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782A - 숯가루를 함유하는 과자 - Google Patents

숯가루를 함유하는 과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782A
KR20060069782A KR1020040108463A KR20040108463A KR20060069782A KR 20060069782 A KR20060069782 A KR 20060069782A KR 1020040108463 A KR1020040108463 A KR 1020040108463A KR 20040108463 A KR20040108463 A KR 20040108463A KR 20060069782 A KR20060069782 A KR 20060069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powder
confectionery
charcoal powder
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열
Original Assignee
배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열 filed Critical 배기열
Priority to KR102004010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9782A/ko
Publication of KR2006006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7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가루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설탕과 포도당 또는 물엿을 포함하는 사탕류의 과자에 있어서, 숯가루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에 대한 것이다.
숯가루

Description

숯가루를 함유하는 과자{Confectionery which comprises charcoal powder}
본 발명은 숯가루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설탕과 포도당 또는 물엿을 포함하는 사탕류의 과자에 있어서, 숯가루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에 대한 것이다.
사탕은 설탕과 포도당 또는 물엿을 주재료로 하고 향신료 등을 첨가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고 식후 음식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인 기호식품이다.
일반적인 사탕의 제조 방법에는 습식 성형 방법과 건식 성형 방법이 있다. 습식 성형 방법은 설탕과 물엿으로 이루어진 시료를 135°C 이상에서 끊인 후 95°C 이하로 응결시켜 향신료 등의 첨가물을 넣고 준비된 틀을 통해 성형하는 방법이다. 건식 성형 방법은 설탕과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시료를 80°C에서 건조한 후, 향신료 분말, 아스파탐 분말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분말 등의 첨가물을 넣고 압축 성형하는 방법이다.
사탕의 주재료는 설탕과 포도당 또는 물엿과 향신료 등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기능성 사탕을 만들 수 있다.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기능성 사탕의 예로는 한약과 허브 분말을 함유하여 뇌혈류를 개선시켜 신경 정신계에 유용한 효능을 갖는 사탕, 죽염을 함유하여 죽염이 갖는 약리학적 효과를 갖는 사탕, 양파분말을 함유하여 양파의 효능을 갖는 사탕, 솔잎 분말을 함유하여 고혈압을 예방하는 사탕, 콩과 깨 분말을 함유한 사탕, 김치 가루를 함유하여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능을 갖는 사탕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탕의 재료로서 설탕과 포도당 또는 물엿이 사용되며, 니코틴과 같은 구취 제거제로서 숯가루와 생약 추출물이 추가로 사용되고 있다.
숯은,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소량의 공기를 공급하면서 참나무나 소나무를 가열하여 열로써 목재 속의 가스를 뽑아내어 탄화시킨 고체 생성물로서 1g당 약 200 내지 400㎡의 표면적을 가지고 있다.
숯가루는 아주 작은 미세한 입자로 된 작은 입방체로서, 음식물로 섭취하는 경우 수많은 미세한 가는 구멍들이 단백질과 지방 찌꺼기들, 농약 성분 및 중금속들을 흡착하여 내장을 깨끗하게 하고 혈액과 체액을 깨끗하게 한다.
숯의 탈취, 흡착 기능은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며, 내부의 미세한 구멍들이 냄새 등을 흡착, 제거하게 된다. 이 외에도 숯은 항균 기능, 전자파 차단 기능, 해독 기능, 음이온 발생 기능 등의 유용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숯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주로 식품보다는 수질 개선 및 유해 화학 물질 제거 관련 환경 분야, 식물 및 축산물 생장 촉진 관련 분야 등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의 식품과 관련된 숯에 대한 특허는 숯가루의 정수 효과, 항균 효과, 중금속 등 유해 물질 제거 효과 등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 다.
정수 기능을 갖는 숯을 넣은 음료용 병, 숯의 살균 기능을 이용한 음식물 포장 용기, 소나무 숯을 이용한 식용카본, 숯을 이용한 티백 차, 숯을 이용한 쌀벌레 퇴치제 등, 최근에 이르러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기능성 식품 붐이 일어나면서, 숯을 식품의 재료로서 활용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숯가루는 경구 투여가 어렵고, 식품으로서 간편하게 만들기가 용이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경구투여가 용이하고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숯가루를 함유하는 과자류와 같은 식품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탕과 포도당 또는 물엿을 포함하는 사탕류의 과자에 있어서, 숯가루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과자의 주요 성분인 설탕, 포도당 또는 물엿 등과 혼화성(miscibility)이 없어서, 숯가루를 추가하였을 때, 균질하면서도 안정성을 갖는 사탕 제형이 불가능하였다. 종래의 사탕 제형 제조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숯가루와 같이, 사탕류 과자의 주 원료 성분들과 혼화성이나 친화성이 없는 성분들이 첨가된 신규한 사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은 설탕과 포도당 또는 물엿을 포함하는 사탕류의 과자에 있어서, 숯가루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사탕은 설탕과 포도당 또는 물엿이 주재료인 기호식품으로서, 제조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습식 성형 제조 방법과 건식 성형 제조 방법이 있다. 습식 제조 방법에서는 설탕과 물엿이 주재료로 쓰이며, 설탕과 물엿의 혼합액을 135°C 이상에서 끊인 후 95°C 이하로 응결시켜 향신료 등의 첨가물을 넣고 준비된 틀을 통해 성형하는 방법이다. 건식 성형 건식 성형 방법은 설탕과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시료를 80°C에서 건조한 후, 향신료 분말, 아스파탐 분말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분말 등의 첨가물을 넣고 압축 성형하는 방법이다.
숯가루는 목재를 700°C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셀루로스, 리그닌 등의 목재의 구성 성분을 열분해하여 생성된 탄화물로서 1g 의 숯의 표면적이 200 내지 400㎡에 해당하는 다공성 물질이다. 숯은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탈취, 흡착 기능외에도, 항균 기능, 전자파 차단 기능, 해독 기능, 음이온 발생 기능 등의 유용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숯가루는 너무 미량 첨가하면 숯으로서의 기능이 발휘되지 아니하고, 너무 많이 첨가하면 사탕류의 과자로서의 모양을 갖추지 못하고 부서지거나 숯가루가 묻어나게 되므로 과자의 모양을 유지하면서도 숯의 유해 물질 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숯가루의 조성비가 중요하다. 이 때, 적정한 숯가루의 조성비는 과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5 중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예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숯가루를 함유하는 사탕의 습식 성형 방법
표 1과 같이 설탕 50.00 중량 %, 물엿 50.00 중량 %로 이루어진 시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시료를 사탕 제조장치의 탱크내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150℃ 까지 열을 가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된 시료 혼합액을 120℃의 온도로 유지되는 상기 탱크 내부에서 2㎏/㎠의 압력하에서 젤상태를 이루도록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감압 농축시켰다.
젤 상태의 혼합액은 8㎏/㎠의 압력하에서 일정 온도로서 2차로 감압 진공 농축하여 미량의 수분만이 함유된 농축액으로 조성하였다.
제2차 농축액을 상기 탱크과 연결된 송액관을 통하여 탱크의 내부로 송액하여, 제2차로 실시된 농축액을 배치 폼에 알맞은 1% 이하의 수분을 유지하도록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에서 탱크의 온도는 130℃, 진공은 60cmHg를 유지하도록 감압하였다.
이상에서 수득된 농축물에 일정 온도(98℃)하에서 준비된 표 1의 숯가루를 넣고 골고루 섞이게 교반하였다. 이 때, 표 2와 같이 박하향 분말 2.00 중량 %, 멘톨향 분말 1.00 중량, 숯 0.10 중량 %을 첨가하였다.
결정 상태를 이루게 교반된 것을 일정량씩 배치 폼을 통하여 배치 롤러 상에 위치시키고, 이어서 로프 사이져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는 로프 형태를 만든 후, 준비된 몰드로부터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의 사탕 성형물을 성형하였다.
습식 성형에서의 시료 조성비
시료 중량%
물엿 50%
설탕 50%

숯 분말
공급처 생활참숯
상품명 적송차콜플러스
재료 적송숯가루(한국산 소나무)
식품 유형 천연식품 첨가물
허가번호 서울청 제50호
습식 성형에서의 첨가물
시료 중량%
0.05 내지 2%
박하향 분말 2.00 %
멘톨향 분말 1.00 %
[실시예2]
숯가루를 함유하는 사탕의 건식 성형 제조 방법
먼저 포도당과 설탕으로 이루어진 표 4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혼합된 시료를 교반기에서 포도당과 설탕을 혼합한 뒤 건조기에서 온도 약 80°C를 유지하면서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후, 표 2의 숯가루를 첨가하여 숯이 갖는 특성 및 성향이 상실되지 않는 상태로 교반하였다. 이 때 숯가루는 수분함량이 2 내지 3 중량 % 이하 의 수분 함량이 되도록 건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때, 숯의 적정 함량은 0.01 내지 2.5 중량 %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 이다. 이 때, 표 5의 향과 아스파탐,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을 함께 첨가하였다. 교반속도는 상기 혼합물의 체적과 양에 비례하는 것이지만 높은 교반속도와 마찰열로 인한 고온상태는 혼합물 내용물의 파괴가 이루어지지 않기 위하여 첨가 후 혼합시 교반 기구를 사전에 설정된 시간동안 100rpm 이하로 반응기 내에서 천천히 회전시켰다.
첨가물들이 다 혼합된 후, 원하는 모양의 몰드로 압축하여 성형한 후, 포장하였다.
건식 성형에서의 시료 조성비
시료 중량%
설탕 50%
포도당 50%
건식 성형에서의 첨가물
시료 중량%
0.05 내지 2.0%
박하향 분말 2.00%
멘톨향 분말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70%
아스파탐 0.2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탕류의 과자에 숯가루를 첨가하여 숯의 유해 물질 제거 기능을 발휘하면서 과자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과자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3)

  1. 설탕과 포도당 또는 물엿을 포함하는 사탕류의 과자에 있어서, 숯가루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2. 제1항의 과자에 있어서, 숯가루의 함량이 0.01 내지 2.5 중량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3. 제2항의 과자에 있어서, 숯가루의 함량이 0.05 내지 2.0 중량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KR1020040108463A 2004-12-18 2004-12-18 숯가루를 함유하는 과자 KR20060069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463A KR20060069782A (ko) 2004-12-18 2004-12-18 숯가루를 함유하는 과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463A KR20060069782A (ko) 2004-12-18 2004-12-18 숯가루를 함유하는 과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782A true KR20060069782A (ko) 2006-06-22

Family

ID=3716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463A KR20060069782A (ko) 2004-12-18 2004-12-18 숯가루를 함유하는 과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97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7341A (zh) * 2015-06-09 2015-10-07 广西壮族自治区亚热带作物研究所 一种新型原味水果干的加工方法及原味水果干备长炭干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7341A (zh) * 2015-06-09 2015-10-07 广西壮族自治区亚热带作物研究所 一种新型原味水果干的加工方法及原味水果干备长炭干燥方法
CN104957341B (zh) * 2015-06-09 2018-05-11 广西壮族自治区亚热带作物研究所 一种原味水果干的加工方法及原味水果干备长炭干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99992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некурительного табачного изделия
JPH0641201A (ja) 分散性ポリデキストロース、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CN1394517A (zh) 软糖
EP2953483A1 (en) Crystal comestibl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60069782A (ko) 숯가루를 함유하는 과자
KR100495245B1 (ko) 기능성 당면 및 그 제조방법
CN105831545A (zh) 一种即食植物凝胶食品的加工方法
KR101848653B1 (ko) 대추를 이용한 표고버섯 육포 제조방법
KR100533220B1 (ko) 식품의 신선도유지 및 부패방지제의 제조방법
KR20060069783A (ko) 숯가루와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자
JPH01281066A (ja) 安定な緑葉植物青汁粉末及びその製造法
RU2285429C1 (ru) Творожная основ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диетического изделия
KR102050041B1 (ko) 분말식초의 제조방법
US1981225A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yeast and the product produced thereby
JP3872369B2 (ja) ホオノキ葉の加工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642081C1 (ru) Смесь для выпечки мягких вафель
KR0146569B1 (ko) 즉석 식용 가능한 칡분말의 제조방법
KR102398679B1 (ko) 가래떡 핫도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가래떡 핫도그
JP2002186444A (ja) 果実抽出液顆粒と製造方法
KR20020093692A (ko) 마늘-커피 제조
RU2347368C1 (ru) Композиция суфле и способ ее приготовления
RU228542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низкокалорийного молочного коктейля
KR20160103837A (ko) 무즙을 함유하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JPH07143850A (ja) 香辛料入り挽き珈琲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05098A (ko) 솔잎의 분말과 즙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