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00Y1 -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000Y1
KR200469000Y1 KR2020130004526U KR20130004526U KR200469000Y1 KR 200469000 Y1 KR200469000 Y1 KR 200469000Y1 KR 2020130004526 U KR2020130004526 U KR 2020130004526U KR 20130004526 U KR20130004526 U KR 20130004526U KR 200469000 Y1 KR200469000 Y1 KR 200469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main block
lay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영환
Original Assignee
석영환
주식회사 강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영환, 주식회사 강동 filed Critical 석영환
Priority to KR2020130004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0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0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블록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옹벽을 구축하되, 모서리부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돌출된 모서리부분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중력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분되며, 전방부의 상면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에 대응되는 결합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양측은 각각 둥근 원호형 측면(13)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방부는 테이퍼진 평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메인 블록(1)이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구축되는데, 하층의 메인 블록과 상층의 메인 블록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여서 하층의 메인 블록의 결합돌기(11)가 상층의 메인 블록의 결합오목부(12)에 삽입되도록 적층되며; 옹벽의 평면형상에서 볼 때 돌출된 모서리부분에서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메인 블록(1) 사이에, 모서리 블록(2)이 상층 또는 하층에 배치되어 구축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Retaining Wall using Blocks}
본 고안은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블록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옹벽을 구축하되, 모서리부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돌출된 모서리부분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중력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종래 기술이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264호에는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블록과 이를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는 블록을 축조하여 옹벽을 구축하되, 블록만으로는 배면토사를 충분히 지탱하기 어려우므로 블록의 배면에 토목섬유들을 포설하여 배면토사에 토목섬유가 매설되도록 하여 배면토압을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옹벽 시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매우 번거로운 공정을 거쳐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경우, 모서리부분의 형성이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즉, 옹벽에서 직각으로 꺾여서 돌출된 모서리부분을 형성하거나 오목하게 직각으로 꺾인 모서리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종래기술로는 매우 어려우며,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해서는 다양한 선형의 옹벽을 구축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2264호(2006. 03. 27. 공고) 참조.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중력식 옹벽을 구축하되, 돌출된 형태의 옹벽 모서리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옹벽 구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옹벽의 정면을 형성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와 연속되어 있는 후방부로 구분되며, 전방부의 상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양측은 각각 둥근 원호형 측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방부는 후방 단부로 가면서 그 폭이 점차로 줄어들도록 테이퍼진 평면형상을 가지도록 콘크리트로 제작된 메인 블록이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구축되는데, 하층의 메인 블록과 상층의 메인 블록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여서 하층의 메인 블록의 결합돌기가 상층의 메인 블록의 결합오목부에 삽입되도록 적층되며; 옹벽의 평면형상에서 볼 때 돌출된 모서리부분에서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메인 블록 사이에, 상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양측은 각각 둥근 원호형 측면으로 이루어져 전방부만을 가지도록 콘크리트로 제작된 모서리 블록이 상층 또는 하층에 배치되어 구축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중력식 옹벽을 구축하되, 모서리 블록에 의해 돌출된 형태의 모서리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옹벽이 폭방향으로 다양한 형태(곡선이나 직선 또는 절곡된 형태)의 선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용이하게 옹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만으로도 배면토사로부터의 배면토압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중력식으로 구축되므로, 옹벽의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옹벽을 구축하는데 이용하는 메인(主) 콘크리트 블록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메인 블록을 하나의 층에 연속적으로 배열한 상태를 보여주는 제1층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모서리 블록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외측 블록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층 위에 제2층을 적층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옹벽의 최상층에 배치되는 메인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옹벽의 최상층에 배치되는 외측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옹벽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옹벽(100)을 구축하는데 이용하는 메인(主) 블록(1)을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은 상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하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로 제작된 메인 블록(1)은 옹벽의 정면에서부터 후면으로 가면서 전방부와 후방부의 두 개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전방부는 옹벽의 정면을 형성하며 상면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에 대응되는 결합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폭방향)의 양측은 각각 둥근 원호형 측면(13)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방부는 상기 전방부와 연속되어 있되 후방 단부로 가면서 그 폭(D)이 점차로 줄어들도록 테이퍼진 평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메인 블록(1)을 하나의 층에 연속적으로 배열한 상태를 보여주는 제1층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메인 블록(1)을 그 횡방향의 원호형 측면(13)이 이웃하는 것과 서로 마주 접하고 후방부는 배면토사 방향에 위치하며 전방부는 옹벽의 전면을 향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제1층을 형성한다. 옹벽에는 모서리부분에 존재하게 되는데 모서리부분 중에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직각으로 꺾여서 돌출된 모서리부분(도 3에서 원 A로 표시된 부분/ 메인 블록의 정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를 초과하는 모서리부분)에서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메인 블록(1) 사이에 모서리 블록(2)을 배치한다.
도 4 및 도 5에는 각각 모서리 블록(2)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되어 있는데, 도 4는 상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하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로 제작된 모서리 블록(2)은 상면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에 대응되는 결합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폭방향)의 양측은 각각 둥근 원호형 측면(13)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는 블록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메인 블록(1)에서 후방부는 제거하고 전방부만 존재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직각으로 꺾여서 돌출된 모서리부분에서는 메인 블록(1)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는데, 그 사이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상의 모서리 블록(2)이 모서리부분에 위치하여 옹벽의 정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옹벽의 모서리부분 중에서 직각으로 꺾여 있되 오목한 부분(도 3에서 원 B로 표시된 부분)의 경우, 메인 블록(1)의 정면 사이의 각도가 180도 미만이므로, 메인 블록(1)의 후방부 사이에는 추가적인 메인 블록(1)이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오목한 모서리부분에서는 메인 블록(1)을 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것처럼 메인 블록(1)을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하였을 때, 옹벽이 끝나는 가장자리 즉, 평면상에서 볼 때, 옹벽의 가장자리(도 3에서 원 C로 표시된 부분)에서는 울퉁불퉁하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여 옹벽의 가장자리가 연직한 벽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층에서 옹벽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외측 블록(3)이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외측 블록(3)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은 상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하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외측 블록(3)도 메인 블록(1)처럼 옹벽의 정면에서부터 후면으로 가면서 전방부와 후방부의 두 개 부분으로 구분되고, 전방부의 상면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에 대응되는 결합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횡방향의 적어도 일측은 각각 둥근 원호형 측면(13)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후방부는 상기 전방부와 연속되어 있되 후방 단부로 가면서 그 폭이 점차로 줄어들도록 테이퍼진 평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블록(1)을 폭방향으로 2개로 반분한 형상으로 외측 블록(3)을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선, 메인 블록(1)과 모서리 블록(2), 그리고 외측 블록(3)을 이용하여 동일 평면상에 제1층을 형성한 후에는, 그 위로 제2층을 적층 형성한다. 도 8에는 제1층 위에 제2층을 적층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제2층의 아래에 놓여서 가려지는 제1층 부분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층 위에 제2층을 적층 형성함에 있어서 메인 블록(1)은 아래 층의 메인 블록(1)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즉, 제1층의 서로 이웃하는 메인 블록(1)의 결합돌기(11) 한 개가 각각 제2층의 하나의 메인 블록(1)의 결합오목부(12)에 삽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층에서 서로 이웃하는 메인 블록(1)을 옹벽의 정면에서 볼 때 각각 "좌측 메인 블록"과 "우측 메인 블록"이라고 칭하였을 때, 좌측 메인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2개의 결합돌기(11) 중에서 우측 메인 블록에 가까이에 존재하는 1개의 결합돌기와, 우측 메인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2개의 결합돌기(11) 중에서 좌측 메인 블록에 가까이에 존재하는 1개의 결합돌기가 한 쌍을 이루어서, 제2층에 배치되는 하나의 메인 블록(1)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오목부(12)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층의 메인 블록(하층의 메인 블록)과 제2층의 메인 블록(상층의 메인 블록)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여서 하층의 메인 블록의 결합돌기(11)가 상층의 메인 블록의 결합오목부(12)에 삽입되도록 적층 형성된다. 제2층을 적층 형성함에 있어서, 돌출된 모서리부분에서는 제1층에 배치된 메인 블록(1)과 그에 이웃한 모서리 블록(2)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제2층의 메인 블록(1)이 적층됨과 동시에, 그에 이웃하는 위치에서는 제2층의 모서리 블록(2)이 제1층의 메인 블록(1)과 그에 이웃한 모서리 블록(2)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적층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하층과 상층의 적층 형성 구조가 필요한 높이로 반복되어 본 고안의 옹벽이 구축는데, 최상층에서는 옹벽 후방의 배면토사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을 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최상층의 메인 블록(1a)과 모서리 블록(2), 그리고 외측 블록(3a)의 경우는, 그 상면에 물결 형태의 전면 채움형성부(1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는 최상층에 배치되는 메인 블록(1a)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최상층에 배치되는 외측 블록(3a)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비록 최상층의 모서리 블록(2)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최상층의 모서리 블록(2)의 상면에도 물결 형태의 오목한 전면 채움형성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는 이와 같이 메인 블록(1)과 모서리 블록(2), 그리고 외측 블록(3)이 하나의 평면에 배치되어 한 개의 블록층을 이루고, 이러한 블록층이 순차적으로 상향 적층되어 본 고안의 옹벽을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옹벽은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메인 블록(1)과 모서리 블록(2), 그리고 외측 블록(3)이 적층되고 최상층에서는 오목한 전면 채움형성부(19)의 후방 위로 배면토사가 덮이게 된다.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옹벽에서는 모서리 블록(2)에 의해 돌출된 형태의 모서리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옹벽이 폭방향으로 다양한 형태(곡선이나 직선 또는 절곡된 형태)의 선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용이하게 옹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만으로도 배면토사로부터의 배면토압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중력식으로 구축되므로, 옹벽의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1: 메인 블록
2: 모서리 블록
3: 외측 블록

Claims (2)

  1. 옹벽의 정면을 형성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와 연속되어 있는 후방부로 구분되며, 전방부의 상면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에 대응되는 결합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양측은 각각 둥근 원호형 측면(13)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방부는 후방 단부로 가면서 그 폭(D)이 점차로 줄어들도록 테이퍼진 평면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메인 블록(1)이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구축되는데, 하층의 메인 블록과 상층의 메인 블록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놓여서 하층의 메인 블록의 결합돌기(11)가 상층의 메인 블록의 결합오목부(12)에 삽입되도록 적층되며;
    옹벽의 평면형상에서 볼 때 돌출된 모서리부분에서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메인 블록(1) 사이에, 상면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1)에 대응되는 결합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양측은 각각 둥근 원호형 측면(13)으로 이루어져 전방부만을 가지는 모서리 블록(2)이 상층 또는 하층에 배치되어 구축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층 또는 하층에서 옹벽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메인 블록(1)을 폭방향으로 2개로 반분한 형상으로 외측 블록(3)이 배치되어 옹벽의 가장자리가 연직한 벽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옹벽.
KR2020130004526U 2013-06-05 2013-06-05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KR200469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26U KR200469000Y1 (ko) 2013-06-05 2013-06-05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26U KR200469000Y1 (ko) 2013-06-05 2013-06-05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000Y1 true KR200469000Y1 (ko) 2013-09-12

Family

ID=5139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526U KR200469000Y1 (ko) 2013-06-05 2013-06-05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00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098Y1 (ko) * 2001-03-26 2001-10-10 박창우 옹벽용 블록
KR200363528Y1 (ko) * 2004-04-28 2004-10-06 박성고 옹벽식생호안블록
KR100632966B1 (ko) * 2006-07-21 2006-10-16 이정수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KR100635984B1 (ko) * 2005-01-12 2006-10-18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098Y1 (ko) * 2001-03-26 2001-10-10 박창우 옹벽용 블록
KR200363528Y1 (ko) * 2004-04-28 2004-10-06 박성고 옹벽식생호안블록
KR100635984B1 (ko) * 2005-01-12 2006-10-18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블록
KR100632966B1 (ko) * 2006-07-21 2006-10-16 이정수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093B1 (ko) 프리스탠딩 벽 구성 및 방법
US9267260B2 (en) Slant wall block and wall section including same
US20140377016A1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with modulating heights, widths, and included angles
US9832934B2 (en) Edger having connection surfaces
KR2017000957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KR101170692B1 (ko) 벽면 구축용 블록
KR200469000Y1 (ko)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
KR101412414B1 (ko)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US20140037389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US8100608B2 (en) Retaining wall
JP638226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5395990B2 (ja) 組積用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200482818Y1 (ko) 옹벽용 블록 조립체
JP3930016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6532708B2 (ja) コンクリート用ボイド部材
CN103332370A (zh) 一种交叉隔板
WO2013182832A1 (en) Interlocking block
JP6483950B2 (ja) 建築板
JP3200717U (ja) 目地スペーサー付き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5016661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150082966A (ko)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KR200376797Y1 (ko) 축조블럭
JP5615728B2 (ja) ユニット接続用ジョイント
KR101180848B1 (ko) 옹벽블록의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