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2487A - 블록 - Google Patents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2487A
KR20060082487A KR1020050002994A KR20050002994A KR20060082487A KR 20060082487 A KR20060082487 A KR 20060082487A KR 1020050002994 A KR1020050002994 A KR 1020050002994A KR 20050002994 A KR20050002994 A KR 20050002994A KR 20060082487 A KR20060082487 A KR 20060082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necting rod
blocks
shaped connecting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984B1 (ko
Inventor
정재천
Original Assignee
정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천 filed Critical 정재천
Priority to KR102005000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9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06Tub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블록간의 연결각도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블록이 지반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 위에 엇비껴서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됨으로써 축조가 이루어지는 블록에 있어서, H자형 연결대가 설치될 수 있는 연결홈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연결홈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한 H자형 연결대가 연결홈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180도 이내에서 부채꼴 형태로 단속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채꼴 단속홈부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H자형 연결대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가 상기한 연결홈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에 흙을 담을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강토 블록, 연결대, 단차부, 보강재, 돌기, 중공부, 호안, 옹벽, 축조

Description

블록{Block}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연결각도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연결각도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4 : H자형 연결대 2, 3 : 블록
21, 31 : 연결홈 22 : 단차부
23, 33 : 돌기 24, 34 : 중공부
이 발명은 블록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블록간의 연결각도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블록이 지반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면이 급한 지대에는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토 블록을 쌓아 주거나, 옹벽용 블록을 이용하여 축대나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상기한 보강토 블록 및 옹벽용 블록은 축대 및 옹벽이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기능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와 함께 축대 및 옹벽이 주변의 미관을 고려해서 축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심미성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하천이나 호수에도 유로변경이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깨끗하게 정돈되어 있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장자리 부분에 호안블록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호안블럭도 옹벽용 블록과 마찬가지로 호안이 견고하게 축조될 수 있도록 기능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와 함께 호안이 주변의 미관을 고려해서 축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심미성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상기한 보강토 블록, 옹벽용 블록, 호안블록과 같은 블록의 기능적인 구조중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점은, 블록간의 연결각도가 자유로와야 하고 블록이 지반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종래의 블록은, 상대적으로 연결각도가 자유롭지 못하며 블록이 지반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간의 연결각도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블록이 지반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 위에 엇비껴서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됨으로써 축조가 이루어지는 블록에 있어서, H자형 연결대가 설치될 수 있는 연결홈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연결홈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한 H자형 연결대가 연결홈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180도 이내에서 부채꼴 형태로 단속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채꼴 단속홈부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H자형 연결대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가 상기한 연결홈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에 흙을 담을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 위에 엇비껴서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됨으로써 축조가 이루어지는 블록에 있어서, H자형 연결대가 설치될 수 있는 연결홈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연결홈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한 H자형 연결대가 연결홈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180도 이내에서 부채꼴 형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차부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H자형 연결대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용 돌기가 후방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중앙에 흙을 담을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연결각도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구성은,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 위에 엇비껴서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됨으로써 축조가 이루어지는 블록(3)에 있어서, H자형 연결대(4)가 설치될 수 있는 연결홈(31)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연결홈(31)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한 H자형 연결대(4)가 연결홈(31)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180도 이내에서 부채꼴 형태로 단속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채꼴 단속홈부(32)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H자형 연결대(4)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33)가 상기한 연결홈(3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에 흙을 담을 수 있는 중공부(34)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블록(3)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면에 다수개의 블록(3)을 수평으로 배열하고, 그 상단에 다수개의 블록(3)을 수평으로 배열하고, 다시 그 상단에 다수개의 블록(3)을 수평으로 배열하는 방식으로 축조를 하게 된다.
이와같이 블록(3)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2개의 블록을 한쌍으로 하여 인접한 2개의 블록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31)중에서 인접한 연결홈에 H자형 연결대(4)를 걸어주게 되면 H자형 연결대(4)에 의해서 2개의 블록이 서로 고정연결된다. 이 경우에, H자형 연결대(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홈(31)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부채꼴 단속홈부(32)에 의해서 허용되는 180도 이내에서 단속적으로 회전이 됨으로써 블록간의 연결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 블록(3)마다 연결홈(31)의 주변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보강재용 돌기(33)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H자형 연결대(4)에 보강재(5)를 걸어준 뒤에, 상기한 보강재(5)의 후단을 지반에 고정시킴으로써 블록(3)들이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블록(2)마다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24)에는 돌이나 자갈을 채워 넣음으로써 블록들이 한층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하단 블록의 축조가 끝나면, 하단 블록의 위에 상단 블록을 축조하게 되는데, 하단의 2개의 블록을 연결하고 있는 H자형 연결대(4)의 상부를, 상단의 인접한 2개의 블록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31)중에서 인접한 연결홈의 하부에 상기 H자형 연결대(4)의 상부를 걸어주게 되면, 상단 및 하단의 인접한 블록들로 이루어 진 4개의 블록이 하나의 H자형 연결대(4)에 의해서 서로 고정연결된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연결각도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구성은,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 위에 엇비껴서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됨으로써 축조가 이루어지는 블록(2)에 있어서, H자형 연결대(1)가 설치될 수 있는 연결홈(21)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연결홈(21)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한 H자형 연결대(1)가 연결홈(21)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180도 이내에서 부채꼴 형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차부(22)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지반과 연결되는 보강재(도시되지 않음)를 걸수 있는 보강재용 돌기(23)가 후방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중앙에 흙을 담을 수 있는 중공부(24)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블록(2)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면에 다수개의 블록(2)을 수평으로 배열하고, 그 상단에 다수개의 블록(2)을 수평으로 배열하고, 다시 그 상단에 다수개의 블록(2)을 수평으로 배열하는 방식으로 축조를 하게 된다.
이와같이 블록(2)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2개의 블록을 한쌍으로 하여 인접한 2개의 블록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21)중에서 인접한 연결홈에 H자형 연결대(1)를 걸어주게 되면 H자형 연결대(1)에 의해서 2개의 블록이 서로 고정연결 된다. 이 경우에, H자형 연결대(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홈(21)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부채꼴 단속홈부(32)에 의해서 허용되는 180도 이내에서 단속적으로 회전이 됨으로써 블록간의 연결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게된다.
다음에, 블록(2)마다 상부 후방의 좌우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돌출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보강재용 돌기(23)에 보강재(도시되지 않음)를 걸어준 뒤에, 상기한 보강재(도시되지 않음)를 지반에 고정시킴으로써 블록(2)들이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블록(2)마다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24)에는 돌이나 자갈을 채워 넣음으로써 블록들이 한층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하단 블록의 축조가 끝나면, 하단 블록의 위에 상단 블록을 축조하게 되는데, 하단의 2개의 블록을 연결하고 있는 H자형 연결대(1)의 상부를, 상단의 인접한 2개의 블록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21)중에서 인접한 연결홈의 하부에 상기 H자형 연결대(1)의 상부를 걸어주게 되면, 상단 및 하단의 인접한 블록들로 이루어진 4개의 블록이 하나의 H자형 연결대(1)에 의해서 서로 고정연결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블록간의 연결각도가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블록이 지반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 위에 엇비껴서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됨으로써 축조가 이루어지는 블록에 있어서,
    H자형 연결대가 설치될 수 있는 연결홈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연결홈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한 H자형 연결대가 연결홈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180도 이내에서 부채꼴 형태로 단속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채꼴 단속홈부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H자형 연결대를 지지하기 위한 돌기가 상기한 연결홈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중앙에 흙을 담을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2.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그 위에 엇비껴서 다수개가 수평으로 배열됨으로써 축조가 이루어지는 블록에 있어서,
    H자형 연결대가 설치될 수 있는 연결홈이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연결홈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한 H자형 연결대가 연결홈을 회전축으로 삼아서 180도 이내에서 부채꼴 형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차부가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지반과 연결되는 보강재를 걸수 있는 보강재용 돌기가 후방 좌우 양측에 형 성되며,
    중앙에 흙을 담을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KR1020050002994A 2005-01-12 2005-01-12 블록 KR100635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94A KR100635984B1 (ko) 2005-01-12 2005-01-12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94A KR100635984B1 (ko) 2005-01-12 2005-01-12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487A true KR20060082487A (ko) 2006-07-18
KR100635984B1 KR100635984B1 (ko) 2006-10-18

Family

ID=3717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994A KR100635984B1 (ko) 2005-01-12 2005-01-12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9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49B1 (ko) * 2011-06-27 2012-03-07 (주) 태평양지질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993403B1 (ko) * 2018-08-09 2019-06-26 강현재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20210046119A (ko) * 2019-10-17 2021-04-28 주식회사 봉견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KR102599864B1 (ko) * 2023-08-08 2023-11-08 (주)태웅기업 결속강화형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10Y1 (ko) 2007-08-20 2010-01-28 황성민 생태 옹벽축조블록
KR200469000Y1 (ko) * 2013-06-05 2013-09-12 석영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KR101338376B1 (ko) 2013-06-14 2013-12-10 주식회사 지오환경 랩블록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149B1 (ko) * 2011-06-27 2012-03-07 (주) 태평양지질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993403B1 (ko) * 2018-08-09 2019-06-26 강현재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20210046119A (ko) * 2019-10-17 2021-04-28 주식회사 봉견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KR102599864B1 (ko) * 2023-08-08 2023-11-08 (주)태웅기업 결속강화형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984B1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984B1 (ko) 블록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JP5095030B1 (ja) 法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法面構造及び法面形成方法
KR20080033827A (ko)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1900728B1 (ko)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101990409B1 (ko) 사방네트의 고정 지주대
JP3537398B2 (ja) 組立柵工
KR100653381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JP2000073418A (ja) 地下貯水槽用の充填部材
JPH1068101A (ja) 舗装ブロック用合成樹脂製函型フレームとそれを使用したブロック舗装の施工法
KR102571761B1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JP3711049B2 (ja) 積みブロック
JP2001295302A (ja) 擁壁構造及び擁壁構築工法
KR100450575B1 (ko) 관로 굴착작업용 간이 흙막이 벽체
KR200285545Y1 (ko) 기초공사용 파일캡
KR200410821Y1 (ko) 하천바닥 세굴방지용 수중보 설치구조
KR102333349B1 (ko) 블럭이 일체화된 친환경 대형 식생호안블럭
JP3063501U (ja) 木枠構造ブロックおよび木枠土木構造物
KR20120111582A (ko) 조립식 가물막이
KR200403159Y1 (ko) 축대용 블록
KR101147468B1 (ko) 조립식 징검다리
EP3368724A1 (en)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formwork system for forming such a formwor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KR200418741Y1 (ko) 휀스 고정구
KR200301434Y1 (ko) 조립식 목재형틀
JP2557788B2 (ja) 護岸等に使用するコンクリート製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