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913B1 -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913B1
KR102038913B1 KR1020190068328A KR20190068328A KR102038913B1 KR 102038913 B1 KR102038913 B1 KR 102038913B1 KR 1020190068328 A KR1020190068328 A KR 1020190068328A KR 20190068328 A KR20190068328 A KR 20190068328A KR 102038913 B1 KR102038913 B1 KR 10203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cour prevention
prevention block
tube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찬성
Original Assignee
강찬성
유한회사 비비강구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찬성, 유한회사 비비강구조기술 filed Critical 강찬성
Priority to KR102019006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의 급류의 유속을 저속완화시켜 하천 바닥은 물론 시설물 기초의 세굴을 방지하여 세굴로 인한 재해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Rapid flow velocity mitig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하천의 급류의 유속을 저속완화시켜 하천 바닥은 물론 시설물 기초의 세굴을 방지하여 세굴로 인한 재해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국의 하천은 예전의 하천과 달리 정비가 잘되어 하천폭도 넓어지고 제방도 튼튼하게 잘 정비되어 있으며, 하천 정비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하천을 환경 친화적으로 정비하여 하천 제방에 육수생물(陸水生物)의 서식처 및 산란 장소를 조성하여 종의 다양성을 도모하는 하천 정비 방법 및 그 구조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41923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정비된 하천에는 집중호우시 하천의 급류의 유속의 흐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이 깨끗하게 바닥이 드러난 상태로 정비되어 있어서 집중호우로 인한 급류발생시 하천 물은 마치 물썰매장을 흐르듯이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급류가 되어 흐르면서 하상세굴(하천 바닥의 토사가 씻겨 파이는 현상)을 일으키면서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하천의 급류가 한쪽으로 쏠리면서 국부세굴이 발생하여 교각주위나 하천 제방 및 시설물의 기초를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4192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천의 급류의 유속을 저속완화시켜 하천 바닥은 물론 시설물 기초의 세굴을 방지하여 세굴로 인한 재해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세굴방지블록 및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되는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와; b) 하천의 바닥에 상기 파일을 시공하는 단계와; d) 상기 파일의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 또는 후측에 홈이 형성되거나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 또는 후측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이 전측외부방향 및 후측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b)단계는 상기 하천의 바닥을 일정깊이로 천공하여 형성한 천공홀에 상기 파일을 삽입한 상태로 시공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b)단계는 상기 하천의 바닥에 상기 파일을 일정깊이로 항타하여 시공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b)단계의 상기 파일의 하부에 외경크기가 상기 파일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 파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b)단계의 상기 파일의 하부 타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파일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b)단계의 상기 파일의 하부 외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날개가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고정판이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되고,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관체가 수직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관체와 연통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가이드관체가 형성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파일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관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수직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위치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파일의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을 위치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세굴방지블록, 상기 고정판 및 상기 파일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b)단계와 상기 d)단계 사이에 c) 상기 파일의 상부 주변의 토사를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홈내에 상기 파일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d)단계 이 후, e) 복수의 상기 파일의 외면 또는 복수의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체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날개판과,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전측이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후측에 연결고정되고 후측이 다른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전측에 연결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대로 구성되는 회전방지부를 통해 복수의 상기 파일 및 상기 관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단계 이 후, f) 상기 파일의 상부 주변의 토사를 상기 굴착홈내에 되메움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어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하는 세굴방지블록과; 상기 세굴방지블록이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천의 바닥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천 바닥에 시공되는 파일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굴방지블록을 통해 하천의 급류의 유속을 저속완화시켜 하천 바닥은 물론 시설물 기초부위의 세굴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세굴로 인한 재해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세굴방지블록으로부터 파일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정면도이고,
도 6은 하천의 바닥에 일정깊이의 천공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하천의 바닥에 형성된 천공홀에 파일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파일을 항타하여 하천의 바닥에 시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파일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파일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파일의 상부 주변의 토사를 굴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파일의 상부에 세굴방지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복수의 파일로부터 회전방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저면도이고,
도 16은 관체로부터 회전방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저면도이고,
도 19는 파일의 상부 주변의 토사가 되메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하천의 급류의 유속이 복수의 세굴방지블록을 통해 완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1은 다른예의 세굴방지블록을 통해 하천의 급유의 유속이 완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2는 또 다른예의 세굴방지블록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세굴방지블록 및 파일 준비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파일 시공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및 세굴방지블록 설치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세굴방지블록으로부터 파일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정면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세굴방지블록(10) 및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되는 파일(2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은 인공의암 등의 석재, 강철 등의 강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전측 또는 후측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홈(110)이 형성되거나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홈(110)이 전후대칭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하부에 고정판(120)이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20)의 하부 중간부에는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체(121)가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체(121)의 하부에 상기 관체(121)와 연통되는 가이드관체(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체(121)의 내측으로 상기 파일(20)의 상부가 보다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관체(122)는 상기 관체(12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121)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파일(20)은 금속재질 등의 파이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하천의 바닥에 일정깊이의 천공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하천의 바닥에 형성된 천공홀에 파일이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하천의 바닥에 상기 파일(20)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파일(20)은 상기 하천(3)의 바닥(31)에 다양한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기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하천(3)의 바닥(31)을 일정깊이로 천공하여 형성한 천공홀(311)에 상기 파일(20)을 수직으로 일정깊이로 삽입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다.
도 8은 파일을 항타하여 하천의 바닥에 시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는, 다른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일(20)의 상부를 항타기 등의 중장비를 통해 항타하여 상기 하천(3)의 바닥(31)에 상기 파일(20)을 일정깊이로 삽입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다.
도 9는 파일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파일(20)로서, 일예로, 수직상태인 일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상기 파일(20)을 상기 하천(3)의 바닥에 보다 더욱 용이하게 일정깊이로 삽입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예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일(20)의 하부에 가이드 파일(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파일(20)의 하부에 상기 파일(20)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첨예한 원뿔형상의 상기 가이드 파일(21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파일(210)의 외경크기는 상기 파일(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도 10은 파일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다른예로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일(20)의 하부 타측에는 상기 파일(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파일(20)의 하부 일측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천(3)의 급류의 물살 등에 의해 상기 세굴방지블록(10)과 함께 상기 파일(20)이 제자리에서 회전 및 흔들리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파일(210)의 상부방향 및 상기 경사면(2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파일(20)의 하부 외면에 가이드 날개(230)가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가이드 날개(230)가 상기 파일(20)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첨예한 역직각삼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날개(230)의 일측에서 타측사이의 좌우폭은 상기 파일(20)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도 11은 파일의 상부 주변의 토사를 굴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파일(20)의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b)단계와 상기 d)단계 사이에 토사 굴착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일(20)의 상부 주변의 토사(32)를 굴착기 등의 중장비를 통해 일정깊이로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홈(321)내에 상기 파일(20)의 상부를 일정길이로 노출시키는 단계이다.
도 12는 파일의 상부에 세굴방지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일(20)의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상기 d)단계는 파일 및 관체 체결고정단계(이하, 'd1)단계'라 한다.)와 세굴방지블록 위치고정단계(이하, 'd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d1)단계는 상기 파일(20)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관체(122)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관체(121)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5)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단계이다.
상기 체결부재(5)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21)의 중간부와 상기 파일(20)의 상부 중간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체결축 또는 상기 관체(121)의 중간부와 상기 파일(20)의 상부 중간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d2)단계는 상기 파일(20)의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을 위치고정부재(7)를 통해 위치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위치고정부재(7)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볼트(71)와 너트(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71)는 앵커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71)의 상부가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하부 각 모서리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볼트(71)는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하부 각 모서리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71)는 상기 고정판(120)의 각 모서리부위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72)는 상기 고정볼트(71)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판(120)의 하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복수의 파일로부터 회전방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저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세굴방지블록(10), 상기 고정판(120) 및 상기 파일(20)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천(3)의 급류의 물살 등에 의해 상기 세굴방지블록(10)과 함께 상기 파일(20) 및 상기 관체(121)가 제자리에서 회전 및 흔들리는 것을 회전방지부(30)를 통해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d)단계 이 후, 회전방지단계(이하, 'e)단계'라 한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e)단계의 회전방지부(30)는 일예로,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회전방지날개판(310)과 복수의 회전방지대(320)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310)의 중간부위는 상기 가이드관체(12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파일(20)의 상부 외면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대(320)가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310)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대(320)의 전측은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310)의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대(320)의 후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310)의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16은 관체로부터 회전방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저면도이고, 도 19는 파일의 상부 주변의 토사가 되메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와 달리, 상기 회전방지부(30)의 복수의 회전방지날개판(310)의 중간부위는 도 16 내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체(122)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관체(121)의 외면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상기 파일(20) 사이의 상기 하천(3)의 바닥(31)부위를 굴착기 등의 중장비를 통해 일정깊이로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로내에 상기 회전방지부(30)가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하부 일부가 상기 하천(3)의 바닥(31)에 매립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e)단계 이후, 토사 되메움단계(이하, 'f)단계'라 한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f)단계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일(20) 주변의 토사 및 상기 굴착로 내의 토사를 상기 굴착홈(321)과 굴착로내에 되메움하는 단계이다.
도 20은 하천의 급류의 유속이 복수의 세굴방지블록을 통해 완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은 상기 하천(3)의 바닥(31)에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상기 하천(3)의 급류와 부딪치면서 상기 하천(3)의 급류의 유속을 저속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천(3)의 바닥은 물론 시설물 기초부위의 하상세굴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세굴현상으로 인한 재해발생 또한 보다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천(3)의 급류가 일예의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흐르는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전측과 후측에 형성된 상기 홈(110) 특히,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후측에 형성된 상기 홈(110)내로 급류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와류현상에 의해 급류의 흐름을 더욱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존산소량이 증가하여 상기 하천(3)의 수질이 좋아져서 상기 하천(3)에 많은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21은 다른예의 세굴방지블록을 통해 하천의 급유의 유속이 완화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른예로서,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전측 또는 후측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돌출부(130)가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전측 외부방향 및 후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돌출부(130)가 전후대칭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또 다른예의 세굴방지블록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다른예로서,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이 마름모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예의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상기 돌출부(130)가 서로 접한 상태로 또 다른예의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은 상기 하천(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천(10)의 제방 주변의 토사의 세굴을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하천(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는 곡선구간을 따라 또 다른예의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또 다른예의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상기 돌출부(13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좌우각도(α)는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고, 이로서, 상기 하천(10)의 곡선구간을 흐르는 급류로 인해 상기 하천(10)의 곡선구간에서 세굴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10; 세굴방지블록, 20; 파일.

Claims (19)

  1. a) 하천의 바닥에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세굴방지블록과,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되고 하부에 관체가 수직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관체와 연통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가이드관체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판과,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되는 복수개의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와;
    b) 하천의 바닥에 상기 파일을 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파일의 상부 주변의 토사를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홈내에 상기 파일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d) 상기 파일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관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수직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위치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파일의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을 위치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파일의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을 설치하는 단계와;
    e) 복수의 상기 파일의 외면 또는 복수의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체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날개판과,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전측이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후측에 연결고정되고 후측이 다른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전측에 연결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대로 구성되는 회전방지부를 통해 복수의 상기 파일과 상기 관체의 회전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2. a) 하천의 바닥에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 및 상기 하천의 양측에 형성되는 곡선구간에 상기 곡선구간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곡선구간에서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세굴방지블록과,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되고 하부에 관체가 수직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관체와 연통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가이드관체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판과,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되는 복수개의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와;
    b) 하천의 바닥에 상기 파일을 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파일의 상부 주변의 토사를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홈내에 상기 파일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d) 상기 파일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관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수직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위치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파일의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을 위치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파일의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을 설치하는 단계와;
    e) 복수의 상기 파일의 외면 또는 복수의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체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날개판과,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전측이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후측에 연결고정되고 후측이 다른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전측에 연결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대로 구성되는 회전방지부를 통해 복수의 상기 파일과 상기 관체의 회전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 외부방향 및 후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서로 접한 상태로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이 상기 하천의 양측에 상기 곡선구간을 따라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좌우각도가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 또는 후측에 홈이 형성되거나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 또는 후측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이 전측외부방향 및 후측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하천의 바닥을 일정깊이로 천공하여 형성한 천공홀에 상기 파일을 삽입한 상태로 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하천의 바닥에 상기 파일을 일정깊이로 항타하여 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상기 파일의 하부에 외경크기가 상기 파일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 파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상기 파일의 하부 타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파일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상기 파일의 하부 외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날개가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 이 후, f) 상기 파일의 상부 주변의 토사를 상기 굴착홈내에 되메움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의 시공방법.
  11. 하천의 바닥에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세굴방지블록과;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되고, 하부에 관체가 수직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관체와 연통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가이드관체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판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관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하천의 바닥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며,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수직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위치고정부재를 통해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파일과;
    복수의 상기 파일의 외면 또는 복수의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체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날개판과,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일측이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타측에 연결고정되고 타측이 다른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일측에 연결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대로 구성되어 복수의 상기 파일과 상기 관체의 회전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
  12. 하천의 바닥에 서로 엇갈리게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하천 바닥의 세굴을 방지 및 상기 하천의 양측에 형성되는 곡선구간에 상기 곡선구간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곡선구간에서의 세굴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세굴방지블록과;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되고, 하부에 관체가 수직형성되며, 상기 관체의 하부에 상기 관체와 연통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체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가이드관체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판과;
    상부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관체의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하천의 바닥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며,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하부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수직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위치고정부재를 통해 상부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이 설치되는 복수개의 파일;
    복수의 상기 파일의 외면 또는 복수의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관체의 외면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날개판과, 복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일측이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타측에 연결고정되고 타측이 다른 하나의 상기 회전방지날개판의 일측에 연결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대로 구성되어 복수의 상기 파일과 상기 관체의 회전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 외부방향 및 후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서로 접한 상태로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이 상기 하천의 양측에 상기 곡선구간을 따라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좌우각도가 복수의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 또는 후측에 홈이 형성되거나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 또는 후측에 상기 세굴방지블록이 전측외부방향 및 후측외부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세굴방지블록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하부에 외경크기가 상기 파일의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 파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
  16.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하부 타측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파일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
  17.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하부 외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점차 좁아지는 가이드날개가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류 유속 완화장치.
  18. 삭제
  19. 삭제
KR1020190068328A 2019-06-11 2019-06-11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3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328A KR102038913B1 (ko) 2019-06-11 2019-06-11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328A KR102038913B1 (ko) 2019-06-11 2019-06-11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913B1 true KR102038913B1 (ko) 2019-10-31

Family

ID=6842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328A KR102038913B1 (ko) 2019-06-11 2019-06-11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970B1 (ko) * 2020-02-19 2020-12-07 강찬성 유속흐름완화 및 골재유실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923B1 (ko) 2003-08-12 2006-01-10 주식회사 동호 하천 정비 공법 및 그 구조
KR100553456B1 (ko) * 2005-10-17 2006-02-22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유속 감소용 하천 저면 바닥 블록 설치 구조
KR20080033827A (ko) * 2006-10-14 2008-04-17 주식회사 세영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WO2013035794A1 (ja) * 2011-09-06 2013-03-14 国立大学法人富山大学 消波構造体
JP2013181327A (ja) * 2012-03-01 2013-09-12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重力式ケーソン防波堤の捨石層保護構造
KR200469905Y1 (ko) * 2013-05-02 2013-11-13 주식회사 톤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923B1 (ko) 2003-08-12 2006-01-10 주식회사 동호 하천 정비 공법 및 그 구조
KR100553456B1 (ko) * 2005-10-17 2006-02-22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유속 감소용 하천 저면 바닥 블록 설치 구조
KR20080033827A (ko) * 2006-10-14 2008-04-17 주식회사 세영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WO2013035794A1 (ja) * 2011-09-06 2013-03-14 国立大学法人富山大学 消波構造体
JP2013181327A (ja) * 2012-03-01 2013-09-12 Penta Ocean Construction Co Ltd 重力式ケーソン防波堤の捨石層保護構造
KR200469905Y1 (ko) * 2013-05-02 2013-11-13 주식회사 톤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970B1 (ko) * 2020-02-19 2020-12-07 강찬성 유속흐름완화 및 골재유실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318B2 (ja) 水上構造物基礎部の防護方法
CN105714833A (zh) 一种钢板桩沉井支护的施工方法
US9624636B2 (en) Multi-stage suspended wave screen and coastal protection system
JP3853099B2 (ja) 格子状地盤改良体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038913B1 (ko)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3204226A (ja) 地下埋設物の浮上防止用鋼管杭、およびそれを用いた地下埋設物の浮上防止工法
JP2013159902A (ja) ケーソン式防波堤の補強構造
US3333420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course of a river
KR102511387B1 (ko) 보강토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35132B1 (ko)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97950B1 (ko) 파괴식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KR100397536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교대측방이동 방지공법
KR101114521B1 (ko)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JPS63535A (ja) 既設構造物の耐震補強工法
JP6304434B1 (ja) 支持構造、重力式防波堤、及び重力式防波堤の施工方法
KR101035133B1 (ko) 호안보호를 위한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7469608B2 (ja) 支持構造、重力式防波堤及び重力式防波堤の施工方法
JPS6038494B2 (ja) 独楽型杭
KR20160118470A (ko) 복합형 파랑에너지 저감 연안 시설물
KR200220890Y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교대측방이동 방지구조
JP2021008720A (ja) ケーソン、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工法及び構造物
KR100458721B1 (ko) 자연친화형 식생 호안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H11217837A (ja) 地盤改良工法
JP7474686B2 (ja) 軟弱地盤改良体、および軟弱地盤改良体の施工方法
KR102103831B1 (ko) 가이드비트가 구비된 오거장치를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