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966A -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 Google Patents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966A
KR20150082966A KR1020140002543A KR20140002543A KR20150082966A KR 20150082966 A KR20150082966 A KR 20150082966A KR 1020140002543 A KR1020140002543 A KR 1020140002543A KR 20140002543 A KR20140002543 A KR 20140002543A KR 20150082966 A KR20150082966 A KR 2015008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retaining
wall block
wall block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엽
Original Assignee
조주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엽 filed Critical 조주엽
Priority to KR102014000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2966A/ko
Publication of KR2015008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면에 제 1, 2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걸핌홀이 천공형성되는 동일 형상의 옹벽블럭만으로, 수직으로 적층되는 옹벽구조 및 계단형태로 적층되는 옹벽구조 등을 사용자의 실시예 및 축조대상지역 여건에 맞춰 시공이 가능토록 하고,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적층되는 구조만으로도 강한 토사력에도 견딜 수 있는 고정력을 가지는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RETAINING WALL BLOCK FOR MULTI-PURPOSE}
본 발명은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옹벽블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계단식 및 직립식의 다양한 옹벽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의 방파제 또는 도로 측벽에 형성된 토사는 쉽게 전단 되거나 외압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데, 이와 같이 해안의 제방이나 도로 측벽이 토압에 의해 변형 또는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해안의 제방이나 도로 측벽에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제조된 블럭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축조한다.
이러한 옹벽 구조물은 통상 콘크리트로 제조된 옹벽블럭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옹벽블럭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옹벽은 설치구조에 따라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는 중력식 옹벽 및 반 중력식 옹벽, T형 옹벽, L형 옹벽, 부벽식 옹벽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옹벽블럭의 축조공법은 옹벽블럭을 적층하거나 배열시킨 후 각각의 인접된 옹벽블럭을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접합하여 옹벽을 형성함에 따라 견고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토압력에 의한 형태변형 및 붕괴가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다수의 옹벽들을 적층시키되, 옹벽마다 상호간 대응되는 관통공이 사전 천공형성되어 있도록 한 후, 적층된 옹벽들을 별도의 고정핀을 통해 관통공을 관통시켜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상호간을 고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결합구조는 고정핀의 강도 및 토압력에 의해 핀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고정핀으로 고정시 관통공들을 대응시켜 맞추기가 어려웠으며, 이러한 관통공을 맞추는 구조의 경우, 적층되는 옹벽의 적층 형태를 바꿀 수가 없었으며, 고정핀을 별도로 더 제작해야 한다는 점에서 제조비 또한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옹벽을 형성함에 있어서, 옹벽블럭의 상면에 적층시 끼움고정되는 다수의 제 1, 2걸림편 및 상기 제 1, 2걸림편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걸림홀, 날개부 등을 구비하여, 옹벽블럭 자체의 구조 및 형태만으로도, 수직으로 적층되는 직립적층구조 및 계단형태로 적층되는 계단적층구조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고, 이러한 옹벽을 구성하는 옹벽블럭이 모두 동일한 하나의 형태만으로 가능토록 한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그재그 형태로 축조되어 옹벽을 이루는 옹별블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10)은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마감재를 형성하는 몸체(20) 정면의 전단부(30); 중앙부에 천공형성되는 걸림홀(40); 후단부(80)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날개부(50); 상기 걸림홀(40)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 1걸림편(60); 상기 날개부(50) 상면에 각각 돌출되는 제 2걸림편(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이 계단형태로 적층고정되도록, 다수의 옹벽블럭 상호간을 횡과 종으로 배열후, 또 다른 옹벽블럭들을 하단에 위치된 옹벽블럭 상호간의 연결부위 상면마다 연속배치시키되, 상호간 인접한 하단측 복수개 옹벽블럭에서 상호간 대향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2걸림편(60, 70)이 상단측 옹벽블럭의 걸림홀(40) 내에 대응되며 끼워지도록, 상단측 옹벽블럭을 후면으로 위치이동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럭이 직립으로 적층고정되도록, 다수의 옹벽블럭 상호간을 횡과 종으로 배열후, 또 다른 옹벽블럭들을 하단측 옹벽블럭 상호간의 연결부위 상면마다 연속배치시키되, 상호간 인접한 복수개 하단측 옹벽블럭의 제 1, 2걸림편(60, 70) 사이마다 상단측 옹벽블럭의 후단부(80)가 대응되며 끼워지는 형태로, 다수의 옹벽블럭들이 연속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럭(10)은 전단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부로 적층되는 옹벽블럭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도록 하는 기준돌기(90); 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하나의 형상의 가지는 옹벽블럭을 통해, 직립적층구조 및 계단적층구조의 옹벽을 다양하게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 축조시, 별도의 고정핀 및 고정홀 없이, 상면에 돌출되는 제 1, 2걸림편을 통해 상호간이 걸쳐지며 확실한 고정이 되어, 강한힘의 토사력에도 축조된 옹벽이 유지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 및 형태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을 나타낸 일실시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의 적층 예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의 적층 예시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사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것이기에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횡과 종방향으로 연속배열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축조되어 옹벽을 이루는 옹별블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10)은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마감재를 형성하는 몸체(20) 정면의 전단부(30); 중앙부에 천공형성되는 걸림홀(40); 후단부(80)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날개부(50); 상기 걸림홀(40)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 1걸림편(60); 상기 날개부(50) 상면에 각각 돌출되는 제 2걸림편(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이 계단형태로 적층고정되도록, 다수의 옹벽블럭 상호간을 횡과 종으로 배열후, 또 다른 옹벽블럭들을 하단에 위치된 옹벽블럭 상호간의 연결부위 상면마다 연속배치시키되, 상호간 인접한 하단측 복수개 옹벽블럭에서 상호간 대향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2걸림편(60, 70)이 상단측 옹벽블럭의 걸림홀(40) 내에 대응되며 끼워지도록, 상단측 옹벽블럭을 후면으로 위치이동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럭이 직립으로 적층고정되도록, 다수의 옹벽블럭 상호간을 횡과 종으로 배열후, 또 다른 옹벽블럭들을 하단측 옹벽블럭 상호간의 연결부위 상면마다 연속배치시키되, 상호간 인접한 복수개 하단측 옹벽블럭의 제 1, 2걸림편(60, 70) 사이마다 상단측 옹벽블럭의 후단부(80)가 대응되며 끼워지는 형태로, 다수의 옹벽블럭들이 연속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옹벽블럭(10)은 전단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부로 적층되는 옹벽블럭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도록 하는 기준돌기(90); 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럭(10)은 적층되는 옹벽블럭 모두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며, 이러한 옹벽블럭은 적층되는 순서에 의해 위치가 구분되어질 뿐이다.
상기 옹벽블럭(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되, 전단부(30), 걸림홀(40), 날개부(50), 제 1걸림편(60), 제 2걸림편(70), 기준돌기(90)로 각각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전단부(30)는 옹벽블럭의 몸체(20) 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다양한 형상 또는 굴곡 또는 마감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홀(40)은 옹벽블럭의 몸체(20) 중앙부에 사각형 형태로 상, 하로 관통되어 있는 홀로써, 후술될 제 1걸림편(60) 또는 제 1, 2걸림편(60, 70)이 내부에 삽입되어 걸쳐져, 적층되는 옹벽블럭 상호간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날개부(50)는 옹벽블럭의 후면부 양측에서 후단부(80)를 형해 소정길이 돌출되는 것으로서, 이로써, 상기 옹벽블럭의 후단부(80)는 내부로 파여져 내입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 1걸림편(60)은 옹벽블럭의 상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로서, 제 1걸림편(60)은 걸림홀(4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돌출된다.(제 1걸림편(60)의 일측은 걸림홀(40)의 일측과 동일수평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 2걸림편(70)은 전술된 옹벽블럭의 날개부(50) 상면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전술된 제 1걸림편(60)과는 종방향으로 상호간 대향되면서 이격된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옹벽블럭 상면 좌측 하단부측에 제 1, 2걸림편(60, 70)이 돌출형성되고, 상면 우측 하단부측에도 또 다른 제 1, 2걸림편(60, 70)이 돌출형성되되, 좌, 우측 제 1, 2걸림편(60, 70) 상호간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고, 제 1, 2걸림편(60, 70) 또한 복수개의 날개부(50) 상면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기준돌기(90)는 전술된 옹벽블럭의 상면 상단측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서, 옹벽블럭 다수개가 적층될 시, 상부로 적층되는 옹벽블럭 상호간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며 적층되고 있는지를 가늠하기 위해 기준을 삼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돌기이다.즉, 1, 2, 3, 4단의 4계층으로 옹벽블럭이 적층되었을시, 순으로 옹벽블럭이 적층되었을시, 상기 1단, 3단에 위치되는 옹벽블럭 상호간은 수직선상에 위치해야하고, 2단, 4단에 위치되는 옹벽블럭 상호간도 수직선상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식별하는 부분으로 기준돌기(90)를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 단순히 옹벽블럭을 포개어 적층하였을시에도 각 옹벽블럭의 위치를 각 옹벽블럭의 이러한 기준돌기(90)를 통해 정확하게 잡아 상호간 비교하며 정확한 위치에 배치 및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상을 가지는 단일형상의 옹벽블럭만을 다수 적층하여, 후단으로 점차 밀리면서 계단형태로 축조되는 옹벽구조 및 수직의 직립형태로 축조되는 옹벽구조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이에,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옹벽블럭으로 가능한 이러한 적층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1. 후단으로 점차 밀리면서 계단형태로 축조되는 옹벽구조.
우선, 다수의 옹벽블럭(10)을 횡과 종방향으로 연속배열하고, 이러한 하단측 옹벽블럭(200)의 상면에 또 다른 옹벽블럭을 횡과 종방향으로 적층하여 상단측 옹벽블럭(100)을 쌓는 식으로, 옹벽블럭이 다수번 적층되어 하나의 옹벽을 이루는 것이다.
이때, 다수의 하단측 옹벽블럭(200)의 상면에 올려지는 또 다른 옹벽블럭들은, 다수의 하단에 위치된 옹벽블럭 상호간의 연결부위측 상면마다 위치되어,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옹벽블럭층이 완전히 겹쳐지며 대칭되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더불어, 하단측 복수개의 옹벽블럭 사이 상면에 위치되는 상단측 옹벽블럭(100)이, 복수개의 하단측 옹벽블럭(200)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단측 옹벽블럭(200)보다 소정간격 후면으로 위치이동되어 적층되도록 하는데, 다시 말해, 상단측 옹벽블럭(100)의 중앙에 천공된 걸림홀(40) 내부에, 하단측에 인접한 복수개 옹벽블럭 중, 하단측 좌측 옹벽블럭(210)의 우측 상면에 돌출된 제 1, 2걸림편(60, 70)이 걸림홀(40)에 내입되고, 이와 동시에, 하단측 유측 옹벽블럭(220)의 좌측 상면에 돌출된 제 1, 2걸림편(60, 70) 또한 걸림홀(40)에 내입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상단측 옹벽블럭(100)을 소정간격 후면으로 위치이동되어 적층시켜, 2단의 옹벽블럭이 계단형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후, 또 다른 옹벽블럭이 적층되어 3단의 계단형태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상단측 옹벽블럭(100)이 하단측 옹벽블럭(200)의 위치가 되면서, 새롭게 적층되는 옹벽블럭들은 2단째의 옹벽블럭보다 후단으로 더 밀리면서 적층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3단째의 옹벽블럭의 걸림홈에 2단째에 위치한 복수개 옹벽블럭의 제 1, 2걸림편(60, 70)이 내입되어 끼워지는 동일한 형태로 적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식으로, 사용자는 동일한 형태의 옹벽블럭 다수를 이용하여 다단의 계단형태로 이루어지는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2. 수직의 직립형태로 축조되는 옹벽구조.
우선, 다수의 옹벽블럭(10)을 횡과 종방향으로 연속배열하고, 이러한 하단측 옹벽블럭(200)의 상면에 또 다른 옹벽블럭을 횡과 종방향으로 적층하여 상단측 옹벽블럭(100)을 쌓는 식으로, 옹벽블럭이 다수번 적층되어 하나의 옹벽을 이루는 것이다.
이때, 다수의 하단측 옹벽블럭(200)의 상면에 올려지는 또 다른 상단측 옹벽블럭(100)은, 다수의 하단에 위치된 하단 옹벽블럭 상호간의 연결부위측 상면마다 위치되어,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옹벽블럭층이 완전히 겹쳐지며 대칭되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단측 옹벽블럭(100)은 하단에 위치된 하단측 옹벽블럭(200) 중, 상호간 인접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옹벽블럭(좌측 옹벽블럭(210), 유측 옹벽블럭(220))과 상호간 고정되는데, 상기 복수개의 하단측 옹벽블럭(200) 연결부위에 상단측 옹벽블럭(100)이 올려져 적층될 시, 상단측 옹벽블럭(100)의 후단부(80)측이 좌측 옹벽블럭(210) 우측에 돌출된 제 1, 2걸림편(60, 70)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유측 옹벽블럭(220) 좌측에 돌출된 제 1, 2걸림편(60, 70) 사이에도 끼워지며 하단측 옹벽블럭(200)과 상단측 옹벽블럭(100)이 2개의 층을 이루며 직립으로 옹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옹벽구조에서, 3층으로 이루어지는 옹벽구조를 위해 또 다른 옹벽블럭을 적층하게 될 경우, 이 역시, 전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이번엔 전술된 상단측 옹벽블럭(100)이 하단측 옹벽블럭(200)의 역할을 하면서, 3층을 이루는 옹벽블럭의 후단부(80)가, 2층에 위치되어 상호간 인접설치되어 있는 복수개 옹벽블럭(전술된 상단측 옹벽블럭(100)) 각각의 제 1, 2걸림편(60, 70) 사이에 끼워지며, 직립으로 3개의 층으로 이루는 옹벽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식으로, 사용자는 동일한 형태의 옹벽블럭 다수를 이용하여 다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직립구조의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인 '41'은 걸림돌기로써, 옹벽블럭이 다수 적층된 이후, 토사력 및 각종 외력에 의해 옹벽블럭이 좌, 우측으로 가압되더라도, 옹벽블럭의 걸림홈 내에 걸쳐진 제 1걸림편 또는 제 2걸림편이 걸림홈의 길이방향 전체에 밀려 이동되지 않고 중단에 이동이 제한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걸림돌기는 걸림홀의 상, 하 외주연에서 내부로 상호대향되며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옹벽블럭 20: 몸체
30: 전단부 40: 걸림홀
41: 걸림돌기 50: 날개부
60: 제 1걸림편 70: 제 2걸림편
80: 후단부 90: 기준돌기
100: 상단측 옹벽블럭 200: 하단측 옹벽블럭
210: 좌측 옹벽블럭 220: 우측 옹벽블럭

Claims (4)

  1. 횡과 종방향으로 연속배열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축조되어 옹벽을 이루는 옹별블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10)은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마감재를 형성하는 몸체(20) 정면의 전단부(30);
    중앙부에 천공형성되는 걸림홀(40);
    후단부(80)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날개부(50);
    상기 걸림홀(40) 양측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 1걸림편(60);
    상기 날개부(50) 상면에 각각 돌출되는 제 2걸림편(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이 계단형태로 적층고정되도록,
    다수의 옹벽블럭 상호간을 횡과 종으로 배열후, 또 다른 옹벽블럭들을 하단에 위치된 옹벽블럭 상호간의 연결부위 상면마다 연속배치시키되,
    상호간 인접한 하단측 복수개 옹벽블럭에서 상호간 대향되어 있는 다수의 제 1, 2걸림편(60, 70)이 상단측 옹벽블럭의 걸림홀(40) 내에 대응되며 끼워지도록, 상단측 옹벽블럭을 후면으로 위치이동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이 직립으로 적층고정되도록,
    다수의 옹벽블럭 상호간을 횡과 종으로 배열후, 또 다른 옹벽블럭들을 하단측 옹벽블럭 상호간의 연결부위 상면마다 연속배치시키되,
    상호간 인접한 복수개 하단측 옹벽블럭의 제 1, 2걸림편(60, 70) 사이마다 상단측 옹벽블럭의 후단부(80)가 대응되며 끼워지는 형태로, 다수의 옹벽블럭들이 연속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10)은
    전단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상부로 적층되는 옹벽블럭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도록 하는 기준돌기(90);
    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KR1020140002543A 2014-01-08 2014-01-08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KR20150082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43A KR20150082966A (ko) 2014-01-08 2014-01-08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43A KR20150082966A (ko) 2014-01-08 2014-01-08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966A true KR20150082966A (ko) 2015-07-16

Family

ID=5388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543A KR20150082966A (ko) 2014-01-08 2014-01-08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29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117A (ko) * 2017-07-06 2019-01-17 (합)강산건업 단독주택 벽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117A (ko) * 2017-07-06 2019-01-17 (합)강산건업 단독주택 벽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4104B1 (en) A building plate for a toy building set and a toy building set including such building plate
KR100865465B1 (ko) 압출 성형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옹벽 축조시스템
CA2861019C (en) Drainage body connecting element
KR101974240B1 (ko) 빗물 저류 적층 구조체에 사용하는 구조 부재
KR101284122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82966A (ko) 다양한 축조가 가능한 다용도 옹벽블럭
KR20190057208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TW201734281A (zh) 蓄積單元
KR20180106715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US20140037389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KR101276761B1 (ko) 내진용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EP2687642A1 (en) Irrigation and/or drainage assembly
KR102044178B1 (ko) 빗물 저류 적층 구조체에 사용하는 구조 부재
KR100679736B1 (ko) 판넬식 블록 및 그를 가지는 옹벽
KR200432085Y1 (ko) 블럭식 보강토 옹벽구조
EP2762399A2 (en) Floating platform
JP6091933B2 (ja) 貯水槽用壁ユニット
KR20110048093A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 장착구조
KR102146634B1 (ko)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JP2011032688A (ja) 壁体構築用ブロック
KR101647089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KR101804160B1 (ko) 그리드 보강판을 이용한 중력식 보강토옹벽 시공구조
KR20110139859A (ko) 방호벽
JP2014134006A (ja)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土木構築物および土木構築物用構築材
KR101180848B1 (ko) 옹벽블록의 연결장치 및 그 연결장치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