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985Y1 -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985Y1
KR200297985Y1 KR2019980006958U KR19980006958U KR200297985Y1 KR 200297985 Y1 KR200297985 Y1 KR 200297985Y1 KR 2019980006958 U KR2019980006958 U KR 2019980006958U KR 19980006958 U KR19980006958 U KR 19980006958U KR 200297985 Y1 KR200297985 Y1 KR 200297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dowel bar
sides
concrete
concret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326U (ko
Inventor
이남승
Original Assignee
이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승 filed Critical 이남승
Priority to KR2019980006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985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9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8Dowels, i.e. members adapted to penetrate the surfaces of two parts and to take the shear stresses
    • E04B1/483Shear dowels to be embedded in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줄눈재 몸체와, 이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다웰바를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설치 상태가 일직선이 되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시 다웰바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매설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완료 후 지반의 침하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판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신축줄눈재를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본 고안은 넓은 콘크리트 시공 면을 여러 개의 작은 면적으로 구획 정리하여 콘크리트의 시공면적을 축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몸체와 다웰바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공장바닥, 주차장, 지하구조물 및 지하차도, 터널, 지하차고, 지하수조, 암거(巖居), 옹벽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물의 유입이 많고 지하수가 많은 곳에 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에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이 혼합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내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물이 차지하고 있던 미세한 공간에 틈새가 발생되며, 이렇게 틈새가 발생된 콘크리트는 대기의 열에 의한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틈새로부터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균열된 틈새로 수분이 유입되어 건축물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시공 면적에 비례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여 콘크리트의 시공 면적을 축소시키는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시공 면적을 축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쫄대와 같이 길이가 긴 목재를 이용하여 넓은 시공 면을 여러개의 작은 면적으로 구획 정리하여 콘크리트의 시공면적을 축소시킴으로서 각각 구획 정리되어 축소된 공간내에서는 건축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극히 작은 균열만이 발생되어 소기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넓은 콘크리트 시공 면적을 축소 구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신축줄눈재는 동일한 두께와 높이로만 제작이 가능하여 콘크리트를 수평 상태로만 시공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상측의 슬래브층을 시공하게 되면 빗물이나 지하수 등이 흘러내리지 않고 고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경사진 각도만큼 구획된 작은 공간으로 주입된 콘크리트가 이격된 신축줄눈재의 공간으로 서로 붙어 콘크리트 시공면 전체가 연결된 상태가 됨으로써 슬래브층에는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축줄눈재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 슬래브층을 경사지게 시공할 경우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신축줄눈재의 하측이 인접한 구역의 콘크리트와 서로 접합되어 슬래브에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신축줄눈재의 경우에는 신축줄눈재의 선단부와 슬래브층의 선단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획된 공간 내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수축하였을 경우에 신축줄눈재와 접해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 부분이 이격되어 이격된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스며들게 된다. 이렇게 스며든 빗물은 신축줄눈재의 하측에 고여 있다가 동절기가 되면 얼면서 부피가 커지게 되어 콘크리트 슬래브에 균열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넓은 면적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여러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축줄눈재는 절취부를 형성하여 신축줄눈재의 수평 설치 및 경사지게 설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슬래브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은 있었으나, 신축줄눈재로 수분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코킹된 실링부재가 겨울철 대기 온도에 의해 딱딱하게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으며, 하절기 콘크리트판이 팽창하게 되면 신축줄눈재의 지지대들이 콘크리트판의 팽창력을 억제하지 못하여 오히려 균열을 초래하고 신축줄눈재의 설치 및 제거시 고정용 몰탈과의 접합 및 이탈이 용이하지 못하고,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른 신축줄눈재의 높이를 임의로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출원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1996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38642호)를 출원한 바 있다.
이 슬래브용 신축줄눈재는 상광 하협의 절취부(111)가 구비되고, 이 절취부(111)의 하부를 수직으로 연결한 지지대(112)가 구비되며, 절취부(111)와 지지대(112)의 경계선과 상부의 중앙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취홈(113)이 형성된 캡(11)을 구성하고, 양측면의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삽입홈(121)이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안내홈(122)이 구비되며 상하부 칸막이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절취홈(123)이 구비된 격벽(12)을 상기 캡(11)의 하부에 일체로 일체화 한 제1몸체(10)가 구성된다.
또한 격벽(21)의 상부 중앙에 상기 제1몸체(10)의 안내홈(122)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레일(211)을 구성하고, 상기 격벽(21)의 하부 중앙에는 내향으로 요입된 안내홈(212)을 구성하며, 상기 격벽(21)의 상하부 칸막이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절취홈(213)을 구성한 제2몸체(20)가 구성된다.
또한 격벽(31)의 상부 중앙에 상기 제2몸체(20)의 안내홈(212)에 슬라이드 식으로 삽입되는 레일(311)을 구성하고, 상기 격벽(31)의 상하부 칸막이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절취홈(312)을 구성한 제3몸체(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지반의 침하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판과 콘크리트판이 신축줄눈재를 중심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신축줄눈재 제2몸체(20)의 격벽(2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합성수지로 된 실린더(40)를 상기 통공에 수평으로 관통시켜 그 일측에서 소정 길이의 다웰바(50)를 삽입한다. 이렇게 통공에 설치된 실린더(40)와 다웰바(50)는 신축줄눈재를 중심으로 양측의 콘크리트판에 수평으로 매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신축줄눈재 제2몸체(20)의 양측을 향해 수평으로 설치된 다웰바(50)는 하부가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놓이게 됨으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만약 불균형한 상태로 매설될 경우에는 지반의 침하시 신축줄눈재를 중심으로 양측의 콘크리트판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신축줄눈재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다웰바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시 다웰바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웰바를 받쳐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신축줄눈재의 몸체 하부와 한 쌍의 지지부재의 하부를 수평이 되도록 받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다웰바의 설치 상태를 보인 신축줄눈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신축줄눈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제2몸체 21: 격벽
30: 제3몸체 40: 실린더
50: 다웰바 60: 지지부재
61: 수용홈 62: 연결홈
63: 다리 64: 받침편
70: 연결봉 80: 고정부재
81: 판체 82: 안착홈
83: 보강리브 84: 걸림턱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신축줄눈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신축줄눈재 제2몸체(20)의 격벽(2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의 일측에서 실린더(40)를 설치하여 이에 소정 길이의 다웰바(50)를 수평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설치된 다웰바(50)는 신축줄눈재를 중심으로 양측의 콘크리트(C)에 매몰된다.
이러한 신축줄눈재의 다웰바(50)에 있어 본 고안은 다웰바를 받쳐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60)가 구성되고, 신축줄눈재의 하부와 한 쌍의 지지부재(60)(60A)의 하부를 수평이 되도록 받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0)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실린더(40)와 다웰바(5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용홈(61)이 양측으로 통하게 구비된다. 이 수용홈(61)은 다웰바(50)와 실린더(40)의 직경을 절반 이상 수용할 수 있는 반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용홈(61)의 양측에 수용홈(61)보다 낮고, 수용홈(61)과 90도로 교차하게 통공되어 연결봉(70)을 삽입하는 한 쌍의 연결홈(62)이 구비된다. 이 연결홈(62)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판(621)의 높이는 수용홈(61)의 바닥면보다 낮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62)의 전 후방에 네 개의 다리(63)를 소정 높이로 연결하며, 이 다리(63)의 하부에는 체결공(641)이 통공된 사각 형상의 받침편(64)을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80)는, 신축줄눈재를 중앙에 안착시키고, 그 양측에는 다웰바의 양측을 지지한 지지부재를 각각 안착하여 받칠 수 있는 크기의 장방형 판체(81)를 구비한다. 이러한 판체(81)의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신축줄눈재의 제3몸체(30)를 수직으로 세워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82)을 구비한다. 이 안착홈(82)은 제3몸체(30) 다른 두께, 예를 들어 두께가 21㎜와 25㎜인 제3몸체(30)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821)를 입설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82)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리브(83)를 구비한다. 이 보강리브(83)는 상향으로 돌출되어 판체(81)에 가해지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판체(81) 양측의 전 후단에는 상기 지지부재(60)의 하부에 구비된 네 개의 받침편(64)을 걸어 수용하는 걸림턱(84)을 구비하고, 이 걸림턱(84)의 상면에는 받침편(64)의 체결공(641)과 일치하는 체결공(841)을 통공시킨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신축줄눈재가 설치될 지면에 고정부재(80)를 놓고, 고정부재(80)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턱(84)에 지지부재(60)의 다리(63) 하부에 구비된 네 개의 받침편(64)을 걸어 끼운 후 체결공(841)을 통해 스크류(S)를 체결하여 고정부재(80)의 양측에 지지부재(60)(60A)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고정부재(80)와 지지부재(60)(6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연속적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각 지지부재(60)(60A)의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통하게 형성된 2개 1조의 연결홈(62)에 철근과 같은 연결봉(70)을 지그 재그 상태가 되도록 삽입하여 콘크리트의 시공시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신축줄눈재에 다웰바(50)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면, 실린더(40)의 개구된 선단이 격벽(21)의 일측에 걸리도록 통공에 수평으로 삽입하여 타측으로 관통시키고, 타측으로 관통하여 연장된 실린더(40)의 후단을 캡(41)으로 폐쇄시킨 후 리브(52)가 형성되지 않은 다웰바(50)의 후단을 실린더(4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삽입하여 그 단면이 캡(41)에 밀착되어 정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웰바(50)의 결합이 완료되면 신축줄눈재 제3몸체(30)의 하단을 고정부재(80)의 중앙에 형성된 안착홈(82)의 상부에 일치시켜 수직 하향으로 삽입하게 되면 제3몸체(30)의 하부가 해당 고정돌기(821)와 형합된다. 이때 제2몸체(20)의 일측으로 연장된 다웰바(50)와 타측으로 연장된 실린더(40)는 지지부재(60)의 중앙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수용홈(61)에 삽입하여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60)에 안착된 다웰바(50)는 고정부재(80)에 안착된 실축줄눈재에 대하여 90도로 교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 받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신축줄눈재 몸체와, 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다웰바를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신축줄눈재의 가 일직선으로 설치 되도록 지지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시 다웰바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매설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공완료 후 지반의 침하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판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신축줄눈재를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3)

  1. 몸체(20)의 격벽(21)에 형성된 통공의 일측에 실린더(40)를 설치하고 이에 다웰바(50)의 일측단을 수직으로 삽입하여 수평 지반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에 있어서,
    상기 다웰바(50)와 실린더(40)의 하부를 중앙에서 수평으로 받쳐 지지하고, 양측에 상기 다웰바(50) 및 실린더(40)와 90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봉(70)을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60)와;
    상기 신축줄눈재의 하단 몸체(30)를 장방형 판체(81)의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안착시키고, 그 양측에 지지부재(60)(60A)의 하부를 몸체(30)와 90도 교차하게 안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8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60)는,
    실린더(40)와 다웰바(5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용홈(61)이 양측으로 통하게 구비되고, 이 수용홈(61)의 양측에 수용홈(61)보다 낮고, 수용홈(61)과 90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통하여 연결봉(70)을 삽입하는 한 쌍의 연결홈(62)이 구비되며, 이 연결홈(62)의 전 후방에 네 개의 다리(63)가 소정 높이로 연결되고, 이 다리(63)의 하부에 받침편(64)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80)는,
    장방형 판체(81)의 중앙 세로 방향으로 상기 신축줄눈재의 하단 몸체(30)를 수직으로 세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향으로 요입된 안착홈(82)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82)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보강리브(83)가 구비되며, 양측의 전 후단에 상기 지지부재(60)의 하부에 구비된 네 개의 받침편(64)을 걸어 수용하는 걸림턱(84)이 구비된 고정부재(8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KR2019980006958U 1998-04-30 1998-04-30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KR200297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58U KR200297985Y1 (ko) 1998-04-30 1998-04-30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58U KR200297985Y1 (ko) 1998-04-30 1998-04-30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326U KR19990040326U (ko) 1999-11-25
KR200297985Y1 true KR200297985Y1 (ko) 2003-02-19

Family

ID=4939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958U KR200297985Y1 (ko) 1998-04-30 1998-04-30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9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326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00130795A (ko) 지하 매립식 저류조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0385130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200297985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KR200387408Y1 (ko) 조립식 연속 기초 블록
KR200297984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지지장치
KR101799237B1 (ko) 기둥 고정 기초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둥 고정 기초석
KR100258297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20220001271A (ko) 모듈블럭을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시스템
KR20090006320A (ko) 도로확장형 옹벽 구조
KR20100097386A (ko) 배수판 조립체
KR20039442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KR19990041195U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지지장치
JP3114141B2 (ja) 地下室
KR102331979B1 (ko) 일체식 수직 접합부를 가지는 pc 벽체구조 및 이를 적용한 지하층 외벽 pc화 공법
KR200240285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KR200316411Y1 (ko) 도로용 체결식 배수로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KR20230155676A (ko)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연속화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37537B1 (ko)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541549B1 (ko)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078782B1 (ko) 트러스 신축이음 지지부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9980037025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2598717B1 (ko) 방수턱 시공부재 및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