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1054A -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054A
KR20060071054A KR1020040109954A KR20040109954A KR20060071054A KR 20060071054 A KR20060071054 A KR 20060071054A KR 1020040109954 A KR1020040109954 A KR 1020040109954A KR 20040109954 A KR20040109954 A KR 20040109954A KR 20060071054 A KR20060071054 A KR 20060071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point
point
imag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1054A/ko
Publication of KR2006007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 등록 시 해당 지점에 대한 사실적 느낌을 표현한 이미지를 직접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 등록 시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자 지점을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 지점마다 원하는 이미지를 직접 삽입함으로써 자신의 기호에 맞게 사용자 지점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서의 사실적 느낌의 이미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구현된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된 사진일 수도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와의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지점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때 사실감 있는 이미지를 이용하면 훨씬 사용자가 용이하게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지점, 이미지, 사진, 네비게이션

Description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 표시 방법{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POINT OF USER IN TERMINAL IMPLEMENTED NEVIGATION FUNCTION}
도 1a는 종래의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에서 아이콘을 등록하기 위한 화면예시도,
도 1b는 종래의 지도상의 사용자 지점에 대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지점 관리 기능이 구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점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지점 관리 기능에 대한 세부 기능을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에서 사진 등록을 위한 화면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지점 이미지를 불러오는 화면예시 도,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불러온 사용자 지점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된 사용자 지점의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설정된 사용자 지점에 대한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예시도.
본 발명은 사용자 지점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지점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운행중인 자동차내에서 사용 가능하며, 그 개인 항법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를 지도 상에서 표시해줄 수 있고, 현재 위치를 기준점으로 한 그 지역의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소망하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거리 경로를 안내하는 등 운전자를 포함한 사용자에게 각종 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는 그 내부에 지도 데이터가 내장되고, 절대 위 치를 측정하기 위한 절대위치 측정장치가 구비됨으로 인해, 개인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특정 지역의 지도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에서의 현재의 위치 정보,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지도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이미지 방식 또는 문자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제공 방법을 상세 설명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POI(Point of Interest) 정보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문자 방식은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가 지도상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지도 이미지와는 별개로 개략적인 위치, 전화번호 등만을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지도를 보지 못하는 상태에서 문자 정보에만 의존하여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미지 방식을 통해 지도 및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시키도록 할 지라도,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는 지도 이미지와 별도로 출력되게 된다. 즉, 특정 목적지 혹은 관심 지점의 위치는 지도상에 기 설정된 아이콘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은 관심 지점에 대한 표시는 단순하게 문자 또는 기설정된 아이콘을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기설정된 아이콘을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자주 가는 곳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지점을 사용자 지점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도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사용자 지점 등록을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점관리화면에서 사용자는 단지 기 저장된 아이콘 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만이 가능하였다. 즉,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아이콘만을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면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기 설정된 사용자 지점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 지점에 대응하여 저장된 아이콘으로 사용자 지점을 표시한다. 만약 사용자 지점으로 '우리집'이 등록된 경우 종래에는 해당 사용자 지점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하게 집 모양의 아이콘이 표시될 뿐이었다.
한편, 신세대들은 자신의 독특한 개성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의 아이콘을 만들어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함으로써 독특한 재미를 느낄 뿐만 아니라, 요즘의 사용자들의 요구는 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고 세밀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 지점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기 설정된 아이콘 모양만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네비게이션 단말기 출시 시 내장된 아이콘 모양들 중 한정된 아이콘 모양을 선택하여 관심 지점을 등록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된 아이콘 모양에 불편함과 식상함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을 등록함으로서 사용자 지점을 표시하는 방법은 지도 상에서의 지점 표현을 다양하게 표시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으며, 직관적인 인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해당 관심 지점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심 지점 등록 시 아이콘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이미지를 추가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단말기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지점에 대한 사실적 느낌을 표현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점을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대한 직관적인 인지가 용이하도록 사용자 지점을 표시하는 사용자 지점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의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지도 디스플레이 시 상기 지도상에 표시해야 할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사용자 지점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 지점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지점에 대응하여 저장된 사용자 지점 이미지가 있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 결과 해당 이미지가 있는 경우 상기 지도 상의 사용자 지점에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 등록 시 해당 지점에 대한 사실적 느낌을 표현한 이미지를 직접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 등록 시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자 지점을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 지점마다 원하는 이미지를 직접 삽입함으로써 자신의 기호에 맞게 사용자 지점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원 발명에서의 사실적 느낌의 이미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구현된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된 사진일 수도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실사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지점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때 사실감 있는 이미지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훨씬 용이하게 사용자 지점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이 가능한 단말기 내에 구현된 사용자 지점정보 표시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점정보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블록구성도이다.
먼저 제어부(200)는 네비게이션 단말이 사용자가 요청한 경로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고 안내하는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지점으로 지정된 지점에 대한 사실적 느낌을 표현한 이미지를 다운로드받아 이를 메모리(23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사용자 가 지점 관리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21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사용자 지점의 용도, 사용자 지점 이미지, 사용자 지점의 위치 정보 등에 대하여 기본틀로서 구획을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각 기본틀에 대하여 편집 가능한 기능을 표시부(21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제어부(200)는 사용자 지점 관리 화면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기본틀을 제공하고 이 기본틀에 대한 편집 가능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지점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 사용자 지점 편집 기능, 사용지 지점 삭제 기능을 구현한다. 먼저,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은 사용자가 사용자 지점을 등록하는데 있어서 기본틀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지점 등록을 위해 표시되는 기능으로써는 사용자 지점의 용도, 사용자 지점 이미지, 사용자 지점의 위치 정보 등의 있다. 이를 하나의 화면에 각각 구분하여 배치하고,사용자에게 사용자 지점 등록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좀 더 수월하게 사용자가 사용자 지점을 등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의 세부 기능으로는 사용자 지점의 용도, 사용자 지점 이미지, 사용자 지점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의 세부 기능의 하나로써 사용자 지점 용도의 등록 기능은 사용자 지점으로 등록할 지점의 성격에 따라 예를 들면, 가정집, 사무실, 빌딩, 유적지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자 지점의 용도를 지정하기 위한 기능이다. 이어 사용자 지점 이미지 등록 기능은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실제 해당 이미지를 불러오는 기능이다. 이러한 사용자 지점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지점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지점을 대표하는 사진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지점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그 용도에 따른 사실적인 느낌의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해당 지점의 실제 사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지점의 위치 정보 등록 기능은 지도상에서 사용자가 자주 가능 지점 또는 원하는 특정 지점에 대한 상세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위치 정보 등록 기능을 통해 지도상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 지점 편집 기능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사용자 지점을 편집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편집 기능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사용자 지점에 대해 그 용도, 이미지, 위치 정보 등의 사용자 지점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 지점 삭제 기능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사용자 지점을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그 세부 기능으로는 선택한 사용자 지점만을 삭제하는 기능, 전체 사용자 지점 삭제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부(200)에서의 사용자 지점의 이미지 등록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200)는 사용자 지점 등록 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지점에 대한 이미지 등록에 대한 요구가 있으면 해당 이미지 리스트를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리스트 중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선택이 있으면, 제어부(200)는 이러한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이미지를 메모리(23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지점 등록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등록 완료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지점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이 후 사용자에 의해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동되면 제어부(20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지도상의 범위에 기설정된 사용자 지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지점이 존재한다면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이미지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검색된 이미지를 표시부(210)상의 지도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내에서 해당 사용자 지점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지도의 축적이나 화면의 크기를 고려해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지점 이미지 등록 및 이를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표시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키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표시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표시부(210) 상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기능 구동 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지도가 디스플레이되며, 그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할 사용자 지점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 지점에 대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키입력부(220)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즉, 키입력부(220)는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키입력부(220)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200)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 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20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220)는 네비게이션이 가능한 단말기의 성격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수키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3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230)에는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웹에서 다운로드받은 사용자 지점에 대한 디스플레이할 사실적인 느낌의 이미지 또는 사진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처리부(240)는 전반적인 네비게이션 조작 및 경로 안내에 대한 음성 안내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 분석에 따른 기능을 조작하는 음성인식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점을 관리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지점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지점 관리 기능에 대한 세부 기능을 나타낸 화면예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에서 사진 등록을 위한 화면예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지점 이미지를 불러오는 화면예시도이고 , 도 4d는 본 발명에 따라 불러온 사용자 지점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지점 관리 모드로 진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 사용자 지점 편집 기능, 사용자 지점 삭제 기능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지점 관리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305단계에서 지점 관리 메뉴 중 사용자 지점 등록 메뉴를 선택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지점 등록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 지점 등록 메뉴에 대한 서브메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 사용자 지점의 용도, 사용자 지점 이미지 등록 등의 사용자 지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메뉴가 있다. 따라서, 지점 관리 메뉴 중 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지점 등록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20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지점 설정을 위한 위치를 지정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31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위치 지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위치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20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지점 정보 및 그 지점에 대응하는 사진 등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위치 정보 입력 이외의 사용자 지점의 용도 등 상세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그 사용자 지점에 맞는 사용자 지점 이미지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만약, 도 4b에 도시된 사용자 지점 등록 화면 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지점 이미지를 등록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210) 상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 저장된 이미지를 불러오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4b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지점의 용도를 '유적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그 사용자 지점에 대한 사진을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지점 이미지는 그 사용자 지점을 나타내는 사진일 수도 있으며, 그 사용자 지점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실제적인 느낌을 표현한 이미지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4b에 도시된 사진 등록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화면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 검색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나서 사용자가 이미지 검색 화면을 통해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게 되면, 화면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사진이 미리 입력된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325단계에서 사용자 지점 이미지 및 그 사용자 지점에 대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판단결과 입력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200)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사용자 지점에 대한 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사진을 함께 저장한다.
만약, 305단계에서 지점 관리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지점 등록 메뉴가 아닌 경우 제어부(200)는 33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지점 편집 메뉴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지점 편집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00)는 340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 지점의 리스트를 사용자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345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지점 리스트 중 편집할 어느 하나의 사용자 지점 선택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선택된 사용자 지점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35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사용자 지점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부(21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사용자 지점 편집 화면에는 기 등록된 사용자 지점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지점 이미지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며, 그 화면의 구성은 도 4b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제어부(200)는 33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 지점 편집 메뉴가 아닌 경우 35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지점 삭제 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지점 삭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360단계로 진행하여 화면을 통해 미리 등록되어 저장된 사용자 지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365단계에서 삭제할 사용자 지점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삭제할 사용자 지점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00)는 37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사용자 지점에 대한 모든 정보를 삭제한다.
한편, 전술한 사용자 지점을 관리하기 위한 설정이 완료되면 메모리(230)에는 등록 또는 편집이 완료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지점이 저장된다. 그러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사용자 지점이 적용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된 사용자 지점의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인 도 5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설정된 사용자 지점에 대한 사진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예시도인 도 6을 참 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200)는 5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동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동되면, 제어부(200)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지도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화면에 지도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52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이동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의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200)는 53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이동에 따라 화면 상의 지도를 갱신하면서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만큼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지도를 갱신하면서 표시하는 도중에 제어부(200)는 540단계에서 지도 갱신 시 표시해야 할 지도 범위 내에 사용자 지점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지도 상에 표시해야할 사용자 지점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지도 범위내에 표시해야할 사용자 지점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550단계로 진행하여 그 사용자 지점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지점 이미지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사용자 지점 이미지 예를 들어, 사용자 지점의 인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사진 등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560단계로 진행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가 표시되는 화면 상에 기 설정된 사용자 지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지점 등록 화면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나, 사용자 지점 등록 시 보다 다양한 화면이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편화에 따라 사용자의 특화 욕구에 부합하도록 사용자 지점의 이미지를 실감나는 이미지로 직접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지점을 선택함에 있어 직관성을 높여 네비게이션 기능 사용 시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 지점 이미지에 의해 해당 지점의 식별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의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지도 디스플레이 시 상기 지도상에 표시해야 할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사용자 지점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 지점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지점에 대응하여 저장된 사용자 지점 이미지가 있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 결과 해당 이미지가 있는 경우 상기 지도 상의 사용자 지점에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점 이미지는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해당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점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지점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상기 사용자 지점을 대표하는 사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점 이미지는
    상기 단말기 내에 구현된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된 사진 및 통신을 통해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실사 이미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점 관리 메뉴 선택 시 사용자 지점 관리를 나타내는 세부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세부기능 중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이 선택되면 사용자 지점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지점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지점에 대한 성격을 나타내는 용도, 상기 사용자 지점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 지점에 대한 실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기능은
    사용자 지점 등록 기능, 사용자 지점 편집 기능, 사용자 지점 삭제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109954A 2004-12-21 2004-12-21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표시 방법 KR20060071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954A KR20060071054A (ko) 2004-12-21 2004-12-21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954A KR20060071054A (ko) 2004-12-21 2004-12-21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054A true KR20060071054A (ko) 2006-06-26

Family

ID=3716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954A KR20060071054A (ko) 2004-12-21 2004-12-21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10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36B1 (ko) * 2007-04-27 2009-09-11 (주)컨버전스스퀘어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1455987B1 (ko) * 2007-12-21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이것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459A (ko) * 1997-11-24 1999-06-15 윤종용 전자 지도상의 이미지 파일 표시방법
JP2000221044A (ja) * 1999-01-28 2000-08-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自動車用普及型コンピュ―ティング・クライアントにおいてリアル・タイム・ビジュアル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1036840A (ja) * 1999-07-19 2001-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地図を用いた撮影画像管理方法及び撮影画像再生方法及びそれらの装置
JP2004120372A (ja) * 2002-09-26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管理装置及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459A (ko) * 1997-11-24 1999-06-15 윤종용 전자 지도상의 이미지 파일 표시방법
JP2000221044A (ja) * 1999-01-28 2000-08-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自動車用普及型コンピュ―ティング・クライアントにおいてリアル・タイム・ビジュアル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1036840A (ja) * 1999-07-19 2001-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地図を用いた撮影画像管理方法及び撮影画像再生方法及びそれらの装置
JP2004120372A (ja) * 2002-09-26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管理装置及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36B1 (ko) * 2007-04-27 2009-09-11 (주)컨버전스스퀘어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1455987B1 (ko) * 2007-12-21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이것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5803B2 (en) Graphic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EP2075545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points of interest
CA2631862C (en) Method and system for a user input solution for a limited telecommunication device
JP4230134B2 (ja) 通信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688581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80098517A (ko) 메뉴 옵션들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 센시티브 스크린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0926681B1 (ko) 네비게이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818078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531358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この装置のためのデータ入力制御方法
KR200300217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60071054A (ko) 네비게이션 기능이 구현된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점정보표시 방법
KR20040091987A (ko) 이전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웹-사이트를 표시하는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JP4417791B2 (ja) 地域案内システム
JP5868082B2 (ja) 地図表示装置
JP5623731B2 (ja) 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33858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916536B1 (ko)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JP5097637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300093B2 (ja) 情報受信端末装置
JP2006003664A (ja) 地図表示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30152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0306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계시간 표시방법
US200402330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pecifying a location using a wireless device
JP523266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地点データ更新プログラム
JP4324166B2 (ja) スクロール機能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機を用いた経路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