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348B1 -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 Google Patents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348B1
KR102386348B1 KR1020220013961A KR20220013961A KR102386348B1 KR 102386348 B1 KR102386348 B1 KR 102386348B1 KR 1020220013961 A KR1020220013961 A KR 1020220013961A KR 20220013961 A KR20220013961 A KR 20220013961A KR 102386348 B1 KR102386348 B1 KR 10238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plate
girder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주)효명피씨
주식회사 교량기술
김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명피씨, 주식회사 교량기술, 김희정 filed Critical (주)효명피씨
Priority to KR102022001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와 상기 거더의 상부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더의 상면 내측에는 보강공간 확보장치가 매립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는 양측에 수직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 및 상기 제1, 2수직판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H형 본체, 상기 제1, 2수직판은 상부삽입홀과 하부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삽입홀은 상기 수평판보다 높게 상기 제1, 2수직판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삽입홀은 상기 수평판보다 낮게 상기 제1, 2수직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판의 상기 상부삽입홀과 하부삽입홀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1굴곡철근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수직판의 상기 상부삽입홀과 하부삽입홀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2굴곡철근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Girder installed strengthen and space cap device}
본 발명은 거더에 매립되는 보강공간 확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부들 상단에 설치되는 거더와 상기 거더의 상면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견고히 일체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거더의 상면 내측으로 매립되는 보강공간 확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거더에 매립된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형성된 전단포켓으로 탄성 연결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향철근과 결속되며, 전단포켓으로 타설되는 충진재에 의해서 상기 거더와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일체화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특허문헌 001에 대하여, 본 발명의 특징은 결속용 클램프와 결속봉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유닛을 견고히 결속한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유닛은 교량 기술분야의 바닥판일 수 있다. 결속용 클램프는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클램프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의 양 측면에 직립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는 제1측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클램프의 제1측면판의 상단에는 제1홈부 및 상기 제1클램프의 후면부 제1측면판 후단에는 제1보강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클램프는 제2지지판, 상기 제2지지판의 양 측면에 직립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는 제2측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클램프의 제2측면판의 상단에는 제2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클램프는 전면부가 노출되고, 후면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유닛에 매설되는데, 이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유닛에 매설된 상기 제2클램프의 전면부는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유닛에 매설된 상기 제1클램프의 전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클램프의 제1홈부와 제2클램프의 제2홈부가 일렬로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결속봉을 안착시켜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단위유닛들을 일체화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002에 대하여, 본 발명의 특징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상면이 개방된 제1상하방향 기둥홈이 형성된 한 쌍의 기저용 콘크리트 블록을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되, 각각의 기저용 콘크리트 블록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기저용 고정고리가 마련되는 기저용 콘크리트 블록 설치 단계; 제1결속용 와이어로프의 단부를 상기 한 쌍의 기저용 콘크리트 블록의 기저용 고정고리에 각각 연결하는 제1결속용 와이어로프 연결 단계;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방된 제2상하방향 기둥홈이 형성된 상부용 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한 쌍의 기저용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 각각에 설치하되, 상기 제2상하방향 기둥홈을 상기 제1상하방향 기둥홈의 연장선상에 위치시키며, 각각의 상부용 콘크리트 블록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부용 고정고리가 마련되는 상부용 콘크리트 블록 설치 단계; 제2결속용 와이어로프의 단부를 상기 한 쌍의 상부용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용 고정고리에 각각 연결하는 제2결속용 와이어로프 연결 단계; 상기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 한 쌍의 기저용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내부 사석을 채워, 상기 내부 사석에 상기 제1결속용 와이어로프 및 상기 제2결속용 와이어로프가 매립되도록 하는 내부 사석 채움 단계;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기 제2상하방향 기둥홈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를 상기 제2상하방향 기둥홈 및 상기 제1상하방향 기둥홈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상하방향 철근부 삽입단계; 상기 상하방향 철근부가 삽입된 상기 제2상하방향 기둥홈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제1상하방향 기둥홈 및 상기 제2상하방향 기둥홈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를 형성하는 상하방향 결속용 콘크리트 기둥부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3에 대하여, 본 발명의 특징은 프리캐스트 복공판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가교에서 프리캐스트 복공판과 거더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재 및 연결판 등의 연결 구조를 개선함과 아울러 상기 프리캐스트 복공판 위에 크레인을 진입시켜 설치 및 해체하도록 함으로써, 가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이로 인해 재활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공사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가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복공판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가교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복공판과 거더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재 및 연결판 등의 연결 구조를 개선함과 아울러 상기 프리캐스트 복공판 위에 크레인을 진입시켜 설치 및 해체하고 프리캐스트 복공판의 설치 후에 연결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교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이로인해 재활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공사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재를 프리캐스트 복공판 보다 나중에 설치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프리캐스트 복공판의 설치 위치나 수평을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복공판을 사용함으로써, 장기사용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없고, 강재 미사용으로 인해 소음 감소와 미끄럼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상부 코팅이 필요 없으므로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004에 대하여, 본 발명의 특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그 제작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패널의 이동중에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균열 발생의 주원인이 되는 이동완료 시까지 보호하기 위한 임시보강재를 패널제작 시에 결합하여 제작하며 이동완료 후 현장에서 간단히 임시보강재를 해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널의 균열원인을 해소하여 패널의 이동중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임시보강재의 분리 시에 패널의 단면이 상부에 다수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교량 슬래브 시공에 적용시 수평전단력을 강화하여 패널 상부에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합성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임시보강재의 분리 후에 임시보강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결합하여 전단연결재로 사용하며, 이러한 전단연결재로 사용되는 결합부재 상부 및 패널의 상면에 현장에서의 철근 배근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교량 슬래브의 시공에 적용시 패널 상부에 대한 현장 철근 배근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켜 교량 슬래브에 대한 시공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그 제작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의 이동중에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균열 발생의 주원인이 되는 이동완료 시까지 보호하기 위한 임시보강재를 패널제작시에 결합하여 제작하며 이동완료 후 현장에서 간단히 임시보강재를 해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널의 균열원인을 해소하여 패널의 이동중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임시보강재의 분리시에 패널의 단면이 상부에 다수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교량 슬래브 시공에 적용시 수평전단력을 강화하여 패널 상부에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합성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임시보강재의 분리 후에 임시보강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결합하여 전단연결재로 사용하며, 이러한 전단연결재로 사용되는 결합부재 상부 및 패널의 상면에 현장에서의 철근 배근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교량 슬래브의 시공에 적용시 패널 상부에 대한 현장 철근 배근 작업에 대한 작업성을 향상시켜 교량 슬래브에 대한 시공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 10-2215515 B1 (등록일자 2021년02월05일) KR 10-1355805 B1 (등록일자 2014년01월15일) KR 10-1588593 B1 (등록일자 2016년01월20일) KR 10-1921715 B1 (등록일자 2018년11월19일)
삭제
종래의 기술의 경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더 상면에 형성시키기 위해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전단포켓을 형성하고 이러한 전단포켓을 통해 거더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스터드 볼트 등의 전단연결재를 삽입하여 몰탈 등을 타설하여 일체화하게 된다. 그러나, 전단연결재를 거더의 상면에 돌출 연장시킴에 있어서 제작 시 오차 및 시공 시 오차에 의하여 한정적인 위치와 크기를 가지게 되는 전단포켓이 배치된 위치에 수용되지 않아 전단포켓 내부 편측에 치우쳐 배치되거나, 전단포켓 영역에 포함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어, 전단연결재를 변형하거나, 극단적으로는 전단연결재를 제거하고, 별도의 앵커를 다시 시공하는 등의 현장 적용성의 문제가 공존하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결합 문제점을 인식하고,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정위치 시공을 위하여 거더의 상면 내측으로 매립되는 보강공간 확보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부들 상단에 설치되는 거더와 상기 거더의 상면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견고히 일체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거더의 상면 내측으로 매립되는 보강공간 확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거더에 매립된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형성된 전단포켓으로 탄성 연결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향철근과 결속되며, 전단포켓으로 타설되는 충진재에 의해서 상기 거더와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일체화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는 양측에 수직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 및 상기 제1, 2수직판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H형 본체와 상기 제1, 2수직판은 상부삽입홀과 하부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삽입홀은 상기 수평판보다 높게 상기 제1, 2수직판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삽입홀은 상기 수평판보다 낮게 상기 제1, 2수직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판의 상기 상부삽입홀과 하부삽입홀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1굴곡철근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수직판의 상기 상부삽입홀과 하부삽입홀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2굴곡철근이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가 매립된 거더의 상부에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복수개 설치될 때,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형성된 전단포켓으로 탄성 연결장치를 삽입하고, 상기 탄성 연결장치의 양단은 보강공간 확보장치에 설치된 장방향철근에 걸림구조로 결속된 후 무수축 몰탈과 같은 충진재가 충진되어 상기 거더와 복수개의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견고히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은 직육면체의 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본체와 상기 바닥판본체의 일측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수직돌출부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본체의 타측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수직돌출부가 이격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본체의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이음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본체의 타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이음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이음돌출부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을 가지는 제1이음철근이 상기 제1수직돌출부 간의 사이공간에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2이음돌출부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을 가지는 제2이음철근이 상기 제2수직돌출부 간의 사이공간에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제1, 2이음돌출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2수직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상기 제1이음돌출부와 인접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상기 제2이음돌출부가 마주하여 생긴 개방공간에도 무수축 몰탈과 같은 충진재가 충진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들을 견고히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거더에 매립된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형성된 전단포켓으로 탄성 연결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향철근과 결속되며, 전단포켓으로 타설되는 충진재에 의해서 상기 거더와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일체화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작업자가 쉽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이 단축되므로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상기 제1이음돌출부와 인접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상기 제2이음돌출부가 마주하여 생긴 개방공간에도 무수축 몰탈과 같은 충진재가 충진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들을 견고히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조적 성능이 향상되고, 균열을 줄일 수 있어 내구성 향상은 물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 상부로 지나가는 사람 및 차량 등의 하중을 안전하게 견딜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시 각각 파손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만을 제거하여 새로운 프리캐스트 바닥판으로 교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거더에 보강공간 확보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보강공간 확보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10은 본 발명의 보강공간 확보장치를 구비한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탄성 연결장치로 연결 시공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보강공간 확보장치를 구비한 거더와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탄성 연결장치로 연결한 후 무수축 몰탈로 일체로 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14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설치된 수직 이음철근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이음철근들을 연결용 타이철근으로 배근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이음철근들 사이에 주철근을 배근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이음철근, 연결용 타이철근 및 주철근이 배근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이음철근, 연결용 타이철근 및 주철근이 배근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인접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사이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되며, 종래 기술의 도면 구성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보강공간 확보장치를 구비한 거더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보강공간 확보장치(39)에 관한 것이고,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39)와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을 상기 탄성 연결장치(43)를 통해 연결 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39)가 상기 거더(41)의 상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거더(41)의 상부에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39)가 매립되는 경우, 상기 거더(41)는 상기 교각부(40)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거더(41)의 상부에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이 복수개 배치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4는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39)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39)는 양측에 수직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수직판(391)과 제2수직판(392) 및 상기 제1, 2수직판(391, 392)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판(393)으로 이루어지는 H형 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2수직판(391, 392)은 상부삽입홀(398)과 하부삽입홀(399)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삽입홀(398)은 상기 수평판(393)보다 높게 상기 제1, 2수직판(391, 392)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삽입홀(399)은 상기 수평판(393)보다 낮게 상기 제1, 2수직판(391, 392)에 형성된다. 상기 제1수직판(391)의 상기 상부삽입홀(398)과 하부삽입홀(399)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1굴곡철근(394)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수직판(392)의 상기 상부삽입홀(398)과 하부삽입홀(399)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2굴곡철근(395)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수평판(393)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홀(3931)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거더(41)와 일체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수평판(393)에 형성된 관통홀(3931)은 상기 수평판(393)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돌출되는 돌기와 같은 전단키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통홀(3931)을 제거하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설계변경 수준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제1굴곡철근(394)은 상기 상부삽입홀(398)에 삽입되는 제1상부수평철근(3941), 상기 하부삽입홀(399)에 삽입되는 제1하부수평철근(3942) 및 상기 제1상부수평철근(3941)과 상기 제1하부수평철근(3942)을 연결하는 제1만곡철근(394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상부수평철근(3941)은 상기 제1하부수평철근(3942) 보다 길게 상기 H형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특히 상기 제1상부수평철근(3941)과 상기 제1하부수평철근(3942)을 연결하는 제1만곡철근(3943)은 상기 거더(41)에 매립되어 전단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1굴곡철근(394)은 상기 제1수직판(391)에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상부수평철근(3941)에는 제1장방향철근(396)이 배근되어 추후 상기 탄성 연결장치(43)의 일측단과 결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굴곡철근(395)은 상기 상부삽입홀(398)에 삽입되는 제2상부수평철근(3951), 상기 하부삽입홀(399)에 삽입되는 제2하부수평철근(3952) 및 상기 제2상부수평철근(3951)과 상기 제2하부수평철근(3952)을 연결하는 제2만곡철근(395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상부수평철근(3951)은 상기 제2하부수평철근(3952) 보다 길게 상기 H형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특히 상기 제2상부수평철근(3951)과 상기 제2하부수평철근(3952)을 연결하는 제2만곡철근(3953)은 상기 거더(41)에 매립되어 전단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2굴곡철근(395)은 상기 제2수직판(392)에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2상부수평철근(3951)에는 제2장방향철근(397)이 배근되어 추후 상기 탄성 연결장치(43)의 타측단과 결속되는 것이다.
도 5 내지 10은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39)를 구비한 상기 거더(41)와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을 상기 탄성 연결장치(43)로 연결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39)를 구비한 상기 거더(41)의 상부에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을 안착시키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에 형성된 전단포켓(주지관용기술이므로 도면부호 미기재)으로 상기 탄성 연결장치(43)를 삽입한다. 특히, 상기 전단포켓으로 삽입되는 상기 탄성 연결장치(43)의 양단은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제1, 2장방향철근(396, 397)을 아래까지 진입한다(도면 6 내지 7 참조).
다음으로 도면 8 내지 10과 같이, 상기 탄성 연결장치(43)의 양단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 연결장치(43)를 상향으로 올리면 상기 탄성 연결장치(43)의 양단은 쉽게 상기 제1, 2장방향철근(396, 397)과 결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11과 같이,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39)를 구비한 상기 거더(41), 상기 거더(41)의 상부에 안착된 프리캐스트 바닥판(42) 및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의 상기 전단포켓으로 삽입되어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39)의 상기 제1, 2장방향철근(396, 397)과 결속된 상기 탄성 연결장치(43)를 일체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전단포켓으로 무수축 몰탈을 타설하고 일정 기간 양생한다.
도 12는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은 직육면체의 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본체(421), 상기 바닥판본체(421)의 일측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수직돌출부(422)가 이격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본체(421)의 타측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수직돌출부(423)가 이격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바닥판본체(421)의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이음돌출부(425)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본체(421)의 타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이음돌출부(426)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1이음돌출부(425)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을 가지는 제1이음철근(4251)이 상기 제1수직돌출부(422) 간의 사이공간에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2이음돌출부(426)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을 가지는 제2이음철근(4261)이 상기 제2수직돌출부(423) 간의 사이공간에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2이음돌출부(425, 426)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2수직돌출부(422, 423)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에 인접한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이 배치되어도 상기 제1, 2수직돌출부(422, 423)는 접하지 않고 일정 거리 이격된다.
도면 13 내지 17과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의 상기 제1이음돌출부(425)는 인접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의 상기 제2이음돌출부(426)와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의 상기 제1이음돌출부(425)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제1이음철근(4251)과 인접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의 상기 제2이음돌출부(426)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제2이음철근(4261)이 나란히 배치된다.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제1이음철근(4251)과 복수개의 상기 제2이음철근(4261)을 감싸도록 연결용 타이철근(427)이 배근된다.
상기 제1이음철근(4251)과 상기 제1이음철근(4251) 사이에 이음부 상단 제1주철근(428)이 배근되고, 상기 제2이음철근(4261)과 상기 제2이음철근(4261) 사이에 이음부 상단 제2주철근(429)이 배근된다.
도면 18과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의 상기 제1이음돌출부(425)와 인접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42)의 상기 제2이음돌출부(426)가 마주하여 생긴 개방공간에는 무수축 몰탈이 타설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 발명자에게 알려진 최선의 모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변형예들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자들은 숙련된 기술자들이 이러한 변형예를 채용할 것을 예상하며, 발명자들도 본 발명을 이상에서 특별히 설명한 것 외에도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에 의해 허용되는 바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언급된 주제와 균등한 모든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요소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명세서 내에서 특별히 언급하거나 배제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39 : 보강공간 확보장치
40 : 교각부 41 : 거더
42 : 프리캐스트 바닥판 43 : 탄성 연결장치

Claims (9)

  1. 보강공간 확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공간 확보장치는 양측에 수직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1수직판과 제2수직판 및 상기 제1, 2수직판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제1, 2수직판은 상부삽입홀과 하부삽입홀이 길이방향으로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삽입홀은 상기 수평판보다 높게 상기 제1, 2수직판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삽입홀은 상기 수평판보다 낮게 상기 제1, 2수직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판의 상기 상부삽입홀과 하부삽입홀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1굴곡철근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수직판의 상기 상부삽입홀과 하부삽입홀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2굴곡철근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수평판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1굴곡철근은 상기 상부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상부수평철근, 상기 하부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하부수평철근 및 상기 제1상부수평철근과 상기 제1하부수평철근을 연결하는 제1만곡철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상부수평철근은 상기 제1하부수평철근 보다 길게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굴곡철근은 상기 상부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상부수평철근, 상기 하부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하부수평철근 및 상기 제2상부수평철근과 상기 제2하부수평철근을 연결하는 제2만곡철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상부수평철근은 상기 제2하부수평철근 보다 길게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공간 확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굴곡철근은 상기 제1수직판에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상부수평철근에는 제1장방향철근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공간 확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곡철근은 상기 제2수직판에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2상부수평철근에는 제2장방향철근이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공간 확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보강공간 확보장치를 상부에 매립한 거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상기 거더와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결속하는 탄성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거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은 직육면체의 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본체;
    상기 바닥판본체의 일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이음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본체의 타측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이음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이음돌출부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을 가지는 제1이음철근이 설치되고, 상기 제2이음돌출부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상을 가지는 제2이음철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거더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13961A 2022-02-03 2022-02-03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KR10238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61A KR102386348B1 (ko) 2022-02-03 2022-02-03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961A KR102386348B1 (ko) 2022-02-03 2022-02-03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348B1 true KR102386348B1 (ko) 2022-04-14

Family

ID=8121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961A KR102386348B1 (ko) 2022-02-03 2022-02-03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6373A (zh) * 2022-11-05 2022-12-23 青岛地质工程勘察院(青岛地质勘查开发局) 一种基坑边坡支护结构及其支护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05B1 (ko) 2013-03-13 2014-01-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20150021263A (ko)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신화기공 로터리 제진기
KR101588593B1 (ko) 2015-03-25 2016-01-26 김근택 가교의 시공방법
KR101921715B1 (ko) 2018-04-25 2018-11-23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그 제작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2215515B1 (ko) 2020-12-08 2021-02-15 (주) 효성 결속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805B1 (ko) 2013-03-13 2014-01-24 (주)유주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KR20150021263A (ko) * 2013-08-20 2015-03-02 주식회사신화기공 로터리 제진기
KR101588593B1 (ko) 2015-03-25 2016-01-26 김근택 가교의 시공방법
KR101921715B1 (ko) 2018-04-25 2018-11-23 주식회사 신원알피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그 제작방법 및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2215515B1 (ko) 2020-12-08 2021-02-15 (주) 효성 결속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6373A (zh) * 2022-11-05 2022-12-23 青岛地质工程勘察院(青岛地质勘查开发局) 一种基坑边坡支护结构及其支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5B1 (ko) 안전성이 강화된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0969586B1 (ko)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55289A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38395B1 (ko) 강합성 벽체파일을 이용한 지하차도의 시공방법
KR101478131B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KR101653803B1 (ko) 소하천 조립식 교량
KR102386348B1 (ko) 보강공간 확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더
KR100650411B1 (ko)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KR20080100740A (ko)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100690395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의 연속화 방법
KR101735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KR102386349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이를 구비한 거더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1196343B1 (ko)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KR101159097B1 (ko) 종방향으로 연속화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교대 및 그 시공방법
JP4477467B2 (ja) 橋梁の構造およびその架け替え方法
KR101640921B1 (ko) 지하차도로서 유용한 프리캐스트화된 지하박스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08555B1 (ko) 지하차도용 복합거더 및 그를 이용한 지하차도
KR20080103260A (ko) 분리타설을 위한 철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지지구조
JP7334948B2 (ja) カルバ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325580B1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도입한 홍예교의 시공법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200384805Y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의 연속화 구조
KR101881051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조립식 pc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