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285Y1 -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285Y1
KR200240285Y1 KR2019980006174U KR19980006174U KR200240285Y1 KR 200240285 Y1 KR200240285 Y1 KR 200240285Y1 KR 2019980006174 U KR2019980006174 U KR 2019980006174U KR 19980006174 U KR19980006174 U KR 19980006174U KR 200240285 Y1 KR200240285 Y1 KR 200240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dowel bar
concrete slab
bar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785U (ko
Inventor
이남승
Original Assignee
이남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승 filed Critical 이남승
Priority to KR2019980006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28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7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28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환봉의 외주면 일측에 회전방지턱이 형성된 리브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하여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측은 실린더에 삽입하고, 리브가 형성된 측은 일측으로 노출시켜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을 높이고, 실린더의 내경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dowel bar) 구조.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본 고안은 넓은 콘크리트 시공면을 여러 개의 작은 면적으로 구획 정리하여 콘크리트의 시공면적을 축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dowel bar)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공장바닥, 주차장, 지하구조물 및 일반구조물, 지하차도, 터널, 지하차고, 지하수조, 암거(巖居), 옹벽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물의 유입이 많고 지하수가 많은 곳에 콘크리트를 시공할 경우에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이 혼합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내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물이 차지하고 있던 미세한 공간에 틈새가 발생되며, 이렇게 틈새가 발생된 콘크리트는 대기의 열에 의한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면서 틈새로부터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균열된 틈새로 수분이 유입되어 건축물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시공면적에 비례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여 콘크리트의 시공 면적을 축소시키는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시공 면적을 축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쫄대와 같이 길이가 긴 목재를 이용하여 넓은 시공면을 여러개의 작은 면적으로 구획 정리하여 콘크리트의 시공면적을 축소시킴으로서 각각 구획 정리되어 축소된 공간내에서는 건축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극히 작은 균열만이 발생되어 소기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넓은 콘크리트 시공 면적을 축소 구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신축줄눈재는 동일한 두께와 높이로만 제작이 가능하여 콘크리트를 수평 상태로만 시공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상측의 슬래브층을 시공하게 되면 빗물이나 지하수 등이 흘러내리지 않고 고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경사진 각도만큼 구획된 작은 공간으로 주입된 콘크리트가 이격된 신축줄눈재의 공간으로 서로 붙어 콘크리트 시공면 전체가 연결된 상태가 됨으로써 슬래브층에는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축줄눈재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 슬래브층을 경사지게 시공할 경우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신축줄눈재의 하측이 인접한 구역의 콘크리트와 서로 접합되어 슬래브에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신축줄눈재의 경우에는 신축줄눈재의 선단부와 슬래브층의 선단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획된 공간 내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수축하였을 경우에 신축줄눈재와 접해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 부분이 이격되어 이격된 부분의 틈새로 빗물이 스며들게 된다. 이렇게 스며든 빗물은 신축줄눈재의 하측에 고여 있다가 동절기가 되면 얼면서 부피가 커지게 되어 콘크리트 슬래브에 균열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넓은 면적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여러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축줄눈재는 절취부를 형성하여 신축줄눈재의 수평 설치 및 경사지게 설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슬래브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은 있었으나, 신축줄눈재로 수분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코킹된 실링부재가 겨울철 대기 온도에 의해 딱딱하게 경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으며, 하절기 콘크리트판이 팽창하게 되면 신축줄눈재의 지지대들이 콘크리트판의 팽창력을 억제하지 못하여 오히려 균열을 초래하고 신축줄눈재의 설치 및 제거시 고정용 몰탈과의 접합 및 이탈이 용이하지 못하고,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른 신축줄눈재의 높이를 임의로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출원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1996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38642호)를 출원한 바 있다.
이 슬래브용 신축줄눈재는 상광 하협의 절취부(111)가 구비되고, 이 절취부(111)의 하부를 수직으로 연결한 지지대(112)가 구비되며, 절취부(111)와 지지대(112)의 경계선과 상부의 중앙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취홈(113)이 형성된 캡(11)을 구성하고, 양측면의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삽입홈(121)이 구비되고 하부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안내홈(122)이 구비되며 상하부 칸막이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절취홈(123)이 구비된 격벽(12)을 상기 캡(11)의 하부에 일체로 일체화 한 제1몸체(10)가 구성된다.
또한 격벽(21)의 상부 중앙에 상기 제1몸체(10)의 안내홈(122)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는 레일(211)을 구성하고, 상기 격벽(21)의 하부 중앙에는 내향으로 요입된 안내홈(212)을 구성하며, 상기 격벽(21)의 상하부 칸막이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절취홈(213)을 구성한 제2몸체(20)가 구성된다.
또한 격벽(31)의 상부 중앙에 상기 제2몸체(20)의 안내홈(212)에 슬라이드 식으로 삽입되는 레일(311)을 구성하고, 상기 격벽(31)의 상하부 칸막이 중앙에 내향으로 요입된 절취홈(312)을 구성한 제3몸체(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2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21A)이 형성되고, 이 통공(21A)의 일측에서 수평으로 합성수지로 된 실린더(40)를 설치하여 그 일측에서 소정 길이의 다웰바(dowel bar)를 수평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삽입된 실린더(40)와 다웰바(50)는 신축줄눈재를 중심으로 양측의 콘크리트판에 매몰되어 시공완료 후 지반의 침하시 신축줄눈재를 중심으로 콘크리트판과 콘크리트판이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종래의 다웰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이형철근을 절단한 다웰바(60)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강을 절단한 다웰바(70)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이형철근을 이용한 다웰바(60)의 경우는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은 양호하지만 강도가 약하고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시 이형철근의 리브가 합성수지로 된 실린더(40)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내경을 마모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으며, 또한 봉강을 이용한 다웰바(70)의 경우는 실린더(40)의 내경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강도가 약하고 콘크리트와 의 접착력이 약한 결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이 양호하고 강도가 높으며, 실린더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dowel bar)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다웰바(dowel bar) 구조는, 스테인레스 환봉의 외주면 일측에 회전방지턱이 구비된 리브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신축줄눈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이형철근을 이용한 다웰바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환봉을 이용한 다웰바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다웰바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다웰바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다웰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격벽 50: 다웰바
51: 환봉 52: 리브
53: 요입홈 54,55: 회전방지턱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신축줄눈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신축줄눈재 몸체의 격벽(2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통공(21A)이 형성되고, 이 통공(21A)의 일측에서 수평으로 합성수지로 된 실린더(40)를 설치하여 그 일측에서 소정 길이의 다웰바(50)를 수평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삽입된 실린더(40)와 다웰바(50)는 신축줄눈재의 몸체를 중심으로 양측의 콘크리트판에 매몰되어 시공완료 후 지반의 침하시 신축줄눈재를 중심으로 양측에 시공된 콘크리트판과 콘크린이트판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신축줄눈재의 다웰바(50)에 있어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환봉(51)의 외주면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리브(52)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리브(52)는, 환봉(51)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향으로 요입된 한 쌍의 요홈(53)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환봉(51)의 외주면을 중심으로 요홈(53)의 깊이 만큼 외향으로 뾰족하게 돌설된 리브(5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리브(52)의 양측을 환봉(51)의 외주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절삭 가공한 회전방지턱(54)을 구비한다. 이 회전방지턱(54)은 콘크리트에 매몰된 다웰바(50)에 강제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될 경우 외주면과 동심원을 이루는 리브(52)가 회전하지 않고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웰바(50)의 결합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0)의 개구된 선단이 격벽(21A)의 일측벽에 걸리도록 통공(21A)에 수평으로 삽입하여 타측으로 관통되어 연장된 실린더(40)의 후단에 캡(41)로 폐쇄시킨 후 리브(52)가 형성되지 않은 다웰바(50)의 후단(51')을 실린더(4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삽입하여 그 단면이 캡(41)에 밀착되어 정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웰바(50)의 삽입이 완료되면 다웰바(50)의 리브(52)는 격벽(21A)의 일측에 위치하고 무모양 부분은 실린더(40)에 간섭없이 삽입되어 설치가 완료되며, 이렇게 다웰바(50)의 설치가 완료되면 신축줄눈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후 지반침하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판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환봉의 외주면 일측에 회전방지턱이 형성된 리브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하여 콘크리트와의 접착력과 강도를 높이고, 무모양인 측을 실린더에 삽입하여 실린더의 내경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신축줄눈재 몸체(10)(20)의 측벽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실린더(40)에 삽입되어 콘크리트판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dowel bar)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환봉(51)의 외주면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향으로 요입된 한 쌍의 요홈(53)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환봉(51)의 외주면을 중심으로 요홈(53)의 깊이 만큼 외향으로 뾰족하게 돌설된 리브(52)를 형성하며, 상기 리브(52)의 양측을 환봉(51)의 외주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절삭 가공한 회전방지턱(54)을 구비한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dowel bar)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환봉(51)의 외주면 양측을 평면으로 절삭 가공된 회전방지턱(5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dowel bar) 구조
KR2019980006174U 1998-04-18 1998-04-18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KR200240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174U KR200240285Y1 (ko) 1998-04-18 1998-04-18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174U KR200240285Y1 (ko) 1998-04-18 1998-04-18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785U KR19990039785U (ko) 1999-11-15
KR200240285Y1 true KR200240285Y1 (ko) 2001-09-25

Family

ID=6951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174U KR200240285Y1 (ko) 1998-04-18 1998-04-18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28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695A (ko) * 2001-05-19 2002-11-29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다우엘 바 및 캡을 이용한 옹벽 신축이음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785U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277B1 (ko)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KR10196383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KR20200104531A (ko) 방수성을 증대시킨 조립식 pc 암거 박스를 이용한 수로 및 지하 공동구의 시공 방법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100385130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200240285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KR102000175B1 (ko) 도로구조물 배수 신축이음구조
KR102364207B1 (ko) 프리캐스트 암거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20030018630A (ko)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JP2003074008A (ja) 排水性舗装用境界ブロック
KR101033641B1 (ko) 도로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배수로 시공 방법
KR200297984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지지장치
KR100258297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0415263B1 (ko) 교량 구조물의 슬라브 연결부 보수방법 및 그 구조
KR101089664B1 (ko) 유도배수관 및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조인트 누수 방지 공법
KR102298267B1 (ko) 지중 전력구용 프리캐스트 암거블록
CN219195528U (zh) 一种新旧路基路面拼接结构
KR200221236Y1 (ko) 터널옹벽용 신축이음부의 보수 보강을 위한죠인트 구조
KR200255961Y1 (ko) 조립식 타일블록
CN220377025U (zh) 一种乡村道路硬化路面
KR100325661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표면처리방법
KR101292694B1 (ko) 교량의 신축이음누수방지 시공방법
KR20100033685A (ko) 결로 방지용 중공홈을 갖는 지하 외벽용 피씨벽
KR200297985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지지장치
KR100605636B1 (ko) 콘크리트 포장용 마감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