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466A -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466A
KR20060070466A KR1020050126001A KR20050126001A KR20060070466A KR 20060070466 A KR20060070466 A KR 20060070466A KR 1020050126001 A KR1020050126001 A KR 1020050126001A KR 20050126001 A KR20050126001 A KR 20050126001A KR 20060070466 A KR20060070466 A KR 20060070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rope
reservoir
processing
product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헬름 크리스트
Original Assignee
덴 마쉬넨 (비.브이.아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 마쉬넨 (비.브이.아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덴 마쉬넨 (비.브이.아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7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in roped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propelled by, or with the aid of, jets of the tre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처리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수용을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품 저장기를 포함하는 폐쇄된 용기에서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을 처리하는 방법에서, 이송 방향으로의 구동 운동은 기체 이송 매체 유동에 의해 직물 제품에 제공되고, 상기 이송 매체는 이송 노즐 수단을 통해 제품 로드에 작용한다. 직물 제품은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품 저장기에 할당된 각자의 이송 노즐 수단을 통과한다. 상기 이송 노즐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직물 제품은 선택적으로 상기 각각의 할당된 제 1 제품 저장기 내로 또는 상기 제 1 제품 저장기에 인접한 제 2 제품 저장기 내로 도입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 저장기에서는 상기 직물 제품을 상기 제품 저장기로부터 멀리 운반하는 예정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직물 제품, 이송 매체, 이송 노즐 수단, 제품 저장기, 경로

Description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ropelike textile goods}
도 1은 고온 침염 기계 형상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도 및 제품 저장기에 병렬 접속시 개략도.
도 2는 제품 저장기에 일렬로 접속시 도 1에 따른 장치의 상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단면도에서 개별 블로어의 이송 세그먼트의 선회 영역 및 제품 저장기의 배치와 관련한 각도 관계를 도시하는, 도 2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IV-IV을 따라 절단된, 도 1에 따른 장치의 측면의 간략한 개략도.
도 5는 블로어 임펠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 4에 따른 장치의 단면의 평면도.
도 6은 이송 노즐에 로프 공급 및 편향 롤러의 구동 또는 공회전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4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편향 롤러의 구동 또는 공회전을 도시하는, 도 6에 따른 장치의 간략한 평면도.
도 8은 방법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보조 장치를 도시하는, 순환 및 연속 작 동을 위해 일렬로 접속된 9개의 제품 저장기와 대응 유동 원리에 따라 세척 및 워싱 배스의 회로를 포함하는 고온 침염 기계로서 변형된 실시예의 도 2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워싱 처리 후 제품 습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부가 장치를 포함하는, 도 7에 따른 장치의 상응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 : 중간 저장기 27 : 가이드 배플
1 : 처리 용기 28 : 유동 채널
2 : 보일러 헤드 30 : 밀봉립
3 : 측벽 31 : PTFE 평판 프로파일
4 : 베이스벽 34 : 지지링
6 : 내부 커버 37 : 직물 제품 유입부
7 : 로프 유입 개구 39 : 유입부 노즐부
8 : 로프 유출 개구 40 : 확산기
14 : 점유 레벨 센서 43 : 이송관
15 : 스토퍼 47 : 처리제 공급 라인
17 : 소켓 연결부 49 : 트러스트 로드
20 : 링플랜지 52 : 편향 롤러
21 : 블로어 유닛 55 : 톱니 벨트
23 : 임펠러 하우징 70 : 염료 필터
24 : 방사방향 블로어 임펠러 71 : 분사 펌프
25 : 전기 모터 79 : 차단 밸브
26 : 샤프트 밀봉부 83 : 조절 밸브
I-VI : 제품 저장기 620 : 완충 장치
631 : 깔때기부
본 발명은 처리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직물 제품의 수용을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품 저장기를 포함할 수 있는 폐쇄된 용기에서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송 방향으로의 구동 운동은 기체 이송 매체 유동에 의해 직물 제품에 분배되고, 상기 이송 매체는 이송 노즐 수단을 통해 제품 로드에 작용한다.
상기 공기역학 시스템에 따라 작동하는 제트 처리 장치, 또는 제트 또는 노즐 염색기는 실제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이송 노즐에 작용하는 이송 수단이 처리액이 아니라 기체 이송 수단임을 통해 유압식 제트 처리기와 구별된다. 이에 따라, 유압식 제트 처리기에서의 상태는 바로 제트 또는 노즐 처리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처리 시스템은 공기 역학 원리에 딸 작동한다. 공기 역학적 원리에 따른 제트 처리기에 대한 예들은 몇 가지 개념을 명명하기 위해 EP 0 133 897 및 DE C2 198 13 593 에 기술되어 있다. DE C2 198 13 593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식의 처리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에서 폐쇄 가능한 처리 용기는 적어도 두 개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품 저장기에 제공되고, 상기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 의해 그 자신의 무한한 제품 로드의 수용이 정해지고, 상기 로프는 제품 용기에 의해 할당된 이송 노즐 수단에 의해 순환하고 이송 노즐 수단으로부터 유출구, 즉 제품 용기 내로 유입시 평평하게 접힌다. 병렬 작동하는 제품 용기의 이송 노즐은 공통 블로어의 송출면과 나란히 연결되고, 상기 블로어는 처리 용기로부터 나온 수증기-공기 혼합물을 흡입하여 이송 매체로서 이송 노즐로 이송한다. 다수의 축방향으로 나란히 있는 제품 저장기의 경우 개별 제품 저장기의 병렬로 놓인 이송 노즐의 적어도 거의 동일한 작용을 얻기 위해 이송 매체 분배 채널에 특히 사전 조치가 필요하다.
실시예에서 처리 용기의 길이에 걸쳐 분포하고, 다수의 제품 저장기를 구비하고, 이로써 동시에 무한 직물 로프의 상응하는 수를 서로 무관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무한 로프 형태의 직물 재료의 습윤 처리를 위한 DE C2 41 19 152 호에 공지된 다른 장치에서, 각각의 제품 저장기가 제품 배출 측면에 편향 롤러와, 이에 연결되는, 링 노즐로 형성된, 로프 배출부가 동일한 제품 저장기 내로 통하는 이송 노즐이 다음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이송 노즐의 배출 측면에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제품 저장기로 안내하는 안내관이 연결되고, 상기 안내관은 제품 로드의 평평한 접힘을 위한 횡방향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노즐은 자신의 방사방향 블로어를 통해 기체 이송 매체를 공급받고, 상기 매체는 처리 용기의 내부로부터 방사방향 블로어의 하우징에 있는 바닥측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고 접선의 배출부를 통해 이송 노즐로 안내된다. 각각의 방사방향 블로어는 수직 축 방향으로 처리 용기의 재킷에 있는 커버 개구에 삽입된다.
상기 장치에 의해 단일 로프 처리만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공기 역학 원리에 따라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것으로, 방법 기술적인 장점을 달성하면서 간단한 구조적 실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청구범위 제 6 항의 대상이다.
신규 방법에서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은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 유입되기 전에, 상기 제품 저장기에 할당된 그 자신의 이송 노즐 수단을 통과하고 상기 이송 노즐 수단으로부터 배출시 선택적으로 상기 이송 노즐 수단에 할당된 제품 저장기 또는 상기 제품 저장기에 인접한 제품 저장기에 유도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 저장기의 경우에는 상기 제품 저장기로부터 직물 제품을 이송하는 정해진 경로를 따라 안내된다.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서 그 자신의 무한 로프는 적어도 처리 기간의 일부 동안 순환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예로서 무한 로프는 각각의 제품 저장기로부터 상기 제품 저장기에 인접한 제품 저장기에, 그리고 상기 제품 저장기 및 경우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제품 저장기를 통과한 후 다시 제 1 제품 저장기로 리턴될 수 있으며, 무한 로프는 그것이 지나가는, 개별 제품 저장기의 이송 수단에 의해 순환된다.
상응하게 신규 장치에서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 그 자신의 이송 노즐 수단이 할당되고 상기 이송 노즐 수단은, 그것의 로프 배출부가 선택적으로 각각 할당된 제 1 제품 저장기 또는 상기 제품 저장기에 인접한 제 2 제품 저장기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 저장기로부터, 생겨난 제품 로드를 수용하는 장치에 제공되도록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품 저장기의 이송 노즐 수단에 그 자신의 블로어가 할당되고, 블로어에 실질적으로 수직의 임펠러 축이 배치되고 블로어 임펠러 축은 모든 제품 저장기에서 적어도 공통적인 수직 평면에 놓이는 경우 특히 간단한 특성이 얻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별 제품 저장기의 이송 노즐 수단은 서로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장치는 제품 저장기의 이송 노즐 수단과 결합되고 이송 노즐 수단을 선회 가능하게 하는 선회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로프 귀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 저장기의 이송 노즐 수단의 로프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로프를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리턴 장치에 의해, 로프 이송 방향으로 볼 때 선행하는 제품 저장기를 향한 로프 리턴 경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품 저장기(저장 유닛)는 서로 평행하게 접속될 수 있으므로, 현재 사용하는 제트 처리기처럼, 단일 로프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품 저장기는 앞뒤로 나란히 접속될 수 있고, 이로써 전류, 열 및 물은 물론 개별 로프 처리에 비하여 높은 출력값의 소비 가치에서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저장기 유닛의 전후 접속은 배취(batch) 준비시 그리고 직물 제품을 포함하는 처리 용기의 로딩 시 절감 또는 더 짧은 로딩 타임이 야기된다. 왜냐하면, 앞뒤로 병렬 접속된 다수의 저장기가 로딩될 수 있고, 개별 로프를 서로 결합시키는 배취 전체에 매우 적은 수의 납땜만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처리 용기 내에 6개의 제품 저장기가 있는 장치의 경우 앞뒤로 병렬 접속된 3개의 제품 저장기가 로딩될 수 있고, 상기 6개의 저장기에서 배취 전체에 있어서 직물 로프 내의 2개의 납땜만 필요하다.
실행된 처리 방법 및 장치의 크기 또는 제품 저장기의 수에 따라 제품 저장기의 앞뒤 접속은 순환하는 로프용 순환 시스템으로 또는 유입 및 유출 로프를 갖는 연속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다. 장치의 상기 작동 모드에서 직물 제품에 대해 염색 방법 등뿐만 아니라 워싱 및 표백 과정이 실행될 수 있고, 처리 용기는 그 원주의 일부에 걸쳐 밀봉된 채 처리 용기 내벽에 접하는 중간 벽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저장기를 포함하는 처리 구역에서 분할되는 경우, 처리 구역에서 상이한 방법의 실행 및 상기 구역에 있는 저장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세척 및 워싱 염료 배스의 역류에 의해 단독 로프 처리시 비율에 비하여 세척수 필요량이 약 40% 까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변형예가 종속 청구범위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대상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된다.
도 1 내지 7은 실린더형 보일러로 형성된 처리 용기(1)를 포함하는 고온 침염기 형상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고, 상기 처리 용기는 양 단부면에서 용 접된 오목한 보일러 헤드(2)에 의해 압밀 방식으로 페쇄된다. 처리 용기(1)에 도 1, 2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6개의 제품 저장기가 제공되고, 이것은 I 내지 VI로 도시된다. 각각의 제품 저장기(I-VI)는 두 개의 평행한 측벽(3) 및 베이스벽(4)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베이스벽은 예컨대 도 1,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3)과 결합된다. 베이스벽(4)은 평행하게 배치된 PTFE 로드에 의해 슬라이딩 베이스로 형성되거나 또는 PTFE 타일로 디자인됨으로써 공지된 방식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실시예는 도 4에서 도면부호 5로 도시된, 처리 용기(1)의 베이스벽(4) 하부 공간에 처리 염료이 과도하게 흘러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제품 제한 벽으로도 도시된 측벽(3)은 그 내측면에 각각 PTFE 코팅 또는 가이드 프로파일의 중실 평탄부로 형성되고, 따라서 베이스벽(4)의 경우에서처럼 마찰 감소 구조가 얻어진다. 측벽(3)은 내부 커버(6; 도4)와 연결되고, 따라서 제품 저장기는 실질적으로 U 형태의, 로프 유입 개구(7)와 로프 유출 개구(8)를 포함한 디자인을 갖는다. 제품 저장기(I-VI)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 동일한 축방향 제품 저장기 폭을 갖고, 상기 폭은 처리 용기 직경에서 2200 mm, 전형적으로 800 mm 일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제품 저장기(I-VI)의 측벽(3)은 9로 도시된 처리 용기 종축선에 대해 기울어져 연장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측벽은 평면도에서 처리 용기 종축선과 함께 각도(10)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에 12로 도시된, 용기 외벽과 처리용기 종축선(9)에 직각으로 연장된 횡방향 평면에 대한 보각(11)이 상응한다. 실질적인 실시예에서, 각도(11)는 대형 배치에서 약 12.5°내지 15°이지만,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처리 용기(1)의 치수와 도 3에 도면부 호 13, 13a 로 도시된 축방향 제품 저장기 폭에 따라서 다른 각도 값도 가능하다.
로프 배출 측면에 대략 로프 배출 개구(8) 하부의 각각의 제품 저장기(I-VI)에서 점유 레벨 센서(14;도 4)가 배치되고, 상기 센서는 제품 저장기에서 로프 제한을 위한 신호를 송출한다.
각각의 제품 저장기(I-VI)에 제거 가능한 압밀 방식 스토퍼(15)로 폐쇄된 로딩 및 언로딩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는 대략 처리 용기(1)의 수평 직경 평면(16) 높이에 배치된다. 처리 용기(1)의 하측면에 염료 픽업 용기(171)가 제공되고, 상기 염료 픽업 용기는 용기 내부 챔버와 연결되고 직물 제품을 흐르는 처리제(염료)의 수용한다.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서 이동되는 제품이 제품 외부에 놓인 염료 레벨과 접촉하지 않고 염료 픽업 용기(171)의 내용물은 전체 염료량이 직물 제품이 포함하는 염료 부분을 제하고 흡수될 수 있도록 설정되고, 이러한 상태는 차후에 공급될 액체(liquor formation)에도 적용된다.
각각의 제품 저장기(I-VI)의 경우 로프 유입 개구(8)의 상부와 간격을 두고 처리 용기(1)의 재킷과 용접된 실린더형 소켓 연결부(17)가 용기 내부에 안내되고, 상기 소켓 연결부는 그 축선(18)이 수직으로 향하고 도 3에 도면부호 19로 도시된, 할당된 제품 저장기의 대칭 중앙 평면에 놓인다. 소켓 연결부(17)는 단부측으로 링 플랜지(20)를 지지하고, 상기 링 플랜지 상에 블로어 유닛(21)이 장착된다. 블로어 유닛(21)은 임펠러 하우징(23)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 하우징은 수직 회전 축선(18)을 중심으로 순환하고 하우징 상부(22)에 배치된 전기 모터(25)와 결합된 방사방향 블로어 임펠러(24)를 포함한다. 전기 모터 (25)는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 작동용 회전 모터이고, 상기모터는 각각의 필수 이송 전류의 조절을 위해 설계된다. 상기 모터의 샤프트는 샤프트 밀봉부(26)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대해 밀봉된다. 임펠러 하우징(23)에 나선형 가이드 배플(27;도 5)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배플은 블로어 임펠러(24)에 의해 이송된 기체 매체를 회전 축선(18)에 대해 동축인 외부 유동 채널(28)로 전환시키고, 상기 유동 채널은 임펠러 하우징(23)에 대한 압력측 연결부를 제조한다.
블로어 유닛(21)의 하우징 하부를 형성하는 소켓 연결부(17)에 방사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삽입된 내부 재킷(29)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내부 재킷은 회전 축선(18)에 대해 동축으로 향해 있다. 내부 재킷(29)은 예컨대 홈 커프로 형성된 밀봉립(30)에 의해 가장자리 측으로 링 플랜지(20)에 대해 밀봉되고, 예를 들어 PTFE 평판 프로파일(31)에 의해 링 플랜지에 방사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방향으로 걸릴 수 있다. 회전 축선(18)에 대해 동축으로, 재킷(29)에 내부에 놓인, 흡입 원추가 장착된 유동 채널(33)이 연장되고, 상기 채널은 흡입 채널로서 불로어 임펠러 유입부에 안내되어 그 반대편 단부에서 처리 용기(1)의 내부로 통한다. 내부에 놓인 유동 채널(33)은 재킷(29)에 의해 외부 유동 채널(28)의 실린더형 연장부(28a)를 제한한다. 따라서 블로어 유닛(21)에 두 개의 중심으로 놓인 수직 유동 채널(28, 28a)이 형성되고, 흡입 채널로서 이용되는 유동 채널(33)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도 4) 내부 재킷(29)에 대해 차단된다.
블로어 유닛(21)은 전체적으로 링 플랜지(22)로부터 제거되고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파워 또는 이송 특성의 블로어 유닛(21)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소켓 삽입부(17) 및 용접 플랜지로서 형성된 링 플랜지(20)는 동일하기 때문에, 블로어 유닛의 교체시 블로어 임펠러(24) 및 임펠러 하우징(23)만 다양한 크기로 단계화되어야 한다.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재킷(29)과 동심 지지링(34)이 프로파일(36;도 6)에 의해 회전 불가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링 노즐로 형성된 이송 노즐(38)의 관상 직물 제품 유입부(37)를 지지한다. 직물 제품 유입부(37)는 유입부 노즐부(39)에 안내되고, 상기 유입부 노즐부는 확산기(40)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링갭을 제한하고, 상기 링갭은 노즐 하우징(41)에 놓이고, 상기 노즐 하우징은 내부 재킷(29)에 용접되어 이송 매체가 공급되는 외부 유동 채널(28)과 연결된다. 노즐 하우징(41)에 노즐부(39)에 대해 동축인 PTFE로 이루어진 이송관(43)에 적합한 스토퍼에 의해 상기 노즐 하우징에 고정된 지지 하우징(42)이 연결되고, 확산기(40)가 상기 이송관 내로 통한다. 지지 하우징(42)은 접하는 이송관(43)을 위한, 회전 고정식 휘어지지 않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에 보다 큰 직경의 유입부 커브(44)가 배치되고, 상기 커브는 이송관(43)과 함께 이송 세그먼트을 형성하고,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된 로프를 예컨대 제품 저장기에 도입할 수 있다. 이송관(43)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평으로 약 10°의 각도로 약간 상승하여 배치된다. 상기 이송관의 유입부 커브(44)는 제품 저장기 유입 개구(7)의 에지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통한다.
실린더형 노즐 하우징(41)에 상기 하우징의 축선 둘레로 분포된 분사 노즐(45)이 통하고, 상기 노즐은 가요성 PTFE 특수강 섬유 호스(46)에 의해 처리제 공 급 라인(47)과 연결된다. 분사 노즐(45)은 분무 노즐로서 노즐부(39)와 확산기(40) 사이에 형성된 링갭을 향해 작용하므로, 처리제 분사 유동이 이송 노즐(38)을 통과하는 로프에 균일한 작용이 달성된다.
노즐 하우징(41)의 하측면에 컨틸레버 암(48)이 고정되고, 상기 암은 트러스트 로드(49)와 경첩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트러스트 로드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용기(1)의 축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50에서 오목한 보일러 헤드(2)에 의해 밀봉된다. 트러스트 로드(49)는 공기압 행정 실린더(51)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는 나선 스핀들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행정 실린더(51)의 작동은 블로어 유닛의 수직 회전 축선(18)을 중심으로 이송 노즐(38) 및 이송 세그먼트(43/44)의 선회을 일으킨다. 예컨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트 로드(49)는 모든 블로어 유닛(21)의 컨틸레버 암(48)과 결합되기 때문에, 행정 실린더(51)의 작동시 모든 제품 저장기의 이송 노즐 및 이송 세그먼트은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각각의 수직 선회 축선(18)을 선회 한다. 따라서 이들은 서로 고정 결합된다. 또한, 다른 블로어 유닛(21)의 이송 노즐(38)과 이송 세그먼트(43/4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다른 블로어 유닛은 도 1 및 2에 0으로 도시된, 일측면으로 오목한 보일러 헤드(2)에 의해 제한된 삽입 저장 챔버에 재치되고, 또한 이것은 더 상세히 도시된다.
각각의 이송 노즐(38)의 제품 유입부(37) 하부에, 처리 용기(1) 내에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하도록 지지된 편향 롤러(52)가 배치되고, 상기 편향 롤러(52)는 선택적으로 처리 용기 내의 모든 제품 저장기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제품 저장기 또는 제품 저장기 그룹마다 각가 하나의 자신의 편향 롤러(52)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편향 롤러(5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용기(1)에 배치된, 예컨대 자성 결합으로 형성된 커플링(53)에 의해 톱니 벨트 구동기(54)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의 톱니 벨트(55)는 보호 박판으로 고정되고 처리 용기(1)로부터 연장되고 기어장치 모터(56)에 의해 구동된다. 편향 롤러(52)는 일반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상기 표면에 회전 속도 감시 장치가 할당되고, 상기 장치는 로프 행정을 감시한다. 편향 롤러(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되는 권양기에 의한 보조 없이 고정적인 제품 행정을 일으킨다. 상기 편향 롤러는 이송 노즐(38)에 대해 수직의 제품 유입을 일으키고,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블로어 유닛(21)을 향한 흡입 유동은 제품 유입을 보조한다. 일반적으로 편향 롤로(52)는 자유 회전한다. 제품 정지시 편향 롤러의 의도적인 일시적 구동은 로프를 자유롭게 당겨야 한다. 이것은 자유 회전하는 편향 롤러(52)가 커플링(53)에 의해 구동 모터(56)와 결합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6에 이송 노즐(38)로의 로프 유입부의 다소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자유 회전하는 편향 롤러(52)와 제품 유입부(37)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자유 회전하는 다른 가이드 롤러(57)가 제공된다.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향 선회 위치에서 가이드 롤러(57)는 로프 유입부에 삽입되지 않는다. 파선으로 도시된 하강 선회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편향 롤러(52)의 랩각(wrap angle)을 확장하고, 이로써 로프의 틈에 있는 염료의 제거가 개선되고 이로써 로프에 의해 이송 노즐(38)로 삽입된 염료가 감소된다. 경우에 따라서, 정격 속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자유 회전하는 편향 롤러(52)의 구동이 전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52)의 조절은 58에서 도시된 공기압 행정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 1, 2는 블로어 유닛(21)을 도시하고, 상기 블로어 유닛은 할당된 이송 노즐(38), 모든 저장기(I-VI)와 중간 저장기의 이송 세그먼트(43/44)을 포함하고, 그들의 수직 선회 축선(18)에 의해 용기 종축선(9)에 대해 평행한 공통의 평면(59)에 놓인다. 용기 종축선(9)으로부터 모든 선회 축선(18)의 간격(60;도 3)은 동일한 크기이다. 또한, 이미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이송 노즐(38)의 선회 축선(18)은 할당된 저장기의 수직 중앙 평면(19)에서 연장된다. 또한, 인접한 선회 축선(18)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다. 62에서 도시된 각각의 이송 노즐(38)의 선회 각도 범위는 제 1 위치에서 이송 노즐(38)과 이에 접속된 이송 세그먼트(43/44)이 선회 축선(18)을 교차하는 그들의 수직 중심 축선에 의해 각각의 제품 저장기(I-VI)의 중앙 평면(19)에 그리고 중간 저장기(0)에, 상기 평면(19)에 대해 평행한 평면(19a)에 놓이도록 선택되고, 상기 평면(19a)은 측벽(3)과 마주 놓인 측면 상에 있는 할당된 제품 저장기 수직 중앙 평면(19)처럼 인접한 제품 저장기 측벽(3)과 동일한 축방향 간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세팅은 도 1에 도시된다.
행정 실린더(51)의 적절한 작동에 의해 세팅될 수 있고 선회 영역(62)의 반대편 단부에 놓인 이송 노즐(38)의 제 2 위치에서, 도 1과 관련된, 해당 이송 세그먼트(43/44)을 포함하는 모든 이송 노즐(38)은 좌측으로, 특히 즉 제 1 제품 저장기에 놓인 각각의 이송 노즐(38)의 유입부 커브(44)는 중앙에서 인접한 제 2 제품 저장기에 연결될 때까지 선회 된다. 즉, 유입부 커브(44)의 로프 유입 개구는 구 중심점에 의해 제 1 제품 저장기의 수직 중심 평면(19)에 놓인다. 따라서, 로프는 제 1 제품 저장기로부터 인접한 제 2 제품 저장기로 이송된다.
오목한 보일러 헤드(2)에 인접한, 도 2, 3의 좌측 제품 저장기(VI)의 이송 노즐(38) 및 이송 세그먼트(43/44)은 상기 선회 위치에서 유입부 커브(44)와 함께 관형 완충 장치(620;도 4)에 안내되고, 상기 완충 장치는 오목한 보일러 헤드(2)와 이에 인접한 제품 저장기 측면 사이의 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완충 장치의 입구는 상기 챔버로 유입된 유입부 커브(44)의 입구와 일직선으로 놓인다. 리턴 완충 장치(620)는 처리 용기(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그리고 상기 처리 용기의 외부에 배치된 로프 리턴관(63)으로 통한다. 상기 리턴관은 깔때기부(631)를 지나 중간 제품 저장기(0)의 하부로 통한다. 이송 노즐(38)의 상기 위치 및 해당 이송 세그먼트(43/44)은 도 2, 3에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영역(62)은 상응하는 선회 축선(18)을 통해 연장된 횡방향 평면(12)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로써 제품 저장기 측벽(3)의 경사 위치와 함께, 도 1의 세팅시 및 도 2에 따른 세팅시 각각의 이송 노즐(38)의 유입부 커브(44)는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서 항상 중앙으로 연결되는 것이 달성된다. 유입규 커브(44)의 로프 유출 개구의 중심점은 항상 공통의 수직 평면(630)에 놓이고, 상기 수직 평면은 처리 용기 종축선(9)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도 1에 따른 세팅 및 도 2에 따른 세팅에 대해 제품 저장기 내의 동일한 평평한 접힘이 달성되고, 이것은 적절한 제품 행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선회 영역(62)은 제품 저장기 측벽(3)의 경사 위치에 맞게 조정된다. 이것 은 도 3에 도시된, 평면(12, 19) 사이의 각도(11)의 두 배이다.
도 3은 동일한 처리 용기 직경(64)과 동일한 블로어 간격(60)에서 제품 저장기 폭(13 또는 13a)에 미치는 선회 각도(62)의 영향을 도시한다. 도면 좌측에서 선회 각도 범위(62)는 25°인 한편, 도면의 우측에서 선회 각도 범위(62a)는 30 °이다. 따라서 정격 저장기 폭(13)은 25°에서 예컨대 700 mm 이고, 정격 저장기 폭(13a)는 30 °에서 800 mm 이다. 상응하게 블로어 유닛(21), 즉 선회 축선(18)의 간격도 처리 용기(1)의 종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간격(61a)의 경우 예컨대 740 mm에서 840 mm로 확장된다. 처리 용기(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블로어 유닛(21)은 열을 형성하고, 상기 열에 각각의 블로어 유닛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품 유입부는 임펠러 축선(18) 영역에 있는 제품 유입부(37;도 4)의 하측면에 있으므로, 눈에 띄는 제품 행정 특성이 얻어진다.
제품 유입부(37)의 내측면은 노즐부(39)를 포함할 때까지 PTFE로 코팅되거나 또는 PTFE로 구성된다.
도 1에 따른 작동 모드에서 개별 제품 저장기(I-VI)는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각각의 제품 저장기는 할당된 이송 노즐(38)에 의해 무한 로프가 순환을 유지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서 개별 로프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세팅시, 제품 저장기(I-VI)는 작동에 맞게 앞뒤로 나란히 접속되므로, 순환하는 무한 제품 로드를 위한 순환 시스템이 얻어지고, 상기 시스템은 제품 저장기로부터 각각의 인접한 제품 저장기로 전달되고 열의 마지막 제품 저장기(VI) 이후에는 로프 리턴관(63)을 지나 중간 저장기(0)로 리턴되고 상기 중가 저 장기로부터 다시 할당된 이송 노즐에 의해 제 1 제품 저장기(I)로 안내된다. 대안예로서, 상기 세팅시 장치는, 처리 용기(1), 예컨대 중간 저장기(0)에 유입되어 최종 제품 저장기(VI)로부터 배출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연속 시스템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처리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도 8, 9와 관련하여 하기에서 간략하게 설명되고, 상기 도면은 처리 방법의 실행에 필요한, 처리제 첨가용 부가 장치 등의 실질적인 부품들을 간단하게 제시한다.
도 8, 9는 9개의 제품 저장기(I-IX) 및 10개의 블로어 유닛(21)을 포함하는 고온 침염 기계를 매우 간략하게 도시하고, 상기 블로어 유닛은 각각 할당된 이송 노즐(38)과 상기 노즐에 접속된 이송 세그먼트(43, 44)을 포함하며, 이들 중에 이송 노즐(38)만 원으로 도시된다. 각각의 제품 저장기(I-IX)와 중간 저장기(0)에 각각 하나의 동일한 유닛이 할당된다. 이송 세그먼트(43, 44)는 도 2에 따른 위치에 있으며, 즉 기계는 순환 연속 작동에서 세팅된다. 로프 리턴 라인(63)은 파선으로 도시된다. 공기압 실린더(51)는 도 2에 따른 위치에 있다. 처리 용기(1)의 내부는 세 개의 처리 구역 (X, Y, Z)으로 분할되고, 상기 각각의 구역은 세 개의 제품 저장기(I-III, 또는 IV-VI, 또는 VII-IX)를 포함한다. 세 개의 처리 구역의 상호 분리는 저장기 측벽으로 형성된 두 개의 제품 저장기 측벽(300)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품 저장기 측벽은 하부 세그먼트에서 처리 용기 재킷까지 통과하며 상기 재킷의 내측에 밀봉립을 지나 접속된다. 저장기 측벽(300)은 최대 염료 레벨을 넘어 상부로 확장된다. 상기 측벽은 제품 저장기 III와 IV 사이 또는 VI와 VII 사이에 놓인다.
염료 픽업 용기(171)는 상응하는 분리벽(170)에 의해 세 개의 부분 용기로 분할되고, 상기 용기에 각각 하나의 처리 구역(X, Y, Z)이 할당된다. 세 개의 처리 구역(X, Y, Z)에 상응하게 세 개의 처리제 분사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분사 장치는 각각 하나의 염료 필터(70), 분사 펌프(71), 처리 염료의 가열 및 냉각을 위한 열 교환기(72)를 포함한다. 73에서 열 교환기(72) 후방의 분사 펌프(71)의 송출면으로부터 시작되는, 염료 픽업 용기(171)의 각각의 처리 구역(X, Y, Z)에 할당된 부분으로 처리 염료의 리턴을 위한 차단 밸브가 도시된다. 순환하는 처리 염료는 할당된 분사 펌프(71)에 의해 각각의 제품 저장기 그룹에 있는 이송 노즐(38)의 각각의 염료 공급 라인(47;도 4, 7)으로 이송되고, 할당된 라인에 처리 염료의 전방 행정을 위한 차단 밸브(74)가 배치된다. 75에서 각각의 처리 구역(X, Y, Z)을 위한 배출 고정물이 도시된다. 분사 펌프(71)의 흡입측은 각각 차단 장치(76)에 의해 처리수, 처리 원수, 연수 및 온수(약 60℃)용 저장 용기(77) 또는 처리 배스용 초기 염료 용기와 연결된다. 또한, 처리 염료를 위한 두 개의 초기 염료 및 보충 염료 용기(78)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용기는 차단 밸브(79)에 의해 분사 펌프(71)의 흡입측과 연결될 수 있다. 차단 밸브(79) 및 할당된 라인 접속부는 초기 염료 및 공급 용기에 대해서만 도시된다. 이들은 다른 용기에 대해서도 상응하게 구성된다. 80에서 수증기원이 도시되고, 상기 수증기원 하류에 응축 전환기(81), 감압 밸브(82) 및 조절 밸브(83)가 연결되고, 상기 수증기원은 처리 용기(1)의 내부에 직접 증기를 공급한다. 최종적으로 84에서 분사 펌프(71)의 흡입측에 전환 및 차단 아마추어가 도시된다.
실시예 1
9개의 제품 저장기(I-IX)를 갖는 고온 침염 기계에서, 후속 반응 염색을 위한 사전 표백으로 인터록 짜임의 면 편직품에서 알칼리성 과산화수소 표백이 실행된다. 인터록 제품은 절단되지 않은 80 cm 관 폭을 갖는다. 표면 무게는 190 g/㎡ 이고, 300 g/m의 단위 중량에 상응하고, 상기 중량은 저장기 당 150 Kg의 9 배의 배치 중량의 경우, 4500 m의 제품 길이에서 1350 Kg의 전체 배취와 같다.
0.8 mm 재료 두께에서 상기 배취는 용적 Vtex = 5.76 ㎥ 과 기질 용적 VS = 6.0㎥와 같고, 이것은 중간 챔버 용적 VZ = 4. 86 ㎥ 에 상응한다. 80%의 평균 염료 로드에서 상기 용적은 3.89 ㎥ 이다.
기계 로딩의 준비를 위해 전체 배취는 각각 1500 m의 세 개의 관련 부품에 제공된다.
초기 염료(77)에 50 ℃ 의, 2500 l에서 사전 표백을 위한 처리 배스가 세팅되었다.
배스는 습윤제, 32.5% 가성 소다, 35 % 과산화수소 및 표백 안정화제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전체 배취에 의한 기계의 로딩:
공기압 실린더(51;도 2)는 도 2에 따른 순환 장치에 제공된다. 또한, 제어 유닛(85)에 의해 상기 공기압 실린더는 트러스트 로드(49)에 그리고 유입부 커브에 제품 저장기 폭에 걸친 왕복 횡단 운동을 전달하도록 제어되고, 따라서 이송 세그 먼트(43)은 유입부 커브(44)와 함께 각 제품 저장기에서 로프 파일러(piler)로서 작동한다. 로딩 과정을 감시하기 위해 블로어 유닛(21)의 영역에 있는 모든 스토퍼가 개방된다.
블로어 유닛(21)은 제품 유입부(37) 및 로프의 그 자신의 흡입을 위한 노즐부(39)와 함께 설계되기 때문에, 예비 이송 부품 또는 벨트는 로딩 과정에 불필요하다.
처리 용기(1)의 로딩을 위해 로프 시작부는 3개의 제품 스텍으로부터 블로어 유닛(21), 제품 저장기(III) 및 제품 저장기(VI)의 스토퍼(15)에서 삽입되고, 3개의 제품 스텍의 로프 단부는 동일한 스토퍼에 고정되고, 이로써 유입부 뒤에 로프 단부가 고정된다. 제품 저장기(0)의 블로어 유닛(21)이 스위치 온 된 후, 상기 블로어 유닛은 제 1 로프를 당긴다. 약 5초의 지연에 의해 이어서 제품 저장기(III)의 블로어 유닛(21)이 스위치 온 되고, 따라서 세 개의 로프는 제품 저장기(I, IV, VII)에 병렬로 유입된다. 저장기 내의 제품 행정을 지원하기 위해 블로어는 유입되는 제품 저장기의 배출측에서 스위치 온 된다. 다음 제품 저장기의 블로어 유닛(21)은 상응하는 시간 지연에 의해 스위치 온 된다.
분사 노즐(45;도 4)에는 각각의 제품 저장기 그룹에 접속된 분사 펌프(71)에 의해 초기 염료 용기(77)와 개방 연결시 처리 염료이 공급된다.
로프 형태의 튜브식 직물의 유입 후, 각각의 관련 블로어 유닛(21) 및 폐쇄된 차단 밸브(74)를 스위치 오프 한다. 제품 저장기(III, VI)의 스토퍼(15) 또는 중간 저장기(0)에 미치는 도달할 로프 단부는 각각 인접한 로프의 후방 로프 단부 와 함께 꿰매어지고, 이것은 세 개의 시임 위치와 함께 무한 로프를 생성한다. 상응하는 블로어 유닛 내로 직물 제품의 유입이 감시되는 스토퍼(15)가 차단된다.
순환 시스템 작동에 블로어 유닛(21) 및 이송 세그먼트(43/44)의 세팅 및 유입부 커브(44)의 횡 운동의 전환의 결과로 스위치 온 된 블로어 유닛(21)과 분사 펌프(72)에서 개방된 초기 염료 용기(77)로부터 도달하는 초기 염료 배스가 균일하게 제품에 분포된다. 블로어 유닛(21)은 400 m/min의 제품 순환 속도로 조절된다.
염료 픽업 용기(17)에서 레벨을 감시함으로써 초기 염료 배스(77)로부터 밸브(73, 74)를 거쳐 처리 용기(1) 내의 레벨이 보정된다. 처리 염료은 10분 동안 60℃ 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리고 나서 수증기원(80)로부터 직접 수증기가 스위치 온 되는 경우 분당 6℃의 구배로 90℃의 처리 온도로 가열되고, 상기 온도는 20 분 동안 유지된다.
상기 시간 동안 80℃에서 2500 l의 배스 용적을 갖는 제 1 세척 배스가 초기 염료 용기(77)에 준비된다.
처리 용기(1) 내의 처리 배스(표백 배스)는 20 분 후 환기 밸브(90)및 배출 밸브(75)의 개방 하에 배출되고, 제 1 세척 배스는 분사 펌프(71)에 의해 처리 구역(X, Y, Z)에 있는 세 개의 제품 저장기 그룹의 로프에 분포된다.
제품 저장기에 떨어진 세척수는 염료 픽업 용기(17)에 도달하여 분사 펌프(71)에 의해 전환 아마추어(84)를 통해 다시 흡입된다.
순환 세척은 5분 동안 지속된다.
상기 시간에 초기 염료 용기(77)에는, 과산화수소의 발생 가능한 잔류물 농 도에 대해 제품의 중성화를 위해 아세트산을 첨가하면서 60℃에서 2500 l의 가열 세척수를 갖는 제 2 세척 배스가 제공된다. 제 1 세척 배스의 배출 후 제 2 세척 배스는 역류 원리로 세 개의 제품 저장기 그룹을 통과하고, 저장기(VII, VIII, IX)를 포함하는 제 1 저장기 그룹의 배출은 각각 할당된 전환 아마추어(84) 및 분사 펌프(71)에 의해 제 1 저장기 그룹(IV, V, VI)에 안내되고 관통한 후 제 3 제품 저장기 그룹(I, II, III)에 이송되고, 후속하여 배출부로 안내된다. 상기 역류 과정에서 세척수 온도는 60℃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왜냐하면, 후속 반응 염색은 60℃의 일정 온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실행된 알칼리 과산화수소 표백 이후 제공된 3.5 % 반응 염색을 위해 60℃ 일정 온도 염색 후, 동시에 염색 배스로부터 잔류 화학 약품의 중성화시 고정되지 않은 반응 염색 물질의 씻겨나간다.
세척 사이클은 보다 포괄적이고 따라서 전술된 과산화수소 표백과 달리 시간이 많이 걸린다.
전체 처리 시간의 단축을 위해 예컨대 1 내지 4개의 다양한 저장기 갯수를 갖는 저장기 그룹으로 나누고 변위된 세척 세그먼트를 이용하도록 제공하므로, 세척 세그먼트의 순서로 인해 상이한 세척 온도와 상이한 잔류물 농도를 갖는 세척 배스가 직물 제품에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예로서 구현된 반응 염색에서 세척 사이클은 50℃에서 제 1 세척 배스와 배스의 순환에 의해 농도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50℃에서 제 2 세척 배스는 중성화를 위한 역류 원리로 제공되고 후속하는 동일한 경우에 85℃의 세척 온 도에서 변형된 용도에 의해 잔류 알칼리 약품의 중성화를 위한 가열 세척이 실행된다. 또한, 수증기원(80)로부터 직접 수증기가 추가로 스위치 온 될 수 있다. 워싱 과정을 가속화하기 위해 다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분사 노즐이 스위치 온 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유입하는, 저장기 세그먼트에 놓인 로프의 상측면을 향한다.
가열 세척 후, 동일한 과정 이후 50℃에서 두 개의 초기 세척 배스 염료와 30℃에서 하나의 초기 세척 배스 염료가 역류 원리로 인해 오프셋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저장기 그룹을 통과한 후 그리고 제 2 저장기 그룹으로 전환 한 후 바로 이어진 세척 배스가 제 1 저장기 그룹으로 전환된다.
마지막 세척 배스로부터 세척 염료가 배출된 후 로프는 시임 센서(87;도 4)에 의해 시임 위치를 알린 후 저장기(IX)에서 폐쇄된다. 로프는 커팅되고 제품 행정 방향과 반대로 놓인 부품은 스토퍼(15)에 의해 제품 저장기(IX)에 안내되고 권양기에 의해 회전 캐리지에 설치된다. 방전 시 제품 비워지는 제품 저장기의 블로어 유닛(21)은 자동적으로 스위치 오프 된다.
실시예 2
9개의 제품 저장기를 갖는 도 9에 도시된 고온 침염 기계는 기본적으로 도 8에 도시된 고온 침염 기계에 상응한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고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 8 항에 따른 기계에 추가하여 도 9에 따른 기계에서 수증기 원(90)으로부터 과열된 수증기를 처리 용기(1)에 공급하고 처리 용기(1)로부터 수증기 혼합물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수증기원(90)에 응축 전환기(91)와 감압 밸브(92)를 지나 수증기 과열기(93)가 후속 배치되 고, 상기 과열기에 조절 밸브(94)에 의해 2 방향 고정물(95)이 접속되고, 상기 고정물은 선택적으로 처리 용기 내부에, 그리고 96에 도시된 관 분배시 개별 블로어 유닛(21)의 이송 노즐(38)을 통해 과열 수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처리 용기 내부로부터 공기 및 수증기 혼합물의 흡입부는 흡입 블로어(97)를 구비하고, 상기 블로어는 가스 냉각기(98)와 가스 습기 분리기(99)에 의해 처리 용기 내부와 연결된다. 흡입 블로어(97)는 예컨대 0.5 bar의 최대 저압이 절대적으로 생성되도록 한다.
도 9에 따른 고온 침염 기계에서 예컨대 직조된 폴리에스테르에서 분산 염색이 차후 정화가 감소된 등온 염색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분산 염색에 Trevira®350 25%, Trevira®76/1 75%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편직 제품이 즉 90 cm 관 폭과, 약 200 g/m의 단위 중량에 상응하게 약 110 g/㎡ 의 면적 중량을 갖는 관상 직물로서 사용되고, 상기 단위 중량은 6300 m 제품 길이에서, 1260 Kg의 전체 배취의 저장기 당 140 Kg의 9배의 배취 중량에 상응한다. 기계 로딩의 준비를 위해 전체 배취는 각각 2100 m의 3개의 관련 배취 부품에 제공된다.
제품을 포함하는 처리 용기(1)의 로딩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후속하여 약 500 m/min의 제품 속도에서 15분 동안 제품은 60℃에서 예비 워싱에 이용되는 워싱 염료에 노출된다. 워싱 염료의 배출 후 그리고 제품 포장의 적하를 위한 1.5 분의 대기 시간 후 약 60℃에서 배취의 중간 세척이 초기 염료 용기(77)로부터 워싱 염료에 의해 실행된다.
그 후, 화학 약품 및 보조제가 제공된 처리 배스, 균일화제 및 아세트산 나트륨 및 아세테이트산이 Ph 가의 조정을 위해 포함되고 86℃에서 가열되고 중간 세척 염료의 배출 후 분사 노즐(45)을 통해 특히 수증기원(90)으로부터 직접 과열된 수증기가 첨가 하에 5˚/분의 구배를 갖는 동시 가열시 움직이는 제품에 분포된다. 전환 고정물(95)은 과열된 수증기가 처리 용기 내부에 유입되도록 세팅된다. 제품은 염료 분사 온도에서 가열되고, 상기 온도는 본 실시예에서 115℃ 이다.
후속하여 제품의 염색은 역류 원리로 연속하는 세척에 의한 반응 차후 정화가 후속하는 공지된 방식으로 실행된다. 세척 과정 종료와 세척 염료의 배출 후 로프는 제품 저장기(IX)의 시임 위치에서 분리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 용기로부터 제거된다.
실시예 3
도 9에 따른 고온 침염 기계에 의해 이미 실행된 예컨대 직조된 면 직물에서의 반응 염색 이후에, 순환 시스템에서의 워싱-세척-과정 이후에, 차례로 드라잉(drying)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머신에서 하기의 처리 단계가 실행된다 :
1. 직물 제품, 로딩된 염료, 처리 용기(1) 및 그 안에 배치된 부품 소자를 가열하는 단계.
로프의 순환부에 포함된 블로어 유닛(21)이 접속되고 편향 롤러(52)가 구동된 이후에, 공기 실린더(58)(도 6)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가이드 롤러(57)가 로프에 대한 압착을 위해 제공된다. 공기 실린더(51)(도 2)를 통해 발생된 유 입부 커브(44)의 변환 운동에 의해 순환 모드에서는 제품 저장기(I-IX)내의 로프의 적당한 배치가 보장된다.
수증기원(80)로부터 직접 수증기 공급의 전환에 의해 제품이 약 110℃로 신속하게 가열된다. 약 10분 후에 수증기 공급이 중단되고, 선회 가능한 가이드 롤러(57)가 출발 위치로 높이 선회 된다. 동시에 편향 롤러(52)의 구동이 차단되고, 블로어 유닛(21)의 구동이 400 m/min의 제품 순환 속도로 높게 조절된다.
2. 제품 습기를 동시에 감소시키는 경우 증발 단계의 발생을 위해, 150℃의 유입 온도에서 수증기 원(30)으로부터 직접 과열된 수증기에 상응하게 세팅된 2 방향 전환 고정물(95)을 통해 이송 노즐(38)로 스위칭 된다. 차단된 배출 고정물(75)에서 배기 가스 블로어(97)가 접속되고, 가스 냉각기(98)는 50℃의 출구 온도로 조절된다. 이러한 처리 단계는 20분 동안 유지된다.
3. 배취의 냉각을 위해 과열될 수증기의 차단 및 환기 고정물(90)의 개방 이후에, 배기 가스 블로어(97)에 의해 신선한 공기가 흡입되고 배취는 약 40℃로 냉각된다.
이어서 로프가 제품 저장기(IX)에서 분리되고, 이미 기술된 방식으로 처리 용기(1)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품 저장기(저장 유닛)는 서로 평행하게 접속될 수 있으므로, 현재 사용하는 제트 처리기처럼, 단일 로프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품 저장기는 앞뒤로 나란히 접속될 수 있고, 이로써 전류, 열 및 물은 물론 개별 로프 처리에 비하여 높은 출력값의 소비 가치에서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저장기 유닛의 전후 접속은 배취 준비시 그리고 직물 제품을 포함하는 처리 용기의 로딩 시 절감 또는 더 짧은 로딩 타임이 야기된다. 왜냐하면, 앞뒤로 병렬 접속된 다수의 저장기가 로딩될 수 있고, 개별 로프를 서로 결합시키는 배취 전체에 매우 적은 수의 납땜만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처리 용기 내에 6개의 제품 저장기가 있는 장치의 경우 앞뒤로 병렬 접속된 3개의 제품 저장기가 로딩될 수 있고, 상기 6개의 저장기에서 배취 전체에 있어서 직물 로프 내의 2개의 납땜만 필요하다.
실행된 처리 방법 및 장치의 크기 또는 제품 저장기의 수에 따라 제품 저장기의 앞뒤 접속은 순환하는 로프용 순환 시스템으로 또는 유입 및 유출 로프를 갖는 연속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다. 장치의 상기 작동 모드에서 직물 제품에 대해 염색 방법 등뿐만 아니라 워싱 및 표백 과정이 실행될 수 있고, 처리 용기는 그 원주의 일부에 걸쳐 밀봉된 채 처리 용기 내벽에 접하는 중간 벽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저장기를 포함하는 처리 구역에서 분할되는 경우, 처리 구역에서 상이한 방법의 실행 및 상기 구역에 있는 저장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세척 및 워싱 염료 배스의 역류에 의해 단독 로프 처리시 비율에 비하여 세척수 필요량이 약 40% 까지 감소된다.

Claims (29)

  1. 처리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직물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품 저장기를 포함하는 폐쇄된 용기에서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 이송 방향으로의 구동 운동은 이송 노즐 수단을 통해 로프에 작용하는, 기체 이송 매체 유동에 의해 직물 제품에 제공되고,
    - 직물 제품은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 공급되기 전에, 상기 제품 저장기에 할당된 각자의 이송 노즐 수단을 통과하고, 상기 이송 노즐 수단으로부터 배출될 때 직물 제품은 선택적으로 상기 각각의 할당된 제 1 제품 저장기 내로 또는 상기 제 1 제품 저장기에 인접한 제 2 제품 저장기 내로 도입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 저장기에서는 상기 직물 제품을 상기 제품 저장기로부터 멀리 운반하는 예정 경로를 따라 안내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품 저장기에서 그 자신의 무한 로프가 적어도 처리 기간의 일부 동안 순환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무한 로프는 각각의 제품 저장기로부터 상기 제품 저장기에 인접한 제품 저장기 내로 안내되고 상기 제품 저장기 및 경우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제품 저장기를 통과한 후 다시 제 1 제품 저장기로 리턴될 수 있으며, 상기 무한 로프는 그것이 통과하는, 개별 제품 저장기의 이송 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제품은 상기 처리 용기 내에 형성되어 서로 분리된 적어도 2 개의 처리 구역에서 처리되고 이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품 저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처리 구역에서 상기 로프의 서로 상이한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처리제가 제 1 처리 구역으로부터 다른 제 2 처리 구역으로 도입되고, 상기 제 2 처리 구역에서 처리되는 동안 동시에 상기 제 1 처리 구역에는 다시 처리제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품 저장기의 이송 수단용 이송 매체 유동이 별도의 블로어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8. -폐쇄 가능한 처리 용기(1),
    -처리 기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직물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처리 용기 내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제품 저장기(I-VI),
    -직물 제품이 통과하는, 로프 유입부(37) 및 로프 배출부(44)를 구비한 이송 노즐 수단(38)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노즐 수단은 직물 제품에 이송 운동을 제공하는 기체 이송 매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직물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
    -상기 처리 용기(1) 내에서 직물 제품에 처리제를 작용시키기 위한 장치(45, 46)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제품 저장기(I-VI)에 그 자신의 이송 노즐 수단(38)이 할당되고, 상기 이송 노즐 수단은, 상기 그의 로프 배출부(44)가 선택적으로 각각 할당된 제 1 제품 저장기 내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 저장기로부터 상기 제품 저장기에 인접한 제 2 제품 저장기 내로 또는 배출 로프를 수용하는 장치(620) 내로 안내되도록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품 저장기의 상기 이송 노즐 수단에 그 자신의 블로어(21)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21)는 상기 처리 용기(1)의 상부측의 영역에서 상기 처리 용기(1)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21)가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임펠러 축과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21)가 상기 처리 용기에 통하는 흡입 스터브(33) 및 이에 대해 동축인 압축 스터브(28, 28a)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 스터브은 상기 이송 노즐 수단(3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제품 저장기의 상기 이송 노즐 수단(38)이 서로 평행하는 회전축(18)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노즐 수단(38)이 각각 로프용 이송 세그먼트(43, 44)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 세그먼트은 각 로프 배출부에서 끝나며 상기 이송 노즐 수단(38)과 함께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가 선회 장치(51)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 장치는 상기 제품 저장기의 이송 노즐 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선회 장치에 의해 이송 노즐 수단이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장치(44, 49, 51)는, 상기 로프 배출부로부터 나오는 로프가 각 할당된 제품 저장기 내로 유입될 때 변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7. 제 14항 및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세그먼트(43, 44)이 로프 파일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8. 제 8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제를 직물 제품에 작용시키기 위한 장치는 처리제용 가요성 라인 수단(46)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 수단은 상기 개별 제품 저장기의 상기 이송 노즐 수단(38)의 상기 분사 노즐(45)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19. 제 8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는 로프 리터닝 장치(620, 63, 631)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리터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품 저장기의 상기 이송 노즐 수단의 상기 로프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로프를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프 리터닝 장치에 의해, 로프 이송 방향으로 볼 때 선행하는 제품 저장기에 대한 로프 리턴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리터닝 장치는 리턴된 로프용 중간 저장기(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리터닝 장치는 상기 처리 용기를 따라 연장되는 파이프 라인(63)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라인의 일 단부는 상기 제품 저장기의 상기 이송 노즐 수단의 로프 배출부에 결합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처리 용기(1)의 공간(0) 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2. 제 8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 놓인 각 2 개의 측벽(32)에 의해 제한된 상기 제품 저장기(I-VI)가 상기 처리 용기 내에서 상기 처리 용기(1)의 종축(16)에 대해 경사져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제품 저장기 측벽(3)은 상기 처리 저장기 종축(16)과 약 80°내지 50°, 바람직하게 65°내지 60°의 각(10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4.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저장기의 상기 측벽들(3)의 내부면 및 상기 측벽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베이스벽(4)이 마찰 감소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5. 제 8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1)는, 일부 둘레에 걸쳐 밀봉되어 처리 용기 내부벽으로 이어지는 중간벽(300)에 의해 처리 구역(X, Y, Z)으로 분할되고, 상기 처리 구역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품 저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6. 제 13항 및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제품 저장기의 상기 이송 노즐 수단(38)은 선회각 영역(62)을 포함하고, 상기 선회각 영역은, 상기 제품 저장기 측벽이 각각 상기 처리 용기 종축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평면(12)과 함께 형성하는 각(11)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제품 저장기의 상기 이송 노즐 수단(38)의 선회축(18)이 상기 처리 용기 종축(9)으로부터 동일한 방사 방향 간격(60)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8. 제 8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저장기에 그 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14)가 할당되고, 상기 제품 저장기의 상기 블로어(21)에는 제어 장치가 할당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센서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며, 개별 블로어에 의해 이송 매체의 스루풋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29. 제 8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용기(1)가 처리제 수집 용기(17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장치.
KR1020050126001A 2004-12-20 2005-12-20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600704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61186.6 2004-12-20
DE102004061186A DE102004061186B4 (de) 2004-12-20 2004-12-2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466A true KR20060070466A (ko) 2006-06-23

Family

ID=3612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001A KR20060070466A (ko) 2004-12-20 2005-12-20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98574B2 (ko)
EP (1) EP1672111A3 (ko)
KR (1) KR20060070466A (ko)
CN (1) CN1800481A (ko)
DE (1) DE102004061186B4 (ko)
TW (1) TWI2993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2453B3 (de) * 2005-05-14 2006-11-30 Then 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DE102007019217A1 (de) 2007-04-24 2008-10-30 Then 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assbehandlung strangförmigen Textilguts
DE102007036408B3 (de) * 2007-08-02 2008-12-18 Then 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strangförmiger Textilware
SE533798C2 (sv) * 2009-04-01 2011-01-1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äkerhetskammare som skall användas i en förpackningsmaskin
ITMI20111553A1 (it) * 2011-08-29 2013-03-01 Mcs Off Mecc Spa Macchina per il trattamento di tessuti, reti, garze, feltri, tessuti-non-tessuti o altri materiali in pezza o foglio
CN111088624B (zh) * 2020-01-15 2022-09-02 江苏赛格纺织机械有限公司 智能喷射气流溢流联合机
CN111088625B (zh) * 2020-01-15 2022-09-02 江苏赛格纺织机械有限公司 用于针织物的连续绳状溢流染色联合机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8012A (en) * 1970-09-21 1973-02-27 M Vinas Device for the wet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US3952558A (en) * 1973-03-28 1976-04-27 Avesta Jernverks Aktiebolag Machine for dyeing or other wet-treatment of textiles
ES437120A1 (es) * 1974-06-26 1977-01-16 Krantz H Dispositivo perfeccionado de tratamiento humedo con un depo-sito de presion.
DE2459363C2 (de) * 1974-12-16 1983-08-18 Alfred 4420 Coesfeld Thies Jun. Vorrichtung zum Naßbehandeln eines strangförmigen textilen Flächengebildes
US4036038A (en) * 1976-05-20 1977-07-19 Gaston County Dye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for low liquor ratio wet processing of textile fabric
ZA765592B (en) * 1976-05-27 1977-08-31 Gaston County Dyeing Mach Soft flow jet dyeing machine
US4129017A (en) * 1977-01-27 1978-12-12 Burlington Industries, Inc. Lab sample jet dyeing machine
DE3323506A1 (de) * 1983-06-30 1985-01-10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strangfoermigem textilgut
JPS60199965A (ja) * 1984-03-17 1985-10-09 日本染色機械株式会社 繊維製品処理装置における繊維製品の液流搬出装置
DE3733219A1 (de) * 1987-10-01 1989-04-13 Hoechs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behandeln, vorzugsweise faerben, von strangfoermigem textilgut
US5014525A (en) * 1989-10-24 1991-05-14 Madinox S.A. Machine for dyeing fabric in a rope
US5129242A (en) * 1990-06-18 1992-07-14 Gaston County Dyeing Machine Co. Low-liquid jet machine for wet processing textile fabric
US5014526A (en) * 1990-09-21 1991-05-14 Gaston County Dyeing Machine Co. Textile wet processing machine having fabric circulation chamber with adjustable inner wall
DE4119152C2 (de) * 1991-06-11 1993-11-25 Krantz H Gmbh & Co Vorrichtung zum Naßbehandeln von Textilgut
ES2082694B1 (es) * 1993-09-28 1998-01-01 Jauma Anglada Vinas S A Maquina para tratamiento en humedo de tejidos.
US5577282A (en) * 1995-05-22 1996-11-26 Gaston County Dyeing Machine Company Textile wet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US5642548A (en) * 1996-02-20 1997-07-01 Gaston County Dye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wet processing traveling textile material
US5826289A (en) * 1996-09-27 1998-10-27 Catallo; Frank Wet processing system for treating wetted roped knitted fabric tubes
DE19813593C2 (de) * 1998-03-27 2002-03-28 Then Maschinen Und App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strangförmigem Textilgut
US6199411B1 (en) * 1999-03-01 2001-03-13 Sara Lee Corporation Dyeing range unloader
ES2219258T3 (es) * 2000-06-06 2004-12-01 Cabertex Di Berlendis Claudia E C. S.N.C. Maquina para el tratamiento de tejidos en cuerda, en particular para teñir.
US6427495B1 (en) * 2000-06-08 2002-08-06 Lorenzo Berlendis Compact machine for the treatment of cord fabrics, in particular for dyeing
US6826931B2 (en) * 2002-09-11 2004-12-07 Frank Catallo Machine for processing a pair of wetted knit fabric tubes from a common control simultaneously but independent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98574B2 (en) 2008-07-15
TW200628655A (en) 2006-08-16
CN1800481A (zh) 2006-07-12
DE102004061186A1 (de) 2006-07-13
US20060150343A1 (en) 2006-07-13
TWI299374B (en) 2008-08-01
EP1672111A2 (de) 2006-06-21
EP1672111A3 (de) 2007-07-04
DE102004061186B4 (de)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4312B (zh) 用於處理繩狀紡織品之方法與裝置
KR20060070466A (ko) 로프 형태의 직물 제품의 처리 방법 및 장치
US5359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belt-like article
JPS6336385B2 (ko)
US4351076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textiles in jet dyeing apparatuses
WO1997004157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u type a etirage et procede de traitement
US3330134A (en) Apparatus for the fluid treatment of textiles
EP0961849B1 (en)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US7578152B2 (en) Wet processing or finishing machine for rope-formed textile products
KR20060117879A (ko) 로프 형태의 섬유 제품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945846B1 (en) Machine for continuous treatment of a fabric in rope form and relative method
JPH01111062A (ja) なわ状繊維材料を連続的に処理、特に染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980989B2 (ja) 気流式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US51705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t processing of fabric
JP2007169802A (ja) ロープ状の繊維物品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機器
KR840000043B1 (ko) 제트 염색 장치에서의 직물 처리방법
US3409919A (en) Process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 sequentially in a series of liquid treatments
EP0908550B1 (en) Process and machine for rope fabric treatment
US6343395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wet-processing of textile material
KR100986144B1 (ko) 염색기
CN211571047U (zh) 一种提高处理件吸湿性的轧液机
TR2023007965A2 (tr) Yeni̇ nesi̇l bi̇r teksti̇l terbi̇ye maki̇nasi
JPH10226953A (ja) ロープ状又は横に開いた形態の織物のための仕上げ用機械
RU1804515C (ru) Машина дл крашени текстильных изделий
JPH0241460A (ja) 液流式繊維製品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