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791B1 -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방법 - Google Patents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791B1
KR101270791B1 KR20060128845A KR20060128845A KR101270791B1 KR 101270791 B1 KR101270791 B1 KR 101270791B1 KR 20060128845 A KR20060128845 A KR 20060128845A KR 20060128845 A KR20060128845 A KR 20060128845A KR 101270791 B1 KR101270791 B1 KR 10127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erminal
management server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2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467A (ko
Inventor
정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6012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7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5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7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측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활성화 상태와 이에 따른 유지 및 관리를 원격으로 실행할 수 있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측의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단말기 관리서버(DMS) 등록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사의 서비스 활성화 관리대상인 경우,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 관리객체 값을 신뢰관계 등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신뢰관계 등록 상태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적합한 서비스 활성화 설정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 서비스, 관리객체, 단말기 관리서버, 서비스 활성화

Description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Method for Activating User Service of User Terminal based on State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절차를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처리 순차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와 단말기 관리서버가 통신시 이용하는 OMA DM 프로토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관리 객체(Device Description Framework : DDF)의 계층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사용자 단말기 2 : 단말기 관리 서버
3 : 가입자 정보 관리시스템 4 : 서비스 활성화 관리시스템
5 : 유/무선 네트워크 1-1 : 단말기 관리에이젼트
본 발명은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활성화와 이를 유지 및 관리하는 절차를 최소한의 사용자 조작과 서비스 제공사측의 원격 조정으로 실행하기에 적당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고속 인터넷, IT 컨버전스, 미디어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의 보급이 활성화 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용자 단말기의 유형으로는 휴대폰, PDA, IP-STB, 미디어센터 PC 등을 들 수 있겠다.
종래에는 소비자가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비스 단말기를 구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최초 제품 출하시 공통적으로 설정된 공장 초기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나 판매회사는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에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사에서 요청하는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에 따른 초기 설정절차를 수행한 후, 소비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의 초기 설정절차는 컨텐츠의 다양화와 컨텐츠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의 다변화와 지능화에 따라 점점 더 복잡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초기 설정 절차를 소비자가 직접 입력하지 못하고, 소비자들이 사용자 단말기 판매회사, 통신회사 또는 서비스 제공사 등의 전문가 그룹에 의뢰하고 있는 현 실이다.
또한, 소비자가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구입한 사용자 단말기를 초기 설정하여 개통한 이후에도, 특정한 컨텐츠나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를 업-데이트(Up-Date)하기 위해서는 필요시 사용자 단말기 판매회사, 통신회사 또는 서비스 제공사 등의 전문가 그룹을 직접 방문하거나 의뢰해서 사용자 단말기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 및 관리하였다.
만일, 서비스 제공사측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구매시 설정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유지 및 관리 할 수 있다면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측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활성화 상태와 이에 따른 유지 및 관리를 원격으로 실행할 수 있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측의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단말기 관리서버(DMS) 등록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 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사의 서비스 활성화 관리대상인 경우,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 관리객체 값을 신뢰관계 등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신뢰관계 등록 상태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적합한 서비스 활성화 설정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DMS) 등록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초기화 상태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의 단말기 관리서버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이 성공적인 경우, 이에 따른 상태정보를 미리 정의된 관리객체 값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뢰관계 등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2)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사의 서비스 활성화 관리 대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단말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사의 서비스 활성화 관리대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와 상호인증(credential)값을 교환하여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 성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 PDA, IP-STB, 미디어센터 PC 등과 같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a-1n)가 유/무선 네트워크(5)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5)는 단말기 관리서버(Device Management Server:DMS)(2), 가입자 정보 관리시스템(Subscriber Management System: SMS)(3), 서비스 활성화 관리시스템(Policy System : PC)(4)이 서로 연동되는 서비스 제공사측 시스템과 연결된다.
여기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의 단말기 관리에이젼트(DMA)(1-1)는 유/무선 네트워크(5)를 경유하여 단말기 관리서버(2)와 미리 설정된 관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관리정보를 교환하거나 주어진 명령을 실행한다.
이때, 단말기 관리에이젼트(DMA)(1-1)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의 상태정보에 따라 관리 객체값을 파라메터 형식으로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 단말기(1)와 단말기 관리서버(2)간 사용되는 관리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이하 'SNMP')나 OMA DM (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 이하 'OMA DM')를 사용한다.
또한, 가입자 정보 관리시스템(3)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에 최신의 서비스 활성화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가 가입시 제출하거나 입력한 서비스 신청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서비스 활성화 관리시스템(4)은 사용자 단말기(1) 또는 서비스 활성화 상태에 따라 필요한 컨텐츠,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또는 버그 수정 정보 등을 정의하고 통합 관리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가 최초 특정 사용자 단말기(1a)를 구매하면, 구매한 사용자 단말기(1a)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정보가 설정되거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초기화 상태이며(S21), 이를 "공장초기화 상태"라 한다(도 2의 S201).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a)의 구매자측에서는 공장초기화 상태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1a)를 직접 조작하거나, 공장 출하시 기본으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서버 정보(URL)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사의 단말기 관리서버(2)로 접속을 요청한다(S22).
단말기 관리서버(2)는 S22단계에서 접속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1a)의 접속 요청에 대해 접속을 승인한다(S23).
단말기 관리서버(2)는 사용자 단말기(1a)가 접속시 입력한 사용자 단말기(1a)의 기본정보(./dEVLNFO/*)를 획득해서(S24), 접속한 URL주소와 함께 등록한다(S25).
이어, 단말기 관리서버(2)는 사용자 단말기(1a)로 등록을 완료했다는 ACK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1a)가 성공적으로 등록되었다는 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의 단말기 관리에이전트(1-1)에서 미리 설정된 관리객체 값으로 변경하여 설정한다(S26).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관리객체는 사용자 단말기(1a)를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서버(2)에 접속할 때마다 기본으로 전달되는 필수 파라메터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함으로서 단말기 관리서버(2)가 사용자 단말기(1a)로 부터 수신하는 상태값을 획득하는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S26 단계를 마치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는 "단말기 관리서버(DMS) 등록 상태"가 된다(도 2의 S202). 이와 같은 DMS 등록 상태에서 단말기 관리서버(2)는 자신의 영역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1)의 일부 기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하여 최소한의 원격 진단을 실행할 수 있다.
이어, 단말기 관리서버(2)는 등록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1a)가 서비스 제공사의 서비스 활성화 관리 대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가입자 정보 관리시스템(3)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조회한다(S27).
단말기 관리서버(2)는 가입자 정보 관리시스템(3)에 저장중인 사용자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의 확인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사의 서비스 활성화 관리대상인지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a)로 명령을 전달하여 상호간에 상호인증(credential)값을 교환하여 신뢰 관계를 형성한다.
이때, S22 단계에서 사용한 등록 URL은 모든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이 허용된 개방된 서버로 보안기능이 없는 URL이다. 따라서, 추후 네트워크를 통한 고의적인 침입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a)와 단말기 관리서버(2)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신뢰 관계 형성단계에서 향후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할 때 사용하는 URL을 일반 서비스 URL로 변경한다(S28).
이와같은 상호인증(credential)값 교환과 URL 변경이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단말기 관리서버(2)는 사용자 단말기(1a)의 단말기 관리에이젼트(1-1)의 상태정보 관리객체 값을 "신뢰관계 등록 상태"로 변경한다(도 2의 S203).
따라서, 이후 사용자 단말기(1a)의 사용자가 단말기 관리 서버(2)로부터 수신된 관리 URL 주소를 이용하여 단말기 관리서버(2)에 접속을 하는 경우(S29), 단말기 관리서버(2)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활성화 관리시스템(PS)(4)에 등록된 해당 사용자 단말기에 적합한 서비스 활성화 설정을 실행한다(S30)(도 2의 S204).
여기서, 서비스 활성화 설정은 사용자가 신청한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필수 정보(예를 들면, 서버 URL,계정) 및 필수 소프트웨어의 제공 또는 업그레이드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의미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a)가 재부팅되거나 서비스 활성화 관리 만료 등의 미리 설정된 서비스 제공사의 규정에 따라 보안기능이 있는 관리 URL을 이용하여 단말기 관리서버(2)로 접속하는 경우(S31), 단말기 관리서버(2)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설정상태와 서비스 활성화 관리시스템(4)에 등록된 최신 상태를 비교하여 동기화하는 작업을 실행한다(S32).
따라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는 서비스 제공사측의 원격 조작으로 항상 최상의 서비스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서비스 제공사가 제공하는 최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a)와 단말기 관리서버(2)가 통신시 이용하는 OMA DM 프로토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관리 객체(Device Description Framework : DDF)의 계층 구조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OMA DM 표준에서는 상태 관리 정보에서 사용자 단말기(1a)의 최소정보를 갖는 DevInfo 노드, 사용자 단말기(1a)과 단말기 관리서버(2)간에 신뢰관계 설정을 위한 DMAcc 노드, 단말기 추가 정보 DevDetail, 기타 업체 정의 추가 노드를 갖는다.
특히, DevInfo 노드는 사용자 단말기(1a)가 단말기 관리서버(2)에 접속할 때, 모든 패킷에서 기본으로 가져가야 하는 노드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a)가 단말기 관리서버(2)에 접속할 때 사용자 단말기(1a)의 기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단말기 관리서버(2)가 사용자 단말기(1a)의 기본정보 획득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1a)에 재접속하는 프로토콜/네트워크 상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많이 관리표준으로 많이 사용되는 SNMP를 이용한 시스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구조를 만들기 위해 트랩(trap) 패킷에 사용자 정의 PDU(Packet Data Unit)의 내용으로 DevInfo에 상당하는 정보를 사용자 정의로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즉, 도 2의 공장초기화 단계(S201)에서는 AppAddr 하위에 단말기 관리서버(2)의 등록 URL이 저장되어 있고, 이를 토대로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a)는 단말기 관리서버(2)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기(1a)는 접속 요청 시, DevInfo 정보를 Payload 정보로 가진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evInfo에 확장노드로서 ./DevInfo/Ext/ProvStat 이라는 관리객체를 정의하여 사용하며, 노드의 위치 또는 이름을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내용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ProvStat 값은 사용자 단말기(1a)의 상태 정보로써, 사용자 단말기(1a)의 현재 상태가 공장초기화 상태인지 아닌지에 대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 관리서버(2)는 만일 사용자 단말기(1a)내의 ProvStat 값이 공장초기화 상태에 따른 값이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a)에 대한 상태 관리 서비스의 등록에 필요한 부수적인 값을 추가로 사용자 단말기(1a)에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a)가 단말기 관리서버(2)에 성공적으로 등록되면, 먼저 사용자 단말기(1a)에 등록이 성공했다는 결과로서 관리객체 값을 등록 상태로 변경한다.
사용자 단말기(1a)는 네트워크에 노출되면서 악의적인 바이러스 침입 혹은 해킹, 컨텐츠 보호 등의 목적으로 관리 세션의 보안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 단말기 관리서버(2)에 성공적으로 등록한 후, 단말기 관리서버(2)는 이후 신뢰관계 형성을 위해 가입자 정보 관리시스템와 정보교환을 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 관리서버(2)는 등록 URL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상태 관리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보안 기능을 갖는 관리 URL 주소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a)에 설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관리 URL주소는 서버 주소의 일례를 제시한 것으로 물리적/논리적으로 구분된 별도의 관리서버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 과정이 완료되면, 단말기 관리서버(2)는 해당 사용자 단말 기(1a)의 ProvStat 값을 신뢰관계 형성 상태에 따른 값으로 변경한다.
여기까지 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a)는 이후 접속부터는 보안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 URL주소로 접속하고, 사용자에 특화된 최신 정보를 설정받게 된다.
또한, ProvStat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1a)와 단말기 관리서버(2)간에 다음의 필요한 작업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사유로 인해 순차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서비스 활성화 절차들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후 단계부터 실행을 하면 되기 때문에 전체 서비스 활성화 절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의하면,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측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활성화 상태와 이에 따른 유지 및 관리를 원격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중 발생할 수 있는 고의적인 침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 상태 관리를 확장하여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황에서도 효율적인 서비스 활성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은 포털을 통한 개방형 서비스 제공 모델이 아니라, 개방된 서비스 중개 사업자 플랫폼을 통한 반 폐쇄적인 브로커형 서비스 제공모델, 예를들 면, IP-TV, 모바일 서비스 등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사측의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단말기 관리서버(DMS) 등록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사의 서비스 활성화 관리대상인 경우,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 관리객체 값을 신뢰관계 등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신뢰관계 등록 상태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적합한 서비스 활성화 설정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DMS) 등록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초기화 상태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제공사의 단말기 관리서버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이 성공적인 경우, 이에 따른 상태정보를 미리 정의된 관리객체 값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관계 등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사의 서비스 활성화 관리 대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단말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제공사의 서비스 활성화 관리대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와 상호인증(credential)값을 교환하여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관리객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서버에 접속할 때마다 기본으로 전달되는 필수 파라메터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신뢰관계 등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단말기 관리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서버 정보를 보안 기능을 갖는 서버 정보(URL)로 변경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활성화는 사용자가 신청한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필수 정보 및 필수 소프트웨어의 제공 또는 업그레이드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재부팅되거나 서비스 활성화 관리 만료 등의 미리 설정된 서비스 제공사의 규정에 따라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로 재접속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설정상태와 미리 등록된 최신 상태를 비교하여 동기화하는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 방법.
KR20060128845A 2006-12-15 2006-12-15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방법 KR101270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8845A KR101270791B1 (ko) 2006-12-15 2006-12-15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8845A KR101270791B1 (ko) 2006-12-15 2006-12-15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467A KR20080055467A (ko) 2008-06-19
KR101270791B1 true KR101270791B1 (ko) 2013-06-05

Family

ID=3980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28845A KR101270791B1 (ko) 2006-12-15 2006-12-15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5770B (zh) * 2020-12-30 2024-03-19 中国移动通信集团终端有限公司 一种业务状态同步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913A (ko) * 2003-09-08 2005-03-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이동 디바이스 구성 설정들을 관리하기 위한 oma dm확장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1159A (ko) * 2005-01-07 2006-07-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단말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3433A (ko) * 2003-11-24 2006-07-20 노키아 코포레이션 단말의 설정
KR20060118103A (ko) *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라미터 원격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913A (ko) * 2003-09-08 2005-03-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이동 디바이스 구성 설정들을 관리하기 위한 oma dm확장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3433A (ko) * 2003-11-24 2006-07-20 노키아 코포레이션 단말의 설정
KR20060081159A (ko) * 2005-01-07 2006-07-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단말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18103A (ko) *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라미터 원격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467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8100B2 (en) Service enabler function
CN111052711B (zh) 发现由网络存储库功能提供的服务的方法
EP3170284B1 (en) Enhanced operations between service layer and management layer in an m2m system by allowing the execution of a plurality of commands on a plurality of devices
CN105682075B (zh) 向终端供给订户资料的方法、终端及供给服务器
EP21719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 management service to electronic device having no broadband communication module
KR20080087891A (ko) 의존성 통지
US20120047245A1 (en) Method for provisioning parameters of terminal, system thereof, and terminal management device
US20070250933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access rights in a dynamic node
KR102084286B1 (ko) 분산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위한 해결법
CN103581882A (zh) 一种数据卡apn锁定状态的控制方法及装置、数据卡
US9438603B2 (en) Method for managing access right of terminal to resource by ser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RU2618943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риложений
KR100642998B1 (ko) 단말의 정책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정책메시지 전송방법
KR101478570B1 (ko)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방법
US20120254393A1 (en) Device management metho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and device management system
KR101270791B1 (ko)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비스 활성화방법
US20130124715A1 (en) Applet synchronization across multiple routers
CN110166583A (zh) 小基站接入方法、装置、设备、系统以及存储介质
KR20150088462A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연동 방법 및 장치
US20190312929A1 (en)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US20240146837A1 (en) Setting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CN106416192B (zh) 配置嵌入式通用集成电路卡的方法及设备
US10404831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updating the capabilities of an object connected to a 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