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487A -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487A
KR20060066487A KR1020040105114A KR20040105114A KR20060066487A KR 20060066487 A KR20060066487 A KR 20060066487A KR 1020040105114 A KR1020040105114 A KR 1020040105114A KR 20040105114 A KR20040105114 A KR 20040105114A KR 20060066487 A KR20060066487 A KR 20060066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speaker
microphon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969B1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969B1/ko
Priority to CNB2005101316534A priority patent/CN100481646C/zh
Priority to US11/299,680 priority patent/US7361061B2/en
Publication of KR2006006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중앙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통로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와 접속되는 제1스피커 단자와, 상기 제1스피커 단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와 접속되는 제2스피커 단자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때 상기 제2스피커 단자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기 바디의 통로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로 구성되어, 플러그를 삽입할 때 단말기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을 제공한다.
단말기, 플러그, 이어잭, 이어폰, 휴대단말기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EAR-JACK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에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잭에 이어폰의 플러그가 2/3 정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에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에 이어폰이 2/3 정도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러그 12 : 통로
14 : 바디 20 : 제1접속부
22 :제2접속부 24 : 제3접속부
26 : 제4접속부 28 : 그루브
30 : 제1장착홀 32 : 제2장착홀
34 : 제3장착홀 36 : 제4장착홀
38 : 플러그 감지센서 40 : 지지부재
50 : 접지단자 52 : 제1스피커 단자
54 : 제2스피커 단자 56 : 마이크 단자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ear-jack)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ear-phone)의 플러그(plug)가 이어잭에 삽입될 때 단말기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잭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잭에 이어폰의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잭은 휴대 단말기에 고정되고 중앙에 플러그(102)가 삽입되는 통로(104)가 형성된 바디(106)와, 상기 바디(106)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102)가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102)와 접속되어 단말기의 전기 신호를 이어폰으로 전달하거나 이어폰의 전기신호를 단말기로 전달하는 다수의 접속단자들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6)의 통로(104)에는 상기 접속단자들이 통로(104)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장착홀들(108,110,112,11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들은 통로(104)의 입구에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제1장착홀(108), 제2장착홀(110), 제3장착 홀(112) 및 제4장착홀(114)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6)에는 상기 플러그(102)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시피유(CPU)로 전달하는 플러그 감지센서(1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102)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제1접속부(120), 제2접속부(122), 제3접속부(124) 및 제4접속부(126)가 형성되고, 상기 제4접속부(126)에는 그루브(128)가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102)가 바디(106)의 통로(104)에 삽입된 후 상기 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그루브(128)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플러그(102)가 바디(106)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접속단자들은 상기 바디(106)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1장착홀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102)의 제1접속부(120)와 접속되어 플러그(102)를 접지(ground)시키는 접지단자(130)와, 상기 바디(106)의 제2장착홀(110)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102)의 제2접속부(122)와 접속되어 상기 이어폰의 오른쪽 스피커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1스피커 단자(132)와, 상기 바디(106)의 제3장착홀(112)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102)의 제3접속부(124)와 접속되어 상기 이어폰의 왼쪽 스피커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2스피커 단자(134)와, 상기 바디(106)의 제4장착홀(114)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102)의 제4접속부(126)와 접속되어 이어폰의 마이크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단말기 본체로 전달하는 마이크 단자(13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마이크 단자(136)는 상기 플러그(102)가 바디(106)에 삽입되지 않은 때에는 바디(106)에 설치된 플러그 감지센서(116)와 쇼트(short)되어 있어 서 플러그 감지센서(116)가 "0" V(볼트)로 인가되어 있다가, 상기 플러그(102)가 삽입되면 상기 마이크 단자(136)는 플러그 감지센서(116)에서 분리되면서 플러그 감지센서(116)가 약 2.8V로 전압이 높아져서 시피유(CPU)에 이어폰이 연결된 신호를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 단자(136)는 상기 플러그(102)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102)에 형성된 그루브(128)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플러그(102)가 바디(106)의 통로(104)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이어폰의 플러그(102)가 바디(106)의 통로(104)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면, 마이크 단자(136)와 플러그 감지센서(116) 사이가 쇼트되어 있고, 이에 따라 시피유(CPU)는 이어폰이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디(106)의 통로(104)에서 이어폰의 플러그(102)를 뽑으면, 플러그(102)의 제1접속부(120)와 접지단자(130)가 접속되어 상기 플러그(102)를 접지시키고, 플러그(102)의 제2접속부(122)와 제1스피커 단자(132)가 접속되어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가 이어폰의 오른쪽 스피커로 전달되고, 플러그(102)의 제3접속부(124)가 제2스피커 단자(134)와 접속되어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가 이어폰의 왼쪽 스피커로 전달되고, 플러그(102)의 제4접속부(126)가 마이크 단자(136)와 접속되어 이어폰의 마이크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가 단말기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 단자(136)는 상기 플러그(104)의 제4접속부에 의해 플러그 감지센서(116)와 분리되면서 상기 플러그 감지센서(116)에서 약 2.8V의 전압이 발생되어 그 전기신호가 시피유(CPU)로 전달되면, 상기 시피유(CPU)는 이어폰이 단말기에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의 플러그(102)가 바디(106)의 통로(104)에 삽입될 때 플러그(102)가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102)의 제2접속부(122)가 마이크 단자(136)와 접촉되어 상기 마이크 단자(136)가 플러그 감지센서(116)와 분리되기 때문에 플러그(102)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 이어폰 연결신호가 CPU로 인가되어 단말기에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102)가 삽입될 때 플러그(102)의 제4접속부(126)에 마이크 단자(136)와 제2스피커 단자(134)가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마이크 단자(136)와 제2스피커 단자(134)가 쇼트되고, 이에 따라 시피유(CPU)는 통화키를 누른 것으로 인식하여 플러그(102)가 삽입될 때 통화가 연결되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를 이어잭에 삽입될 때 마이크단자와 제2스피커 단자 사이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러그를 삽입할 때 단말기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은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중앙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플러그의 제1접속부와 접속되고 상기 통로의 앞쪽에 배치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제2접속부와 접속되는 제1스피커 단자와, 상기 제1스피커 단자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의 제3접속부와 접속되는 제2스피커 단자와, 상기 제2스피커 단자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의 제4접속부와 접속되는 마이크 단자와, 상기 통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플러그가 바디의 통로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은 휴대 단말기에 고정되고 중앙에 플러그(10)가 삽입되는 통로(12)가 형성된 바디(14)와, 상기 바디(14)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10)와 접속되어 단말기의 전기 신호를 이어폰으로 전달하거나 이어폰의 전기신호를 단말기로 전달하는 다수의 접속단자들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10)는 그 외주면에 접속단자들과 접속되어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접속부들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접속부들은 접지 역할을 하는 제1 접속부(20)와, 이어폰의 오른쪽 스피커와 연결되는 제2접속부(22)와, 이어폰의 왼쪽 피스커와 연결되는 제3접속부(24)와, 이어폰의 마이크와 연결되는 제4접속부(2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4접속부(26)에는 바디(14)에 장착된 지지부재(40)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플러그(10)가 바디(14)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그루브(28)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14)의 통로(12)에는 상기 접속단자들이 통로(12)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장착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들은 통로(12)의 입구에서부터 제1장착홀(30), 제2장착홀(32), 제3장착홀(34) 및 제4장착홀(36)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4)에는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시피유(CPU)로 전달하는 플러그 감지센서(38)가 설치된다.
상기 접속단자들은 일정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의 접속부들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제1장착홀(30)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10)의 제1접속부(20)와 접속되어 플러그(10)를 접지(ground)시키는 접지단자(50)와, 상기 제2장착홀(32)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10)의 제2접속부(22)와 접속되어 상기 이어폰의 오른쪽 스피커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1스피커 단자(52)와, 상기 제3장착홀(34)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10)의 제3접속부(24)와 접속되어 상기 이어폰의 왼쪽 스피커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2스피커 단자(54)와, 상기 제4장착홀(36)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10)의 제4접속부(26)와 접속되어 이어폰의 마이크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단말기 본체로 전달하는 마이크 단자(56)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 단자(56)는 상기 플러그(10)가 바디(14)에 삽입되지 않은 때에 는 바디(14)에 설치된 플러그 감지센서(38)와 쇼트(short)되어 있어서 플러그 감지센서(38)가 "0" 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시피유(CPU)는 플러그(10)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되면 마이크 단자(56)는 플러그(10)에 의해 플러그 감지센서(38)에서 분리되고, 이때 플러그 감지센서(38)는 약 2.8V의 전압이 발생되어 그 전기신호를 시피유(CPU)로 인가하면, 시피유(CPU)는 플러그(10)가 삽입된 것으로 인식한다.
이와 같은 상기 마이크 단자(5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가 약 2/3 정도 삽입되어 플러그(10)의 제4접속부(26)가 제2스피커 센서(54)와 접속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플러그(10)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마이크 단자(136)에 비해 바디(14)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10)의 제4접속부(26)가 제2스피커 단자(54)와 마이크 단자(56)가 동시에 접속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플러그(10)가 약 2/3 정도 삽입된 상태일 때 플러그(10)가 마이크 단자(56)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 단자(56)와 플러그 감지센서(38)는 쇼트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가 완전히 삽입된 경우 마이크 단자(56)는 플러그(10)의 제4접속부(26)와 접속되고 플러그 감지센서(38)와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4)에는 상기 플러그(10)가 바디(14)에서 빠지는 것을 방 지하는 지지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40)는 제2스피커 단자(54)와 마이크 단자(5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1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10)의 그루브(28)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10)가 바디(14)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지지부재(28)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판 스프링타입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이어잭에 이어폰의 플러그(1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면, 마이크 단자(56)와 플러그 감지센서(38)가 쇼트되어 상기 플러그 감지센서(38)에는 "0" V의 전압이 흐르고, 이에 따라 시피유(CPU)는 이어잭에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14)의 통로(12)에 플러그(10)를 삽입하면, 상기 플러그(10)의 제1접속부(20)가 접지단자(50)와 접속되어 플러그(10)가 접지되고, 상기 플러그(10)의 제2접속부(22)가 제1스피커 단자(52)와 접속되어 우측 스피커로 음성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플러그(10)의 제3접속부(24)가 제2스피커 단자(54)와 접속되어 좌측 스피커로 음성신호를 전달하고, 플러그(10)의 제4접속부(26)가 마이크 단자(56)와 접속되어 마이크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를 단말기 본체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4접속부(26)에 형성된 그루브(28)에 지지부재(40)가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플러그(10)가 바디(14)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작용 중 상기 플러그(10)가 약 2/3 정도 삽입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제4접속부(26)에 제2스피커 단자(54)가 접속되지만 마이크 단자(56)는 제4접속부(26)에 접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스피커 단자(54)와 마이크 단자(56)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말기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은 마이크 단자의 설치 위치를 바디의 후방쪽으로 치우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때 플러그의 제4접속부에 마이크 단자와 제2스피커 단자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말기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플러그가 바디의 통로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그루브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러그가 바디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중앙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통로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와 접속되는 제1스피커 단자 와;
    상기 제1스피커 단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와 접속되는 제2스피커 단자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때 상기 제2스피커 단자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기 바디의 통로에 배치되는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마이크 단자와 쇼트되고,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마이크 단자와 분리되어 플러그가 삽입된 신호를 시피유(CPU)로 전달하는 플러그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단자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의 접속부에 제2스피커 단자와 동시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2스피커 단자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4.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중앙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플러그의 제1접속부와 접속되고 상기 통로의 앞쪽에 배치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제2접속부와 접속되는 제1스피커 단자와,
    상기 제1스피커 단자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의 제3접속부와 접속되는 제2스피커 단자와;
    상기 제2스피커 단자와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의 제4접속부와 접속되는 마이크 단자와;
    상기 통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플러그가 바디의 통로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마이크 단자와 쇼트되고,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마이크 단자와 분리되어 플러그가 삽입된 신호를 시피유(CPU)로 전달하는 플러그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단자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의 제4접속부에 제2스피커 단자와 동시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2스피커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스피커 단자와 상기 마이크 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에 형성된 그루브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판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KR1020040105114A 2004-12-13 2004-12-13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KR100619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114A KR100619969B1 (ko) 2004-12-13 2004-12-13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CNB2005101316534A CN100481646C (zh) 2004-12-13 2005-12-13 便携式终端的耳机插孔
US11/299,680 US7361061B2 (en) 2004-12-13 2005-12-13 Ear-jack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114A KR100619969B1 (ko) 2004-12-13 2004-12-13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487A true KR20060066487A (ko) 2006-06-16
KR100619969B1 KR100619969B1 (ko) 2006-09-08

Family

ID=3678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114A KR100619969B1 (ko) 2004-12-13 2004-12-13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61061B2 (ko)
KR (1) KR100619969B1 (ko)
CN (1) CN100481646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152B1 (ko) * 2007-10-08 2013-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잭 삽입용 단자
KR101454240B1 (ko) * 2008-06-16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50106754A (ko) * 2014-03-12 2015-09-22 한결 온도 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9219330B2 (en) 2012-06-21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gle adjustable ear jack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2501B2 (en) 2007-01-05 2011-03-22 Apple Inc. Audio I/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US7789697B2 (en) * 2007-06-11 2010-09-07 Apple Inc. Plug detection mechanisms
DE102009011912A1 (de) * 2009-03-10 2010-09-16 Celon Ag Medical Instruments Hochfrequenz-Chirurgiegerät
KR20120080824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커넥터
GB2498006B (en) * 2011-12-22 2014-07-09 Rolls Royce Plc Gas turbine engine systems
US9130289B2 (en) * 2012-08-02 2015-09-08 Google Inc. Power connector
KR101946486B1 (ko) 2012-08-23 2019-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접속 인터페이스 및 이어폰 운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3700987B (zh) * 2013-10-17 2016-08-17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耳机插座及音频设备
KR102243235B1 (ko) * 2014-08-14 2021-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되는 이어잭 단자 캡
US9537271B2 (en) * 2014-12-08 2017-01-03 Xiaomi Inc. Earphone socket, earphone plug,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CN106936038B (zh) * 2017-04-13 2019-06-21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接口与电子设备
WO2020112472A1 (en) * 2018-11-30 2020-06-04 Hubbell Incorporated Auxiliary contacts for industrial connectors
CN113016192A (zh) * 2020-09-24 2021-06-2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插头检测装置、音频处理设备、音频处理系统和插头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5263A (en) * 1922-08-04 1925-12-15 Barkelew Electric Mfg Company Radio phone plug
US1696865A (en) * 1925-02-21 1928-12-25 Chicago Telephone Supply Co Jack
US3418438A (en) * 1967-02-13 1968-12-24 Barrett Joseph Nevin Jack plug connector
KR890002592B1 (ko) * 1983-09-30 1989-07-19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접편 매설지지형 잭
JPH0449834Y2 (ko) * 1988-05-16 1992-11-24
JP2558179Y2 (ja) 1992-10-12 1997-12-17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ャック型コネクタ
JP3265262B2 (ja) * 1998-05-22 2002-03-11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ジャック
KR200252401Y1 (ko) * 1998-09-26 2001-12-28 윤종용 커넥터어셈블리
US6981895B2 (en) * 1999-08-23 2006-01-03 Patrick Potega Interface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necting electrical devices
JP3683151B2 (ja) 2000-02-04 2005-08-1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ジャック
JP3546162B2 (ja) * 2000-02-14 2004-07-21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JP3686826B2 (ja) 2000-07-24 2005-08-24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ジャックと多極プラグ
JP3733286B2 (ja) * 2000-10-30 2006-01-11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ジャック、多極プラグ、並びに多極ジャックと多極プラグとの接続構造
TW493828U (en) * 2001-06-13 2002-07-01 Hon Hai Prec Ind Co Ltd Socket connector
CA2360818A1 (en) * 2001-10-31 2003-04-30 Jui-Shu Huang Multichannel phone plug
US6856046B1 (en) * 2002-03-08 2005-02-15 Analog Devices, Inc. Plug-in device discrimination circuit and method
TWM249324U (en) * 2002-04-30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Audio jack
US7241179B2 (en) * 2003-03-05 2007-07-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niversal audio jack and plug
TWM259352U (en) * 2004-07-12 2005-03-11 Excel Cell Elect Co Ltd Ear phone plu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152B1 (ko) * 2007-10-08 2013-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 잭 삽입용 단자
KR101454240B1 (ko) * 2008-06-16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9219330B2 (en) 2012-06-21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gle adjustable ear jack device
KR20150106754A (ko) * 2014-03-12 2015-09-22 한결 온도 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61061B2 (en) 2008-04-22
CN1790832A (zh) 2006-06-21
KR100619969B1 (ko) 2006-09-08
CN100481646C (zh) 2009-04-22
US20060183368A1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969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KR20110081913A (ko) 이어플러그 인식을 위한 이어잭
US2016030927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nsertion or removal of an audio accessory from an electronic device
US7553195B2 (en) Plug
US6796849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6991497B1 (en) Earphone jack
WO2009131946A3 (en) Supplemental accessor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3101908B1 (en) Earphone jack and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earphone is inserted in place
WO2008085929A2 (en) Audio i/o headset plug and plug detection circuitry
CN201674041U (zh) 具插头侦测功能的音频插座连接器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CN101754581B (zh) 电子元件及陶瓷天线与应用其的电子装置
EP2206202A1 (en)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hearing device
KR20160084305A (ko) 이어폰 소켓, 이어폰 플러그, 이어폰 및 전자 디바이스
EP2770748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nsertion or removal of an audio accessory from an electronic device
US6411711B1 (en) Combination connector and microphone
KR100529220B1 (ko)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US20040157489A1 (en) Impact tolerant connector
KR101569871B1 (ko)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3767880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用電話装置
KR20040107056A (ko) 이어폰 플러그의 접속장치
CN212965930U (zh) 一种用于台式机箱端的音频插孔
KR1003658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헤드셋 감지장치
KR200353876Y1 (ko)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