)로부터 비 발광부(52)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발광부(51)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22)는 제 1 고정부(21)의 제 1 단부(21a)와 대향하는 제 2 단부(21b)로부터 비 발광부(52)의 양쪽에 형성된 발광부(51)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2 고정부(22)는 제 2 단부(21b)로부터 비 발광부(52)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발광부(51)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부 및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는 실시예 6의 고정부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서포트 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50)중 광학부재(40)와 마주보는 면광원 장치(50)의 상면에는 돌출부(59)들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59)들은 마루(ridge)들 및 마루들에 근접한 골(groove)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1 개의 돌출부(59)는 하나의 마루 및 하나의 마루의 양쪽에 근접한 골들을 포함한다. 각 돌출부(59)의 종단면은, 예를 들면, 사다리꼴, 반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면광원 장치(50)의 돌출부(59)들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돌출부(59)들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된다.
서포트 부재(10)의 고정부(20)는 제 1 고정부(24) 및 제 2 고정부(25)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24)는, 예를 들어, 돌출부(59)들의 사이에 형성된 골에 배치되며, 돌출부(59)들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2 고정부(25)는 제 1 고정부(24)의 측면으로부터 골들의 양쪽에 배치된 돌출부(59)를 향해 연장된다. 이와 다르게, 제 2 고정부(25)는 골들의 어느 한쪽에 배치된 돌출부(59)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1 고정부(24)는 광학부재(40)를 지지하는 서포트부(30)를 지지하고, 제 2 고정부(24)는 제 1 고정부(24)를 면광원 장치(50) 상에 고정한다.
실시예 8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부 및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는 고정부를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서포트 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20)는 접촉부(27), 이격부(29) 및 연결부(28)를 포함한다.
접촉부(27)는 접착 부재(27a)를 통해 면광원 장치(50)의 표면에 접합된다. 이격부(29)는 면광원 장치(50)와 소정 간격 이격 되며, 면광원 장치(50) 및 이격부(29)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부(28)는 이격부(29) 및 접촉부(27)를 상호 연결하여, 이격부(29)는 면광원 장치(50)로부터 이격 된다.
이격부(29)에는 서포트부(30)가 배치된다. 서포트부(30)는 광학부재(40), 예를 들면, 확산판을 지지한다.
한편, 외부로부터 광학부재(40)에 진동 또는 외력이 인가될 경우, 광학부재(40)에 가해진 힘은 서포트 부재(10)의 서포트부(30)로 전달되고, 서포트부(30)에 가해진 힘은 고정부(20)의 이격부(29)로 인가된다. 고정부(20)의 이격부(29)에 가해진 힘은 이격부(29)가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흡수되어, 면광원 장치(50)의 파손은 방지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연결부(28)의 내측면 및 면광원 장치(5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약 30°∼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가 약 30°보다 작을 경우, 이격부(29) 및 면광원 장치(50)가 이루는 간격이 좁아져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이 면광원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각도가 60°이상일 경우, 이격부(29) 및 면광원 장치(50)가 이루는 간격이 증가되어 표시장치의 부피가 크게 증가될 수 있고,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기 어렵다.
실시예 9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부 및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는 결합 방식을 제외하면 실시예 1의 서포트 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10)는 고정부재(23) 및 서포트 유닛(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10)는 고정부재(23) 및 서포트 유닛(34)을 상호 결합하여 제조된다.
고정부재(23)에는 제 1 결합부(23a)가 형성되고, 서포트 유닛(34)에는 제 2 결합부(34a)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 1 결합부(23a)는 고정부재(23)로부터 서포트 유닛(34)을 향해 돌출된 돌기(23a)이고, 제 2 결합부(34a)는 고정부재(23)에 형성된 돌기(23a)와 결합되는 결합홈(34a)이다. 이와 다르게, 제 1 결합부는 서포트 유닛(34)으로부터 고정부재(23)를 향해 돌출된 돌기이고, 제 2 결합부는 고정부재(23)에 형성되어 돌기와 결합되는 홈(recess) 또는 관통공일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실시예 10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서포트 부재(110), 확산판(140), 면광원 장치(150) 및 수납용기(160)를 포함한다.
수납용기(160)는 바닥판(162) 및 측벽(164)들을 포함한다. 바닥판(162)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측벽(164)들은 바닥판(162)의 주변부상에 배치된다.
면광원 장치(15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광을 발생하는 발광 영역들 및 발광영역들의 사이에 개재된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한다. 면광원 장치(150)의 비 발광 영역의 양쪽에는 발광영역이 배치된다. 면광원 장치(150)는 수납용기(160)의 바닥판(162) 상에 배치된다.
면광원 장치(150)에서 발생된 광은 면광원 장치(150)의 비 발광 영역에서 발생된 광에 의하여 휘선을 포함할 수 있다. 휘선은 영상의 휘도 균일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바, 휘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면광원 장치(150)의 상면에는 광학부재(140)가 배치된다. 광학부재(140)는 면광원 장치(150)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시켜 광에 포함된 휘선을 제거한다.
서포트 부재(110)는 면광원 장치(150) 및 광학부재(140)의 사이에 개재된다. 서포트 부재(110)는 중력에 기인한 광학부재(140)의 휨을 방지하고, 이 결과 면광원 장치(150)로부터 광학부재(140)를 향해 발생된 광에 포함된 휘선은 완전히 제거한다.
면광원 장치(150) 및 광학 부재(14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부재(110)는 고정부(120) 및 서포트부(130)를 포함한다.
서포트 부재(110)는 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 부재(110)를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고정부(120)는 면광원 장치(150)의 일면, 예를 들면, 광이 출사되는 광출사면 상에 배치된다. 고정부(120)는 면광원 장치(150)의 지정된 위치에 서포트부 (130)를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고정부(120) 및 면광원 장치(150)의 사이에는 접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재는, 예를 들어,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부재에 의하여 고정부(120)는 면광원 장치(150) 상에 고정된다.
서포트부(130)는 고정부(120) 상에 형성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부(130)는 광학부재(140)를 지지한다.
서포트 부재(110)의 고정부(120)는 서포트부(13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고정부(120)의 상면에 배치 또는 형성된 서포트부(130)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1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Ⅳ-Ⅳ'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면광원 장치를 제외하면 실시예 10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0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7들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어셈블리(100)의 면광원 장치(150)는 광 발생 영역(151)들 및 광 발생 영역(151)들의 양쪽에 배치된 비 발광 영역(152)들을 포함한다. 면광원 장치(150)의 광 발생 영역(151)은 제 1 유리 기판, 제 1 유리 기판과 마주보는 제 2 유리 기판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방전공간을 포함한다.
면광원 장치(150)의 광 발생 영역(151)에서 발생된 광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면광원 장치(150) 및 광학부재(140)의 사이에 개재된 서포트 부재(110)의 고정부(120)는 비 발광 영역(152)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110)는 고정부(120)에 의하여 형성된 충격 흡수부(120a)를 갖는다. 충격 흡수부(120a)는 광학부재(140)를 통해 서포트 부재(110)의 서포트부(130)로 제공된 충격을 흡수하여 면광원 장치(150)의 파손을 방지한다.
충격 흡수부(120a)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부(120)는 접촉부(122), 이격부(126) 및 연결부(124)를 포함한다.
접촉부(122)는 접착 부재를 통해 면광원 장치(150)의 표면에 접합된다. 이격부(126)는 면광원 장치(150)와 소정 간격 이격 되며, 면광원 장치(150) 및 이격부(126)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부(124)는 이격부(126) 및 접촉부(122)를 상호 연결하여, 이격부(126)는 면광원 장치(150)로부터 이격 된다.
이격부(126)에는 서포트부(130)가 배치된다. 서포트부(130)는 광학부재(140)를 지지한다.
한편, 외부로부터 광학부재(140)에 진동 또는 외력이 인가될 경우, 광학부재(140)에 가해진 힘은 서포트 부재(110)의 서포트부(130)로 전달되고, 서포트부(130)에 가해진 힘은 고정부(120)의 이격부(126)로 인가된다. 고정부(120)의 이격 부(126)에 가해진 힘은 이격부(126)가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흡수되어, 면광원 장치(150)의 파손은 방지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연결부(124)의 내측면 및 면광원 장치(15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약 30°∼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가 약 30°보다 작을 경우, 이격부(126) 및 면광원 장치(150)가 이루는 간격이 좁아져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이 면광원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각도가 60°이상일 경우, 이격부(126) 및 면광원 장치(150)가 이루는 간격이 증가되어 표시장치의 부피가 크게 증가될 수 있고,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기 어렵다.
도 14를 다시 참조하면, 고정부(120)는 제 1 고정부(120a) 및 제 2 고정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20a)는 비 발광 영역(152) 상에 배치되고, 제 2 고정부(120a)는 제 1 고정부(120a)의 제 1 단부로부터 비 발광 영역(152)에 인접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고정부(120a)는 비 발광 영역(152)의 일측에 배치된 광 발생 영역(151) 또는 비 발광 영역(152)의 양쪽에 배치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된다.
한편, 고정부(120)는 제 1 고정부(120a), 제 2 고정부(120b) 및 제 3 고정부(1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20a)는 비 발광 영역(152) 상에 배치되고, 제 2 고정부(120a)는 제 1 고정부(120a)의 제 1 단부로부터 비 발광 영역(152)에 인접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고정부(120b)는 비 발광 영역(152)의 일측에 배치된 광 발생 영역(151) 또는 비 발광 영역(152)의 양쪽에 배치 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 고정부(120c)는 제 1 고정부(120a)의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로부터 비 발광 영역(152)에 인접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3 고정부(120c)는 비 발광 영역(152)의 일측에 배치된 광 발생 영역(151) 또는 비 발광 영역(152)의 양쪽에 배치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20)는 제 1 고정부(120a), 제 2 고정부(120b), 제 3 고정부(120c) 및 연결부(12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20a)는 비 발광 영역(152) 상에 배치되고, 제 2 고정부(120a)는 제 1 고정부(120a)의 제 1 단부로부터 비 발광 영역(152)에 인접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고정부(120b)는 비 발광 영역(152)의 일측에 배치된 광 발생 영역(151) 또는 비 발광 영역(152)의 양쪽에 배치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 고정부(120c)는 제 1 고정부(120a)의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로부터 비 발광 영역(152)에 인접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3 고정부(120c)는 비 발광 영역(152)의 일측에 배치된 광 발생 영역(151) 또는 비 발광 영역(152)의 양쪽에 배치된 광 발생 영역(15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20d)는 제 2 고정부(120b) 및 제 3 고정부(120c)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부(120)가 보다 안정적으로 면광원 장치(150) 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실시예 12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면광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면광원 장치의 Ⅴ-Ⅴ'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면광원 장치를 제외하면 실시예 10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0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150)는 제 1 기판(158) 및 제 2 기판(159)을 포함한다. 제 2 기판(159)은 광학부재(40)와 마주보며, 제 2 기판(159)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발광부(159c)들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59c)들은 마루(ridge;159a)들 및 마루(159a)들에 근접한 골(groove;159b)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1 개의 발광부(159c)는 하나의 마루(159a) 및 하나의 마루(159a)의 양쪽에 근접한 골(159b)들을 포함한다. 각 발광부(159c)의 종단면은, 예를 들면, 사다리꼴, 반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면광원 장치(150)의 발광부(159c)들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발광부(59)들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 된다. 예를 들어, 발광부(159c)들은 상호 2 ∼ 4㎜ 이격 되어 배치된다.
발광부(159a)의 내측면에는 형광층(159d)이 형성되고, 발광부(159a)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는 수은(mercury), 아르곤(Argon), 네온(Neon), 크세논(Xenon), 크립톤(Krypton) 등의 방전가스(discharge gas)가 주입된다. 이에 더하여 면광원 장치(150)에는 각 발광부(159a)의 내부에서 방전(discharge)을 일으키기 위한 전극 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면광원 장치(150)에 형성된 전극은 면광원 장치(150)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면광원 장치(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은 면광원 장치(150)의 외부에 한 쌍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서포트 부재(110)는 고정부(123)에 의하여 형성된 충격 흡수부(123a)를 갖는다. 충격 흡수부(123a)는 광학부재(140)를 통해 서포트 부재(110)의 서포트부(130)로 제공된 충격을 흡수하여 면광원 장치(150)의 파손을 방지한다.
충격 흡수부(123a)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부(123)는 접촉부(123b), 이격부(123d) 및 연결부(123c)를 포함한다.
접촉부(123b)는 접착 부재를 통해 면광원 장치(150)의 표면에 접합된다. 이격부(123d)는 면광원 장치(150)와 소정 간격 이격 되며, 면광원 장치(150) 및 이격부(123d)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결부(123c)는 이격부(123d) 및 접촉부(123b)를 상호 연결하여, 이격부(123d)는 면광원 장치(150)로부터 이격 된다.
이격부(123d)에는 서포트부(130)가 배치되고, 서포트부(130)는 광학부재(140)를 지지한다.
한편, 외부로부터 광학부재(140)에 진동 또는 외력이 인가될 경우, 광학부재(140)에 가해진 힘은 서포트 부재(110)의 서포트부(130)로 전달되고, 서포트부(130)에 가해진 힘은 고정부(123)의 이격부(123d)로 인가된다. 고정부(123)의 이격부(123d)에 가해진 힘은 이격부(123d)가 탄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흡수되어, 면광원 장치(150)의 파손은 방지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연결부(123c)의 내측면 및 면광원 장치(15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약 30°∼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가 약 30°보다 작을 경우, 이격부(123d) 및 면광원 장치(150)가 이루는 간격이 좁아져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이 면광원 장치(150)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각도가 60°이상일 경우, 이격부(123d) 및 면광원 장치(150)가 이루는 간격이 증가되어 표시장치의 부피가 크게 증가될 수 있고,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기 어렵다.
도 19를 다시 참조하면, 고정부(123)는 제 1 고정부(123a) 및 제 2 고정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20a)는 골(159b) 상에 배치되고, 제 2 고정부(123a)는 제 1 고정부(123a)의 제 1 단부로부터 골(159b)에 인접한 마루(159a)를 향해 연장된다. 이때, 제 2 고정부(123b)는 골(159b)의 일측에 배치된 마루(159b) 또는 골(159a)의 양쪽에 배치된 마루(159b)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23)는 제 1 고정부(123a), 제 2 고정부(123b) 및 제 3 고정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23a)는 골(159b) 상에 배치되고, 제 2 고정부(123a)는 제 1 고정부(123a)의 제 1 단부로부터 골(159b)에 인접한 마루(159b)로 연장된다. 이때, 제 2 고정부(123b)는 골(159b)의 일측에 배치된 마루(159b) 또는 골(159b)의 양쪽에 배치된 마루(159a)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 고정부(123c)는 제 1 고정부(123a)의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로부터 골(159b)에 인접한 마루(159a)로 연장된다. 이때, 제 3 고정부(123c)는 골(159b)의 일측에 배치된 마루 (159a) 또는 골(159b)의 양쪽에 배치된 마루(159a)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23)는 제 1 고정부(123a), 제 2 고정부(123b), 제 3 고정부(123c) 및 연결부(12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23a)는 골(159b) 상에 배치되고, 제 2 고정부(123a)는 제 1 고정부(123a)의 제 1 단부로부터 골(159b)에 인접한 마루(159b)를 향해 연장된다.
이때, 제 2 고정부(123b)는 골(159b)의 일측에 배치된 마루(159a) 또는 골(159b)의 양쪽에 배치된 마루(159a)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 고정부(123c)는 제 1 고정부(123a)의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로부터 골(159b)에 인접한 마루(159a)로 연장된다. 이때, 제 3 고정부(123c)는 골(159b)의 일측에 배치된 마루(159a) 또는 골(159b)의 양쪽에 배치된 마루(159a)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23d)는 제 2 고정부(123b) 및 제 3 고정부(123c)를 상호 연결하여 고정부(123)가 보다 안정적으로 면광원 장치(150) 상에 고정되도록 한다.
실시예 13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면광원 장치를 제외하면 실시예 12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실시예 10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고정부(123)의 제 1 고정부(123a)는 골(159b) 상에 배치 되고, 제 2 고정부(123b) 및 제 3 고정부(123c)는 제 1 고정부(123a)의 제 1 단부 및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로부터 골(159b)의 양쪽에 배치된 마루(159a)를 향해 연장된다. 이때, 제 2 고정부(123b) 및 제 3 고정부(123c)는 제 1 고정부(123a)가 형성된 골(159b)과 인접한 골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이 제 2 고정부(123b) 및 제 2 고정부(123c)의 길이를 연장할 경우, 서포트 부재(110)는 보다 안정적으로 광학 부재(140)를 지지할 수 있다.
표시장치
실시예 14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3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100) 및 표시패널(2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표시장치(300)는 샤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서포트 부재(110), 확산판(140), 면광원 장치(150) 및 수납용기(160)를 포함한다.
수납용기(160)는 바닥판(162) 및 측벽(164)들을 포함한다. 바닥판(162)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측벽(164)들은 바닥판(162)의 주변부상에 배치된다.
면광원 장치(15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광을 발생하는 발광 영역들 및 발광영역들의 사이에 개재된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한다. 면광원 장치(150)의 비 발광 영역의 양쪽에는 발광영역이 배치된다. 면광원 장치(150)는 수납용기(160)의 바 닥판(162) 상에 배치된다.
면광원 장치(150)에서 발생된 광은 면광원 장치(150)의 비 발광 영역에서 발생된 광에 의하여 휘선을 포함할 수 있다. 휘선은 영상의 휘도 균일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바, 휘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면광원 장치(150)의 상면에는 광학부재(140)가 배치된다. 광학부재(140)는 면광원 장치(150)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시켜 광에 포함된 휘선을 제거한다.
서포트 부재(110)는 면광원 장치(150) 및 광학부재(140)의 사이에 개재된다. 서포트 부재(110)는 광학부재(140)의 처짐을 방지하고, 이 결과 광학부재(140)로부터 면광원 장치(150)로부터 발생된 광에 포함된 휘선을 제거한다.
면광원 장치(150) 및 광학 부재(140)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부재(110)는 고정부(120) 및 서포트부(130)를 포함한다.
서포트 부재(110)는 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 부재(110)를 이루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메타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고정부(120)는 면광원 장치(150)의 일면, 예를 들면, 광이 출사되는 광출사면 상에 배치된다. 고정부(120)는 면광원 장치(150)의 지정된 위치에 서포트부(130)를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 고정부(120) 및 면광원 장치(150)의 사이에는 접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재는, 예를 들어,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접착부재에 의하여 고정부(120)는 면광원 장치(150) 상에 고정된다.
서포트부(130)는 고정부(120) 상에 형성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부(130)는 광학부재(140)를 지지한다.
서포트 부재(110)의 고정부(120)는 서포트부(13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고정부(120)의 상면에 배치 또는 형성된 서포트부(130)는 면광원 장치(150)에서 발생된 광을 차단하는 면적을 감소시키는 기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용기(160)에 결합된 표시패널(200)은 복수개의 화소전극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30), 공통전극 및 컬러필터를 갖는 컬러필터 기판(210)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30) 및 컬러필터 기판(210)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210)을 포함한다.
샤시(250)는 표시패널(200)을 수납용기(160)에 고정시킨다. 샤시(250)는 제 1 샤시부(252) 및 제 2 샤시부(254)를 포함한다. 제 1 샤시부(252)는 표시패널(200)의 주변부를 눌러 고정하고, 제 2 샤시부(254)는 제 1 샤시부(252)로부터 수납용기(160)의 측벽(164)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샤시부(252)는 수납용기(160)의 측벽(194)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면광원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서 영상의 휘도 및 영상의 휘도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 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9)

  1. 면 형태의 광학분포를 갖는 광을 발생시키는 면광원 장치의 일면에 배치된 고정부; 및
    상기 광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서포트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삼각뿔 형상, 다각뿔 형상, 원뿔 형상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서포트부의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서포트부 내에 형성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서포트부는 상기 광학부재에 형성되는 암부의 면적을 감 소시키기 위해 상기 서포트부의 측면에 형성된 암부 개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들 사이에 배치된 비 발광부를 갖는 상기 면광원 장치의 상기 비 발광부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비 발광부 상에 배치된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상기 비 발광부에 인접한 상기 발광부를 향해 연장된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발광부를 향해 상기 제 1 고정부의 제 1 단부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발광부를 향해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면광원 장치의 상면은 광을 발생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상기 돌출부를 따라 연장된 제 2 고정부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면광원 장치의 표면과 접하는 접촉부, 상기 면광원과 이격된 이격부 및 상기 접촉부와 이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원 장치의 표면과 상기 연결부는 30° ~ 60°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면광원 장치의 표면은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서포트부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서포트부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부재.
  17.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며,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들을 갖는 면광원 장치;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며, 상기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 부재; 및
    상기 광학부재를 서포트 하는 서포트부 및 상기 서포트부를 상기 면광원 장치 상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서포트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원 장치는 제 1 유리 기판과 제 2 유리 기판의 결합에 의하여 다수의 발광영역, 상기 발광영역들의 사이에 형성된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원 장치 및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서포트부로 제공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 흡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면광원 장치의 표면에 배치된 접촉부, 상기 면광원 장치로부터 이격된 이격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이격부를 연결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 및 상기 면광원 장치의 표면은 30°∼ 60°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광부의 사이에 형성된 비 발광부상에 배치된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발광부로 연장된 제 2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로부터 상기 발광부들로 연장된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3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원 장치는 제 1 기판, 마루 및 골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판과 결합하여 복수의 발광부를 형성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광을 발생시키는 광 발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된 상기 골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2 기판의 골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상기 골과 인접한 상기 마루들의 일부로 연장된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제 1 고정부의 제 1 단부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기 제 1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 2 단부에는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상기 골과 인접한 상기 마루들의 일부로 연장된 제 3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3 고정부는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상기 골의 양쪽에 형성된 마루들을 향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3 고정부는 상기 제 1 고 정부가 배치된 골에 대하여 인접한 골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 및 상기 제 3 고정부는 상기 인접한 골에 배치된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4.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골의 폭은 2㎜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면광원 장치의 사이에는 양면 접착 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6. 제1 기판 및 제 2 기판이 결합하여 발광영역과 비 발광 영역을 형성하는 면광원;
    상기 면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부재;
    상기 광학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서포트 부재; 및
    상기 면광원 및 광학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부재는 상기 서포트 부재를 지지하는 서포트부 및 상기 면광원의 표면과 접하는 접촉부, 상기 면광원과 이격된 이격부 및 상기 접촉부와 이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면광원의 표면과 상기 연결부는 30° ~ 60°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9. 제1 기판 및 제 2 기판이 결합하여 발광영역과 비 발광 영역을 형성하는 면광원 장치, 상기 면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된 광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부재, 상기 광학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서포트 부재 및 상기 면광원 장치 및 광학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광학 부재를 통과한 상기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50008413A 2005-01-31 2005-01-31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KR20060087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413A KR20060087646A (ko) 2005-01-31 2005-01-31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JP2005380498A JP2006210337A (ja) 2005-01-31 2005-12-28 サポート部材及び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並びに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TW095101899A TW200702837A (en) 2005-01-31 2006-01-18 Supporting member,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of the same
US11/344,794 US20060171140A1 (en) 2005-01-31 2006-01-31 Supporting member,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of the same
CNA2006100071445A CN1815320A (zh) 2005-01-31 2006-02-05 支承构件、背光组件及其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413A KR20060087646A (ko) 2005-01-31 2005-01-31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646A true KR20060087646A (ko) 2006-08-03

Family

ID=3675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413A KR20060087646A (ko) 2005-01-31 2005-01-31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71140A1 (ko)
JP (1) JP2006210337A (ko)
KR (1) KR20060087646A (ko)
CN (1) CN1815320A (ko)
TW (1) TW2007028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578A (ko) * 2020-11-27 2022-06-03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용 서포트
KR20230037905A (ko) * 2021-09-10 2023-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5853A (ja) * 2008-07-04 2010-01-21 Epson Imaging Devices Corp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369549B (en) * 2008-09-26 2012-08-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JP2010278000A (ja) * 2009-04-28 2010-12-09 Sharp Corp シート受具、筐体構造、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RU2504713C2 (ru) * 2009-07-21 2014-01-20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Опорный штифт,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телевизионное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1852403B (zh) * 2010-03-24 2012-06-27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支撑结构及背光模组
US9128326B2 (en) 2012-02-07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pporting member for backlight unit, backlight unit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544608B1 (ko) * 2012-05-25 2015-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202629814U (zh) * 2012-05-31 2012-1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侧入式背光模组
JP2014022208A (ja) * 2012-07-19 2014-02-03 Sony Corp 表示装置
KR102419991B1 (ko) * 2015-07-06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6200126B (zh) * 2016-09-09 2020-11-10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扩散板支撑架、直下式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KR102329834B1 (ko) * 2017-07-21 2021-1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산판 서포터, 백라이트 유닛 및 전자 기기
KR102638185B1 (ko) * 2019-10-25 2024-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4185197A (zh) * 2020-09-14 2022-03-1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包括背光模块的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9508A (en) * 1991-02-25 1999-01-12 Pixtech, Inc. Electronic fluorescent display system with simplified multiple electrode structure and its processing
GB2276270A (en) * 1993-03-18 1994-09-21 Ibm Spacers for flat panel displays
JP3457162B2 (ja) * 1997-09-19 2003-10-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A2319056C (en) * 1998-02-05 2007-09-18 Zumtobel Staff Gmbh Lighting fixture
KR100640987B1 (ko) * 2000-10-14 2006-1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617026B1 (ko) * 2000-12-07 2006-08-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형 형광램프
JP2005535933A (ja) * 2002-08-15 2005-11-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液晶ディスプレイ、かかる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の照光方法
JP2005183352A (ja) * 2003-11-24 2005-07-07 Toyota Industries Corp 照明装置
KR100965183B1 (ko) * 2003-12-30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TWI282886B (en) * 2004-04-01 2007-06-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TWI246575B (en) * 2004-06-08 2006-01-01 Chi Lin Technology Co Ltd Lamp tube retaining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direct type backlight module
TWI290255B (en) * 2004-07-09 2007-11-21 Au Optronics Corp Lamp holder
TWM263515U (en) * 2004-09-07 2005-05-01 Forhouse Corp Backlight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578A (ko) * 2020-11-27 2022-06-03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용 서포트
KR20230037905A (ko) * 2021-09-10 2023-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02837A (en) 2007-01-16
US20060171140A1 (en) 2006-08-03
JP2006210337A (ja) 2006-08-10
CN1815320A (zh)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87646A (ko) 서포트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US7360937B2 (en) White light generating uni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4485358B2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液晶表示装置
US7682064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23301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01943B1 (ko) 표시 장치
US8633405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497870B2 (ja) 下部シャーシを含む表示装置
US930424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guide bonded to a display panel
JP5038790B2 (ja) 一体型光学板、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335073B1 (ko) 표시 장치
US8517554B2 (en) Frame for light source devi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8491169B2 (en) Frame, light source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05258434A (ja) 光学部材、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WO200910743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6661346B2 (ja) 液晶表示装置
JP6929725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US8228458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70018185A (ko) 표시 장치
JP2006323382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US20100073915A1 (en) Lamp case, and backlight device and flat display device using it
KR102266008B1 (ko) 표시 장치
US10054808B2 (en) Display chassis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3003940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00213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