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220B1 -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 Google Patents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220B1
KR100529220B1 KR10-2005-0029124A KR20050029124A KR100529220B1 KR 100529220 B1 KR100529220 B1 KR 100529220B1 KR 20050029124 A KR20050029124 A KR 20050029124A KR 100529220 B1 KR100529220 B1 KR 10052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astic
dummy
plug
earphon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627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씨
Priority to KR10-2005-002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2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8Interfaces to the user freely programmable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피디에이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어폰잭(Earphone jack)에 관련된 것으로, 하우징 안쪽 끝단 일측의 단자 설치부에 설치되고 삽입공으로 삽입된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타측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키며 기기의 회로와 연결되는 회로연결단자, 회로연결단자 반대편의 단자 설치부에 설치되고 삽입공으로 삽입된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회로연결단자쪽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회로연결단자와 함께 플러그의 삽발력을 유지시키고 기기의 회로와 연결되지 않는 더미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시 사용자가 느끼는 삽발력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해주고, 플러그 삽입 시 잡음이 발생될 우려가 전혀 없으며,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칩이나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아 이어폰잭 제작에 따른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Earphone jack and terminal for the jack}
본 발명은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피디에이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어폰잭(Earphone jack) 및 그의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피디에이나 기타 음향기기 등에는 이어폰(헤드폰을 포함하는 개념)에 구비된 플러그가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는 이어폰잭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잭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 플러그가 종래의 이어폰잭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어폰잭(100)은 길이방향으로 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110)에는 단자설치부(114a∼114c)들을 통해 단자(130, 140, 150, 160)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어폰잭(100)의 통공(112)에는 플러그(190)가 삽입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플러그(190)는 4극 플러그이다. 이 플러그(190)는 마이크단자(191), 제 1스피커단자(193), 제 2스피커단자(195), 그라운드단자(197)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단자들 사이에 절연재(199)가 개재되어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어폰잭(100)은 플러그(190)의 각 단자(191, 193, 195, 197)들과 접촉되며 접촉되는 플러그(190)의 단자(191, 193, 195, 197)들과 대응되는 기능을 하는 제 1∼제 4단자(130, 140, 150, 160)들을 구비하고 있다. 즉, 플러그(190)가 통공(11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 1단자(130)는 마이크단자(191)와, 제 2단자(140)는 제 1스피커단자(193)와, 제 3단자(150)는 제 2스피커단자(195)와, 그리고 제 4단자(160)는 그라운드단자(197)와 접촉되어 필요한 신호들을 주거나 받을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어폰잭(100)에서는 플러그(190)가 통공(112)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1단자(130)와 제 2단자(140)가 마이크단자(191)에 동시에 접촉된다. 이 경우 이어폰에 잡음이 발생되다. 또, 이어폰잭(100)이 설치되는 기기가 전화기이고, 상기 동시 접촉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자동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잡음 발생이나 자동통화와 같은 문제는 칩의 추가설치와 소프트웨어의 추가설치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나 단가상승의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어폰잭(100)에서 플러그(190)의 삽입 또는 이탈 시에 사용자가 느끼는 삽발력은 제 1단자(130)와 제 2단자(140)의 탄성에 의해 유지되는데, 제 2단자(140)의 탄성부 길이가 길고 또 제 1단자(130)와 마이크단자(191)의 접촉점과 제 2단자(140)와 제 1스피커단자(193)의 접촉점간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플러그(190)에 대한 삽발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구조로는 제 1단자(130)와 제 2단자(140)의 탄성력을 키우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에 대한 삽발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110)에 형성된 통공(112)의 안쪽 끝단부근의 크기를 플러그(190)의 끝단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하우징(110)의 내면에 의해 삽발력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 있다. 하지만, 하우징(110)으로 삽발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경우 플러그(190)의 삽입 및 이탈을 반복함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벽이 긁혀 흠집이 생기고 그에 따라 플러그(190)의 삽입 및 이탈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삽발력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잡음제거를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 등의 설치 없이도 플러그의 삽탈시 잡음이 발생되지 않고, 플러그에 대한 큰 삽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어폰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잭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 내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설치부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설치부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각 단자들과 각각 접촉되어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소정 기기에 설치되어 이어폰과 상기 기기 사이에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어폰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안쪽 끝단 일측의 단자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된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타측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키며 상기 기기의 회로와 연결되는 회로연결단자, 상기 회로연결단자 반대편의 단자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된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상기 회로연결단자쪽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상기 회로연결단자와 함께 상기 플러그의 삽발력을 유지시키고 상기 기기의 회로와 연결되지 않는 더미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잭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상기 회로연결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기기의 회로와 접속되는 접속다리부, 상기 접속다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면에 지지되는 접속받침부, 상기 접속받침부에서 상기 경사단자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접촉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 1탄성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 1탄성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탄성부가 상기 접속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탄성부를 받쳐주는 제 2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회로연결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기기의 회로와 접속되는 접속다리부, 상기 접속다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면에 지지되는 접속받침부, 상기 접속받침부에서 상기 경사단자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접촉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 1탄성부 및 상기 제 1탄성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접속받침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탄성부가 상기 접속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탄성부를 받쳐주는 제 2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더미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더미다리부, 상기 더미다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면에 지지되는 더미받침부 및 상기 더미받침부에서 상기 경사단자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 1더미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더미탄성부는 상기 접속연결단자와 상기 경사단자의 접촉점과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경사단자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미받침부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제 1더미탄성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더미탄성부가 더미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더미탄성부를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제 2더미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제 1더미탄성부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더미받침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더미탄성부가 더미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더미탄성부를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제 2더미탄성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어폰잭용 단자에 있어서,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연결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다리부 반대편으로 굴곡된 제 1탄성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 1탄성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탄성부가 상기 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탄성부를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제 2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이어폰잭용 단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어폰잭용 단자에 있어서,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연결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다리부 반대편으로 굴곡된 제 1탄성부 및 상기 제 1탄성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받침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탄성부가 상기 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탄성부를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제 2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이어폰잭용 단자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잭의 단면도, 도 4는 도 3 이어폰잭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잭(200)은 하우징(2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21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2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삽입공(212)은 플러그(19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우징(210)의 삽입공(212) 내측면을 따라서는 제 1∼제 4단자설치부(214a∼214d)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212)의 안쪽 끝단 부근은 다른 부분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내측 단자설치부(214a∼214d)들에는 단자(230, 240, 250, 260)들이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단자(230, 240, 250, 260)들은 삽입공(212)으로 삽입되는 플러그(190)의 각 단자(191, 193, 195, 197)들 중 필요한 단자들과 각각 접촉되어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이어폰잭(200)은 3극 이어폰잭(200)으로, 플러그(190)의 제 2스피커단자(195)와 접촉되는 단자는 가지고 있지 않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 안쪽 끝단 일측의 제 1단자설치부(214a)에는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회로연결단자(2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연결단자(230)는 삽입공(212)으로 삽입된 플러그(190)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191)의 끝단 부근에 접촉되어 경사단자(191)에 타측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이 회로연결단자(230)는 접속다리부(231)와 접속받침부(233), 제 1탄성부(235) 및 제 1탄성부(235)를 받쳐주는 제 2탄성부(23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로연결단자(230)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잭(200)이 설치되는 기기의 회로와 연결된다. 이 회로연결단자(23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하우징(210)에는 플러그(190)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플러그 감지단자(216)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 감지단자(216)는 제 1탄성부(235)의 접촉점(236)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플러그(190)의 삽입여부를 감지한다. 즉, 플러그(190)가 이어폰잭(20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점(236)이 감지단자(216)에 접촉되어 있다가, 플러그(190)가 삽입공(212)에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190)에 의해 제 1탄성부(235)가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접촉점(236)이 감지단자(216)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기기는 이어폰잭(200)에 플러그(190)가 완전히 삽입된 것을 감지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연결단자(230)와 마주보는 제 2단자설치부(214b)에는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더미단자(2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미단자(240)는 회로연결단자(230)가 접촉되는 경사단자(191)의 타측에 접촉되는 것으로, 삽입공(212)으로 삽입된 플러그(190)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191)에 회로연결단자(230)와 경사단자(191)의 접촉점과는 어긋난 위치에서 접촉되어 회로연결단자(230)쪽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이 더미단자(240)는 회로연결단자(230)와 함께 플러그(190)의 삽발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잭(200)이 설치되는 기기의 회로와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더미단자(240)는 더미다리부(241), 더미받침부(243) 및 제 1더미탄성부(245)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연결단자(230)의 제 1탄성부(235)는 플러그(190)의 끝단에 배치된 경사단자(191)의 끝단부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부위에 접촉되고, 더미단자(240)의 더미탄성부(245)는 경사단자(191)의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부위에 접촉되어 있다.
도 5는 도 3 회로연결단자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연결단자(230)는 접속다리부(2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다리부(231)는 앞에서 설명한 하우징(210)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본 발명의 이어폰잭(200)이 설치되는 기기의 회로와 접속되는 부분이다. 회로연결단자(230)는 접속다리부(231)를 통해 하우징(210)에 고정된다. 접속다리부(230)에는 접속받침부(233)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접속받침부(233)는 하우징 내면에 지지되는 부분으로, 뒤에서 설명되는 제 1탄성부(235)를 하우징(210)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접속받침부(233)에는 제 1탄성부(235)가 연결되어 있다. 제 1탄성부(235)는 접속받침부(233)에서 도 4에서의 경사단자(191)쪽으로 절곡되어 경사단자(191)에 접촉되어 경사단자(191)에 타측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회로연결단자(230)는 제 2탄성부(23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탄성부(237)는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접속받침부(233)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 1탄성부(235)쪽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 제 2탄성부(237)는 제 1탄성부(235)가 도 4에서의 삽입공(212)으로 삽입되는 플러그(190)에 의해 접속받침부(233)쪽으로 밀리는 경우 제 1탄성부(235)를 받쳐주어 제 1탄성부(235)의 탄성력이 커지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제 2탄성부(237)는 경우에 따라 제 1탄성부(235)의 일측이 절개되어 접속받침부(233)쪽으로 굴곡되게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 더미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단자(240)는 더미다리부(2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더미다리부(241)는 하우징(210)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이 더미다리부(241)를 통해 더미단자(240)가 하우징(210)에 고정된다. 이러한 더미다리부(241)에는 더미받침부(243)가 연결되어 있다. 더미받침부(243)는 하우징(210) 내면에 지지되는 부분으로 뒤에서 설명되는 제 1더미탄성부(245)를 하우징(210)에 지지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제 1더미탄성부(245)는 더미받침부(243)에서 경사단자(191)쪽으로 절곡되어 경사단자(191)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제 1더미탄성부(245)는 접속연결단자(230)와 경사단자(191)의 접촉점과 어긋난 위치에서 경사단자(191)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 1더미탄성부(245)는 도 2에 나타낸 제 2단자(140)의 탄성부에 비해 그 팔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삽입공(212)으로 삽입되는 플러그(190)의 경사단자(191)에 보다 큰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도 7a∼도 7c는 도 5의 회로연결단자와 도 6의 더미단자의 변형예들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제 1탄성부(235)의 일부를 절개하고 탄성받침부(233)쪽으로 굴곡시켜 제 2탄성부(237a)를 구성하여 회로연결단자(230a)를 만들 수 있고,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단자(240a)의 더미받침부(243)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 2더미탄성부(247a)를 만들거나,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단자(240b)의 제 1더미탄성부(245)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 2더미탄성부(247b)를 만들 수도 있다. 나머지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 외에 받침부와 탄성부 양측 모두를 절개하여 제 2, 제 3탄성부를 만들 수 있음은 쉽게 알 수 있다.
도 8은 도 4 이어폰잭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이어폰잭(200a)은 4극 이어폰잭으로, 도 4 이어폰잭(200)에 비해 플러그(190)의 제 2스피커단자(195)와 접촉되는 제 5단자(2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 외 나머지 사항은 도 3과 도 4를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 받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는 플러그의 삽입 또는 이탈시 사용자가 느끼는 삽발력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잭은 플러그 삽입 시 잡음이 발생될 우려가 전혀 없으며,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칩이나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아 이어폰잭 제작에 따른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잭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 플러그가 종래의 이어폰잭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잭의 단면도,
도 4는 도 3 이어폰잭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 회로연결단자의 사시도,
도 6은 도 3 더미단자의 사시도,
도 7a∼도 7c는 도 5의 회로연결단자와 도 6의 더미단자의 변형예들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4 이어폰잭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90 : 플러그 200, 200a : 이어폰잭
210 : 하우징 230 : 회로연결단자
231 : 접속다리부 233 : 접속받침부
235 : 제 1접속탄성부 237 : 제 2접속탄성부
240 : 더미단자 241 : 더미다리부
243 : 더미받침부 245 : 제 1더미탄성부
247 : 제 2더미탄성부

Claims (8)

  1. 삭제
  2.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 내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설치부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설치부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각 단자들과 각각 접촉되어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소정 기기에 설치되어 이어폰과 상기 기기 사이에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어폰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안쪽 끝단 일측의 단자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된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타측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키며 상기 기기의 회로와 연결되는 회로연결단자;
    상기 회로연결단자 반대편의 단자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된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상기 회로연결단자쪽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상기 회로연결단자와 함께 상기 플러그의 삽발력을 유지시키고 상기 기기의 회로와 연결되지 않는 더미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연결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기기의 회로와 접속되는 접속다리부, 상기 접속다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면에 지지되는 접속받침부, 상기 접속받침부에서 상기 경사단자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접촉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 1탄성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 1탄성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탄성부가 상기 접속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탄성부를 받쳐주는 제 2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이어폰 잭.
  3.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 내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설치부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설치부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의 각 단자들과 각각 접촉되어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소정 기기에 설치되어 이어폰과 상기 기기 사이에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어폰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안쪽 끝단 일측의 단자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된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타측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키며 상기 기기의 회로와 연결되는 회로연결단자;
    상기 회로연결단자 반대편의 단자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된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상기 회로연결단자쪽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상기 회로연결단자와 함께 상기 플러그의 삽발력을 유지시키고 상기 기기의 회로와 연결되지 않는 더미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연결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며 기기의 회로와 접속되는 접속다리부, 상기 접속다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면에 지지되는 접속받침부, 상기 접속받침부에서 상기 경사단자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접촉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 1탄성부 및 상기 제 1탄성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접속받침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탄성부가 상기 접속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탄성부를 받쳐주는 제 2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이어폰 잭.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더미다리부, 상기 더미다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면에 지지되는 더미받침부 및 상기 더미받침부에서 상기 경사단자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경사단자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 1더미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더미탄성부는 상기 접속연결단자와 상기 경사단자의 접촉점과 어긋난 위치에서 상기 경사단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받침부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제 1더미탄성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더미탄성부가 더미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더미탄성부를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제 2더미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잭.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더미탄성부의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더미받침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더미탄성부가 더미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더미탄성부를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제 2더미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잭.
  7. 이어폰잭용 단자에 있어서,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연결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다리부 반대편으로 굴곡된 제 1탄성부; 및
    상기 받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 1탄성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탄성부가 상기 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탄성부를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제 2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이어폰잭용 단자.
  8. 이어폰잭용 단자에 있어서,
    다리부;
    상기 다리부에 연결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서 상기 다리부 반대편으로 굴곡된 제 1탄성부; 및
    상기 제 1탄성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받침부쪽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 1탄성부가 상기 받침부쪽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제 1탄성부를 탄성적으로 받쳐주는 제 2탄성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이어폰잭용 단자.
KR10-2005-0029124A 2005-04-07 2005-04-07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KR10052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124A KR100529220B1 (ko) 2005-04-07 2005-04-07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124A KR100529220B1 (ko) 2005-04-07 2005-04-07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673U Division KR200353876Y1 (ko) 2004-03-11 2004-03-11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627A KR20050091627A (ko) 2005-09-15
KR100529220B1 true KR100529220B1 (ko) 2005-11-21

Family

ID=3727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124A KR100529220B1 (ko) 2005-04-07 2005-04-07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496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씨티씨 이어폰 잭
KR101454240B1 (ko) 2008-06-16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92B1 (ko) * 2010-12-06 2012-02-22 암페놀커머셜인터커넥트코리아(주) 이어폰 잭
WO2018070570A1 (ko) * 2016-10-14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496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씨티씨 이어폰 잭
KR101454240B1 (ko) 2008-06-16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627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592B1 (ko) 이어폰 잭
JP2992685B2 (ja) 電話送受器用の電気コネクタ
US7361061B2 (en) Ear-jack of portable terminal
KR20110081913A (ko) 이어플러그 인식을 위한 이어잭
US8243945B2 (en) Earphone jack
US5919052A (en) Earphone jack
KR100529220B1 (ko)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CN100397954C (zh) 扬声器
US20060089054A1 (en) Earphone jack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7128591B2 (en) Electrical connection socket structure with a movable insulation block
US7150641B2 (en) Electrical connection socket structure with a movable insulation block
KR200353876Y1 (ko)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US20110183536A1 (en) Switch contact and audio jack with the same
US769962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retaining mechanism
US7806734B1 (en) Audio jack connector
US7371018B2 (en) Optical-electric connector
JP2001307811A (ja) 電気的接続装置および接続ユニット
JP2002270323A (ja) 電気接続装置
US10128585B1 (en) Audio jack connector
JP2012230877A (ja) ジャック
JP4766338B2 (ja) カード検出スイッチを有するカード用コネクタ
JP3994635B2 (ja)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KR100880824B1 (ko) 기타 및 앰프의 연결잭용 소켓
KR100497296B1 (ko) 다극플러그및잭
KR100733221B1 (ko) 모터전원공급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