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369A -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369A
KR20060067369A KR1020040106123A KR20040106123A KR20060067369A KR 20060067369 A KR20060067369 A KR 20060067369A KR 1020040106123 A KR1020040106123 A KR 1020040106123A KR 20040106123 A KR20040106123 A KR 20040106123A KR 20060067369 A KR20060067369 A KR 20060067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glove box
rotation
storage space
upp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7369A/ko
Publication of KR2006006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으로, 글로브박스커버(10)에 일체로 형성된 글로브박스하우징(11)의 상부에 상기 글로브박스커버(11)에 의해 개폐되는 어퍼트레이(20)가 마련된 자동차의 글로브박스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레이(20)의 상면 양단에 힌지연결되어, 어퍼트레이(20)의 상판 개구부(23)를 통해 상하로 회동되면서 어퍼트레이(20)의 전방 입구를 통해 개폐되는 회동트레이(30)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40은 회동트레이(30) 상방 회동 상태를 유지해주는 판스프링이다.)
따라서, 주수납공간(R)과 어퍼트레이(20)에 의한 수납공간 이외에도 크래시패드(C) 내측의 최상부 공간을 활용하는 또 하나의 수납공간이 제공되어 보다 다양한 물건을 사용자 편의대로 수납할 수 있게 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버는 상기 글로브박스커버(10) 1개만 존재하게 되어 비용 감소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글로브박스{glove box of vehicle}
도 1은 종래 글로브박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또 다른 종래 글로브박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의 사시도(회동트레이가 닫혀진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어퍼트레이와 회동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의 단면도로서,
도 5는 회동트레이와 글로브박스커버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회동트레이와 글로브박스커버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대응되는 글로브박스의 사시도로서, 회동트레이가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글로브박스커버, 11 : 글로브박스하우징,
R : 주수납공간, 20 : 어퍼트레이,
21 : 측면틀, 22 : 힌지고리,
23 : 개구부, 24 : 상부틀,
25 : 손잡이홈, 30 : 회동트레이,
31 : 힌지축, 32 : 스토퍼,
33 : 완충재, 34 : 손잡이,
35 : 걸림부, 40 : 판스프링,
41 : 절곡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의 글로브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시보드의 운전석의 앞쪽 부분에는 각종 계기류들이 설치되나, 조수석의 앞쪽은 비어 있게 되므로, 이 빈 공간을 활용하여 잔 물건들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글로브박스(glove box)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글로브박스도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보다 다양한 물건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주수납공간 이외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추가로 마련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는 글로브박스커버(1)에 글로브박스하우징(2)이 일체로 형성되어 마련된 주수납공간(R)의 상부에 어퍼트레이(3)를 고정설치하여 별도의 수납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예는 상기 어퍼트레이(3)를 주수납공간(R)과는 완전히 독립시켜 개별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이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글로브박스커버 (1)와는 또 다른 전용의 어퍼트레이커버(4)가 설치된다.
따라서, 주수납공간(R) 뿐만 아니라 상기 어퍼트레이(3)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소물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도 1에 도시된 글로브박스는 1개의 커버만을 장착하므로 비용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어퍼트레이(3) 위쪽의 빈 공간 즉, 크래시패드(C)의 최상부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고, 상기 도 2에 도시된 글로브박스는 상부의 빈 공간을 활용하여 전체적으로 수납공간을 보다 크게 확장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각각의 수납공간마다 커버가 필요하게 되므로 비용면에서 불리하고, 또한 크래시패드(C) 상부 전면에 어퍼트레이커버(4)가 존재하게 되어 그 파팅라인(parting line)이 잘 보이게 되므로 미관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래시패드 내부의 최상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커버는 1개가 존재하게 되어 비용 절감과 더불어 상부쪽에 설치되는 커버의 파팅라인에 의한 외관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글로브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글로브박스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글로브박스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어퍼트레이가 마련된 자동차의 글로브박스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레이의 상면 양단에 힌지연 결되어, 어퍼트레이의 상판 개구부를 통해 상하로 회동되면서 어퍼트레이의 전방 입구를 통해 개폐되는 회동트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트레이의 상면 양단 후방에 ⊃형상의 힌지고리가 형성되고, 이 힌지고리에 상기 회동트레이의 양측판 후방 모서리에 형성된 힌지축이 삽입된다.
상기 회동트레이의 상판 단부에 돌출된 최첨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크래시패드상의 위치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자유단이되 절곡부를 중심으로 상하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와 판스프링 절곡부 상면의 걸림과 이탈에 의해 회동트레이가 상방으로 회동된 위치를 유지하거나 위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회동트레이의 하판 중앙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어퍼트레이의 하판 중앙에는 손잡이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트레이의 양측판에는 회동트레이 하향 회동시 어퍼트레이의 상면 양단에 걸려져 회동량을 제한하게 되는 작은 원기둥 형상의 스토퍼가 돌출성형된다.
상기 회동트레이의 상판의 앞쪽 단부에는 회동트레이 회동시 크래시패드의 단부 내측면에 닿아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재질의 완충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를 잡고 회동트레이를 상향 또는 하향회동시켜 어퍼트레이의 전방 입구를 통해 개폐시킴으로써 크래시패드의 최상부공간을 주수납공간과 어퍼트레이에 의한 수납공간과는 별도로 또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별도의 커버가 추가 설치되지 않고, 주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하나의 글로브박스커버만이 사용되게 되어 복수의 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주수납공간(R)을 형성하는 글로브박스커버(10)의 글로브박스하우징(11) 상부에 어퍼트레이(20)가 설치되어 또 다른 수납공간이 마련된 구조의 글로브박스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어퍼트레이(20)의 상부에 회동 개폐되는 회동트레이(30)가 설치되어 또 다른 수납공간이 추가로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글로브박스커버(10)는 내면에 글로브박스하우징(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주수납공간(R)을 형성하는 종래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양측 하단이 상기 어퍼트레이(20)의 양쪽 측면틀(21) 하단에 힌지연결되어 바깥쪽으로 회동되었을 때 주수납공간(R)과 상기 어퍼트레이(20)를 동시에 개방(어퍼트레이(20)의 개구된 전방 입구는 글로브박스커버(10)의 상부에 의해 개폐된다.)하고, 안쪽으로 회동되었을 때 주수납공간(R)과 어퍼트레이(20)를 동시에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만 적용되었을 때 비어 있게 되는 크래시패드(C)내 최상부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상기 회동트레이(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부분 즉, 차량의 실내를 향하는 부분이 개방되고 하판이 수평으로 위치되고, 상판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삼각기둥 형상의 부품으로서, 상기 어퍼트레이(20)의 상면 양단에 힌지 연결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트레이(30)의 양측판 후방 모서리에 힌지축(31)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트레이(20)의 상면 양단 후방에는 후방을 향해 개구된 ⊃형상의 힌지고리(22)가 형성되어 있어, 힌지축(31)이 힌지고리(22)의 내부로 삽입 결합됨으로써 이를 중심으로 회동트레이(30)가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고리(22)의 개구부 단부에는 힌지축(31)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트레이(30)는 상방(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크래시패드(C)의 최상부 공간내에 위치해 있게 되고, 하방으로 회동되었을 때는 어퍼트레이(20)의 내부 공간으로 침입해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어퍼트레이(20)의 상판에는 회동트레이(30)가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개구부(23)가 형성되고, 상판에는 전방의 상부틀(24)만 남아 있게 되며, 이 상부틀(24)의 아래쪽에 상기 어퍼트레이(20)의 하판이 위치하게 되어 어퍼트레이(20)가 상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부틀(24)에 어퍼트레이(20)의 하판이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트레이(30)의 양측판에는 작은 원기둥 형상의 스토퍼(32)가 돌출성형되어 있어서, 회동트레이(30)가 하향 회동되었을 때 어퍼트레이(20)의 상면 양단에 걸리게 되어, 그 하향 회동량을 제한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토퍼(32)는 회동트레이(30)가 하향 회동되어 그 전방 입구가 어퍼트레이(20)의 전방 입구와 일치되어 완전히 개방되는 위치에서 회동이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트레이(30)의 경사 형성된 상판의 앞쪽 단부 양측에는 고무재질의 완충재(33)가 설치되어, 회동트레이(30)가 완전히 하향 회동되었을 때 상기 상부틀(24)의 상부에 접해 있는 크래시패드(C)의 단부 내측면에 닿으면서 충격을 흡수해 주게 된다.(도 6 동시 참조)
한편, 상기 회동트레이(30)의 하판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가락 끝을 걸어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4)가 형성되며, 상기 어퍼트레이(20)의 하판 중앙에는 회동트레이(30)가 하향 회동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34)가 간섭되지 않도록 손잡이홈(25)이 형성된다.
도 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트레이(30)의 중앙에 대응되는 크래시패드(C)상의 위치에는 일종의 탄성편인 판스프링(40)이 설치된다. 이 판스프링(40)은 하단이 크래시패드(C)의 단부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자유단으로 있게 되며, 특히 상단부는 절곡부(41)를 중심으로 하부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상부는 위쪽을 향한 급격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판스프링(40)의 상단부에 접하는 회동트레이(30)의 상판 단부도 돌출된 최첨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걸림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제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는 주수납공간(R)과 어퍼트레이(20)에 의한 수납공간 및 회동트레이(30)에 의한 수납공간이 모두 폐쇄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닫혀진 글로브박스커버(10)에 의해 주수납공간(R)과 어퍼트레이(20)에 의한 수납공간이 외부와 차단되어 있고, 상기 회동트레이(30)에 의한 수납공간은 글로브박스커버(10)가 닫혀진 것과 회동트레이(30)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동트레이(30)는 상판의 단부 즉, 걸림부(35)의 하면이 판스프링(40)의 절곡부 상면과 맞대어져 있어 상방으로 회동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글로브박스커버(10)를 열면, 동시 회동되는 글로브박스하우징(11)이 외부로 개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상기 어퍼트레이(20)도 개방되므로, 이들로부터 물건을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회동트레이(30)는 크래시패드(C)의 최상부 공간내로 회동되어져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즉, 상기 회동트레이(30)는 글로브박스커버(10)를 열어도 열리지 않고,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만의 비밀장소로서 귀중품을 보관하는데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트레이(30)를 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을 손잡이(34)에 걸고 당겨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회동트레이(30) 상판의 걸림부(35)가 자유단인 판스프링(40)의 상단(절곡부(41)의 상면)을 밀면서 절곡부(41)를 타고 넘어오게 됨으로써 판스프링(40)에 의한 회동트레이(30)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회동트레이(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어퍼트레이(20) 상판의 개구부(23)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트레이(20)의 전방 입구를 통해 열려진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트레이(30)의 양측 스토퍼(32)는 어퍼트레이(20)의 상면 양단에 걸려져 회동을 제한하고, 상판의 완충재(33)들은 크래시패드(C)의 단부 내측면에 닿으면서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트레이(30)가 열려진 상태가 도 7에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열려진 회동트레이(30)에 물건을 넣은 후, 손잡이(34)를 잡고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회동트레이(30) 상판의 걸림부(35)가 다시 판스프링(40)의 절곡부(41)를 상방으로 타넘으면서 걸림부(35)의 하면과 판스프링(40)의 절곡부(41) 상면이 서로 맞대어짐으로써 회동트레이(30)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회동트레이(30)가 닫혀지면 어퍼트레이(20)가 개방되며, 개방된 어퍼트레이(20)와 글로브박스하우징(11)에 의한 주수납공간(R)은 글로브박스커버(10)를 이용하여 종래와 동일하게 개폐시키면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어퍼트레이의 상부에 회동트레이가 구비됨으로써 크래시패드의 최상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주수납공간과 어퍼트레이에 의한 수납공간 및 상기 회동트레이에 의한 수납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데 하나의 글로브박스커버만을 이용함으로써 커버가 복수개 사용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커버 복수 설치에 따른 비용감소가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 커버가 2개 설치되던 경우에 비하여 상부의 커버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상부 커버의 파팅라인에 의한 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트레이는 글로브박스커버를 열어도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으므로 귀중품을 넣어두는 사용자의 비밀 공간으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 세 곳의 수납공간을 사용자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글로브박스커버(10)에 일체로 형성된 글로브박스하우징(11)의 상부에 상기 글로브박스커버(11)에 의해 개폐되는 어퍼트레이(20)가 마련된 자동차의 글로브박스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레이(20)의 상면 양단에 힌지연결되어, 어퍼트레이(20)의 상판 개구부(23)를 통해 상하로 회동되면서 어퍼트레이(20)의 전방 입구를 통해 개폐되는 회동트레이(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트레이(20)의 상면 양단 후방에 ⊃형상의 힌지고리(22)가 형성되고, 이 힌지고리(22)에 상기 회동트레이(30)의 양측판 후방 모서리에 형성된 힌지축(31)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트레이(30)의 상판 단부에 돌출된 최첨단부를 중심으로 상하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걸림부(35)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크래시패드(C)상의 위치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자유단이되 절곡부(41)를 중심으로 상하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판스프링(40)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35)와 판스프링(40) 절곡부(41) 상면의 걸림과 이탈에 의해 회동트레이(30)가 상방으로 회동된 위치를 유지하거나 위치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트레이(30)의 하판 중앙에 손잡이(34)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어퍼트레이(20)의 하판 중앙에는 손잡이홈(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트레이(30)의 양측판에는 회동트레이(30) 하향 회동시 어퍼트레이(20)의 상면 양단에 걸려져 회동량을 제한하게 되는 작은 원기둥 형상의 스토퍼(32)가 돌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트레이(30)의 상판의 앞쪽 단부에는 회동트레이(30) 회동시 크래시패드(C)의 단부 내측면에 닿아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재질의 완충재(3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KR1020040106123A 2004-12-15 2004-12-15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KR20060067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123A KR20060067369A (ko) 2004-12-15 2004-12-15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123A KR20060067369A (ko) 2004-12-15 2004-12-15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369A true KR20060067369A (ko) 2006-06-20

Family

ID=3716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123A KR20060067369A (ko) 2004-12-15 2004-12-15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73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204B1 (ko) * 2005-12-13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노브 조립구조
KR20160124974A (ko) 2015-04-20 2016-10-31 동국실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204B1 (ko) * 2005-12-13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노브 조립구조
KR20160124974A (ko) 2015-04-20 2016-10-31 동국실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4623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4125589B2 (ja) 小物入れ
JP2002087167A (ja) 小物入れ
JP6634152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開閉用のフック
US20170368998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20070199864A1 (en) Storage structure for vehicle cabin interior
JP5644720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060067369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JP2009023712A (ja) 飲料容器用蓋
KR100738305B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JP6001918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3608184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879956B1 (ko) 자동차용 도어 트림 암레스트 트레이
US2291896A (en) Holder for keys or the like
JP6669086B2 (ja) 車両バックドア及び車両後部構造
JP4185080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KR20170112430A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KR101857492B1 (ko) 차량용 도어의 맵 포켓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KR20130068989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JPH0731495U (ja) 自動車の小物入れ
JP5813490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6220139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2004330920A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構造
CN108583394B (zh) 一种行李箱地毯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