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496A - 이어폰 잭 - Google Patents

이어폰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496A
KR20090075496A KR1020080001371A KR20080001371A KR20090075496A KR 20090075496 A KR20090075496 A KR 20090075496A KR 1020080001371 A KR1020080001371 A KR 1020080001371A KR 20080001371 A KR20080001371 A KR 20080001371A KR 20090075496 A KR20090075496 A KR 20090075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supporter
contact
earphone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씨
Priority to KR102008000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5496A/ko
Publication of KR2009007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설치부들을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이어폰 잭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자설치부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대하여 탄성 반발하다가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면 단부가 변위되는 플러그 삽입 서포터와; 상기 단자설치부들 중 다른 곳에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이격 또는 접촉됨으로써 회로연결이 온(on)과 오프(off) 사이에서 변환되는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 및 상기 플러그 감지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서포터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이어폰 잭에 플러그를 삽입 또는 발거 시 절연 구조의 플러그 감지 단자를 채용하여 잭의 단자가 플러그의 단자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노이즈(noise)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플러그 인식의 오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이어폰 잭, 플러그, 플러그 삽입 서포터, 플러그 감지단자, 서포터 절연부

Description

이어폰 잭 {Earphone Jack}
본 발명은 이어폰 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피디에이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어폰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피디에이나 기타 음향기기 등에는 이어폰(헤드폰을 포함하는 개념)에 구비된 플러그가 삽입되어 접속될 수 있는 이어폰 잭(earphone jack)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러그가 종래의 이어폰 잭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어폰 잭(10)은 길이방향으로 통공(21)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20)에는 단자설치부(22a~22d)들을 통해 잭 단자(31,32,33,34)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어폰 잭(10)의 통공(21)에는 플러그(50)가 삽입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플러그(50)는 4극 플러그이다. 이 플러그(50)는 마이크단자(51a), 그라운드단자(51b), 제1스피커단자(51c), 제2스피커단자(51d)를 구비 하고 있으며, 각 단자들 사이에 절연부(52)가 개재되어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어폰 잭(10)은 플러그(50)의 각 단자(51a~51d)들과 접촉되며 접촉되는 플러그(50)의 단자(51a~51d)들과 대응되는 기능을 하는 제1~제4 단자(31,32,33,34)들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0)가 통공(2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단자(31)는 마이크단자(51a)와, 제2 단자(32)는 그라운드단자(51b)와, 제3 단자(33)는 제1스피커단자(51c)와, 그리고 제4 단자(34)는 제2스피커단자(51d)와 접촉되어 필요한 신호들을 주거나 받을 수 있다. 한편, 통공(21)의 안쪽 끝단에 인접한 내측 면에는 더미단자(36)와 하나의 플러그 감지단자(40)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0)가 통공(21) 안으로 삽입됨에 따라 제4 단자(34)의 탄성접촉부(35)는 플러그 감지단자(40)와 상호 접촉된 상태로부터 접촉이 해제되는 상태로 변위되어 플러그(50)가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 잭(10)은 플러그(50)가 탄성접촉부(35)에 접촉될 때에 전도성 재질의 탄성접촉부(35)를 통해 플러그 감지단자(40)와 먼저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러그(50)가 삽입되는 과정 중에 순간적인 팝업 노이즈(pop-up noise)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 감지단자(40)와 탄성접촉부(35) 간의 접촉 또는 접촉해제가 확실하게 이뤄지지 못할 경우 플러그(50)가 이어폰 잭(10)에 삽입 또는 발거됐는지의 여부에 대한 인식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를 삽입 또는 발거 시 노이즈(noise)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어폰 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를 삽입 또는 발거 시 플러그 인식의 오류를 획기적으로 개선 할 수 있게 하는 이어폰 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설치부들을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이어폰 잭에 있어서, 상기 단자설치부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대하여 탄성 반발하다가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면 단부가 변위되는 플러그 삽입 서포터와; 상기 단자설치부들 중 다른 곳에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이격 또는 접촉됨으로써 회로연결이 온(on)과 오프(off) 사이에서 변환되는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 및 상기 플러그 감지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서포터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는, 상기 단자설치부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서포터 다리부와, 상기 서포터 다리부로부터 연장되며 복수의 변곡부들을 갖 는 탄성변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는, 상기 서포터 다리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변곡부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접촉 가압되는 탄성접촉부를 갖는 제1 플러그 감지단자와, 상기 제1 플러그 감지단자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러그 감지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촉 또는 접촉해제에 의하여 상기 삽입공에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됐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접촉부보다 상부에 마련된 접촉부를 갖는 제2 플러그 감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접촉부는 대략 'ㅌ'자의 가운데에 있는 'ㅡ'자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 플러그 감지단자의 접촉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플러그 감지단자의 접촉부는 판면으로 마련되어 상기 변곡부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탄성접촉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며, 상기 접촉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탄성접촉부의 단부가 접촉되는 접촉점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러그 감지단자의 접촉부는 대략'ㄷ'자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을 갖는 이어폰 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일측이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의 안쪽 끝단을 향해 타측이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대하여 삽입방향에 가로 방향으로 탄성 반발하다가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면 타측이 하부방향으로 변위되는 플러그 삽입 서포터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의 타측이 통과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감지단자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 및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와의 전기적인 접촉은 차단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연되어,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에 의해 접촉 가압되면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에 접촉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에 대해 이격된 위치로 변위되는 탄성 감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 및 상기 탄성 감지단자는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리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의 다리부, 상기 탄성 감지단자의 다리부 및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의 다리부는 상기 삽입공의 안쪽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 잭에 플러그를 삽입 또는 발거 시 절연 구조의 플러그 감지 단자를 채용하여 잭의 단자가 플러그의 단자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노이즈(noise)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잭에 플러그를 삽입 또는 발거 시 절연 구조의 플러그 감지 단자를 채용하여 플러그 인식의 오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10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복수의 잭 단자(120a~120d)들과,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와,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140,150)와, 서포터 절연부(16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100)에 플러그(200)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플러그(200)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1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플러그(200)는 4극 플러그로서, 복수의 플러그 단자들, 즉 제1 플러그 단자(201a), 제2 플러그 단자(201b), 제3 플러그 단자(201c), 경사단자(201d)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플러그 단자들 사이에는 절연부(202)가 개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 플러그 단자(201a)는 마이크(mike) 단자, 제2 플러그 단자(201b)는 그라운드(ground) 단자, 제3 플러그 단자(201c)는 우측 스피커 단자, 경사단자(201d)는 좌측 스피커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111)과, 삽입공(111)의 내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설치부(112a~112g)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설치부들로는 제1 단자설치부(112a), 제2 단자설치부(112b), 제3 단자설치부(112c), 제4 단자설치부(112d), 서포터 설치부(112e), 제1 감지단자 설치부(112f) 및 제2 감지단자 설치부(112g)가 있다.
복수의 잭 단자(120a~120d)들은 각각의 플러그 단자(201a~201d)들과 접촉되어 접촉되는 플러그 단자(201a~201d)들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수의 잭 단자들로는 제1 단자설치부(112a)에 설치되는 제1 잭 단자(120a), 제2 단자설치부(112b)에 설치되는 제2 잭 단자(120b), 제3 단자설치부(112c)에 설치되는 제3 잭 단자(120c), 그리고 제4 단자설치부(112d)에 설치되는 제4 잭 단자(120d)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가 삽입공(11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잭 단자(120a)는 제1 플러그 단자(201a)와, 제2 잭 단자(120b)는 제2 플러그 단자(201b)와, 제3 잭 단자(120c)는 제3 플러그 단자(201c)와, 그리고 제4 잭 단자(120d)는 경사단자(201d)와 접촉되어 필요한 신호들을 주고받는다.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11)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단자설치부(112a~112g)들 중 서포터 설치부(112e)에 결합된 서포터 다리부(131)와, 서포터 다리부(131)로부터 삽입공(111)의 안쪽 끝단을 향해 연장된 탄성변곡부(132)를 포함하며, 이 탄성변곡부(13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11)으로 삽입되는 플러그(200)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201d)에 대하여 삽입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탄성 반발하다가 플러그(200)가 완전히 삽입되면 단부 영역이 하부방향으로 변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서포터 다리부(131)는 서포터 설치부(112e)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서포터 다리부(131)는 삽입공(111)의 내측면에서 적당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변곡부(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변곡부들, 즉 서포터 다리부(131)로부터 대략 ‘U’자의 형상으로 만곡된 영역의 제1 변곡부(132a)와, 제1 변곡부(132a) 다음에 순차적으로 절곡된 영역의 제2 변곡부(132b), 제3 변곡부(132c), 제4 변곡부(132d) 및 제5 변곡부(132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2 변곡부(132b) 및 제3 변곡부(132c)에 의해서 경사단자(201d)의 삽입방향은 단계적으로 상부방향으로 경사지다가 제4 변곡부(132d)에서 탄성변곡부(132)의 탄성반발력이 최대가 된 후, 경사단자(201d)가 제4 변곡부(132d)를 지나면서 경사단자(201d)가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와 제4 잭 단자(120d)에 완전히 맞물려 삽입되도록 제4 변곡부(132d)는 대략 '∧'의 형상으로 절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 변곡부(132e)는 대략 ‘V’자의 형태로 절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200)가 삽입공(11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만,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제5 변곡부(132e)가 하방 변위되어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140,150) 중 어느 하나를 접촉 가압시킬 수 있다.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140,1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어느 하나가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이격됨으로써 상호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와,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 그(200)가 삽입공(111)에 완전히 삽입되면 탄성변곡부(132)의 제5 변곡부(132e)는 하부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에 접촉되어 있던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를 가압하여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를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로부터 하방 이격시켜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 및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 간의 접촉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140,150)의 회로연결이 오프(off)됨으로써 플러그(200)가 삽입공(111)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는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에 대해 이격됨으로써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140,150)의 회로연결이 오프(off)되어 플러그(200)가 삽입공(111)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가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에 대해 이격됨으로써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140,150)의 회로연결이 온(on)되어 플러그(200)가 삽입공(111)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감지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가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에 접촉됨으로써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140,150)의 회로연결이 온(on)되어 플러그(200)가 삽입공(111)에 완전히 삽입된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11)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감지단자 설치부(112f)에 결합되어 서포 터 다리부(131)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다리부(141)와, 제1 다리부(141)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변곡부(132)의 제5 변곡부(132e)에 의해 접촉 가압되는 탄성접촉부(143)를 갖는 제1 접촉부(142)를 포함한다.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11)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감지단자 설치부(112g)에 결합되어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의 제1 다리부(141)와 나란하게 배치된 제2 다리부(151)와, 제2 다리부(151)로부터 연장되며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와의 전기적인 접촉 또는 접촉해제에 의하여 삽입공(111)에 플러그(200)가 완전히 삽입됐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탄성접촉부(143)보다 상부에 마련된 제2 접촉부(152)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142)는,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ㅌ'자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탄성접촉부(143)는 'ㅌ'자의 가운데에 있는 'ㅡ'자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2 접촉부(152)를 향해 경사지게 제1 접촉부(142)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단부에 제2 접촉부(152)와 전기적인 접촉이 이뤄지는 제1 접촉점(143a)을 포함한다.
제2 접촉부(15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으로 마련되어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제5 변곡부(132e)가 탄성접촉부(143)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며, 제2 접촉부(152)의 하부면에는 탄성접촉부(143)의 제1 접촉점(143a)과 접촉되는 제2 접촉점(152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접촉부(15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의 형상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평면상으로 바라볼 때에 제1 접촉부(142)와 제2 접촉부(152)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2 접촉부(152)의 관통된 부분에서 탄성접촉부(143)가 보이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는 베이스 감지단자로서 제2 접촉부(152)는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탄성변곡부(132)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제5 변곡부(132e)가 통과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는 탄성 감지단자로서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 및 베이스 감지단자(150) 사이에 개재되며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제5 변곡부(132e)에 의해 탄성접촉부(143)가 접촉 가압되면 베이스 감지단자(150)에 접촉된 위치에서 베이스 감지단자(150)에 대해 이격된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200)가 이어폰 잭(100)에 삽입 또는 발거됐는지의 여부에 대한 인식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 및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 간의 접촉 또는 접촉해제가 확실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감지단자(150)의 제2 다리부(151), 탄성 감지단자(140)의 제1 다리부(141) 및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서포터 다리부(131)는 삽입공(111)의 안쪽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삽입공(111)의 내측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터 절연부(1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140,150) 중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와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 사이 에 개재되어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 및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서포터 절연부(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질로 마련되어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의 탄성접촉부(143) 중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제5 변곡부(132e)와 접촉되는 위치에 인서트 사출, 플라즈마 코팅, 테프론 코팅 등의 방법으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서포터 절연부(160)는 탄성접촉부(143)와 별도로 마련되어 탄성접촉부(143)에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서포터 절연부(160)는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와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탄성접촉부(143)의 적어도 일부영역이 절연되게 탄성접촉부(14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서포터 절연부(160)를 따로 마련하지 않고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 자체를 제4 잭 단자(120d) 만큼의 강도와 탄성을 갖는 절연재질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서포터 절연부(160)는 탄성변곡부(132) 및 탄성접촉부(143)와 별도로 마련되어 탄성변곡부(132)의 제5 변곡부(132e)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의 탄성접촉부(143)나 서포터 절연부(160)의 형상을 변형하여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플러그(200)가 삽입공(11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에만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제5 변곡부(132e)가 하방 변위됨으로써 탄성접촉부(143)를 접촉 가압시키되, 플러그(200)와 탄성접촉부(143) 간의 전기적인 접촉은 절연됨으로써,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 및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 간의 전기적인 접촉상태가 안전하게 해제되어 플러그(200)가 이어폰 잭(100)에 삽입되는 동안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잭(100)에 플러그(200)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플러그(200)가 이어폰 잭(10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와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 사이에 전기적인 접촉상태가 유지되어 이어폰 잭(100)에 플러그(200)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에, 하우징(110)의 삽입공(111)에 플러그(200)를 삽입하면, 삽입공(111)의 안쪽을 향하여 플러그(200)가 진행됨에 따라 경사단자(201d)는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탄성변곡부(132)에 접촉된다.
경사단자(201d)는 제3 변곡부(132c)로부터 제4 변곡부(132d)를 향하여 더욱 삽입되고, 마침내 제4 변곡부(132d)에서 플러그(200)의 삽입에 대한 저항은 최대로 커지게 된다.
그러나, 플러그(200)의 삽입력이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탄성변곡부(132)의 탄성 반발력을 넘는 순간에 플러그(200)의 경사단자(201d)는 제4 변곡부(132d)를 지나게 되어 경사단자(201d)는 탄성변곡부(132) 및 제4 잭 단자(120d) 에 맞물려 플러그(200)는 이어폰 잭(100)에 완전히 삽입된다.
한편, 경사단자(201d)가 제4 변곡부(132d)를 지나 플러그(200)가 삽입공(111)에 완전히 삽입되면,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탄성변곡부(132)는 경사단자(201d)에 의해서 탄성 반발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플러그 삽입 서포터(130)의 제5 변곡부(132e)는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의 탄성접촉부(143)에 결합된 서포터 절연부(160)를 접촉 가압시킨다.
서포터 절연부(160)가 제5 변곡부(132e)에 의해서 접촉 가압되면, 탄성접촉부(143)의 제1 접촉점(143a)은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의 제2 접촉점(152a)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 플러그 감지단자(140)와 제2 플러그 감지단자(150)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상태는 해제되어 플러그(200)가 이어폰 잭(100)에 완전히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 잭(100)에 플러그(200)를 삽입 시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플러그가 이어폰 잭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플러그가 이어폰 잭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영역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에 플러그 삽입 서포터와 제1 플러그 감지단자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하우징에 제2 플러그 감지단자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플러그 감지단자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제1 플러그 감지단자에 서포터 절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어폰 잭 110 : 하우징
111 : 삽입공 130 : 플러그 삽입 서포터
131 : 서포터 다리부 132 : 탄성변곡부
140 : 제1 플러그 감지단자 141 : 제1 다리부
142 : 제1 접촉부 143 : 탄성접촉부
150 : 제2 플러그 감지단자 151 : 제2 다리부
152 : 제2 접촉부 160 : 서포터 절연부

Claims (9)

  1.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설치부들을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 이어폰 잭에 있어서,
    상기 단자설치부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대하여 탄성 반발하다가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면 단부가 변위되는 플러그 삽입 서포터와;
    상기 단자설치부들 중 다른 곳에 설치되고, 어느 하나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에 의해 접촉 가압되어 다른 하나에 대해 이격 또는 접촉됨으로써 회로연결이 온(on)과 오프(off) 사이에서 변환되는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 및 상기 플러그 감지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서포터 절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는,
    상기 단자설치부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서포터 다리부와,
    상기 서포터 다리부로부터 연장되며 복수의 변곡부들을 갖는 탄성변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러그 감지단자는,
    상기 서포터 다리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변곡부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접촉 가압되는 탄성접촉부를 갖는 제1 플러그 감지단자와,
    상기 제1 플러그 감지단자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러그 감지단자와의 전기적인 접촉 또는 접촉해제에 의하여 상기 삽입공에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됐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접촉부보다 상부에 마련된 접촉부를 갖는 제2 플러그 감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는 대략 'ㅌ'자의 가운데에 있는 'ㅡ'자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 플러그 감지단자의 접촉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러그 감지단자의 접촉부는 판면으로 마련되어 상기 변곡부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탄성접촉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며,
    상기 접촉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탄성접촉부의 단부가 접촉되는 접촉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러그 감지단자의 접촉부는 대략'ㄷ'자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7.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을 갖는 이어폰 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일측이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의 안쪽 끝단을 향해 타측이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의 끝단에 위치한 경사단자에 대하여 삽입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탄성 반발하다가 플러그가 완전히 삽입되면 타측이 하부방향으로 변위되는 플러그 삽입 서포터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의 하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의 타측이 통과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감지단자와;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 및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와의 전기적인 접촉은 차단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절연되어,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에 의해 접촉 가압되면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에 접촉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에 대해 이격된 위치로 변위되는 탄성 감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 및 상기 탄성 감지단자는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리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감지단자의 다리부, 상기 탄성 감지단자의 다리부 및 상기 플러그 삽입 서포터의 다리부는 상기 삽입공의 안쪽 끝단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KR1020080001371A 2008-01-04 2008-01-04 이어폰 잭 KR20090075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371A KR20090075496A (ko) 2008-01-04 2008-01-04 이어폰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371A KR20090075496A (ko) 2008-01-04 2008-01-04 이어폰 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496A true KR20090075496A (ko) 2009-07-08

Family

ID=4133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371A KR20090075496A (ko) 2008-01-04 2008-01-04 이어폰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54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92B1 (ko) * 2010-12-06 2012-02-22 암페놀커머셜인터커넥트코리아(주) 이어폰 잭
CN112969122A (zh) * 2021-04-12 2021-06-15 深圳市联合东创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耳机载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76Y1 (ko) * 2004-03-11 2004-06-29 주식회사 파워넷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KR100529220B1 (ko) * 2005-04-07 2005-11-21 주식회사 씨티씨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KR20070094502A (ko) * 2006-03-17 2007-09-20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76Y1 (ko) * 2004-03-11 2004-06-29 주식회사 파워넷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KR100529220B1 (ko) * 2005-04-07 2005-11-21 주식회사 씨티씨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KR20070094502A (ko) * 2006-03-17 2007-09-20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592B1 (ko) * 2010-12-06 2012-02-22 암페놀커머셜인터커넥트코리아(주) 이어폰 잭
CN112969122A (zh) * 2021-04-12 2021-06-15 深圳市联合东创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耳机载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970B1 (ko) 스위치가 장착된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CN102780106B (zh) 带开关的同轴连接器
US7878864B2 (en) Audio jack having a contact with two sections separated with each other
KR20110081913A (ko) 이어플러그 인식을 위한 이어잭
US775373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anti-dust device to avoid the poor contact from dust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US20040053538A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20080081495A1 (en) Battery connector
US8772654B2 (en) Audio jack that enables electrical and optical connectivity
CN101877450A (zh) 音频插座
CN108432065B (zh) 具有电气共用接地的电气连接器
US807985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rainage channels
US7264493B2 (en) High frequency coaxial jack
US6835080B1 (en) Sound source connector with cutover switch
US7938677B1 (en) Electrical jumper with retaining arrangements
KR20090075496A (ko) 이어폰 잭
CN110571597A (zh) 连接器组件
US917832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68217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TWM463449U (zh) 電子訊號開關連接器之結構
US87150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jack thereof
JP2008504655A (ja) 電気的接触のための切替え機構を有する同軸コネクタ
CN210296769U (zh) 连接器组件
KR101344305B1 (ko) 팝핑 노이즈 방지구조를 갖춘 연결잭용 소켓
CN114336114B (zh) 同轴开关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