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411A -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전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전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411A
KR20060081411A KR1020067004619A KR20067004619A KR20060081411A KR 20060081411 A KR20060081411 A KR 20060081411A KR 1020067004619 A KR1020067004619 A KR 1020067004619A KR 20067004619 A KR20067004619 A KR 20067004619A KR 20060081411 A KR20060081411 A KR 2006008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mode
transition
fuel
mode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479B1 (ko
Inventor
프랑크 바이쓰
홍 창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8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7/00Non-electrical 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of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7/02Non-electrical 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of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e of the functions being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1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 F02D41/3023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64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trol during transition between modes
    • F02D41/30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with special control during transition between modes to avoid torque sh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402Multiple inj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1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variable valve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02D2250/21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during a transition between engine operation modes or st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1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 F02D41/3023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 F02D41/3029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further comprising a homogeneous charge spark-ignited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1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 F02D41/3035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premixed charge compression-ignition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 Jib Cran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연료 직접분사식 불꽃점화 엔진(16)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중, 특히 동종의 화학양론적 작동과 동종의 희박한 계층화된 또는 HCCI 작동 사이에서, 밸브 행정 또는 밸브 상의 전환에 의해 불필요한 토오크 점프라는 위험성이 존재하게 되어, 차량의 이상진동을 인식하게 되거나, 또는 불꽃점화 엔진(16)의 작동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허용불가능한 다량의 토오크 점프인 경우, 점화각의 변위에 의한 종래 보상과 함께 연료의 복합 분사의 시작을 제안하고 있다. 효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상태중에 상기 연료의 부분적인 양이 분사되며, 이에 따라 생성되는 토오크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전환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TRANSITION OF A DIRECT-INJECTION SPARK-IGNITION ENG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동종의 화학양론적 모드와 동종의 희박한 계층화된 또는 HCCI 모드(동종의 충진 압축점화) 사이에서, 연료가 직접분사되는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밸브 리프트나 밸브 상(phase)이 전환되는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는, 청구항 1 및 청구항 9에 따라 적용가능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가지 작동모드 사이에서 전환되었을 때는 일반적으로 토오크가 계단식으로 변화되며, 이러한 계단식 변화는 작동모드에 따라 허용불가능할 정도로 큰 것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다. 토오크의 이러한 계단식 변화에 대한 원인으로는 작동모드가 상이하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실린더내로 인입된 공기 질량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토오크가 발생되기 때문인 것이 자명하다. 토오크의 계단식 변화는 내연기관의 불규칙한 작동을 유발하여, 예를 들어 이상진동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이 명백하다.
공기 질량이 소규모로 계단식으로 변화되는 경우, 지금까지는 점화각을 재조정하여 이를 보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연료-공기 혼합물의 양호한 연소가 보장될 수 있을 정도로 점화각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연료-공기 혼합물의 지연 연소는 토오크 감소로 나타난다. 공기질량이 대규모로 계단식으로 변화되는 경우, 점화각만을 재조정하는 것은 토오크의 계단식 변화에 대한 보상으로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이 경우 발생되는 차량의 불필요한 이상진동을 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제 2 동모드로의 전환이 금지되거나, 또는 공기 질량의 대규모 계단식 변화가 발생될 수 없도록 엔진이 정렬된다. 이를 위한 비용은 상당히 높은 연료 소모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오크의 계단식 변화의 상당한 대규모 감축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첨부된 청구항 1 및 청구항 9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첨부된 청구항 1 및 청구항 9를 특징으로 하여 적용할 수 있는, 2가지 작동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인 경우에는 연료-공기 혼합물의 연소에 손상을 끼치지 않고, 토오크의 계단식 변화가 대규모로 성공적으로 감축될 수 있다는 장점을 발휘한다. 이것은 압축상태중 분사된 연료의 적어도 일부가 내연기관의 실린더(또는 실린더들)내로 분사되는 분기 분사에 의해 달성된다. 압축상태중의 분사는 토오크의 감소를 지지하는 3가지 주요한 효과로 나타난다. 실린더내의 감소된 내부냉각은 인입된 공기 질량의 감소로 귀착되는데, 그 이유는 분사된 연료 부하의 일부가 실린더의 밸브가 이미 폐쇄된 시점(압축상태)에 분사되기 때문이다. 또한, 분사된 연료가 늦게 분사되었을 때는 와류가 적기 때문에, 연소가 더욱 불충분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측정결과에 따르면, 압축상태중 연소시 점화각이 훨씬 더 지연되었을 경우, 내연기관의 완만한 작동이 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점화각을 지연시킴으로써, 토오크의 부가적 감축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완만한 작동에 손상을 끼치지 않고, 토오크의 계단식 변화의 상당한 감축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된 수단은 첨부의 청구항 1 및 청구항 9에 각각 특정화된 방법 및 장치의 개선과 발전에 유리하다. 전환 상태중 분사된 연료 부하가 압축상태내에 완전히 분사된다는 점에서, 선택적 대안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 연료는 실린더내 공기 질량의 냉각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전환 상태중 공기 질량이 매우 적으며, 이에 따라 매우 적은 토오크가 발생된다.
압축상태중에는 실린더의 밸브가 폐쇄되므로, 실린더내로 분사된 연료는 분사 밸브가 개방될 경우 매우 강한 소용돌이를 형성할 수 없다. 토오크를 부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경우에 있어서 단지 연료의 일부분만을 분사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전환상태중에 만일 점화각이 지속적으로 지연되는 경우, 토오크의 또 다른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연료-공기 혼합물이 늦게 점화될수록, 최종 토오크는 더 적어진다.
토오크 평활(torque smoothing)이 완료되자마자, 만일 전환후, 관련된 작동모드에 대해 정상적인 표준 분사가 재개된다면, 양호한 해결책으로 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전환이 소량의 밸브 리프트와 함께 이루어져서 공기 질량의 제어를 설정할 수 있다면, 연료 부하 및 점화각은 이러한 작동모드에 대해 특정한 값으로 된다. 이것은 내연기관의 매끄러운 작동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이러한 전환 작동은 차량 점유자에게 인지될 수 없다.
만일 밸브 리프트가 불연속적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밸브 리프트의 편차가 증가될 수 있다는 양호한 결과를 낳는다. 상이한 밸브 리프트는 실린더가 충진되는 레벨의 편차를 생성하며, 따라서 이에 대응하여 토오크의 크기가 상이하게 된다. 실린더가 높게 충진되면 연료 소모도 필수불가결하게 증가되기 때문에, 특히 부분적인 부하 상태에서 엔진의 최대 동력이 요구되지 않을 때 이에 대응하여 연료 소모가 낮은 작은 밸브 리프트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작동이 작은 밸브 리프트로 전환되었을 때는 먼저 트로틀 밸브를 개방하고, 점화각을 허용가능한 최소값으로 역으로 지연시키고, 필요할 경우 분기 분사를 압축상태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토오크의 계단식 변화에 대한 보상으로 가장 신뢰성있는 방법이다.
만일 전환이 성공적이라면, 그후 분사는 표준값으로 재설정될 수 있다.
2가지 작동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인 경우, 전환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사용된다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연료분사가 압축상태에서 발생되는 방식으로 내연기관의 조정장치가 제어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상기 프로그램은 트로틀 밸브, 점화각 설정 및/또는 연료 분사를 위해 조정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로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큰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부터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다이아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작은 밸브 리프트작동으로부터 큰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블록 다이아그램의 개략도.
도 4는 작동모드의 제어를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2가지 작동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방식이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예를 들어, 직접분사된 연료를 사용하여 작동되는 내연기관은 입구 및/또는 배출 밸브에서 큰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부터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한편, 이러한 전환은 토오크가 적게 발생되는 것으로 귀착되는 반면에 이러한 작동 모드에서는 연료가 훨씬 절감되므로; 이러한 작동상태하에서, 예를 들어 엔진에서 최대 토오크가 요구되지 않는 부분적인 부하상태하에서는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모드인 연료절감 작동모드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난다.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의 전환으로 인해, 내연기관의 실린더내로는 큰 밸브 리프트 작동에서처럼 더 이상 많은 공기가 유입될 수 없으므로, 토오크가 감소된다. 밸브 리프트의 전환에 대해서 는 다양한 방법이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전환은 캠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기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캠축은 높이가 상이한 캠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밸브 태핏이 작동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태핏의 컵은 유압식으로 상승될 수 있으므로, 밸브 리프트에 영향을 끼친다.
전환은 자동으로 실행되어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점유자가 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승차감에 악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그러나, 나중에 엔진의 완전 토오크가 요구된다면, 역으로 큰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 자동 절환된다.
도 1에 있어서, 시간(t)은 x축선을 따라 도시되어 있다. y축선은 3개의 상이한 곡선 각각에 대한 크기를 도시하고 있다. 연속적인 곡선은 큰 밸브 리프트 작동이거나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인 2가지 작동모드에 필요한, 공기 질량 설정점(LS)을 나타낸다. 이러한 공기 질량 설정점(LS)은 내연기관의 트로틀 밸브를 사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점선으로 도시된 곡선(LA)은 공기 질량의 현재값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설정값은 내연기관의 관련 실린더로 귀착된다. 점선과 실선의 중간 정도의 선으로 도시된 곡선은 점화각(ZW)을 나타내며, 적절한 제어장치에 의해 명령을 받는다.
도 1의 좌측부에 있어서, 엔진은 큰 밸브 리프트 작동중이다. 트로틀 밸브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공기 질량 설정점(LS)은 레벨이 낮다[곡선(LS)의 좌측 낮은 부분]. 시간(t1)에서는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의 전환이 시작되며, 곡선(LS)은 수직으로 상승하여, 도면의 우측까지 완료된다.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공기 질량 설정점이 상승해야만 하므로, 전환중에는 토오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간(t1)에서 트로틀 밸브가 개방되므로, 엔진 실린더내의 현재의 공기 질량은 곡선(LA)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하게 된다. 곡선(LA)이 공기 질량 설정점(LS)에 도달하였을 때는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러한 최후 전환 시점은 tU로 도시되었다.
트로틀 밸브의 전환과 동시에, 점화각은 곡선(ZW)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기에 최소값으로 지연되어, 시간(tZ)에 도달하게 된다. 실린더에 제공되는 연료-공기 혼합물은 이러한 점화각(ZW)에서 아직까지는 연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기 연료분사를 실행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시간(tZ)의 최소 점화각에서, 분기 연료분사가 시작된다. 이것은 공급 공기의 인입에 대한 악화를 초래하여, 점화각의 증가("조기"쪽을 향해)를 유발한다. 그후, 상기 점화각은 분기 연료분사 보다 낮은 각도로 지연되므로, 곡선(ZW)은 다시 낙하하게 된다.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의 전환은 시간(tU)에서 점화각이 최소값일 때 자동으로 실행되어야만 한다.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 전환된 후, 실린더내의 공기 질량은 토오크의 계단식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이러한 작동모드에서는 점화와 공기 질량 및 분사를 위한 표준값이 인가된다.
분기 분사는 실린더의 입구 및 배출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 압축상태(K)에서 양호하게 실행된다. 압축상태(K)중의 분사는 2개의 시간(tZ, tU) 사이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두 시점(t1, tU) 사이에서의 완전한 전환 상태는 화살표(U)로 도시되었다.
밸브가 폐쇄된 압축상태에서는 분사될 연료 부하가 부분적인 양으로 측정되는 단계가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전체 연료 부하는 압축상태에서 분사될 수도 있다.
도 2의 다이아그램은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부터 큰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의 전환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은 도 1을 참조로 서술한 방식과는 역방향으로 진행된다. 도 2의 좌측부에서, 엔진은 밸브 리프트가 작은 작동모드 상태이므로, 즉 트로틀 밸브가 상당히 넓게 개방되어 있으므로, 공기 질량 설정점에 대한 곡선(LS)은 매우 넓은 크기를 갖는다. 점화는 초기 지점으로 설정된다. 밸브 리프트의 전환은 시간(tU)에서 발생되어, 초기에는 분사가 변화되므로, 분사될 연료 부하의 적어도 일부는 압축상태(K)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트로틀 밸브의 폐쇄가 시작되며, 즉 곡선(LS)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량의 공기 질량 설정점으로 도시된다. 현재의 공기 질량값[곡선(LA)]은 시간(t)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은 낮은 공기 질량 설정점(LS)으로 조정된다. 밸브 리프트의 전환으로 인해, 점화각은 곡선(ZW)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tU)에서 지연된다. 그후, 점화각은 공기 질량의 감소에 적절한 초기 지점으로 재설정된다. 이러한 과정중에, 점화각은 표준 분사시 점화각을 다시 증가시키기 위해, 시간(tZ)의 지점으로 다시 지연될 수 있다. 시간(t2)에서, 점화각은 그 기본값으로 위치되며, 그후 전환이 종료된다. 화살표(K)는 압축상태를 나타낸다. 이어서, 전환후의 분사와 공기 질량과 점화각에 대한 일련의 제어가 본 발명에 따라 실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가지 작동모드 사이에서, 예를 들어 동종의 화학양론적 작동과 동종의 희박한 계층화된 또는 HCCI 작동 사이에서, 대응의 방식으로 전환을 실행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밸브 상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2가지 작동모드 사이에서의 전환, 예를 들어 큰 밸브 리프트 작동과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 사이에서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제어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1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프로그램 메모리(12)를 갖는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엔진 관리 시스템의 일부 형태를 취하며, 2가지 작동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중 엔진 기능을 제어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다른 작동모드로의 전환이 발생될 때마다 실행된다. 또한, 상기 장치(12)는 상술한 바와 같은 표 형태의 작동 설정값과 한계값 등의 또 다른 데이터와 함께, 2가지 작동모드의 전환을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3)를 갖는다. 상기 장치(10)는 버스 시스템(20)을 통해, 내연기관(16)의 트로틀 밸브용 작동기(1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버스 시스템(20)에는 회전각을 검출하는 장치(15)도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기(14)의 도움을 받아 내연기관(16)의 각각의 실린더를 위한 신선한 공기의 양(공기 질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회전각(15)을 검출하는 장치의 도움을 받아 점화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10)의 유니트(18)에 현재의 분당 회전수가 연산될 수 있는 신호를 공급하는 회전 속도센서(17)도 제공된다. 예를 들어, 연산된 데이터로부터, 토오크 모델의 도움을 받아, 내연기관(16)의 각각의 작동상태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토오크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장치(19)를 위한 제어 신호가 유도되며, 이에 따라 밸브 리프트의 전환이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제어장치(10)의 프로그램 메모리(12)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2가지 작동모드에 대한 전환 상태가 진행되는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프로그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밸브 리프트가 다량인 작동으로부터 밸브 리프트가 소량인 작동으로의 전환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2가지 작동모드 사이의 역으로 스위칭 또는 전환이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에 있어서, 장치(11)가 전환 상태를 시작하는 신호를 수용하거나 이러한 신호를 검출한 후, 프로그램은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트로틀 밸브가 먼저 개방된 후, 점화각이 반복적으로 지연되고; 단계(3)에서는 현재의 점화각이 설정의 제1최소 한계값 이하에 속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면(즉, "n"으로 진행되어), 프로그램은 단계(2)로 복귀되며, 점화각은 계속 지연된다.
현재의 점화각이 설정의 제 1 최소 한계값 보다 작은 것으로 결정되었다면, "j(예)"로 진행되고; 단계(4)에서는 내연기관(16)의 압축상태로 연료 분사의 전환이 시작된다. 분사는 단일의 충전 분사로 실행되거나, 선택적으로 분기 충전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만일 점화각에 대한 조정만 있었을 경우, 내연기관의 압축상태중 분사의 결과로서, 발생된 토오크가 하강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환 전후의 토오크 대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오크의 계단식 변화를 양호한 신뢰성으로 피할 수 있게 된다.
단계(6)에서는 표준 분사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토오크의 설정이 적절한지 여 부가 결정된다. 만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면, "n"으로 진행되어, 프로그램은 단계(5)로 복귀된다. 점화는 계속 지연되고 있으며; 단계(6)에서는 표준 분사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다시 실행된다.
만일 대답이 "예"라면(즉, "j"로 진행되어); 단계(7)에서는 현재의 작동모드일 경우 표준 분사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단계(8)에서는 작동모드에서의 전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 테스트가 실행된다. 만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면(즉, "n"으로 진행되어); 프로그램은 다시 복귀되어 단계(2)에서 시작되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시 시작된다.
작동모드에서 전환이 긍정적으로 완료된 경우(즉, "j"로 진행되어), 프로그램은 단계(9)에서 종료된다.

Claims (10)

  1. 예를 들면, 동종의 화학양론적 모드와 동종의 희박하게 계층화된 또는 HCCI 모드(동종의 충진 압축점화) 사이에서 밸브 리프트 또는 밸브 상이 전환되어, 전환 전후의 토오크가 결정되고 점화각의 재설정에 의해 토오크의 허용가능한 계단식 변화가 부분적으로 보상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16)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의 허용가능한 계단식 변화를 부가적으로 보상하기 위하여, 연료의 분기 분사가 실행되어 분사되는 연료 부하의 적어도 일부가 압축상태중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상태중에는 분사되는 연료 부하가 압축상태중에 완전히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되는 연료 부하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입구 밸브가 폐쇄되었을 때의 상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각이 연속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후 토오크 평활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면, 정상 작동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연속 밸브 리프트 전환인 경우에는 더 큰 밸브 리프트가 특정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은 밸브 리프트로의 전환을 위해, 상기 작은 밸브 리프트로의 전환 이전에 먼저 트로틀 밸브가 개방되며, 상기 점화각은 허용가능한 최소값으로 역으로 지연되고, 상기 압축상태에서 분기 분사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은 밸브 리프트 작동 또는 큰 밸브 리프트 작동으로의 전환후에, 이에 대응하는 표준 분사를 위한 설정값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9. 제어 유니트(11), 메모리(12), 및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을 가지며,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2가지 작동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전환 전후의 계단식 토오크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1공기 질량을 재설정한 후 점화각을 재설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가지며, 점화각이 최소값에 도달하였을 때, 압축상태중 연료가 분기 분사의 일부 형태로 실린더내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는 상기 압축상태중에 분사에 의해 완전히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직접분사식 내연기관의 제 1 작동모드로부터 제 2 작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장치.
KR1020067004619A 2003-09-05 2004-09-03 직접분사식 스파크 점화 엔진의 전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07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1070A DE10341070B4 (de) 2003-09-05 2003-09-0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Übergangs von einer ersten Betriebsart eines mit Kraftstoff-Direkteinspritzung betriebenen Ottomotors auf eine zweite Betriebsart
DE10341070.8 2003-09-05
PCT/EP2004/052023 WO2005024213A1 (de) 2003-09-05 2004-09-0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übergangs eines direkteinspritzenden ottomo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411A true KR20060081411A (ko) 2006-07-12
KR101107479B1 KR101107479B1 (ko) 2012-01-19

Family

ID=3425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619A KR101107479B1 (ko) 2003-09-05 2004-09-03 직접분사식 스파크 점화 엔진의 전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28683B2 (ko)
EP (1) EP1660766B1 (ko)
JP (1) JP2007533887A (ko)
KR (1) KR101107479B1 (ko)
AT (1) ATE401496T1 (ko)
DE (2) DE10341070B4 (ko)
WO (1) WO20050242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25B1 (ko) * 2006-12-12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의 cai 전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4401B3 (de) * 2003-07-28 2004-11-25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Übergangs zwischen dem Normalbetrieb und dem Betrieb mit Schubabschaltung eines mit Kraftstoff-Direkteinspritzung betriebenen Ottomotors
DE102004061143B4 (de) * 2004-12-20 2008-10-16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Verbrennungsmotors
DE102005046952B4 (de) * 2005-09-30 2011-11-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5062552B4 (de) 2005-12-27 2022-02-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EP1813796A3 (en) * 2006-01-26 2007-12-19 Delphi Technologies, Inc.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an engine control unit
DE102006058571B4 (de) 2006-12-12 2018-09-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Brennkraftmaschine
US7918205B2 (en) * 2007-05-01 2011-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transition between HCCI and SI combustion in a direct-injection gasoline engine
DE102007029411B4 (de) * 2007-06-26 2017-11-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variabler Ventilsteuerung
JP4926917B2 (ja) * 2007-11-12 2012-05-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ンジン制御装置
US7565892B1 (en) * 2008-02-01 2009-07-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de transition in a spark-ignition direct-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2008000581A1 (de) * 2008-03-10 2009-09-1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Massenstromleitung
WO2009114443A2 (en) * 2008-03-11 2009-09-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ntrol strategy for transitions between homogeneous-charge compression-ignition and spark-ignition combustion modes
US8036807B2 (en) * 2008-03-11 2011-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 strategy for transitioning among combustion mode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729844B2 (en) * 2008-03-13 2010-06-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CCI combustion moding state control for fuel economy and seamless transitions
US8220436B2 (en) * 2008-03-13 2012-07-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CCI/SI combustion switch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DE112009001000B4 (de) * 2008-05-02 2017-08-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erbesserungen einer HCCI-Verbrennungssteuerung bei leichter Last und im Leerlauf durch Modifikation des Kraftstoffdrucks
US8276551B2 (en) * 2008-12-30 2012-10-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CCI combustion moding state control for fuel economy and seamless transitions
US8316818B2 (en) * 2009-04-28 2012-1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CCI mode switch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DE102010012127B3 (de) * 2010-03-20 2011-07-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70435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erbrennungsmotors
US9127637B2 (en) * 2010-05-24 2015-09-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managing transition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with combustion phasing
DE102010029749B4 (de) * 2010-06-07 2015-03-2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S8645043B2 (en) 2011-01-19 2014-02-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to decrease particulate emissions during transient engine operation
US8608127B2 (en) 2011-01-24 2013-12-17 Fluke Corporation Piezoelectric proportional control valve
DE102012006342A1 (de) 2012-03-28 2013-10-02 Daimle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US10113453B2 (en) * 2015-04-24 2018-10-30 Randy Wayne McReynolds Multi-fuel compression ignition engine
US9845763B2 (en) * 2015-05-06 2017-12-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6498B2 (ja) 1990-11-29 1997-07-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8240119A (ja) 1995-03-02 1996-09-17 Nissan Motor Co Ltd 直噴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317159B1 (ko) 1997-07-01 2002-02-19 하나와 요시카즈 내연기관용연료분사제어시스템
US6510834B1 (en) 1999-08-31 2003-01-28 Nissan Motor Co., Ltd. Control for spark-ignited direct fuel 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16320B2 (ja) 2000-09-21 2005-0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US6561158B2 (en) * 2000-10-20 2003-05-13 Nissan Motor Co., Ltd Enhanced engine response to torque demand during cold-start and catalyst warm-up
DE10163022B4 (de) 2001-12-19 2008-12-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für Kraftfahrzeuge. Computerprogramm, Steuer- und/oder Regelgerät sowie Brennkraftmaschine
DE10242115A1 (de) * 2002-01-24 2003-07-3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Steuer- und/oder Regelgerät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Brennkraftmaschine
DE10258507B4 (de) 2002-12-14 2015-01-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Steuergerät hierfür
JP4054711B2 (ja) * 2003-04-21 2008-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変動弁式内燃機関
DE10334401B3 (de) 2003-07-28 2004-11-25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Übergangs zwischen dem Normalbetrieb und dem Betrieb mit Schubabschaltung eines mit Kraftstoff-Direkteinspritzung betriebenen Ottomotors
WO2006096425A2 (en) * 2005-03-03 2006-09-14 General Motors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for transition between controlled auto-ignition and spark ignition modes direct fuel injection eng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25B1 (ko) * 2006-12-12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의 cai 전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0766A1 (de) 2006-05-31
EP1660766B1 (de) 2008-07-16
JP2007533887A (ja) 2007-11-22
ATE401496T1 (de) 2008-08-15
DE10341070A1 (de) 2005-04-07
KR101107479B1 (ko) 2012-01-19
US7328683B2 (en) 2008-02-12
US20070055436A1 (en) 2007-03-08
DE502004007623D1 (de) 2008-08-28
DE10341070B4 (de) 2006-07-27
WO2005024213A1 (de)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479B1 (ko) 직접분사식 스파크 점화 엔진의 전환 제어 방법 및 장치
EP0890738B1 (en) Ignition and combustion control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02677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001767B2 (en) Engine controller
US6058906A (en) Fuel/air ratio contro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122987B2 (ja) 直接噴射式火花点火機関の燃焼制御装置及び燃焼制御方法
EP1322851B1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for a diesel engine
EP2781725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JPH113693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1068347A (ja) 筒内噴射型火花点火式内燃エンジンの制御装置
EP2781726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US73838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transition between normal operation and overrun fuel cut-off operation of an Otto engine operated with direct fuel injection
US65647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direct injection spark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variable compression ratio modes
US9222432B2 (en) Path planning during combustion mode switch
JP2002500725A (ja) 内燃機関の駆動方法
EP0953756B1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4507657A (ja) ガソリン直噴装置を備えた内燃機関における混合気適合方法
US200302249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esel engine
JP4475686B2 (ja) とくに自動車の内燃機関の運転方法
US6792913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mainly intended for a motor vehicle
JP3307306B2 (ja) 内燃機関の燃焼方式制御装置
JP4269114B2 (ja) 筒内噴射型内燃機関
JPH04353267A (ja) エンジン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3890902B2 (ja) 内燃機関燃料供給量設定方法及び装置
JP2005201209A (ja)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