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3433A - 단말의 설정 - Google Patents

단말의 설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3433A
KR20060083433A KR1020067010047A KR20067010047A KR20060083433A KR 20060083433 A KR20060083433 A KR 20060083433A KR 1020067010047 A KR1020067010047 A KR 1020067010047A KR 20067010047 A KR20067010047 A KR 20067010047A KR 20060083433 A KR20060083433 A KR 20060083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unctions
information
stor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994B1 (ko
Inventor
라우노 하르티카이넨
한누 피릴래
마티 조키미에스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8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1)과 장치 관리 서버(3) 사이에 설정과 관련해 사용되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장치 관리 서버(3) 및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를 구비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단말(1)에 관한 것이다. 단말(1)은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 및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3)로 전송하는 수단(13, 15)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1)과 장치 관리 서버(3) 사이에 단말(1) 설정에 관련해 사용되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단말(1)의 설정 방법, 단말(1)로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단말(1) 설정에 사용될 컴퓨터 소프트웨어 생성물과도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단말의 설정{Configuration of a terminal}
본 발명은 장치 관리 서버 및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와 함께 제공되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는 단말 및 장치 관리 서버 사이에 설정과 관련하여 사용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단말과 장치 관리 서버 사이에 설정과 관련되어 사용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가 제공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장치 제어 서버로 구성에 사용되는 정보가 전송되는, 단말 설정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설정에 사용될 컴퓨터 소프트웨어 생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생성물은, 단말로부터 장치 관리 서버로 설정에 사용되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계어 실행가능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넷이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고 이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 역시 증가하고 있다. 고급화된 인터넷 서비스들을, 소위 미디어 전화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디지털 모바일 통신 장치들에 도입하는 것이, WAP 기술 등을 통해 가능하다. WAP은, 범세계적으로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CDMA IS-95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IS-136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WCDMA (Wideband CDMA)와 CDMA 2000 같은 3세대 네트워크들 같은 대부분의 디지털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지원하도록 고안된 개방형 표준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의 사용자들은 오랫동안, 어떤 인터넷 서버로부터 자신들의 컴퓨터 단말로 전자적 형태의 이미지들, 텍스트, 짧은 비디오 클립들과 오디오 클립들 같은 멀티미디어 성분들을 가져올 수단을 보유하여 왔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증가하고 모바일 통신 장치들의 기능이 향상될 때, 무선 네트웍에 있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향한 관심 역시 높아지게 되었다.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무선 단말과 무선 경로의 용량이 보통 유선 컴퓨터 단말들 및 데이터 네트워크들 등에 비해 더 제한되어 있다는 이유 등으로 인해,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되었다.
WCDMA 같은, 3세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해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가 개발되어 왔고, 이때 소정 메시지 전송 센터에 저장되어 무선 단말로 지정해 보내지는 메시지들은 이것이 도달될 수 있는 한 최대한 빨리 무선 단말로 전송될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을 무선 단말로 보내는 데 있어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셀룰라 네트워크의 모바일 통신 장치 같은 무선 단말의 제한된 메모리 스페이스로 인해,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모바일 통신 장치의 사용 메모리에 반드시 맞게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무선 단말로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또한, 단말의 기술적 한계 (가령 불충분한 처리 용량, 비디오 능력의 부족, 알맞은 소프트웨어의 부족 등)로 인해 어쩌면 처리할 수 없을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이들 요소들은 불필요하게 단말로 보내져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무선 단말의 기능에 대한 정보가 3세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을 위해 개발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 통신 네트워크로 전송됨으로써,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과 관련해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특별한 환경설정을 고려함으로써 수신 단말이 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기능 전송은,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전송(transfer) 연결 계층 같은 멀티미디어 시스템 프로토콜 스택의 다양한 계층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기능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정보는 무선 단말의 기능들과 그 안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클라이언트에 대해 무선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으로 보내진다. 이러한 기능들은 대략 네 개의 서로 다른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다: 1) 장치 기능, 2) 소프트웨어 기능, 3) 멀티미디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에이전트) 기능, 및 4) 멀티미디어 메시지-고유의 특별한 기능.
위에서 나열한 여러 기능들에는, 바뀌지 않으면서 주로 단말의 모델과 버전에 따라 좌우되는 그런 기능들이 포함된다. 단말의 기능들 중 일부는 단말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 등에 따라 좌우된다. 이런 종류의 기능에 대한 예로서 단말에서 지원되는 소프트웨어 기반 디코더, 프로토콜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상대적으로 불변하는 것이지만, 가령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관련되거나 액세서리들을 무선 단말에 연결할 때, 이 소프트웨어 기능들이 바뀔 수가 있다.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에이전트 (MMS User Agent) 기능, 사용자 설정가능 환경설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메시지-고유의 특별한 메시지 기능들은 보통 소정의 멀티미디어 메시지에만 결부되며, 이러한 기능들은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과 관련하여 전송된다.
WAP 시스템에 대해 개발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의 각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해서 마다 무선 세션 (WSP 세션)이 생성된다. 이렇게 각 세션이 생성될 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은 자신의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멀티미디어 메시징 센터로 전송한다. 이것을 구현하기 위해, 소위 사용자 에이전트 프로파일 (UAPProf)이 개발되었고, 이것은 멀티미디어 동작들과 관계된 무선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환경설정 및 기능들에 대한 정보 같은, 무선 단말의 기능들에 대한 정보 (CPI, Capability and Preference Information, 기능 및 환경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현재의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 중 일부에서는, 개발된 서비스들과 전송 채널들이 사용될 수 있기 전에 무선 단말이 구성(설정)(configure)되어야만 한다. 이런 종류의 서비스들과 전송 채널들의 예로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MMS), WAP 시스템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 GPRS 패킷 전송 서비스 (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들 수 있다.
무선 단말들의 설정은 오늘날, 가령 수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무선 단말의 사용자가 필요로 되는 파라미터들을 세팅하게 된다. 파라미터들을 세 팅하기 위해, 사용자는 가령 장치 제조자나, 운영자 매뉴얼,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필요로 되는 명령들을 제공할 수 있었다. 파라미터들을 세팅하는 것은, 또한, 사용자가 인터넷을 검색하여 가령 단말 제조자의 인터넷 페이지들이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자 등으로부터 목적에 의도된 양식을 찾고, 그 양식을 통해 단말의 전화 번호, 및 어쩌면 단말 타입에 대한 정보를 통지한다. 그런 다음 그 양식들이 보내져 파라미터들을 획득한다. 양식에 대한 응답으로서, 파라미터들이 가령 텍스트 메시지 등으로서 단말로 보내진다. 세 번째 구성 옵션은, 무선 단말로부터, 가령 장치 제조자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자가 정보를 준 특정 넘버로 텍스트 메시지가 전송된다. 그런 다음, 파라미터들이 가령 텍스트 메시지로서, 무선 단말로 전송된다. 파라미터들을 제공하기 위한 네 번째 수단은,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센터를 접촉하여 파라미터들을 무선 단말로 보낼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안을 통해서도, 파라미터들은 텍스트 메시지 등으로서 보내지게 된다. 이런 종류의 구성이 US 6,292,668과 사양서 "스마트 메시징 사양; 개정안 3.0.0; 18.12.2000"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선택적 방안들을 이용함에 있어서, 무엇보다 문제가 되는 것은, 이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동적이라는 것, 즉, 파라미터들이 무선 단말로 보내지기 전에 사용자가 직접 절차들을 수행해야 한다는 데 있다. 실제로, 이것은 무선 단말의 특별한 기능들을 이용함에 있어 거의 모든 사용자들이 무선 단말에 대해 요구되는 파라미터들을 얻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제공되는 그러한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없는데, 이 서비스들의 이용은 무선 단말에 적어도 어떤 파라미터들을 제 공하거나 갱신하는 것을 미리 전제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사용자들의 수가 충분히 많지 않은 경우, 서비스 제공자들이 그러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데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무선 단말들의 구성(설정, configuration)은 장치 제조자나 딜러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으나, 그러면 제조자나 딜러에 의해 세팅된 사항에 따른 파라미터 환경 설정의 복원이, 그 설정 후 파라미터들이 변화된 경우에 어려워질 수가 있다. 이런 종류의 파라미터 세팅시, 사용자 개개의 환경 설정 사항이나 수요를 알아내는 것이 쉽지 않고, 이런 경우 파라미터 환경 설정이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반드시 적절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가령 사용된 무선 단말을 가지고 있는 경우, 실용적이지 못하다.
제조자나 딜러에 의해 수행된 설정 역시, 무선 단말의 파라미터 환경 설정이, 가령 사용자가 어떤 정보를 잘못 입력했거나,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을 어떤 다른 사람에게 대여하여 이 사람이 파라미터들을 변경한 경우 등, 어떠한 이유로 인해 훼손되거나 초기 환경 설정상태로 리셋된 상황에서 불완전하게 적응된다.
수동으로 파라미터들을 세팅하는 데 있어서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자동 설정 해법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3GPP (3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세대 협력 프로젝트) 표준에 있어 소위 자동 장치 설정 (ADC, Automatic Device Configuration)이 도입되었는 바, 여기서 사용자는 기껏해야 사용할 파라미터 환경 설정사항들만을 수용하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다. 이 방법은 무선 단말의 기능 변경이 시스템에서 검출된다는 데 기반하고 있다. 기능에 있어 서의 어떤 변경이 검출될 때, 그에 따라 무선 단말의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가 바뀔 수 있다. 기능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은, 가령, 장치 아이디 및 가입자 아이디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국제 모바일 기기 아이디) 같은 장치 아이디를 식별하는 것은 무선 단말들마다 고유하다. 개별 아이디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국제 모바일 가입자 아이디) 역시 모바일 전화 가입자마다 특정되어 있고, 이것은 SIM 카드 (Subscriber Identity Module)나 USIM 카드 (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의 가입자 카드(8)에 저장된다. 이 SIM/USIM 카드는 무선 통신에 사용될 수 있기 전에 무선 단말 안에서 세팅된다. 도 1 및 2는 이 동작 원리를 간략화된 방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무선 단말의 장치 아이디(IMEI) 및 사용자 아이디(IMSI)가 무선 단말(1)로부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로 보내진다(101). 그 정보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에서 장치 아이디-가입자 아이디 쌍으로서 저장되고(201), 이 경우 무선 단말(10)이 다음에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와 접속하거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가 그것을 특별히 요청할 때, 상기 아이디들 둘 모두 무선 단말(1)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로 다시 보내진다. 그런 다음, 일찍이 저장된 장치 아이디-사용자 아이디 쌍이, 가령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자 아이디 등을 토대로 검색된다. 이제 저장된 장치 아이디와 사용자 아이디를 무선 단말(2)로부터 수신된 장치 아이디와 사용자 아이디와 비교할 수 있게 되고, 수신된 장치 아이디가 저장된 장치 아이디와 같지 않으면, 사용자가 무선 단말(2)을 어떤 다른 무선 단말로 바꾸 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로부터 장치 관리 서버(3)(DMS)로 메시지가 전송되고(102), 그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 단말(1)의 변경이 통지된다. 새 장치 아이디에 대한 정보 역시 그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장치 관리 서버(3)는 장치 아이디에 기초해 데이터베이스(4)로부터 해당 무선 단말(10)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가져온다(103).
장치 관리 서버(3)는 무선 단말의 기능들에 해당하는 새로운 파라미터들이 들어 있는 구성(configuration) 메시지를 형성하고, 메시지를 가령 텍스트 메시지로서 무선 단말로 보낸다(104). 무선 단말(1)은 이 파라미터들을 수신된 텍스트 메시지에서 가져와 저장한다. 필요하면, 그러한 새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고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이 새 파라미터들을 수용할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상술한 장치 아이디 및 사용자 아이디의 전송은, 가령 무선 단말(10)을 스위치 온(on) 할 때,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의 요청에 의해 수행된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가령, 소위 블랙 리스트 상에 오른 단말들을 식별하고 그런 종류의 단말들과의 연결을 끊고, 이러한 연결시 수신된 아이디들을 이용하기 위하는 등 어떤 다른 목적으로 아이디들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장치 고유의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4)는, 가령,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자 내부의 데이터베이스거나, 가령 장치 제조자 등에 의해 관리되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장치 고유의 정보는 전체 기기 아이디나 그 일부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4)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아이디의 어떤 일부 (이를테면, TAC, Type Approval Code)가 동일한 장치들에 있어서 같은 기능들이 사용될 수 있는 경우, 기능 정보가 이러한 고유 부분에만 기초해서도 충분히 검색된다.
사용자 아이디, 장치 아이디, 및 장치 고유정보를 얻기 위한 또 다른 수단은, 장치 관리 서버를 이용하는데 기반한다. 이것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 관리 서버(3)는 가령, 소위 MAP 사양 (Mobile Application Par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부분)에 따른 애니 타임 질의 메시지 (ATI, Any Time Interrogation message)를 통해, 단말(1) 사용자에 대해 특정된 홈 위치 레지스터(5)(HLR, Home Location Register)를 접촉한다. 이 MAP ATI 메시지(301)를 통해 서버(3)는 홈 위치 레지스터(5)로 해당 무선 단말(1)의 장치 아이디 IMEI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 가령, 전화 번호 (MSISDN) 같은 사용자 아이디에 대한 정보가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홈 위치 레지스터(5)는 가령 MAP 사양에 따른 가입자 정보 제공 메시지 PSI (Provide subscriber Info)를 통해, 해당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6)(VLR) 등으로 상기 요청을 전송한다(30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6)는 홈 위치 레지스터(5)로, 요청된 기기 아이디 IMEI를 그것이 발견될 때 전송하는 것으로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장치 아이디는 홈 위치 레지스터(5)에서, 이 요청을 최초로 발신했던 장치 관리 서버(3)로, 가령 ATI 승인(acknowledgement) 메시지 ATI_Ack와 함께 다시 전송된다. 장치 아이디 IMEI는 승인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다. 그런 다음, 장치 관리 서버(3)는 이 장치 아이디 IMEI에 기초해 데이터베이스(4)로부터 해당 장치의 기능들을 판단한다(305, 306). 그리고 나서, 장치 관 리 서버(3)는 상술한 첫 번째 대안에서처럼, 무선 단말(1)로 설정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단말의 변경을 관리하기 위한 또 다른 대안적 방법은, 사용자 모듈 SIM, USIM에 의해 수행되는 명시(clarification)에 기반한다. 그에 따라, 소정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USIM/SIM 어플리케이션 툴킷 (USAT)과 같은 사용자 모듈 안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어셈블리화되었었다. 이러한 동작들을 통해, 사용자 모듈은 가령, 항상 무선 단말이 스위치 온 된 다음, 무선단말로부터 장치 아이디 IMEI를 판단한다. 장치 아이디가 이전 커리(query)와 관련해 판단된 장치 아이디와 다를 경우, 사용자 모듈이 어떤 다른 장치 안에서 어셈블리되었다고, 즉, 사용자의 무선 단말이 바뀌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 결과, 단말의 변경에 대한 정보가 무선 단말로부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로 보내진다. 그런 다음, 새 단말에 대한 정보가, 가령, 상술한 원리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
무선 단말(10)이 설정된 후에, 상황은, 무선 단말의 사용자가 사용해왔던 모든 서비스들이 무선 단말의 기능들이나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대해 반드시 인식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가령, 무선 단말(1)에 제공된 콘텐츠들, 가령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이 무선 단말(1)의 기능들 및 사용자의 환경 설정 사항들과 호환되지 못하는 것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 에이전트 프로파일 (UAProf, User Agent Profile)이 서버로 보내지고, 그로부터 어떤 서비스에 연결된 콘텐츠가 무선 단말로 보내지는 메커니즘이 개발되었다. 이 사용자 프로파일은 장치의 기능들 및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간단하게 CPI (Capability and Preference Information)이라고도 불린다. 콘텐츠를 보내는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반하여, 수신하는 무선 단말(1)이 콘텐츠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도록, 보낼 콘텐츠를 선택 및/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프로파일 기능의 중심적 요소들을 나타낸다: 무선 단말(1), 콘텐츠 제공 서버(9), 프로파일 저장 위치(10), http 리피터(repeater, 11), WAP 게이트웨이(12), 및 홈 위치 레지스터(5). 또, 시스템의 서로 다른 동작블록들 사이의 연결시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의 예 역시 이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이를테면, 무선 단말(1)과 WAP 게이트웨이(12) 사이에는 소위 WAP 세션이 생성될 수 있고, 이때 WSP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WAP Session Protocol). WAP 게이트웨이(12)와 콘텐츠 제공 서버(9) 사이에는, 가령 http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무선 단말(1)과 http 리피터(11) 사이, 무선 단말(1)과 콘텐츠 제공 서버(9) 사이, 그리고 http 리피터(11)와 콘텐츠 제공 서버(9)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CPI 정보와 이 정보의 표시자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가, 가령, WSP나 http 메시지의 어드레스 필드를 통해 전송된다.
홈 위치 레지스터(5)로부터, 수신된 CPI 정보가 해당 무선 단말이나 해당 사용자에 대해 적용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 WAP 게이트웨이가 이 CPI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그것을 어떤 다른 정보로 전부, 또는 일부 대체할 가능성도 있다. 또, 위에서 설명한 UAProf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무선 단말들의 경우, WAP 게이트웨이가 이 CPI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는 http 프로토콜 대신 무선 http 프로토콜 (Wireless http, W-http)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 역시 언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본 발명과 관련해 전혀 중요하지 않은 것이다. 또, 상기 표시자들 URI이 둘 이상일 수도 있지만, 이것 역시, 본 발명을 적용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의 설정과 관련해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에서 어떤 기능에 대해 변화가 검출되고 그에 기반해, 이러한 변화에 관한 정보가 시스템으로 보내진다는 개념에 기반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새 기능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을 제공하고 그것을 설정하도록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처리한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기본적으로, 단말의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경을 검출하는 수단, 및 단말 사용들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단말이 단말 기능들의 변경을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시스템은 장치 관리 서버로 단말 기능들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 변경된 기능들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환경 설정을 결정하는 수단, 및 단말 설정(configuration)을 위해 단말로 새 기능들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을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본적으로, 단말 기능에서의 변경에 대해 단말이 검사됨을 특징으로 하고,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경이 검출되는 경우, 변경된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장치 관리 서버로 보내지고, 이때 변경된 기능들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들의 환경 설정 사항이 정해지고, 새 파라미터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가 단말로 보내지며, 단말의 설정은 그 새로운 파라미터 환경 설정에 따라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 대해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단말 기능에 있어서의 변경에 대해 단말이 검사됨을 특징으로 하고,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어떤 변화가 검출된 경우, 변경된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장치 관리 서버로 보내지고, 이때 변경된 기능들에 상응하는 파라미터들의 환경 설정 사항이 정해지고, 새 파라미터 환경 설정에 대한 정보가 단말로 보내지며, 단말 설정이 그러한 새 파라미터 설정 사항들에 따라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소프트웨어 생성물은 기본적으로, 단말의 기능 변경을 판단하기 위한 기계어 실행가능 프로그램 명령, 변경된 단말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로 전송해 장치 관리 서버로 전달되게 하는 기계어 실행가능 프로그램 명령, 장치 관리 서버로부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로 보내진 새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을 수신하기 위한 기계어 실행가능 프로그램 명령, 및, 새 파라미터 환경 설정에 따라 단말을 설정하기 위한 기계어 실행가능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의 해법을 뛰어 넘는 현저한 이점들을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자 모듈이나 기기 아이디의 변경에 기초하지 않고, 단말 기능들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가령, 새 어플리케이션들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 무선 단말 안에 인스톨된 다음이나, 보조 카드들이 인스톨되거나 무선 단말에서 제거될 때, 이러한 종류의 변경들 역시 검출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단말은 이들 새 기능들에 더 잘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무선 단말에서 표시되기 적합하지 않은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은 지양되는 한편, 전송된 콘텐츠가 그 콘텐츠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 안에서 처리될 수 있는 형태로 수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을 통해, 무선 단말기의 관점에서 볼 때 쓸모없거나 잘못된 타입의 콘텐츠를 무선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단말 설정에 사용되는 방법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간략화된 차트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을 축소된 블록 차트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을 시그날링 차트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축소된 블록 차트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1)을 보인다. 무선 단말(1)은, 가령 제어 블록(13), 사용자 인터페이스(14), 데이터 전송 수단(15), 및 메모리(16)를 포함한다. 또 무선 단말(1)은 SIM 카드나 USIM 카드 같은 사용자 모듈(17), 및 사용자 모듈(17)을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모듈 인터페이스(18)을 포함한다. 사용자 고유 정보가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된다. 무선 단말(1)의 메모리(16)는 기기 아이디 IMEI를 저장하기 위해, RAM 메모리,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 (NVRAM), 및 영구 메모리 (ROM) 등과 같은 바꿀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기기 아이디 IMEI는 비휘발성 메모리 내 사용자 및 어플리케이션들이 바꾸지 못하는 위치 안에 저장될 수도 있다. 무선 단말에는 한 개 이상의 액세서리 인터페이스들(19)이 있을 수 있고, 여기에 메모리 카드 등의 액세서리들이 무선 단말(1)의 메모리 콘텐츠 증가를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 인터페이스(19)와 관련하여, 연결 버스(19.1) 등이 구성되고, 이를 통해 무선 단말(1)의 정보가 액세서리 및 무선 단말(1)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연결 버스는, 어떤 어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액세서리 연결이나 제거를 검출하고, 액세서리 타입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6에 도시된 것 같은 무선 단말(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동작 전압이 무선 단말(1)에 연결될 때, 제어 블록(13)이 잘 알려진 방식으로 시동(start-up)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시동 프로그램에서, 무선 단말(1)의 소정 동작 환경설정 사항들(preferences)이 유효하게 세팅된다. 이 동작 환경설정 사항들은 메모리(16)에 저장될 수 있다. 또, 사용자 모듈 인터페이스(18) 및 액세서리 연결(19)이 동작된다. 또, 사용자 모듈(17)은 통상적으로 그 자체 제어 블록(17.1), 메모리(17.2), 및 인터페이스(17.3)를 구비하고, 사용자 모듈(17)과 무선 단말(1)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버스 등이 존재한다. 사용자 모듈 인터페이스(18)의 작동은 사용자 모듈(17)의 제어 블록(17.1) 내 프로그램 코드 실행 역시 시작하게 한다.
사용자 모듈(17)에는, 가령,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무선 단말의 기기 아이디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USIM/SIM 어플리케이션 툴킷 (Application Toolkit)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 되어 있다 사용자 모듈(17)은 기기 아이디 커리(query, 질의)를무선 단말(1)로 보낸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무선 단말(1)은 기기 아이디 IMEI를 사용자 모듈(17)로 전송한다. 사용자 모듈(17)에서 사용자 모듈의 메모리(17.2)에 저장되었을 수 있는 기기 아이디와의 비교가 이뤄진다. 기기 아이디가 사용자 모듈 안에 저장되지 않았거나, 저장된 기기 아이디가 무선 단말(1)로부터 보내진 기기 아이디 IMEI와 같지 않은 경우, 무선 단말(1)이나 사용자 모듈은 처음으로 시동 되었다거나, 사용자 모듈(17)이 어떤 다른 무선 단말(1)로 옮겨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기기 아이디가 이전에 저장된 기기 아이디와 같지 않거나, 기기 아이디가 이전에 사용자 모듈(17)의 메모리(17.2)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자 모듈(17)은 무선 단말(1)로부터 수신된 기기 아이디 IMEI를 저장한다. 사용자 모듈(17)은 무선 단말(1)로 비교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이 경우, 기기 아이디 IMEI를 기초로, 무선 단말(1)의 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가 무선 단말(1)에서 결론지어질 수 있다. 무선 단말(1)은 사용자 모듈(17)로부터 사용자 아이디 IMSI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무선 단말(1)은 사용자 아이디 IMSI를 기기 아이디 IMEI와 비교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 아이디 IMSI를 기초로 하여 무선 단말(1)의 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가 무선 단말(1)에서 결정될 수 있다.
액세서리 연결(19) 역시 무선 단말(1)에서 검사되는데, 이것은 어떤 액세서 리(20)나 액세서리들이 액세서리 연결(19)을 통해 인스톨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가령, 연결 버스(19.1)의 한 개 이상의 라인들의 상태를 검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무선 단말(1)로 연결된 액세서리들에 대한 정보는 앞의 시동 이후 무선 단말(1)의 메모리(16)에 저장되었을 수 있다. 이전에 저장된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들의 상태와 비교될 수 있다. 비교 결과가, 상태들이 서로 대응되지 않음을 보이면, 액세서리나 액세서리들이 액세서리 연결(19)을 통해 인스톨 되었다거나, 어떤 인스톨 된 액세서리가 제거되었거나 어떤 다른 액세서리(20)로 바뀌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 설정이 바뀌었고, 이것은 무선 단말(1)이 가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어떻게 처리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액세서리 설정에 대한 정보는 필요할 때 무선 단말(1)을 설정하기 위해 시스템으로 보내진다.
무선 단말(1)에서의 기기 변경 이외에, 무선 단말(1)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들이나 어플리케이션들의 변경을 판단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것은, 가령, 어플리케이션 인스톨과 관련하여, 제어 블록(13) 등의 운영 시스템이,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무선 단말(1)의 기능들이 변경되었다는 것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거할 때, 무선 단말(1)의 변경된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세팅된다.
제어 블록(13)이, 무선 단말(1)의 기능들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검출할 때, 그 기능들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3)로 보내기 위해 필요한 절차들이 수행된다. 도 5는 단말(1) 기능들의 변경에 대해 알리고 무선 단말(1)을 설정 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에 적용되는 방법의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가 어느 단계에서 무선 단말(1)로, 사용자 프로파일 기반 (UAProf)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렸을 수 있다(501 단계). 그런 다음, 무선 단말(1)이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을 무선 단말(1)로 제공하라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502 단계). 이 요청 메시지는 도 5에서 화살표 501로 표시된다. 이 요청 메시지는, 가령,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의 어떤 시그날링 채널 (가령, USSD,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을 통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로 보내지는데, 이는 IP 프로토콜에 기반한 데이터 전송이 모든 경우들에서 이 단계를 통해 사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무선 단말(1)은 장치 기능들에 대한 이 요청 정보를 가령 UAProf 형식으로 부가한다. 그러면, 요청 메시지는 장치의 기능 정보 또는 장치 기능 정보에 대한 URI 같은 한 개 이상의 표시자들을 포함한다. 요청 메시지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에서 수신되고, 무선 단말(10)의 기능들에 대한 요청 메시지에 의해 포함되는 정보가 결정된다. 그런 다음, 가령 어떤 기준에 다른 메시지가 모바일 토신 네트워크(2)에서 장치 관리 서버(3)로 보내진다(503 단계). 이 메시지에는 무선 단말(1)에 의해 보내진 UAProf 구조로 전송되었던 무선 단말(10)의 기능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는 필요한 경우, 이 메시지에,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자 고유 정보를 부가할 수도 있다. 무선 단말(1)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의 처리 및 포워딩이, 가령, WAP 게이트웨이(12)나 어떤 다른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된다. 장치 관리 서버(3)는 데이터베이 스(4)로부터 해당 무선 단말(1)에 적합한 파라미터 환경 설정사항들을 결정하고, 무선 단말(1)의 환경 설정을 위해 무선 단말(1)로 이 파라미터 환경 설정사항들을 전송한다(505 단계).
상술한 무선 단말의 기능 정보는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될 때 그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로서 수신될 수 있다. 기능 정보는 또 새 액세서리들이 무선 단말(1)과 관련해 추가될 때 액세서리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장치 관리 서버(3)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 환경 설정사항들은, 무선 단말(1)로 보내지기 전에 변경되거나 새 환경 설정사항들이 추가될 수 있다. 다른 대안은, 장치 관리 서버(3)로부터 실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지 않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에 기반해, 다른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에서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이 생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정보가 무선 단말(1)에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로, 그리고 장치 관리 서버(3)로 더 보내진다: 무선 단말(1)에 의해 지원되고, 무선 단말(1)로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을 보내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 무선 단말(1)의 제조자에 대한 정보, 무선 단말(1)의 모델에 대한 정보, 및 무선 단말(1)의 소프트웨어 버전에 대한 정보. 상술한 정보는 가령 UAProf 메시지의 고정 부분에 첨부된다.
UAProf 메시지 구조는, 가령, 어떤 서비스나 콘텐츠가 무선 단말에 인스톨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무선 단말(1)의 기능들의 변경을 통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단말(1)에서, 파라미터 환경 설정의 가능한 리셋을 검출하는 것 역시 가 능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시스템들이 무선 단말(1)의 설정의 필요성을 검출하지 못하는 여러 상황들에서 재설정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무선 단말(1)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서비스 제공자가, 가령,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 중인 서비스들을 바꿀 수 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일반 회선 교환 방식 데이터 서비스 (CSD, Circuit Switched Data service)로 교체되거나, 그에 더하여 고속 회선 교환 방식 데이터 연결 (HSCSD, High Speed Circuit Switched Data connection)을 사용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새 서비스는 가령 사용자 모듈(17)의 기능들을 바꿈으로써 무선 단말(1) 내에 인스톨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단말(1)에서, 새 서비스 및/또는 서비스 환경 설정사항/기능들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3)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정보에 기초해, 장치 관리 서버(3)는 무선 단말(1)의 설정을 수행해, 새 서비스/서비스 환경 설정에 따른 상황에 대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 단말(1)에 인스톨된 사용자 모듈(17)이 어떤 다른 사용자 모듈(17)로 변경된 상황들에 적용되기에도 적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기 아이디는 그대로 보유되지만 사용자 아이디는 바뀌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경은 어떤 기기 아이디도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저장된 기기 아이디가 사용자 모듈이 인스톨되었을 때 무선 단말의 기기 아이디와 같지 않은 경우, 검출될 수 있다. 어떤 어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무선 단말(1)이 새 사용자 모듈(17)을 검출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실제로, 어떤 다른 사용자 모듈(17)이 일시적으로 무선 단말(1) 안으로 바뀌게 되는 상황 역시 일어날 수가 있다. 이때, 무선 단말(1)의 기기 아이디는 그 제거된 사용자 모듈(17) 안에 저장되어 있었다. 다른 사용자 모듈의 인스톨 후, 기기 아이디의 변화가 검출되고, 이 경우, 무선 단말(1)의 재설정이 수행된다. 제거된 사용자 모듈(17)이 그동안 어떤 다른 단말에 인스톨되지 않고 다음에 이 무선 단말(1) 안에 재인스톨 될 때,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된 기기 아이디는 무선 단말(1)의 기기 아이디와 일치한다. 그러나, 무선 단말(1)은 그동안 어떤 다른 사용자 모듈이 무선 단말(1)에 있었기 때문에 다른 것으로 설정되었을 수 있다. 이런 상황에 있어서, 무선 단말(1)에서는 가령,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된 사용자 아이디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행을 위해, 사용자 아이디는 어떤 다른 사용 시간 중에 무선 단말(1)의 메모리에 저장되었을 수 있다. 이 저장된 사용자 아이디를 사용자 모듈에 저장된 사용자 아이디와 비교함으로써, 어떤 다른 사용자 모듈이 그동안 무선 단말(1)에 인스톨 되었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필요하면 무선 단말(1)의 재설정을 시작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이, 무선 단말(1)을 사용했던 모든 사용자들에 의해 저장된 파라미터들 뿐 아니라, 이들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이디들이 무선 단말(1)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전에 사용된 사용자 아이디 및 그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들이 무선 단말91) 안에 있을 때,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로 가게 될 요청을 막고, 이전에 저장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무선 단말(1) 및/또는 사용자 모듈(17)의 최초 시동 시에도 역시 사용되기 적합하다. 따라서, 기기 아이디는 무선 단말의 메모리(16)나 사용자 모듈의 메모리(17.2)에 반드시 저장되지는 않으며, 무선 단말(1)의 기기 아이디 IMEI와의 상기 비교를 통해 검출된다.
UAProf 메시지들의 이용에 대해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메시지 구조들 역시 본 발명과 관련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 무선 단말(1)이 WSP나 http 세션의 시동을 수행할 수 없고, 이 경우 UAProf 메시지들이 사용되지 못할 상황에서, 어떤 다른 적합한 메시지 전송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것은 새 무선 단말의 경우나, 무선 단말의 GPRS 및 WAP 파라미터들이 리셋된 경우 필요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가 파라미터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맷되도록 요구하는 상황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로 전송된 이 요청은, 무선 단말(1)에 의해 발의된 경우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가령, GPRS 패킷 네트워크 등의 동작상의 일부분을 활용하는 것 또한 있을 수 있다.
무선 단말(1)로서, 가령, Nokia 9210i 통신기같은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통신 장치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 범위 안에서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 될 것이다.

Claims (46)

  1. 단말(1)과 장치 관리 서버(3) 사이에 설정(configuration)과 관련해 사용되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장치 관리 서버(3) 및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가 포함된 시스템에 사용될 단말(1)에 있어서,
    단말의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 및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장치 관리 서버(3)로 전송하는 수단들(13, 1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액세서리 연결부(19)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은 어떤 액세서리(20)가 상기 액세서리 연결부(19)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연결 버스(19.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사용자 모듈(17)이 단말 안에 설치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은, 사용자 모듈(17)과 단말(1)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모듈 연결부(1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17)에 사용자 아이디가 저장되고, 사용자 모듈로부터 이전에 읽은 사용자 아이디가 단말(1)에 저장되고, 이 경우 단말(1)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된 사용자 아이디와, 단말(1)에 저장된 사용자 아이디가 비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 기기 아이디가 저장되고, 단말로부터 이전에 읽은 기기 아이디가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되고, 이 경우, 단말(1)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된 기기 아이디와 단말(1)에 저장된 기기 아이디가 비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1) 안에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 및 업데이트할 뿐 아니라, 이들을 단말(1)로부터 제거하는 수단들(13, 16)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를 검출하는 수단(1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의 기능 정보는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1)로 제공되었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을 바꾸기 위한 수단(13, 16)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환경 설정 사항들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 서비스를 설치 및 업데이트할 뿐 아니라, 단말(1)로부터 서비스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들(13, 16, 17)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은 서비스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환경 설정을 바꾸기 위한 수단들(13, 16, 17)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은 상기 서비스 환경 설정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3)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들(13, 15)은, 파라미터 환경 설정사항들을 단말(1)로 제공하라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수단(13), 및 상기 요청 메시지를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1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 수단(13)에서 생성된 요청 메시지는 UAProf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로부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2)를 경유하여 장치 관리 서버(3)로 적어도 다음과 같은 기능 정보,
    - 단말(1)에 의해 지원되고, 단말(1)로 파라미터 환경 설정사항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
    - 단말(1)의 제조자에 대한 정보,
    - 단말(1)의 모델에 대한 정보, 및
    - 단말(1)의 소프트웨어 버전에 대한 정보가 보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는 단말(1)을 사용했던 사용자들에 저장된 파라미터들뿐 아니라 대응되는 사용자 아이디들이 저장되고, 이때 단말(1)은,
    이전에 사용된 사용자 아이디들과 그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들이 단말(1)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수단들(13, 16)을 포함하고, 이 경우, 단말(1)에 서 단말의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로 보내지는 것이 금지되고, 이전에 저장된 파라미터들이 사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 단말(1)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단말(1), 장치 관리 서버(3), 및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를 포함하여, 단말(1)과 장치 관리 서버(3) 사이에 단말(1) 설정(configuration)과 관련해 사용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1)은, 단말의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을 포함하고, 이 경우 시스템은,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장치 관리 서버(3)로 전송하는 수단들(2, 12),
    상기 변화된 기능들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preferences)을 결정하는 수단(4), 및
    새 기능들에 대응되는 상기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을 단말로 보내 단말(1)을 설정하도록 하는 수단(2, 3, 1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서버(3)는, 상기 단말(1) 기능들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을 결정하고, 상기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을 데 이터 전송 네트워크(2)를 통해 단말(1)로 전송하는 수단(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 안에, 서비스 제공자의 적어도 한 서비스가 설치되고, 이 경우, 단말(1)은 서비스 환경 설정 사항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장치 관리 서버(3)로 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관리 서버(3)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단말(1)에서 바뀐 서비스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을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을 판단하는 것은, 단말(1)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환경 설정 사항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3)로부터 서비스 제공자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이 경우, 서비스 제공자는 단말(1) 설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7항,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 내에서, 상기 장치 관리 서버(3)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은 수정 또는 새로운 설정을 부가함으로써 처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16항, 제17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은, 적어도 한 개의 액세서리 연결부(19)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은 어떤 액세서리(20)가 상기 액세서리 연결부(19)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연결 버스(19.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사용자 모듈(17)이 단말 안에 설치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은, 사용자 모듈(17)과 단말(1) 사이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모듈 연결부(18)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17)에 사용자 아이디가 저장되고, 사용자 모듈로부터 이전에 읽은 사용자 아이디가 단말(1)에 저장되고, 이 경우 단말(1)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된 사용자 아이디와, 단말(1)에 저장된 사용자 아이디가 비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 기기 아이디가 저장되고, 단말로부터 이전에 읽은 기기 아이디가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되고, 이 경우, 단말(1)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된 기기 아이디와 단말(1)에 저장된 기기 아이디가 비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1) 안에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 및 업데이트할 뿐 아니라, 이들을 단말(1)로부터 제거하는 수단들(13, 16)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들(13, 16, 18, 19)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를 검출하는 수단(1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의 기능 정보는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1)로 제공되었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1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3)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들(13, 15)은, 파라미터 환경 설정사항들을 단말(1)로 제공하라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수단(13), 및 상기 요청 메시지를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1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 수단(13)에서 생성된 요청 메시지는 UAProf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제1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로부터 모바일 통 신 네트워크(2)를 경유하여 장치 관리 서버(3)로 적어도 다음과 같은 기능 정보,
    - 단말(1)에 의해 지원되고, 단말(1)로 파라미터 환경 설정사항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
    - 단말(1)의 제조자에 대한 정보,
    - 단말(1)의 모델에 대한 정보, 및
    - 단말(1)의 소프트웨어 버전에 대한 정보가 보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0. 제16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는 단말(1)을 사용했던 사용자들에 저장된 파라미터들뿐 아니라 대응되는 사용자 아이디들이 저장되고, 이때 시스템은,
    이전에 사용된 사용자 아이디들과 그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들이 단말(1)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수단들(13, 16)을 포함하고, 이 경우, 시스템에서 단말의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로 보내지는 것이 금지되고, 이전에 저장된 파라미터들이 사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제1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은 무선 단말(1)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단말(1)로부터 장치 관리 서버(3)로, 설정(configuration)에 사용되는 정보 가 전송됨에 있어, 단말(1)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서 단말의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가 검사되고, 단말(1)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그 변화된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장치 관리 서버(3)로 전송되고,
    장치 관리 서버(3)에서 상기 변화된 기능들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preferences)이 결정되고, 새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에 대한 정보가 단말(1)로 보내지고,
    단말(1)에서 상기 새 파라미터 환경 설정에 따라 단말의 설정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 서버(3)에서, 상기 단말(1) 환경 설정 사항들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이 결정되고, 상기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이 단말(1)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 내에서, 상기 장치 관리 서버(3)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은, 이들을 수정 또는 새로운 환경 설정 사항들을 부가함으로써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2항,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는 적어도 한 개의 액세서리 연결부(19)가 포함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어떤 액세서리(20)가 상기 액세서리 연결부(19)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사용자 모듈(17)이 단말 안에 설치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자 모듈(17)과 단말(1) 사이에 정보가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17)에 사용자 아이디가 저장되고, 사용자 모듈로부터 이전에 읽은 사용자 아이디가 단말(1)에 저장되고, 이 경우 단말(1)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된 사용자 아이디와, 단말(1)에 저장된 사용자 아이디가 비교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 기기 아이디가 저장되고, 단말로부터 이전에 읽은 기기 아이디가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되고, 이 경우, 단말(1)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 모듈(17)에 저장된 기기 아이디와 단말(1)에 저장된 기기 아이디가 비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 및 업데이트할 뿐 아니라 이들을 단말(1)로부터 제거하는 수단들(13, 16)을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검출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와 관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의 기능 정보는 상기 설치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1)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32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서, 단말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3)로 전송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가 생성되고, 이 경우 상기 단말(1)에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을 제공하라는 요청은 상기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UAProf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32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로부터 장치 관리 서버(3)로 적어도 다음과 같은 기능 정보,
    - 단말(1)에 의해 지원되고, 단말(1)로 파라미터 환경 설정사항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
    - 단말(1)의 제조자에 대한 정보,
    - 단말(1)의 모델에 대한 정보, 및
    - 단말(1)의 소프트웨어 버전에 대한 정보가 보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32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는 단말(1)을 사용했던 사용자들에 저장된 파라미터들뿐 아니라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 아이디들이 저장되고, 이때, 상기 방법을 통해,
    이전에 사용된 사용자 아이디들과 그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들이 단말(1)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검사되고, 이전에 사용된 사용자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들이 단말(1)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 검사로부터 증명된 경우, 단말의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단말(1)로부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로 보내지는 것이 금지되고, 이전에 저장된 파라미터들이 단말(1)에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단말(1)로부터 장치 관리 서버(3)로, 설정(configuration)에 사용되는 정보가 전송됨에 있어, 단말(1)로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1)에서 단말의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가 검사되고, 단말(1)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그 변화된 기능들에 대한 정보가 장치 관리 서버(3)로 전송되고,
    장치 관리 서버(3)에서 상기 변화된 기능들에 대응되는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preferences)이 결정되고, 새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에 대한 정보가 단말(1)로 보내지고,
    단말(1)에서 상기 새 파라미터 환경 설정에 따라 단말의 설정이 수행됨을 특 징으로 하는 방법.
  46. 단말(1)의 설정(configuration)에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1)로부터 장치 관리 서버(3)로 설정에 사용되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계어(machine) 실행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구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생성물에 있어서,
    단말(1) 기능들에 있어서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계어 실행 가능 프로그램 명령;
    변화된 단말(1)의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로 전송하여 장치 관리 서버(3)로 전달되게 하기 위한 기계어 실행 가능 프로그램 명령;
    상기 장치 관리 서버(3)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로 전송된 새 파라미터 환경 설정 사항들(preferences)을 수신하기 위한 기계어 실행 가능 프로그램 명령; 및
    상기 새 파라미터들에 따라 단말을 설정하도록 하는 기계어 실행 가능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생성물.
KR1020067010047A 2003-11-24 2004-11-24 단말의 설정 KR100898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5218 2003-11-24
FI20035218A FI116592B (fi) 2003-11-24 2003-11-24 Päätelaitteen konfiguroint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433A true KR20060083433A (ko) 2006-07-20
KR100898994B1 KR100898994B1 (ko) 2009-05-21

Family

ID=2955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047A KR100898994B1 (ko) 2003-11-24 2004-11-24 단말의 설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18026B2 (ko)
EP (1) EP1690205A1 (ko)
JP (2) JP2007512602A (ko)
KR (1) KR100898994B1 (ko)
CN (1) CN100472516C (ko)
BR (1) BRPI0417035A (ko)
CA (1) CA2545444C (ko)
FI (1) FI116592B (ko)
WO (1) WO20050504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91B1 (ko) * 2006-12-15 2013-06-05 주식회사 케이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0127A1 (en) * 2003-11-11 2007-08-02 Nokia Corporation Preconfigured syncml profile categories
CN100584124C (zh) * 2003-12-19 2010-01-20 诺基亚公司 用于在无线通信设备中选择无线电资源的方法和设备
ES2283189B1 (es) * 2005-07-05 2008-09-16 Noguera Tecnologias, S.L. Sistema de personalizacion y configuracion remota de terminales moviles y procedimiento asociado.
JP4567745B2 (ja) * 2005-09-29 2010-10-2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の切り替え方法
CN100361456C (zh) 2005-10-13 2008-01-09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的管理方法及其终端设备
US8232860B2 (en) 2005-10-21 2012-07-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FID reader for facility access control and authorization
CN100407656C (zh) 2005-12-09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对终端设备进行管理的方法和系统
CN101087205A (zh) 2006-06-07 2007-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上报用户代理档案信息的方法、系统及终端设备
US20080096507A1 (en) * 2006-10-24 2008-04-24 Esa Erola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service accounts and configuring devices for use therewith
US8170183B2 (en) * 2007-01-22 2012-05-01 Control4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for a site
EP2153573B1 (en) 2007-05-28 2018-04-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issioning access control devices
CN101765835B (zh) * 2007-05-28 2013-05-08 霍尼韦尔国际公司 用于配置访问控制装置的系统和方法
KR101495536B1 (ko) * 2007-06-22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으로 변경되는 UPnP 명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7929959B2 (en) * 2007-09-01 2011-04-19 Apple Inc. Service provider activation
WO2010039598A2 (en) 2008-09-30 2010-04-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ccess control devices
US8878931B2 (en) 2009-03-04 2014-11-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ideo data
WO2010106474A1 (en) 2009-03-19 2010-09-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ccess control devices
CA2715362A1 (en) * 2009-09-22 2011-03-22 Thwapr, Inc. Interoperable mobile media sharing
US9280365B2 (en) 2009-12-17 2016-03-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figuration data at disconnected remote devices
US8707414B2 (en) 2010-01-07 2014-04-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aware access control management
US8473743B2 (en) * 2010-04-07 2013-06-25 Apple Inc. Mobile device management
EP2617176B1 (en) * 2010-09-16 2019-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 control device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KR101050282B1 (ko) * 2010-10-29 2011-07-19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 및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환 방법
US8787725B2 (en) 2010-11-11 2014-07-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ideo data
WO2012174603A1 (en) 2011-06-24 2012-12-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dvm system information
US9344684B2 (en) 2011-08-05 2016-05-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configured to enable content sharing between client terminals of a digital video management system
US10362273B2 (en) 2011-08-05 2019-07-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ideo data
WO2013020165A2 (en) 2011-08-05 2013-02-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ttn: Patent Ser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ideo data
CN102637211B (zh) * 2012-04-12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更新终端适配数据库的方法、装置及系统
CN102831079B (zh) * 2012-08-20 2016-0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移动终端进行检测的方法和移动终端
US9191252B1 (en) * 2013-02-28 2015-11-17 L-3 Communications Corp. Variable length header for identifying changed parameters of a waveform type
US10523903B2 (en) 2013-10-30 2019-12-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frameworks and methods configured for enabling review of incident data
US9894547B2 (en) * 2014-04-29 2018-02-1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update of UE capability for inter-frequency and inter-RAT measurements
US10331321B2 (en) 2015-06-07 2019-06-25 Apple Inc. Multiple device configuration application
CN106452828A (zh) * 2016-08-16 2017-02-22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provision协议传输的终端配置方法及系统
CN111930437B (zh) * 2020-07-15 2024-03-22 上海沪振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参数配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452A (en) * 1988-06-13 1992-02-04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telephone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JPH0876643A (ja) * 1994-07-06 1996-03-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25899B2 (ja) * 1995-03-03 2002-09-1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車両電子制御ユニットのパラメータ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8280913A (ja) * 1995-04-10 1996-10-29 San Denshi Kk カードを利用した遊技場管理装置
GB2326309B (en) * 1997-06-09 2002-04-10 Nokia Mobile Phones Ltd A telephone
EP1042933A1 (en) 1997-12-23 2000-10-11 Software.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to and from a telecommunications device
US6108540A (en) * 1997-12-24 2000-08-22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ulti-profile subscriber
JP3223870B2 (ja) * 1997-12-25 2001-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話装置
JP3715423B2 (ja) * 1998-01-07 2005-11-09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と、この通信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ユーザ装置およびセンタ装置
US6523124B1 (en) * 1999-04-23 2003-02-18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n accessory device connection status
GB9909275D0 (en) * 1999-04-23 1999-06-16 Philips Electronics Nv Reconfigurable communications network
US7433702B2 (en) * 2000-01-28 2008-10-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st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944169B1 (en) * 2000-03-01 2005-09-13 Hitachi America,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 in network devices
JP2001256027A (ja) 2000-03-09 2001-09-2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記憶媒体
KR100460276B1 (ko) * 2000-06-10 2004-12-04 유미특허법인 인터넷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방법
AU771794B2 (en) * 2000-08-10 2004-04-01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 switching method thereof, network control apparatus included therein, and network control method
JP3851071B2 (ja) * 2000-09-27 2006-11-2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遠隔制御方法
NO20005440L (no) 2000-10-27 2002-04-29 Ericsson Telefon Ab L M Pakkebaserte personlig utstyrsarrangementer og - fremgangsmåter
JP2002199089A (ja) * 2000-12-27 2002-07-12 Kenwood Corp 移動体電話機
JP2002259335A (ja) 2001-03-01 2002-09-13 Konica Corp 情報認識システム、デジタル撮像装置、店頭プリント装置、携帯電話機、情報処理装置、情報認識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2002268857A (ja) 2001-03-07 2002-09-2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
US20020178241A1 (en) * 2001-04-03 2002-11-28 Par Eriksson Framework for a dynamic management system
JP2002330134A (ja) 2001-05-02 2002-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機器設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043560B2 (en) * 2001-06-19 2006-05-09 Nokia, Inc. Dynamic probing and reporting of bit rate information
US20040093342A1 (en) 2001-06-27 2004-05-13 Ronald Arbo Universal data mapping system
JP3894758B2 (ja) 2001-09-07 2007-03-22 信佳 酒谷 インターネット接続サーバ、初期設定サーバ、ホストサーバ、およびインターネット接続サーバの遠隔管理システム
JP4054764B2 (ja) * 2002-01-21 2008-03-05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契約を変更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458204B1 (ko) * 2002-06-04 2004-11-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데이터 푸쉬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파라미터를변경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단말기
EP1593249A1 (en) * 2003-02-03 2005-11-09 Koninklijke KPN N.V. Message data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taking into account capabilities of sending and receiving devices
ATE333763T1 (de) * 2003-09-16 2006-08-15 Research In Motion Ltd Aktualisierungsbereitsstellung auf bedarfsbasis für eine mobile kommunikationsvorrichtung
KR100578144B1 (ko) * 2003-09-23 2006-05-10 주식회사 헬스피아 부가 기능의 원격 환경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91B1 (ko) * 2006-12-15 2013-06-05 주식회사 케이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994B1 (ko) 2009-05-21
FI116592B (fi) 2005-12-30
US20070259683A1 (en) 2007-11-08
WO2005050478A1 (en) 2005-06-02
JP5426499B2 (ja) 2014-02-26
CN1882944A (zh) 2006-12-20
JP2011034567A (ja) 2011-02-17
EP1690205A1 (en) 2006-08-16
US7818026B2 (en) 2010-10-19
JP2007512602A (ja) 2007-05-17
CA2545444A1 (en) 2005-06-02
CA2545444C (en) 2012-01-24
CN100472516C (zh) 2009-03-25
FI20035218A (fi) 2005-05-25
FI20035218A0 (fi) 2003-11-24
BRPI0417035A (pt) 200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994B1 (ko) 단말의 설정
EP17456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discovery
JP5074424B2 (ja) 依存関係の通知
TWI393464B (zh) 用於開放市場無線器件之網路識別之方法及裝置
US82608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bootstrap of a device
CN102394941A (zh) 数据下载中的用户确认
US20060056309A1 (en) Selecting a data transfer method
WO2012065492A1 (zh) 一种发送imsi的方法及终端
KR20040008189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요구들
EP23568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management of mobile stations
SE528103C2 (sv) Förfarande och system för kontrollering av apparatidentitet
US20230188954A1 (en) Method for notifying a mobile terminal
US9769875B1 (en) Multimedia messaging proxy for non-compliant communication devices
TW201328399A (zh) 用於開放市場無線器件之網路識別之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