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3827A -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3827A
KR20080033827A KR1020060100054A KR20060100054A KR20080033827A KR 20080033827 A KR20080033827 A KR 20080033827A KR 1020060100054 A KR1020060100054 A KR 1020060100054A KR 20060100054 A KR20060100054 A KR 20060100054A KR 20080033827 A KR20080033827 A KR 20080033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stepping
support
base panel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671B1 (ko
Inventor
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to KR1020060100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67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3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징검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흐르는 물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고, 물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고, 하천 바닥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징검다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는 하천 바닥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에 설치되어 하천의 수면 위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단에 설치되는 블록, 상기 베이스 패널과 하천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징검다리, 지지대, 베이스 패널, 고정수단, 기둥

Description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STEPPING STONES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패널 12 : 관통홀부
20 : 지지대 30 : 블록
40 : 고정수단 42 : 고정패널
44 : 기둥 46 : 이탈방지핀
50 : 곡면부
본 발명은 징검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흐르는 물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고, 물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고, 하천 바닥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징검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골에서는 1년 동안 수심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고, 깊이가 깊지 않으며, 폭이 작은 하천에는 주민 및 학생들이 지름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징검다리가 설치된다.
이 징검다리는 다수의 큰돌을 겹겹이 쌓아서 만들거나, 모래를 담은 마대를 겹겹이 쌓아서 만들고, 좀더 튼튼하게 만들려면 하천에 거푸집을 만들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물막이 보를 만든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 징검다리는 하천의 흐름을 수직으로 차단하여 만들어서 물의 유량이 많은 계절에는 붕괴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하천에 사는 어류가 자유로이 상, 하류로 이동할 수 없으며, 물의 흐름속도가 저하되어 하천의 정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붕괴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 보는 설치비용 및 시간이 많이 들고, 간편하지 않으며, 물막이 보 역시 하천의 정화 능력의 저하와 어류의 이동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흐르는 물과 징검다리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하천 바닥면에 징검다 리가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는 하천 바닥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에 설치되어 하천의 수면 위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단에 설치되는 블록, 상기 베이스 패널과 하천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 시공방법은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지지대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 상단에 블록을 설치하는 제작단계, 하천 바닥면에 매립하여 기둥이 하천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고정단계, 상기 베이스 패널의 관통홀부를 상기 기둥에 삽입하는 연결단계, 및 상기 기둥의 상단에 이탈방지핀을 결합하는 체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천에 설치되는 징검다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는 하천 바닥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베이스 패널(10)과, 베이스 패널(10)에 설치되어 하천의 수면 위로 돌출되는 지지대(20)와, 지지대(20) 상단에 설치되는 블록(30)과, 베이스 패널(10)과 하천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40)과, 지지대(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곡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하천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40)에 베이스 패널(10)을 체결하면 베이스 패널(10)이 고정수단(40)과 함께 하천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지지대(20)는 하천의 수면 위로 돌출되어 블록(30)이 하천의 흐르는 물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베이스 패널(10)은 사각모양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모서리에 관통홀부(12)가 형성되므로 4개의 관통홀부(12) 중, 어느 관통홀부(12)에 고정수단(40)이 삽입되는지에 따라 징검다리의 모양이 가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대(20)는 둘레면에 곡면부(50)가 형성되도록 그 단면 형상이 타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지지대(20)와 흐르는 물이 접촉되는 면이 곡면을 이루어 물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저항이 작아지도록 하고, 타원 모양의 지지대(20) 단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흐르는 방향과 비교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곡면부(50)에 충돌되는 물로부터의 충격이 최소화 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수단(40)은 관통홀부(12)에 삽입되어 하천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둥(44)과, 기둥(44)의 상단에 체결되는 이탈방지핀(46)과, 한 쌍의 기둥(44)의 하단을 연결하여 하천 바닥면에 매립되는 고정패널(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천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기둥(44)에 베이스 패널(10)의 관통홀부(12)가 삽입되는 바, 관통홀부(12)는 각각의 베이스 패널(10)에 4개씩 형성되므로 기둥(44)이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베이스 패널(1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징검다리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 시공방법은 베이스 패널(10)의 상면에 곡면부(50)가 형성되는 지지대(20)를 고정하고, 지지대(20) 상단에 블록(30)을 설치하는 제작단계와, 하천 바닥면에 매립하여 기둥(20)이 하천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고정단계와, 베이스 패널(10)의 관통홀부(12)를 기둥(44)에 삽입하는 연결단계와, 기둥(44)의 상단에 이탈방지핀(46)을 결합하는 체 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단계는 한 쌍의 기둥(44)의 하단을 고정패널(42)로 연결하여 고정패널(42)을 하천 바닥면에 매립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단계는 한 쌍의 기둥(44)에 중에 하나의 기둥(44)에는 베이스 패널(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부(12)를 삽입하고, 다른 하나의 기둥(44a)에는 다른 베이스 패널(10a)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부(12)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고정패널(42)을 하천 바닥면에 매립한 후에 기둥(44)에 관통홀부(12)를 삽입하고, 기둥(44)의 상단에 이탈방지핀(46)을 체결하여 징검다리의 설치를 이루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되게 배치되는 베이스 패널(10)들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바람직하게는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하여 흐르는 물과 징검다리 사이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의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수단(400)에 그 특징이 있는 바, 다른 실시예의 고정수단(400)은 관통홀부(12)에 삽입되어 하천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둥(440)과, 기둥(440)의 상단에 체결되는 이탈방지핀(4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고정수단(400)은 일 실시예로부터 고정패널(42)이 생략된 것인 바, 고정패널(42)의 생략으로 징검다리의 부품수가 감소되어 징검다리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징검다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징검다리에 사용되는 지지대 및 고정수단이 아닌 다른 제품의 지지대 및 고정수단에도 본 발명의 지지대 및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은 지지대 및 곡면부에 의해 징검다리와 흐르는 물 사이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흐르는 물과 징검다리 사이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감소되므로 징검다리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수단을 하천 바닥면에 매립한 후에 고정수단에 베이스 패널을 결합하는 시공방법에 의해 징검다리와 하천 바닥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되므로 징검다리의 붕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하천 바닥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베이스 패널;
    상기 베이스 패널에 설치되어 하천의 수면 위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단에 설치되는 블록;
    상기 베이스 패널과 하천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은 사각모양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모서리에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둘레면에 상기 곡면부가 형성되도록 그 단면 형상이 타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타원 모양의 곡면부가 흐르는 물의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하천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에 체결되는 이탈방지핀과, 한 쌍의 상기 기둥의 하단을 연결하여 하천 바닥면에 매립되는 고정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관통홀부에 삽입되어 하천 바닥면에 매립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에 체결되는 이탈방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7.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 곡면부가 형성되는 지지대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대 상단에 블록을 설치하는 제작단계;
    하천 바닥면에 매립하여 기둥이 하천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고정단 계;
    상기 베이스 패널의 관통홀부를 상기 기둥에 삽입하는 연결단계; 및
    상기 기둥의 상단에 이탈방지핀을 결합하는 체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는 한 쌍의 기둥의 하단을 고정패널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패널을 하천 바닥면에 매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한 쌍의 상기 기둥 중 하나의 상기 기둥에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부를 삽입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기둥에는 다른 상기 베이스 패널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부를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 시공방법.
KR1020060100054A 2006-10-14 2006-10-14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0839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54A KR100839671B1 (ko) 2006-10-14 2006-10-14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54A KR100839671B1 (ko) 2006-10-14 2006-10-14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27A true KR20080033827A (ko) 2008-04-17
KR100839671B1 KR100839671B1 (ko) 2008-06-19

Family

ID=3957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054A KR100839671B1 (ko) 2006-10-14 2006-10-14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6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0280A1 (de) 2007-12-14 2009-06-18 Hyundai Motor Company Impulslader für Kraftfahrzeugmotoren
KR101147468B1 (ko) * 2010-04-12 2012-05-21 (주)리버앤텍 조립식 징검다리
KR102038913B1 (ko) * 2019-06-11 2019-10-31 강찬성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127604A (ko) * 2019-05-03 2020-11-11 김덕환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KR20210109874A (ko) * 2020-02-28 2021-09-07 바위산업 주식회사 징검석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600Y1 (ko) 2001-01-08 2001-06-15 한림에코텍주식회사 징검다리
KR200271632Y1 (ko) 2001-12-26 2002-04-12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하천용 징검다리
KR200274496Y1 (ko) 2002-02-04 2002-05-04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하천용 징검다리
KR100458894B1 (ko) 2002-08-20 2004-12-03 석성기업주식회사 고기집이 형성되어 있는 징검다리용 인조석
KR200410656Y1 (ko) 2005-12-15 2006-03-09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징검다리용 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0280A1 (de) 2007-12-14 2009-06-18 Hyundai Motor Company Impulslader für Kraftfahrzeugmotoren
KR101147468B1 (ko) * 2010-04-12 2012-05-21 (주)리버앤텍 조립식 징검다리
KR20200127604A (ko) * 2019-05-03 2020-11-11 김덕환 개량형 징검다리 상판 구조
KR102038913B1 (ko) * 2019-06-11 2019-10-31 강찬성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109874A (ko) * 2020-02-28 2021-09-07 바위산업 주식회사 징검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671B1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671B1 (ko)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KR102314601B1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2840B1 (ko) 가시설 겸 영구벽체의 배수구조체를 갖는 지하차도 시공방법
JP2012102460A (ja) 型枠支持システム及びそれを使用した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JP2007239321A (ja) 水制工及びその設置構造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JP5123988B2 (ja) 基礎構築用鉄筋支持具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100416216B1 (ko) 철근받침대
KR101881075B1 (ko) 부반력 저항돌기를 구비한 덮개부재를 이용한 관로 설치용 받침대 시공방법
KR20100080992A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101866751B1 (ko)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KR100531250B1 (ko) 건축단지의 조성을 위한 기초공사용 토류판구조
KR101208411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JP2005113543A (ja) コンクリ−トパネル壁面材の組立構造
KR101748927B1 (ko) 조립식 측벽 지지대
KR200478204Y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부재의 부상방지장치
KR100501485B1 (ko) 건축물 콘크리트 바닥 보강 구조
KR101147468B1 (ko) 조립식 징검다리
CN217378906U (zh) 一种用于集水坑、电梯坑模板的限位托架
KR200297985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KR100594744B1 (ko) 상수도용 관 연결 고정구조
KR20120111582A (ko) 조립식 가물막이
JP2018115515A (ja) 基礎部材
KR20110011559U (ko) 관매설용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