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830A - 지엽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830A
KR20060067830A KR1020050119347A KR20050119347A KR20060067830A KR 20060067830 A KR20060067830 A KR 20060067830A KR 1020050119347 A KR1020050119347 A KR 1020050119347A KR 20050119347 A KR20050119347 A KR 20050119347A KR 20060067830 A KR20060067830 A KR 20060067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s
paper
conveying direction
various kinds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777B1 (ko
Inventor
요시유키 가토
Original Assignee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지엽 검출 장치는 여러 종류의 지엽(紙葉; paper leaf)의 반송(搬送) 방향에 대하여 경사 각도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지엽 검출 장치는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을 통해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여러 종류의 지엽을 스캔하여 여러 종류의 지엽 상에 제공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으로의 대형화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지엽 검출 장치{Paper leaf detec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가 사용된 지폐 취급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의 센서 어레이와 아울러 지폐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의 자기 센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선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의 센서 어레이와 아울러 지폐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엽 검출 장치의 센서 어레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기술분야
2004년 12월 14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4-361140호에 대한 우선권이 주장되어 있으며, 상기 일본 특허 출원의 내용이 본원에 참조병합된다.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지엽을 검출하는 지엽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지폐 형태 따위의 위조방지 또는 식별을 위해, 은선(隱線; security thread)들이 지폐들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지엽(紙葉; paper leaf)에 제공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여러 종류의 지엽에 예를 들면 소정의 자기적 성질들을 갖는 은선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은선의 검출 유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眞僞) 등이 식별될 수 있으며 또한 그러한 자기적 성질들로부터 금전 형태가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은선들의 길이 방향 배열을 통해, 자기 강도(magnetic intensity) 따위로 코드화된 정보가 제공된다. 은선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정보가 은선에 제공될 경우에, 검출 측은 은선의 길이 방향으로 은선을 스캔(scan)하여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은선이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搬送)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에, 은선이 지나가는 위치에 자기 센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면, 이러한 자기 센서 장치로 여러 종류의 지엽 따위의 반송을 통해 스캔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은선이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 이러한 형태의 자기 센서 장치에서는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을 통한 스캔이 가능하지 않다. 이 때문에,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선형 자기 센서 장치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심지어는 은선이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있는 경우라도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을 통한 스캔을 가능하게 하는 기법이 있다(일본공개 미심사 특허출원 제9-24686호 참조).
그러나,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선형 자기 센서 장치가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장치에서는, 상기 자기 센서 장치를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공간이 특히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으로 대형화된다. 그 결과로, 상기 자기 센서 장치의 크기가 이러한 방향으로 대형화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위에 언급된 은선의 임의 검출과는 무관하게, 여러 종류의 지엽이 반송됨과 동시에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스캔을 수행하여 정보가 검출될 때에도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지엽이 반송됨과 동시에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스캔을 수행하여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게 하는 지엽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위에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 각도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지엽 검출 장치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구성된 지엽 검출 장치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 에 대하여 경사 각도로 센서들을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반송을 통해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여러 종류의 지엽을 스캔하여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복수 개의 센서를 제공하고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일렬로 이러한 센서들을 배열함으로써, 상기 반송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반송을 통해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여러 종류의 지엽을 스캔하여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지엽 검출 장치에서, 복수 개의 센서의 경사 방향들이 모두 동일하며, 인접 센서들은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구성된 지엽 검출 장치에 의하면, 인접 센서들이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연속적이기 때문에, 비록 복수 개의 센서가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센서들 사이에서는 판독가능하지 않은 부분들이 전혀 없고 데이터는 연속 데이터로서 판독될 수 있다. 더욱이, 심지어는 복수 개의 센서가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라도 복수 개의 센서의 경사 방향들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센서들이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연속적이고 또한 상기 센서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센서들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지엽 검출 장치는 상기 센서들 각각의 출력 신호들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장치, 상기 메모리 장치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시키는 합성 장치, 및 상기 합성 장치에 의해 합성된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구성된 지엽 검출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메모리 장치는 각각의 센서의 출력 신호들을 각각 저장하고, 상기 합성 장치는 이러한 메모리 장치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한다. 이어서, 상기 식별 장치는 이러한 합성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 및 형태를 식별한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여러 종류의 지엽을 스캔하여 획득되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러한 연속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지엽 검출 장치에서, 인접 센서들은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 있는 단부들로서, 서로 중복되는 단부들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구성된 지엽 검출 장치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 있는 인접 센서들의 단부들이 소정의 양만큼 서로 중복되기 때문에, 비록 복수 개의 센서가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센서들 사이에서는 판독가능하지 않은 부분들이 전혀 없으며, 중복 데이터 부분들을 통해 위상들을 일치시킴으로써, 데이터가 연속적인 데이터로서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 개의 센서의 경사 방향들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심지어는 여러 종 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복수 개의 센서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인접해 있는 상기 센서들의 단부들이 소정의 양만큼 서로 중복되며 또한 상기 센서들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센서들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지엽 검출 장치는 상기 센서들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장치, 인접 센서들로부터의 중복 데이터 부분들 양자 모두 중 하나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시키는 합성 장치, 및 상기 합성 장치에 의해 합성된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구성된 지엽 검출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메모리 장치는 각각의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각각 저장하며, 신호 합성 장치는 부분적으로 중복하는 데이터 양자 모두 중 어느 하나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신호로서 이러한 메모리 장치들로부터의 신호들을 합성시킨다. 이어서, 상기 식별 장치는 이러한 합성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 및 형태를 식별한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여러 종류의 지엽을 스캔하여 획득되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러한 연속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지엽 검출 장치에서는, 상기 식별 장치가 중복 데이터 부분들이 서로 일치하는 정도를 또한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구성된 지엽 검출 장치에 의하면, 부분적으로 중복하는 데이터가 일치하는 정도를 상기 식별 장치가 식별하기 때문에, 훨씬 더 세부적으로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지엽 검출 장치에서는, 복수 개의 센서가 지엽에 제공된 은선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구성된 지엽 검출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센서가 여러 종류의 지엽에 제공되어 있는 은선을 검출하기 때문에, 상기 은선에 제공된 정보는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으면서 검출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은 지엽 검출 장치에서는, 복수 개의 센서가 지엽에 제공된 자성 잉크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구성된 지엽 검출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센서가 여러 종류의 지엽 상에 제공된 자성 잉크를 검출하기 때문에, 자성 잉크 분포 정보 등은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으면서 검출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 -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가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11)는 지폐들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여러 종류의 지엽을 취급하는 지폐 취급기(12)에 통합되어 있다. 이러한 지엽 검출 장치(11)는 지폐 취급기(12)의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들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11) 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폐들(15)에 제공된 은선들(16)을 검출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11)가 제공되어 있는 지폐 취급기(12)에서, 예를 들면, 투입구(20)에 투입된 지폐들은 낱장으로 분리되어 반송 방향이 각각의 지폐의 길이 방향인 상태로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된다. 이러한 반송 동안, 지폐들의 진위 및 금전 형태가 지폐 검출 장치(11)에 의해 식별되고 지폐들이 계수된다. 위조 지폐들이 있다면 그러한 위조 지폐들은 반환구(19)에 반환되지만, 진짜 지폐들은 임시 보관부(21)에서 지폐의 금전 형태에 따라 분류되어 임시 보관된다. 이후에는, 지폐들은 지폐의 금전 형태에 따라 분류되면서 수납부(22)에 수납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에 언급된 은선들(16)은 지폐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지폐들의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폐들(15)에 형성되어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지폐들(15)이 지폐들(15)의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기 때문에, 은선들은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폐들(15)에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은선들(16)은 금속 은선들(metal threads)이며 자기 강도를 통해 코드화된 정보가 은선들(16)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재되도록 은선들(16)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은선들(16)에 포함된 정보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지폐들(15)의 금전 형태에 따라 다른 금전 정보이다. 여기서 유념할 점은 동일한 정보가 은선들(16)이 연장된 방향으로 단일 지폐의 은선(16)에 여러 번 반복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11)는 지폐 취급기(12)의 반송부(13)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지폐들(15)을 일렬로 반송하고 지폐들(15)의 앞면 및 뒷면 방향 중 한 측으로부터 일렬로 이동하는 지폐들(15)을 검출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엽 검출 장치(11)에는 각각이 동일 구조를 갖는 복수 개의 자기 센서(25)를 지니는 센서 어레이(26)가 제공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자기 센서(25)에서는 각각의 길이 방향이 기다란 직사각형의 기판(27) 상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직사각형의 검출 코일들(즉, 센서들)(28)이 제공되어 있으며, 직사각형의 검출 코일들(28)은 기판(27)보다 좁은 폭을 지닌다. 직사각형의 검출 코일들(28)과는 반대측에 여자용 자석들(excitation magnetics)(29)이 기판(27) 상에 제공되어 있다.
센서 어레이(26)는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지폐들(15)의 앞면 또는 뒷면 중 어느 한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센서 어레이(26)에서는, 위에 언급된 복수 개(상기 도면의 예에서는 6 개)의 자기 센서(25)는 지폐들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때, 자기 센서들(25) 모두는 자기 센서들(25)의 각각의 직사각형의 검출 코일들(28)이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지폐들(15)의 정면 또는 뒷면 중 어느 한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검출 코일들(28)의 높이 위치들이 일치되어 있고 또한 지폐 반송 방향으로의 검출 코일들(28)의 위치들이 일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 센서들(25) 모두는 지폐 반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일한 피치에서 정렬된다.
더욱이, 자기 센서들(25) 모두에 대하여, 직사각형의 검출 코일들(28)은 검 출 코일들(28)의 길이 방향이 지폐 반송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45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로,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은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지폐 반송 방향에 대한 경사 방향 및 경사 각도는 직사각형의 검출 코일들(28) 모두에서 동일하다. 그 외에도, 서로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인접 검출 코일들(28) 모두의 단부들의 위치들은 지폐 반송 방향에서 보면 모두 일치한다. 다시 말하면,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모든 인접 검출 코일들(28)은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 있다. 여기서 유념할 점은 2개의 최외각 측 상에 있는 검출 코일들(28)이 반송되고 있는 지폐들(15)에 미치지 않는 양측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 어레이(26)를 이루고 있는 자기 센서들(25) 모두의 검출 코일들(28)은 각각 개별적인 메모리부들(즉, 메모리 장치들)(31)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 개의 메모리부(31)는 대응하는 검출 코일(28)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각각 저장한다.
메모리부들(31) 모두는 신호 합성부(즉, 합성 장치)(32)에 연결되어 있다. 신호 합성 장치(32)는 지폐들(15)이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되는 속도, 각각의 검출 코일(28)의 경사 각도, 및 각각의 검출 코일(28)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부의 길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메모리부(31)로부터의 신호들을 단일의 연속적인 신호로 합성시킨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특정의 지폐(15)가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되어서 센서 어레이(26)를 통과하는 경우에, 은선(16)은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에 의해 은선(16)이 연장되어 검출되는 방향에서 복수 개의 검출부로 분할된다. 이때, 각각의 검출 코일(28)은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 각각의 경사들의 결과로 은선(16)이 연장된 방향으로 은선(16)의 검출부를 스캔한다.
다시 말하면, 은선(16)의 각각의 검출부는 지폐들(15)의 반송에 따라 대응하는 검출 코일(28)의 반송 방향 상류인 상류부(28a)의 측으로부터 하류부(28b)의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검출 코일들(28)이 대각선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검출 코일들(28)과 교차하는 교차 부분들은 은선(16)이 연장된 방향의 한 측(즉, 상류부(28a) 측; 도 2의 우측)으로부터 이러한 연장 방향의 반대측(즉, 하류부(28b) 측; 도 2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은선(16)의 각각의 검출부는 각각의 검출 코일(28)에 의해 은선(16)의 연장 방향으로 스캔된다.
다음으로는, 은선(16)의 연장 방향으로 상류부들(28a)이 단일의 검출 코일(28)의 하류부(28b)와는 상대적으로 위치해 있는 측(즉, 도 2의 우측) 상의 한 단부에 배치되는 검출 코일(28)로부터의 신호에서 모든 검출 코일들(28)과의 반대 측(즉, 도 2의 좌측) 상의 한 단부 상에 배치되는 검출 코일(28)로부터의 신호에 이르기까지, 지폐들(15)이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되는 속도, 각각의 검출 코일(28)의 경사 각도, 각각의 검출 코일(28)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부의 길이, 및 검출 코일들(28)의 순서를 기반으로 하여 시간차 및 위상이 시프트되면서,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로, 은선(16)의 연장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캔되는 신호 와 동일한 신호가 획득된다. 이러한 신호는 은선(16)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화된 자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턴의 신호 파형을 지닌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호 합성부(32)에 의해 단일의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된 신호는 식별부(즉, 식별 장치)(33) 내에 입력된다. 상기 식별부(33)에서는, 이러한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지폐(15)의 진위 및 금전 형태가 은선(16)으로부터 판독된 코드로부터 식별되고 그 결과가 지폐 취급기(12) 측 상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출력된다. 이러한 제어부에서는, 센서 어레이(26)에 의해 검출된 지폐가 위조 지폐일 경우에, 상기 지폐는 반환구(19)로 반환된다. 센서 어레이(26)에 의해 검출된 지폐가 진짜 지폐일 경우에, 지폐의 금전 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계수(計數; counting) 등이 수행되고 지폐는 임시 보관부(21)에서 임시 보관된다. 이후로는, 지폐가 수납부(22)에 수납된다.
제1 실시예의 위에 언급된 지폐 검출 장치(11)에 의하면,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검출 코일들(28)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지폐들(15)의 반송을 통해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폐들(15)을 스캔하여 은선(16)에 제공된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을 제공하고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이러한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을 일렬로 배열함으로써, 상기 반송 방향으로의 대형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폐들(15)의 반송을 통해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폐들(15)을 스캔하여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럼으로써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으로의 대형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인접 검출 코일들(28)이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 있기 때문에, 비록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이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검출 코일들(28) 사이에는 판독가능하지 않은 부분들이 전혀 없으며 데이터가 연속적인 데이터로서 판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복수 개의 메모리부(31)는 각각의 검출 코일(28)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각각 저장하고 신호 합성부(32)는 이러한 메모리부들(31)로부터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시킨다. 이어서, 식별부(33)는 이러한 합성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지폐(15)의 진위 및 금전 형태를 식별한다. 따라서,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은선들(16)을 스캔하여 획득되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러한 연속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지폐들(15)의 진위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의 경사 방향들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심지어는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이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검출 코일들(28)이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연속적이고 또한 검출 코일들(28)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검출 코일들(28)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군다나,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이 지폐들(15)에 제공된 은선들(16)을 검출하기 때문에, 은선(16)에 제공된 정보는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으면서 검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와 서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엽 검출 장치(11)가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유념할 점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설명부호들이 적용되어 있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2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11)는 제1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11)와는 다른 센서 어레이(26)를 지닌다.
제2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11)의 센서 어레이(26)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자기 센서들(25)이 제1 실시예에서 같이 일렬로 복수 개(도시된 예에서는 9 개)의 동일한 검출 코일(28)을 배열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 있는 모든 인접 검출 코일들(28)의 단부들이 소정의 양만큼 서로 중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또한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검출 코일들(28) 모두는 인접 검출 코일들(28)이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연속적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 있는 인접 검출 코일들(28)의 단부들이 소정의 양만큼 서로 중복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 중복되는 이러한 단부들에 의해 인접 검출 코일들(28)로부터의 신호들에서 검출되는 데이터의 일부분이 동일한 데이터이다(중복되는 이러한 인접 검출 코일들(28)의 데이터 부분들이 중복 데이터 부분들로서 언급된다).
또한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는, 신호 합성부(32)는 지폐들(15)이 반송부(31)에 의해 반송되는 반송 속도 등을 기반으로 하여 대응하는 검출 코일들(28)에 연결된 각각의 메모리부(31)로부터의 신호들을 단일의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시킨다. 이때, 중복 데이터 부분들을 통해 상기 신호들의 위상들이 일치되며, 이후에는 중복 데이터 부분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신호들이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된다. 여기서 유념할 점은 중복 데이터 부분들 양자 모두 중 일부를 통해 상기 신호들을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중복 데이터 부분들의 위상들은 지폐들(15)이 반송부(13)에 의해 반송되는 속도, 각각의 검출 코일(28)의 경사 각도, 각각의 검출 코일(28)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부의 길이, 및 상류부들(28a)이 단일의 검출 코일(28)의 하류부(28b)와는 상대적으로 위치해 있는 측(즉, 도 5의 우측) 상의 은선(16)의 연장 방향의 한 단부에 배치된 검출 코일(28)로부터의 신호에서 모든 검출 코일들(28)과의 반대 측(즉, 도 5의 좌측)에 배치된 검출 코일(28)로부터의 신호에 이르기까지의 검출 코일들(28)의 순서를 기반으로 하여 시프트된다. 이후에는, 중복 데이터 부분들의 미리 설정된 측의 중복 데이터 부분이 제거되고, 상기 신호들이 순차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그 결과로, 은선(16)의 연장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스캔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획득된다. 이러한 신호는 은선(16)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화된 자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턴을 지닌다.
이러한 방식으로, 신호 합성부(32)에 의해 단일의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된 신호는 식별부(33) 내에 입력된다. 상기 식별부(33)에서는, 이러한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지폐(15)의 진위 및 금전 형태가 은선(16)으로부터 판독된 코드로부터 식별되고 그 결과는 지폐 취급기(12) 측 상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출력된다. 이때, 상기 식별부(33)는 중복 데이터 부분들 모두에 대하여 중복 데이터 부분 들 사이의 일치 정도를 식별하고, 만약 일치하는 정도들 중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값 이하이라면, 은선(16)에는 어느 정도의 변형이 존재하고 지폐(15)가 위조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어서, 오류 신호가 지폐 취급기(12) 측 상의 제어부에 출력된다.
위에 언급된 제2 실시예의 지엽 검출 장치(11)에 의하면,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 있는 인접 검출 코일들(28)의 단부들이 소정의 양만큼 서로 중복되기 때문에, 비록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이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검출 코일들(28) 사이에는 판독가능하지 않은 부분들이 전혀 없으며, 중복 데이터 부분들을 통해 위상들을 일치시킴으로써, 데이터가 연속적인 데이터로서 신뢰성 있게 검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복수 개의 메모리부(31)는 각각의 검출 코일(28)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각각 저장하고, 신호 합성부(32)는 중복 데이터 부분들 중 어느 한 부분을 통해 이러한 메모리부들(31)로부터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시킨다. 이어서, 상기 식별부(33)는 이러한 합성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지폐(15)의 진위 및 금전 형태를 식별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은선들(16)을 스캔하여 획득되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러한 연속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지폐들(15)의 진위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의 경사 방향들이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심지어는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이 지폐들(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렬로 배치될 경우라도, 지 폐들(15)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인접해 있는 검출 코일들(28)의 단부들이 소정의 양만큼 서로 중복되며, 또한 검출 코일들(28)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검출 코일들(28)을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중복 데이터 부분들이 일치하는 정도를 상기 식별부(33)가 식별하기 때문에, 훨씬 더 세부적으로 지폐들(15)의 진위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유념할 점은 위에 언급된 제1 및 제2 실시예들의 지엽 검출 장치들(11)에서,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이 자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은선(16)을 검출하는 예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어 있지만, 자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일부분이 존재할 경우에, 예를 들면 자성 잉크의 프린트 패턴을 검출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자성 잉크 분포 정보는 지폐 반송 방향으로 대형화되지 않으면서 검출될 수 있다.
더군다나, 제1 및 제2 실시예들의 지엽 검출 장치들(11)을 변경함으로 인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엽 검출 장치들(11)이 자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은선(16)을 검출하지 않고 지폐(37)에 제공된 광 정보(optical information)를 포함하고 있는 은선(38)을 검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광 센서들(43)은 기판(42) 상에 자신의 위치들이 길이 방향으로 일치하는 상태로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 있도록 직사각형의 광원들(40) 및 수광부들(즉, 센서들)(41)을 제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광 센서들(43)은 광원들(40) 및 수광부들(41)이 위에 언급된 검출 코일들(28)과 동일한 상태에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형광 염료가 플라스틱 은선 상에 한 패턴으로 도포된 여러 종류의 지엽이 검출될 경우에, 광원(40)으로서 자외선 광원을 사용하여 형광의 발광이 수광부들(4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지엽 검출 장치(11)에서는, 지폐들의 반송 방향으로 연장된 은선이 제공되어 있는 지폐들에 다른 형태의 지엽이 혼입되는 경우에, 은선의 연장 방향으로 은선을 스캔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더군다나, 제1 및 제2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지엽 검출 장치(11)에서, 복수 개의 검출 코일(28)이 또한 위에 언급된 자세(attitude)를 갖도록 단일의 기판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지폐들의 검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형태의 지엽의 검출에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 및 예시되었지만, 여기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이러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을 대표하는 것이며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추가, 생략, 대체, 및 다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의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선 안 되고 단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 한정될 뿐이다.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 각도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를 여러 종류의 지엽(15)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일렬로 배열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 고 있는 은선에 제공된 정보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으로의 대형화를 방지한다.

Claims (9)

  1. 지엽 검출 장치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 각도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들의 경사 방향들이 모두 동일하며, 인접 센서들은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 검출 장치는 상기 센서들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장치, 상기 메모리 장치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시키는 합성 장치, 및 상기 합성 장치에 의해 합성된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검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인접 센서들은 여러 종류의 지엽의 반송 방향에서 보면 서로에 대하여 인접해 있는 단부들로서, 서로 중복되는 단부들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검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 검출 장치는 상기 센서들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 개의 메모리 장치, 인접 센서들로부터의 중복 데이터 부분들 양자 모두 중 하나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연속적인 신호로서 합성시키는 합성 장치, 및 상기 합성 장치에 의해 합성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종류의 지엽의 진위를 식별하는 식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장치는 중복 데이터 부분들이 서로 일치하는 정도를 또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검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지엽에 제공된 은선(security thread)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검출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지엽에 제공된 자성 잉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검출 장치.
  9. 제1항에 따른 지엽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지폐 취급기.
KR1020050119347A 2004-12-14 2005-12-08 지엽 검출 장치 KR100709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1140A JP2006171953A (ja) 2004-12-14 2004-12-14 紙葉類検出装置
JPJP-P-2004-00361140 2004-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830A true KR20060067830A (ko) 2006-06-20
KR100709777B1 KR100709777B1 (ko) 2007-04-19

Family

ID=3584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347A KR100709777B1 (ko) 2004-12-14 2005-12-08 지엽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81428B2 (ko)
EP (1) EP1672594B1 (ko)
JP (1) JP2006171953A (ko)
KR (1) KR100709777B1 (ko)
CN (2) CN1790424A (ko)
TW (1) TWI2991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80053A1 (it) 2008-01-15 2009-07-16 Fabriano Securities Srl Elemento di sicurezza, particolarmente per banconote, carte di sicurezza e simili, avente caratteristiche anti-contraffazione.
ITMI20080261A1 (it) * 2008-02-19 2009-08-20 Fabriano Securities Srl Sensore di lettura di banconote, carte di sicurezza e simili, contenenti almeno un elemento di sicurezza.
JP5267558B2 (ja) * 2008-05-22 2013-08-21 富士電機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JP2010116214A (ja) * 2008-10-16 2010-05-27 Ricoh Co Ltd シート搬送装置、ベルト駆動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0086994A1 (ja) * 2009-01-30 2010-08-05 ビルコン株式会社 紙葉類識別計数機およびその識別計数方法
US8584948B2 (en) 2009-04-01 2013-11-19 Fedrigoni S.P.A. Security element comprising magnetic areas of different coercivities, a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a method for reading information encoded in the element
US9734648B2 (en) * 2012-12-11 2017-08-15 Ncr Corporation Method of categorising defects in a media item
CN103714615A (zh) * 2013-12-28 2014-04-09 鞍山搏纵科技有限公司 复合型磁性识别系统
CN103809137B (zh) * 2014-02-21 2016-08-31 中国人民银行印制科学技术研究所 纸页检测装置和纸页检测方法
CN103927811B (zh) * 2014-03-25 2016-09-14 江苏多维科技有限公司 一种磁电阻磁性图像识别传感器
CN106023409A (zh) * 2016-06-30 2016-10-12 中钞长城金融设备控股有限公司 纸币安全线磁性编码的检测装置及其方法
DE102020006201A1 (de) * 2020-10-08 2022-04-14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r Echtheitsprüfung eines Datenträgers mit Nullfeld-NMR-Merkma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4956B2 (ja) * 1988-02-17 1997-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メージ情報処理装置
JPH02215085A (ja) * 1989-02-14 1990-08-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調光装置
GB8918699D0 (en) * 1989-08-16 1989-09-27 De La Rue Syst Thread detector assembly
IT1271191B (it) 1994-06-22 1997-05-27 Mantegazza A Arti Grafici Apparecchiatura di lettura per la rilevazione della presenza e per la decodifica di fili di sicurezza in documenti a conformazione lastriforme
US5614824A (en) 1995-05-15 1997-03-25 Crane & Co., Inc. Harmonic-based verifier device for a magnetic security thread having linear and non-linear ferromagnetic characteristics
JP3325750B2 (ja) 1995-07-11 2002-09-17 財務省印刷局長 安全保護紙とその真偽判定装置
AU6343898A (en) 1997-02-28 1998-09-18 University And Community College System Of Nevada Magnetoresistive scanning system
DE19882762T1 (de) 1997-10-31 2000-10-12 Cummins Allison Corp Geldbewertungs- und Aufzeichnungssystem
JP3655451B2 (ja) * 1997-12-11 2005-06-02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鑑別装置
JP4414625B2 (ja) * 1999-11-29 2010-02-10 富士通株式会社 紙葉処理装置
DE10122783A1 (de) 2001-03-26 2003-09-04 Plaas Link Andreas Überprüfen und Bestimmen von Banknoten in einem Hochfrequenzfeld
DE10122100A1 (de) * 2001-05-07 2002-11-14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uchung von Objekten
JP3651433B2 (ja) * 2001-09-28 2005-05-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磁気センサ
JP3921073B2 (ja) * 2001-10-31 2007-05-30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紙葉類の識別装置
TW566632U (en) 2003-01-24 2003-12-11 Voice & Telecomm Co Ltd Improved counterfeit paper money detecto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777B1 (ko) 2007-04-19
JP2006171953A (ja) 2006-06-29
CN102157025A (zh) 2011-08-17
TW200629178A (en) 2006-08-16
EP1672594B1 (en) 2018-05-16
CN1790424A (zh) 2006-06-21
EP1672594A1 (en) 2006-06-21
US20060125176A1 (en) 2006-06-15
US7481428B2 (en) 2009-01-27
TWI299142B (en) 200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777B1 (ko) 지엽 검출 장치
ES2375944T3 (es) Método semi-continuo para el procesamiento de papel moneda utilizando tarjetas de separación.
US5483069A (en) Validation apparatus for flat paper object
JP3693993B2 (ja) 紙葉類確定装置
KR100661440B1 (ko) 종이류 특징 검출 장치 및 종이류 특징 검출 방법
JP7018129B2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USRE38663E1 (en) Method for semi-continuous currency processing using separator cards
KR20070052982A (ko) 지폐 분류 및 계수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금융자동화기기
JPH06203244A (ja) 紙幣等の真贋識別装置
JP4907147B2 (ja) 紙幣処理機
WO20081490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ng a security document
WO2017168592A1 (ja) 有価書類処理装置及び有価書類処理方法
JP2007213210A (ja) 紙葉類鑑別装置
JP2018136742A (ja) 紙幣鑑別装置、及び現金処理装置
GB2148486A (en) Identification of articles
JPH0110692Y2 (ko)
TWI425449B (zh) 智慧型金融事務機
JP2022045035A (ja) 紙葉類識別装置、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識別方法
JPS62214994A (ja) 有価証券
KR20040080044A (ko) 지폐일련번호 인식 및 출력 장치
AU722106C (en) Method for semi-continuous currency processing using separator cards
JPH08249514A (ja) 紙幣の外形検出方法及び装置
JPS63282595A (ja) 紙幣取扱装置
ITTO20080730A1 (it) Dispositivo per riconoscere e validare assegni e banconote
JPS6282492A (ja) 紙葉類搬送整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