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8133A - 그릴장치 - Google Patents

그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8133A
KR20060078133A KR1020040116829A KR20040116829A KR20060078133A KR 20060078133 A KR20060078133 A KR 20060078133A KR 1020040116829 A KR1020040116829 A KR 1020040116829A KR 20040116829 A KR20040116829 A KR 20040116829A KR 20060078133 A KR20060078133 A KR 20060078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housing
heat transfer
gril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덕
한대성
권용현
김철
강한성
성한준
이태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8133A/ko
Publication of KR2006007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이 조리되며 복수의 그릴파이프를 갖는 그릴부와, 상기 그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각종 부품을 수용하는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그릴부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열히터를 구비한 그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그릴파이프와 상기 전열히터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그릴하우징에 대한 상기 그릴부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그릴파이프와 전열히터가 상호 교차 배치되도록 그릴하우징과 그릴부의 결합이 안내됨에 따라, 그릴파이프와 전열히터가 상호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조리효율이 향상된 그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그릴장치{GRIL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그릴장치에 따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의 그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릴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릴장치 10 : 그릴부
11 : 그릴파이프 12 : 지지프레임
13 : 안내돌기 14 : 안내홈
20 : 그릴하우징 30 : 전열히터
40 : 그릴반사부재 42 : 제1반사면
44 : 제2반사면 46 : 보조반사면
48 : 기름홀 50 : 기름받이
본 발명은 그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릴파이프와 전열히터 가 상호 교차 배치되도록 그릴하우징과 그릴부의 결합이 안내될 수 있는 그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릴(GRILL)이란, 육류나 어패류 등을 석쇠에 올리거나 꼬치에 꿰어 직접 불에 굽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가전제품으로서의 그릴장치는 전기나 가스 등을 이용하여 육류나 어패류 등의 식품을 구울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그 중 전기 그릴장치는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식품을 조리한다. 전기 그릴장치의 본체에는 식품과 직접 접촉하여 조리하는 그릴부가 마련된다. 전열히터의 열은 그릴반사부재에 의해 그릴부로 반사되어 조리에 이용된다.
이러한 그릴장치의 한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9155호에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열을 가하는 복수의 가열부재와, 본체의 상부에 안치되며 조리물이 얹혀지는 그릴파이프를 갖는 그릴부재와,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가열부재의 복사열을 그릴부재로 전달함과 동시에, 그릴부재에 얹혀진 조리물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을 수집하는 열 반사 및 기름 수집부재를 구비한 조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장치에 있어서, 그릴부재와 가열부재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 조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그릴부재와 가열부재가 상호 직교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그릴부재와 본체의 결합을 안내하는 수단이 마련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릴파이프와 전열히터가 상호 교차 배치되도록 그릴하우징과 그릴부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부가 마련된 그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이 조리되며 복수의 그릴파이프를 갖는 그릴부와, 상기 그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각종 부품을 수용하는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그릴부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열히터를 구비한 그릴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릴파이프와 상기 전열히터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그릴하우징에 대한 상기 그릴부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안내수단은 상기 그릴부와 상기 그릴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안내돌기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그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안내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그릴하우징의 상측영역에 함몰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릴부는 상기 복수의 그릴파이프를 둘레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그릴부는 정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릴하우징은 상기 그릴부에 대응하여 상향개구를 갖는 정사각형의 박스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그릴장치 중 전기 그릴장치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하고,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릴장치(1)는, 식품이 조리되는 그릴부(10)와, 그릴부(10)의 하부에 결합되어 각종 부품을 수용하는 그릴하우징(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릴부(10)는 그릴하우징(20)의 최상부에 결합되며, 식품이 직접 접촉하여 조리되는 부분이다. 그릴부(10)는 식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그릴파이프(11)와, 복수의 그릴파이프(11)를 둘레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을 포함한다.
그릴하우징(20)은 상측 개방부에 설치되는 그릴부(10)를 지지하며, 내부에 가열공간을 형성한다. 그릴하우징(20)은 내부에 열원인 전열히터(30)와, 전열히터의 열을 반사시키는 그릴반사부재(40) 및 그릴반사부재(40)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름받이(50)를 수용한다.
전열히터(30)는 그릴하우징(20)의 양 측벽 내부에 설치된다. 즉, 전열히터(30)는 그릴부(10)의 하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전열히터(30)에서 발생된 열은 그릴반사부재(40)에 의해 그릴부(10)로 전달된다.
그릴반사부재(40)는 단면이 대략 'W'자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그릴반사부재(40)는 전열히터(3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반사에 의해 그릴부(10)에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그릴반사부재(40)는 중앙부에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반사면(42)과, 제1반사면(42)에 대향하여 형성된 보조반사면(46)과, 제1반사면(42) 및 보조반사면(46)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제2반사면(44)을 포함한다.
제1반사면(42)은 전열히터(30)의 열방사 방향, 즉 전열히터(3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반사면(42)은 전열히터(30)로부터 발생된 열을 그릴부(10)로 절곡 반사한다.
보조반사면(46)은 전열히터(30)에 인접해 있으므로, 그릴장치(1)의 작동시 가장 뜨거운 부분이 된다. 제1반사면(42)과 보조반사면(46)의 사이에는 식품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등이 모여 통과되는 기름홀(48)이 관통 되어있다. 기름홀(42)을 통과한 기름 등은 기름받이(50)에 수용된다. 보조반사면(46)의 단부에는 후술할 기름받이(50)와 결합되는 측면판부가 절곡 형성된다.
제2반사면(44)은 전열히터(30)의 열방사 방향의 측방에 배치된다. 제2반사면(44)은 전열히터(30)로부터 발생된 열을 그릴부(10)로 절곡 반사하도록 완만한 구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제1반사면(42) 및 보조반사면(46)과 제2반사면(44)을 갖는 그릴반사부재(40)의 하부에는 기름홀(48)을 통과한 기름 등이 모이는 기름받이(50)가 결합된다.
기름받이(50)는 단면의 형상이 대략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만들어진다. 기름받이(50)의 측벽부(52)는 그릴반사부재(40)의 측면판부에 결합하며, 식 품으로부터 발생된 기름이나 찌꺼기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파이프(11)와 전열히터(30)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그릴하우징(20)에 대한 그릴부(10)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수단(13,14)을 더 포함한다.
결합안내수단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부(10)의 지지프레임(12) 양 측방영역에 돌출형성된 안내돌기(13)와, 안내돌기(13)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릴하우징(20)의 상단부 영역에 절취형성되어 안내돌기(13)을 수용하는 안내홈(14)을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가 그릴부(10)를 그릴하우징(20)에 결합시킬 때, 그릴부(10)의 안내돌기(13)가 그릴하우징(20)의 안내홈(14)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결합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부(10)의 그릴파이프(11)이 전열히터(30)에 대해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그릴부(10)이 그릴하우징(20)에 결합된다. 즉 그릴파이프(11)이 직선(b)과 전열히터(30)의 직선(a)이 상호 교차하게 된다.
또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수단인 안내돌기(15)와 안내홈(16)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정사각형 형상의 그릴부(10a)와 정사각형 박스형상의 그릴하우징(20a)을 결합시킬 때, 그릴부(10a)의 그릴파이프(11a)의 직선(b)과 전열히터(30)의 직선(a)이 상호 교차하도록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그릴파이프(11a)의 직선(b)과 전열히터(30)의 직선(a)이 상호 교차되도록 그릴부(10a)와 그릴하우징(20a)을 결합시키는 것이 조리효율을 위해 바람직하 나, 정사각형상의 그릴부(10a)의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그릴파이프(11a)의 직선(b)과 전열히터(30)의 직선(a)이 상호 평행하도록 그릴부(10a)와 그릴하우징(20a)을 잘못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안내수단(15,16)이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미연에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릴장치에 있어서, 이하에서 그릴부(10,10a)를 결합안내수단(13,14,15,16)으로 그릴하우징(20,20a)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부(10,10a)를 그릴하우징(20,20a)의 상향개구를 향해 접근시킨다. 그리고 그릴부(10,10a)의 측방에 형성된 안내돌기(13,15)를 그릴하우징(20,20a)에 형성된 안내홈(14,16)을 따라 삽입시키면, 그릴부(10,10a)가 그릴하우징(20,20a) 상측에 결합된다.
안내수단인 안내돌기(13,15)와 안내홈(14,16)에 의해 그릴부(10,10a)가 그릴하우징(20,20a) 상측에 결합되면,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 2 및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릴부(10,10a)의 그릴파이프(11,11a)의 직선(b)과 전열히터(30)의 직선(a)이 상호 교차된다.
이와 같이, 조리효율의 향상을 위해서, 그릴파이프(11,11a)와 전열히터(30)가 상호 교차배치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사용자의 부주의로 그릴파이프(11,11a)의 직선(b)과 전열히터(30)의 직선(a)이 상호 평행하도록 그릴부(10,10a)와 그릴하우징(20,20a)을 잘못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안내수단(13,14,15,16)이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미연에 방지된다. 즉, 안내수단(13,14,15,16)에 의해 그릴부(10,10a)를 그 릴하우징(20,20a)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편하게 그릴파이프(11,11a)와 전열히터(30)가 상호 교차배치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릴파이프와 전열히터가 상호 교차 배치되도록 그릴하우징과 그릴부의 결합이 안내됨에 따라, 그릴파이프와 전열히터가 상호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조리효율이 향상된 그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식품이 조리되며 복수의 그릴파이프를 갖는 그릴부와, 상기 그릴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각종 부품을 수용하는 그릴하우징과, 상기 그릴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그릴부의 하부에서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전열히터를 구비한 그릴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릴파이프와 상기 전열히터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그릴하우징에 대한 상기 그릴부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안내수단은 상기 그릴부와 상기 그릴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안내돌기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안내돌기를 수용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그릴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안내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그릴하우징의 상측영역에 함몰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기 복수의 그릴파이프를 둘레방향을 따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돌기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정사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릴하우징은 상기 그릴부에 대응하여 상향개구를 갖는 정사각형의 박스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KR1020040116829A 2004-12-30 2004-12-30 그릴장치 KR20060078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829A KR20060078133A (ko) 2004-12-30 2004-12-30 그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829A KR20060078133A (ko) 2004-12-30 2004-12-30 그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133A true KR20060078133A (ko) 2006-07-05

Family

ID=3717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829A KR20060078133A (ko) 2004-12-30 2004-12-30 그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81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3264B2 (en) Toaster oven with low-profile heating elements
KR101544551B1 (ko) 조리기기
KR20040071018A (ko) 조리장치
KR100588135B1 (ko) 조리장치
KR100588164B1 (ko) 조리장치
KR100588136B1 (ko) 조리장치
KR100588158B1 (ko) 그릴장치
KR100588150B1 (ko) 조리장치
KR20060078133A (ko) 그릴장치
KR100588157B1 (ko) 그릴장치
KR100588163B1 (ko) 그릴장치
KR100588161B1 (ko) 그릴장치
JP5074846B2 (ja) グリルを備えた加熱調理器における加熱容器の位置固定構造
JP4644030B2 (ja) 加熱調理器
KR100588159B1 (ko) 그릴장치
JP2010063579A (ja) ホットプレート
JP5578989B2 (ja) 加熱調理器
KR100654833B1 (ko) 조리장치
JP4088931B2 (ja) グリル用焼き網及びこの焼き網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100588162B1 (ko) 그릴장치
KR20180000511U (ko) 수직그릴 조리기
JP4026497B2 (ja) ホットプレート
JPH11337083A (ja) 組合せ式調理器具
JP2005087296A (ja) 焼き調理器具
KR20050031786A (ko) 그릴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