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549B1 -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549B1
KR102541549B1 KR1020230011206A KR20230011206A KR102541549B1 KR 102541549 B1 KR102541549 B1 KR 102541549B1 KR 1020230011206 A KR1020230011206 A KR 1020230011206A KR 20230011206 A KR20230011206 A KR 20230011206A KR 102541549 B1 KR102541549 B1 KR 102541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installation
horizontal beam
predetermined
foot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혁
서권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주) 대현이엔씨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현이엔씨, 주식회사 태영피앤엑스 filed Critical (주) 대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30011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 보도교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외력 등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는, 설치부의 측면을 따라 소정 지름을 가지도록 천공되는 복수 개의 설치공 위치에 맞추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강관거더부; 상기 강관거더부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설치부의 길이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빔부재; 및 상기 수평빔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수평빔부재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과 상기 강관거더부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철근이 배근된 다음, 소정량의 시멘트가 주입 및 양생되어 상기 설치부와 상기 강관거더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Expansion Footbridge for Bridge and Slope Installation}
본 발명은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이나 법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확장 설치되어 보행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교량 등에는 보도 없이 차도만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보행자가 차도를 따라 보행하게 되어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기 설치된 교량이나 법면 등의 도로를 따라 보도가 확장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057323호의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케미칼 앙카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상기 케미칼 앙카가 통과하면 교량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교량의 측면에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는 '└┘' 형의 지지부를 갖고 상기 교량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메인거더; 상기 지지부 상에 안착 가능한 폭을 갖는 제1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부가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방향 또는 삽입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메인거더에 결합되는 서브거더; 상기 다수 개의 서브거더의 상면에 상기 서브거더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장선; 및 상기 장선의 상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바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베이스플레이트가 교량의 측면에 수직으로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확장 보도교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지지되는 것으로, 이 경우 확장 보도교의 가장자리 쪽으로 큰 하중이나 지진 진동 등에 의한 흔들림이 작용하게 되면 베이스플레이트를 통해 교량의 측면에 하중이 집중되어 작용하게 되면서 균열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확장 보도교의 처짐 등의 기울어짐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확장 보도교의 안전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확장 보도교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구조적인 강성이 향상되도록 설치 구조가 개선된 확장 보도교 및 시공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57323 B1 (2019. 12. 12.) KR 20-0468253 Y1 (2013. 07. 26.) KR 10-2087554 B1 (2020. 03. 04.) KR 10-2024209 B1 (2019. 09. 17.) KR 10-2029425 B1 (2019. 09. 30.) KR 10-1861570 B1 (2018. 05. 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확장 보도교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확장 보도교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외력 등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는, 설치부의 측면을 따라 소정 지름을 가지도록 천공되는 복수 개의 설치공 위치에 맞추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강관거더부; 상기 강관거더부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설치부의 길이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빔부재; 및 상기 수평빔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수평빔부재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과 상기 강관거더부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철근이 배근된 다음, 소정량의 시멘트가 주입 및 양생되어 상기 설치부와 상기 강관거더부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강관거더부가 상기 설치부의 측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소정 크기의 고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강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소정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강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관의 내부에 상기 시멘트가 주입되는 공간을 제한하는 구획판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상기 구획판은 상기 고정브래킷이 위치된 상기 강관의 일단을 기준으로 상기 강관의 전체 길이 대비 1/5 ~ 2/3의 길이 상에 위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의 시공 방법은, 설치부의 측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설치공을 천공하는 설치공 천공 단계; 상기 설치공의 위치에 맞추어 강관거더부를 조립하는 강관거더부 설치 단계; 상기 설치공과 상기 강관거더부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의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 배근 단계; 상기 설치공과 상기 강관거더부의 내부로 소정량의 시멘트를 주입하여 양생하는 시멘트 주입 및 양생 단계; 상기 강관거더부의 상부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빔부재를 설치하는 수평빔부재 설치 단계; 및 상기 수평빔부재의 상면에 상기 수평빔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의 바닥부재를 설치하는 바닥부재 설치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부의 측면에 소정 지름의 설치공이 형성된 다음, 강관거더부가 설치공과 연통되도록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설치공과 강관거더부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의 철근이 배근된 상태에서 강관거더부의 내부로 시멘트가 주입(그라우트)되어 강관거더부와 설치부가 일체로 강건하게 결합되게 되므로 외력에도 강관거더부의 처짐 등의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의 시공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4(a, b)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공 천공 단계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거더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거더부 설치 단계의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 단계의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주입 및 양생 단계의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빔부재 설치 단계의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재 설치 단계의 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거더부의 강관 내부에 구획판이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거더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에 따른 강관거더부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확장 보도교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여 외력 등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 천공 단계(S10), 강관거더부 설치 단계(S20), 철근 배근 단계(S30), 시멘트 주입 및 양생 단계(S40), 수평빔부재 설치 단계(S50) 및 바닥부재 설치 단계(S60)로 이루어진다.
(1) 설치공 천공 단계(S10)
이 단계는 확장 보도교(또는 확장 인도교)가 설치될 교량 등의 거더 측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소정 지름을 가지는 설치공(1A)을 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치공 천공 단계(S10)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강관거더부(10)의 내부로 시멘트가 주입(그라우트)될 수 있도록 설치부(1)의 측면을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천공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1A)이 수평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다음 설치부(1)의 상면과 설치공(1A)이 연통되도록 소정 지름의 그라우트 주입공(1B)이 더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부(1)는 시공되는 대상에 따라 교량의 연석부 또는 옹벽부가 될 수 있다.
이때 그라우트 주입공(1B)과 더불어 소정 지름을 가지는 연통공(1C)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치공(1A)과 강관거더부(10)의 내부로 시멘트가 주입될 때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시멘트가 원활하게 주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통공(1C)을 통해 내부로 주입된 시멘트가 배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내부로 주입된 시멘트의 충전량을 가늠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치부(1)에 그라우트 주입공(1B)과 연통공(1C)이 형성되는 것으로만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후술되는 강관거더부의 강관(12) 일단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그라우트 주입공(도시하지 않음)과 연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는 것으로 변경되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위에서는 설치공(1A)이 강관거더부(10)의 강관(12)의 내부 지름에 대응되는 소정 지름을 가지도록 천공되는 것으로만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후술되는 철근 배근 단계(S30)에서 배근되는 철근(R)이 설치부(1)에 소정 깊이 삽입되어 정착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정되도록 철근(R)의 지름을 기준으로 소정 지름을 가지도록 천공되는 것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2) 강관거더부 설치 단계(S20)
이 단계는 위 설치공 천공 단계(S10)를 통해 설치공(1A)이 천공되고 나면, 설치부(1)의 측면을 따라 설치공(1A)의 위치에 맞추어 강관거더부(1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강관거더부 설치 단계(S20)의 강관거더부(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브래킷(11)과, 일단이 상기 고정브래킷(11)에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소정 지름의 강관(12)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브래킷(11)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 설치되어 설치부(1)의 측면에 고정브래킷(11)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고정브래킷(11)에는 강관(1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소정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설치부(1)의 설치공(1A)에 주입되는 시멘트가 고정브래킷(11)을 통과하여 강관(12)의 일단 쪽으로 주입되게 된다.
그리고 강관(12)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13)이 설치되고, 이러한 구획판(13)을 통해 설치공(1A)에 주입되는 시멘트가 강관(12)의 내부로 주입될 때, 구획판(13)에 의해 시멘트가 주입되는 공간이 제한되게 된다.
이러한 구획판(13)은 고정브래킷(10)이 위치된 강관(12)의 일단을 기준으로 강관(12)의 전체 길이(L1) 대비 1/5 ~ 2/3의 길이(L2)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강관(12)의 전체 길이(L1) 대비 1/5 미만의 길이(L2) 상에 구획판(13)이 위치되게 되면, 강관(12)의 일단 내부로 철근이 배근되어 시멘트가 주입되는 구간의 길이가 과도하게 짧게 형성되게 되면서 강관(12)의 타단에 근접하여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지지 효과가 미비하게 되고, 그 결과 강관(12)의 처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반대로 강관(12)의 전체 길이(L1) 대비 2/3 초과의 길이(L2) 상에 구획판(13)이 위치되게 되면, 강관(12)을 지지 보강하는 효과의 상승 기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멘트와 철근의 양의 증가로 인한 시공비용이 과도하게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더해 강관(12) 내부에 철근과 시멘트가 전체적으로 채워지게 되므로 강관(12)에 상시 작용하는 하중이 크게 증가되게 되고, 이에 의해 확장 보도교(인도교)의 경량화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한편, 고정브래킷(11)에는 강관(12)의 저면을 지지하는 소정 길이의 보강대(14)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보강대(14)를 통해 강관(12)의 타단(고정브래킷(11)이 위치된 반대쪽 단부)이 하중 등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것이 더욱 방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강관거더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1)의 설치공(1A) 위치에 맞추어 설치부(1)의 측면에 고정브래킷(11)이 설치되고, 이를 통해 설치공(1A)과 강관(12)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게 된다.
(3) 철근 배근 단계(S30)
이 단계는 위 강관거더부 설치 단계(S20)를 통해 설치부(1)의 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강관거더부(10)가 설치되고 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1A)과 강관(12)의 내부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철근(R)을 배근하는 것이다.
(4) 시멘트 주입 및 양생 단계(S40)
이 단계는 위 철근 배근 단계(S30)를 통해 설치공(1A)과 강관(12)의 내부로 철근이 배근되고 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1A) 또는 그라우트 주입공(1B)을 통해 시멘트를 주입(그라우트)한 다음 소정 기간 양생하는 것이다.
이때 설치공(1A)의 지름이 복수 개의 철근(R)이 수용되도록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시멘트(C)가 설치공(1A)과 강관(12)의 내부를 연결하여 채워지고, 복수 개의 철근(R)이 각각 삽입되어 정착되는 크기로 설치공(1A)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강관(12)의 내부에만 시멘트(C)가 주입되어 채워지게 된다.
(5) 수평빔부재 설치 단계(S50)
이 단계는 위 시멘트 주입 및 양생 단계(S40)를 통해 설치공(1A)과 강관(12)의 내부로 시멘트가 주입되고 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의 수평빔부재(2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수평빔부재(20)는 사각 단면 모양을 가지는 각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수평빔부재(20)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강관(12)에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강관(12)에 조립될 수 있다.
(6) 바닥부재 설치 단계(S60)
이 단계는 위 수평빔부재 설치 단계(S50)를 통해 수평빔부재(20)가 설치되고 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빔부재(20)의 상면에 수평빔부재(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의 바닥부재(3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바닥부재(30)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수평빔부재(20)에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별도의 브래킷을 통해 수평빔부재(20)에 조립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바닥부재(30)가 설치되고 나면, 강관거더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난간(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설치부(1)와 확장 보도교의 경계를 따라 분리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 다음 확장 보도교의 시공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강관거더부(10)의 강관(12) 내부에 구획판(13)이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2)의 타단을 통해 내부로 구획판(13)을 삽입하는 별도의 삽입기구(2)가 이용될 수 있고, 이러한 삽입기구(2)를 통해 구획판(13)의 삽입 거리가 적절하게 조절된 상태에서 시멘트가 주입되어 양생되고, 이후 삽입기구(2)와 함께 구획판(13)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강관거더부(10)가 설치되는 위치 등의 설계적 사항이 변경됨에 따라 구획판(13)의 삽입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에서는 강관거더부(10)가 고정브래킷(11)에 소정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강관(12)의 일단과 연통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2)의 일단이 고정브래킷(11)을 관통하여 소정 길이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는 강관연장부(15)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강관연장부(15)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1A)의 내부로 삽입되어 시공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설치부(1)의 측면에 강관거더부(10)가 강건하게 고정되어 지지되게 되면서 하중에 의한 변형이 더욱 감소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강관거더부(10)의 고정브래킷(11)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단면 모양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치부(1)의 측면과 상면에 강건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부의 측면에 소정 지름의 설치공이 형성된 다음, 강관거더부가 설치공과 연통되도록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설치공과 강관거더부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의 철근이 배근된 상태에서 강관거더부의 내부로 시멘트가 주입(그라우트)되어 강관거더부와 설치부가 일체로 강건하게 결합되게 되므로 외력에도 강관거더부의 처짐 등의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설치부 1A: 설치공
1B: 그라우트 주입공 1C: 연통공
2: 삽입기구 10: 강관거더부
11: 고정브래킷 12: 강관
13: 구획판 14: 보강대
15: 강관연장부 20: 수평빔부재
30: 바닥부재 C: 그라우트
L1: 강관의 전체 길이 L2: 구획판의 설치되는 길이
L3: 강관연장부의 길이 R: 철근

Claims (5)

  1. 설치부(1)의 측면을 따라 소정 지름을 가지도록 천공되는 복수 개의 설치공(1A) 위치에 맞추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강관거더부(10);
    상기 강관거더부(10)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설치부(1)의 길이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평빔부재(20); 및
    상기 수평빔부재(20)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수평빔부재(20)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닥부재(30);
    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1A)과 상기 강관거더부(10)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철근(R)이 배근된 다음, 소정량의 시멘트가 주입 및 양생되어 상기 설치부(1)와 상기 강관거더부(10)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강관거더부(10)는,
    상기 설치부(1)의 측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소정 크기의 고정브래킷(11); 및
    상기 고정브래킷(11)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강관(12);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래킷(11)에는,
    소정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강관(1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강관(12)의 내부에는,
    상기 시멘트가 주입되는 공간을 제한하는 구획판(13)이 설치되고,
    상기 구획판(13)은,
    상기 고정브래킷(11)이 위치된 상기 강관(12)의 일단을 기준으로 상기 강관(12)의 전체 길이(L1) 대비 1/5 ~ 2/3의 길이(L2) 상에 위치되며,
    상기 구획판(13)은,
    삽입기구(2)를 통해 상기 강관(12)의 타단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기구(2)에 의해 삽입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따른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거더부(1)의 측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설치공(1A)을 천공하는 설치공 천공 단계(S10);
    상기 설치공(1A)의 위치에 맞추어 강관거더부(10)를 조립하는 강관거더부 설치 단계(S20);
    삽입기구(2)를 통해 구획판(13)의 삽입 거리를 조절한 다음, 상기 설치공(1A)과 상기 강관거더부(10)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의 철근(R)을 배근하는 철근 배근 단계(S30);
    상기 설치공(1A)과 상기 강관거더부(10)의 내부로 소정량의 시멘트를 주입하여 양생하는 시멘트 주입 및 양생 단계(S40);
    상기 강관거더부(10)의 상부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빔부재(20)를 설치하는 수평빔부재 설치 단계(S50); 및
    상기 수평빔부재(20)의 상면에 상기 수평빔부재(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개의 바닥부재(30)를 설치하는 바닥부재 설치 단계(S6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의 시공방법.
KR1020230011206A 2023-01-27 2023-01-27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541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206A KR102541549B1 (ko) 2023-01-27 2023-01-27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1206A KR102541549B1 (ko) 2023-01-27 2023-01-27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549B1 true KR102541549B1 (ko) 2023-06-14

Family

ID=8674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1206A KR102541549B1 (ko) 2023-01-27 2023-01-27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54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53Y1 (ko) 2013-05-10 2013-08-01 (주)효명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KR101343849B1 (ko) * 2013-08-26 2013-12-20 (주)신화금속 진동 저감형 교량용 가설인도
KR101861570B1 (ko) 2017-11-08 2018-05-28 주식회사 정원커머스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102024209B1 (ko) 2019-02-20 2019-09-23 동양기업(주)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KR102029425B1 (ko) 2018-10-05 2019-10-0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KR102057323B1 (ko) 2019-09-27 2019-12-1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KR102087554B1 (ko) 2019-08-27 2020-04-09 (주)신승이앤씨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152829B1 (ko) * 2020-04-24 2020-09-07 윤창걸 구조물과 합성되는 확장교용 거더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확장교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53Y1 (ko) 2013-05-10 2013-08-01 (주)효명 교량 및 법면의 확장형 인도교
KR101343849B1 (ko) * 2013-08-26 2013-12-20 (주)신화금속 진동 저감형 교량용 가설인도
KR101861570B1 (ko) 2017-11-08 2018-05-28 주식회사 정원커머스 내구성이 우수한 확장형 인도교
KR102029425B1 (ko) 2018-10-05 2019-10-07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확장 인도교
KR102024209B1 (ko) 2019-02-20 2019-09-23 동양기업(주)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KR102087554B1 (ko) 2019-08-27 2020-04-09 (주)신승이앤씨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057323B1 (ko) 2019-09-27 2019-12-19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부착식 또는 거치식 확장형 인도교
KR102152829B1 (ko) * 2020-04-24 2020-09-07 윤창걸 구조물과 합성되는 확장교용 거더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확장교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762B1 (ko) 교량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KR101937680B1 (ko) 구조적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42577B1 (ko) 복합 구조 프레임 시스템
AU2009211249A1 (en) Masonry with vertical reinforced concrete strengthening
KR101389285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KR101097273B1 (ko) 아치보강재를 이용한 하로교 및 그 시공방법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06104747A (ja) 脚柱の接合部構造および接合方法
KR101472027B1 (ko)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991341B1 (ko) 프리캐스트 기초 및 말뚝과 프리캐스트 기초의 연결구조
KR102541549B1 (ko) 교량 및 법면 설치용 확장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58368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프리캐스트 보와의 접합방법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2386348B1 (ko)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2140407B1 (ko) 단부 거푸집 강판을 이용한 psc 거더의 제작 방법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CN114382170A (zh) 一种上层预制竖向构件施工方法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85312B1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KR102217661B1 (ko) 수평부재 결합을 위한 phc 기둥의 앵커 설치방법
JP748405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建物
JP2006138143A (ja) ブロック及びそ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