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240B1 -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240B1
KR101454240B1 KR1020080056505A KR20080056505A KR101454240B1 KR 101454240 B1 KR101454240 B1 KR 101454240B1 KR 1020080056505 A KR1020080056505 A KR 1020080056505A KR 20080056505 A KR20080056505 A KR 20080056505A KR 101454240 B1 KR101454240 B1 KR 101454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disposed
connection
ground terminal
connec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0741A (ko
Inventor
은세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240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삽입 통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을 감지하여 상기 접속단자들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러그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센싱부는 상기 플러그의 삽입 완료 후 상기 접속단자들이 동작 되도록 상기 플러그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어폰의 플러그를 이어잭에 삽입할 때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EARJ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어폰의 플러그의 삽입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플러그 센싱부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멀티 미디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는 스피커 이외에도 이어폰과의 연결을 위한 이어잭을 구비한다. 이어폰의 플러그를 이어잭에 삽입할 때, 플러그와 이어잭 내부의 접속 단자 사이의 접촉으로 인하여 노이즈가 발생하기도 하며, 이러한 노이즈는 이어폰을 착용한 사용자에게 불괘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어폰의 플러그를 이어잭에 삽입할 때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삽입 통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을 감지하여 상기 접속단자들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러그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센싱부는 상기 플러그의 삽입 완료 후 상기 접속단자들이 동작 되도록 상기 플러그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을 개시한다.
상기 접속단자들은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1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는 상기 제1로드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2 및 제3로드의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내지 제3로드가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로드를 덮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속부와,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스피커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에 형성된 마이크 단자에 접속되는 마이크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센싱부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핀과, 상기 플러그의 전단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접속핀에 접촉하는 제2접속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며, 이어폰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어잭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잭은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삽입 통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을 감지하여 상기 접속단자들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러그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센싱부는 상기 플러그의 삽입 완료 후 상기 접속단자들이 동작 되도록 상기 플러그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어폰의 플러그의 삽입 완료 후 접속 단자들을 동작 되도록 하는 플러그 센싱부를 구비함으로써, 플러그의 삽입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극 구조를 가진 플러그와 4극 구조를 가진 플러그가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이어잭의 구조를 제공하며, 플러그의 삽입시 그라운드 단자와 인접하게 배치된 마이크 단자를 통해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의 삽입 여부를 기계적으로 센싱함으로써,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또는 제1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4),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조작부(116,123,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4)는 제1영상입력부(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128)는 제1영상입력부(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9)는 제2영상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31)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8) 등이 제2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바디(120)의 일면에는 이어폰(140)과의 접속을 위한 이어잭(150)이 장착된다. 이어폰(140)은 휴대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음향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어잭(1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어폰(150)의 연결 라인에는 이어잭(150)에 삽입되는 플러그(141)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의 플러그와 이어잭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어잭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기초로 이어잭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어잭(150)은 제2바디(1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제2바디(120)의 내부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잭(150)은 이어폰(140)의 플러그(141)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구비하며, 이어잭(150)의 본체(150a)는 도전성 재질의 제1 내지 제3로드(153.154,155)가 장착되는 베이스(151)와, 제1 내지 제3로드(153.154,155)를 덮도록 베이스(151)와 결합되는 커버(152)를 포함한다.
베이스(151)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152)는 일 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52)의 단부에는 플러그(141)가 삽입되는 삽입홀(152a)이 구비된다.
제1 내지 제3로드(153.154,155)는 플러그(141)의 삽입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도록 베이스(151) 상에 장착된다. 제1 내지 제3로드(153.154,155)는 삽입된 플러그(14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제1로드(153)를 중심으로 제2로드(154)는 제1로드(153)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3로드(155)는 제1로드(153)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로드(153.154,155)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로드(153)는 제2 및 제3로드(155)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제2로드(154)는 제3로드(155)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를 참조하여 접속 단자 와 플러그 센싱부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로드(153.154,155)의 일단에는 플러그(14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속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속단자들이 형성된다. 접속단자들은 제1로드(153)의 단부에 형성되는 그라운드 단자(153a)와, 제2로드(154)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스피커 단자(154a), 및 제3로드(155)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스피커 단자(154a)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154a,155a)는 각각 이어폰(140)의 오른쪽과 왼쪽 스피커로 음향과 관련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내지 제3로드(155)의 타단에는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156)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152)에 형성된 삽입홀(152a)의 내주면에는 마이크 단자(157)가 형성된다. 커버(152)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152) 자체가 마이크 단자(157)의 기능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 단자(157)는 이어폰에 마이크 기능이 채용되는 경우, 이어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과 관련된 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본체(150a)의 내부에는 플러그(141)의 삽입을 감지하여 접속단자들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러그 센싱부(160)가 배치된다. 플러그 센싱부(160)는 플러그(141)의 삽입 완료 후 접속단자들이 동작 되도록 삽입된 플러그(141)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플러그 센싱부(160)는 그라운드 단자(15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핀(161)과, 플러그에 의해 제1접속핀(161)에 접촉하는 제2접속핀(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속핀(161)은 제1로드(153) 상에 커버(152)의 반경 중심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접속핀(162)은 베이스(151)에서 본체(150a)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63)와, 연장부(163)의 단부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컨택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택부(164)는 플러그(141)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141)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본체(150a)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되며, 탄성 변형에 의하여 제1접속핀(161)에 접촉된다. 제1접속핀(161)과 컨택부(164)는 도 4 및 5와 같이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택부(164)의 외면에는 플러그(141)와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는 비도전성 재질의 절연부재(165)가 배치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41a)는 이어잭(150)으로의 삽입시 그라운드 단자(153a)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속부(142a)와,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154a,155a)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스피커 접속부(143a,144a)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스피커 접속부(143a,144a)와, 그라운드 접속부(142a)는 각각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플러그(141a)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들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구획하는 절연 라인(145a)들이 형성된 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141)는 제1 및 제2스피커 접속부(143,144)와, 그라운드 접속부(142), 및 마이크 접속부(14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141)는 제1실시예에 의한 플러그(141a)에 마이크 접속부(146)가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마이크 접속부(146)는 제1실시예에 의한 플러그(141a)가 갖는 그라운드 접속부(142a)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된다. 마이크 접속부(146)는 그라운드 접속부(142)의 후방 영역에 형성되어 이어잭(150)으로의 삽입시 이어잭(150)의 마이크 단자(157)에 접속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어잭(150)은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의 플러그(141a,141)가 모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단일의 구조로서 마이크 단자(157)가 형성된 플러그(141)와 마이크 단자(157)가 형성되지 않은 플러그(141)가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이어잭을 제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플러그(141)가 이어잭(150)에 적용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잭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이어잭의 단면도들이며, 도 8은 접속단자들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내는 접속단자들의 개념도이다.
도 7a는 플러그(141)가 삽입되기 전의 이어잭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접속핀(161,162)이 떨어진 상태에 있다.
도 7b와 같이 플러그(141)가 삽입됨에 따라, 플러그(141)의 전단부가 제2접속핀(162)의 컨택부(164)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컨택부(164)는 제1접속핀(161)과 접촉하게 되며, 제1 및 제2접속핀(161,16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154a,155a)는 플러그(141)의 제1 및 제2스피커 접속부(143,144)에 접속되며, 그라운드 단자(153a)와 마이크 단자(157)는 플러그(141)의 그라운드 접속부(142)와 마이크 접속부(146)에 접속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이어잭 제어부(170)를 포함하며, 이어잭 제어부(170)는 전자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잭 제어부(170)에는 제1 및 제2스피커 핀(171,172), 그라운드 핀(173), 마이크 핀(174), 센싱 핀(17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이어잭(150)의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154a,155a), 그라운드 단자(153a), 마이크 단자(157), 제2접속핀(1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잭 제어부(170)는 플러그(141)가 삽입되기 전에는 접속단자들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이어잭 제어부(170)의 센싱 핀(175)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으며, 그라운드 핀(173)에는 0V(volt)의 전압이 걸려 있다.
플러그(141)가 삽입되어 플러그 센싱부(160)가 플러그(141)의 삽입을 감지하 며, 이어잭 제어부(170)는 접속단자들이 동작 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141)에 의하여 제1 및 제2접속핀(161,16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그라운드 핀(173)과 센싱 핀(17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센싱 핀(175)에는 O(V)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센싱 핀(175)은 플러그(141)의 삽입을 감지하게 되며, 이어잭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스피커 핀(171,172)과 마이크 핀(174)이 해당 접속단자들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어잭(150)과 플러그(141)의 전기적 접속이 완료되게 되며, 이어잭(150)은 휴대 단말기의 음향 신호를 이어폰(140)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잭(150)은 이어폰(140)의 플러그(141)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접속 단자들이 동작되게 함으로써 플러그(141)의 삽입 도중의 노이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만약, 접속 단자들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플러그(141)가 삽입되면, 플러그(141)과 접속단자들의 접촉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 단자(153a)와 마이크 단자(157)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141)의 삽입시 마이크 라인을 통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속 단자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 플러그(141)가 삽입되므로,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잭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이어잭(250)은 플러그 센싱부(260)를 제외하고 앞선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센싱부(260)는 그라운드 단자(25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핀(261)과, 플러그(241)의 전단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제1접속핀에 접촉하는 제2접속핀(262)을 포함한다.
제1접속핀(261)은 제1로드(253)의 측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61a)와, 연장부(261a)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컨택부(261b)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접속핀(262)은 베이스(251)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62a)와, 제2연장부(262a)의 단부에 장착되는 가동부(262b)를 포함한다.
가동부(262b)는 플러그(241)의 전단부와 접촉됨에 따라 제2연장부(262a)를 플러그(241)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시켜 컨택부(261b)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가동부(262b)에는 플러그(241)의 가압력을 반경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경사면이 구비되며, 가동부(262b)는 플러그(241)와 절연될 수 있도록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도 10a 및 10b는 도 9에 도시된 이어잭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이어잭의 단면도들이다.
도 10a는 플러그(241)가 삽입되기 전의 이어잭(25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는 제1접속핀(261)의 컨택부(261b)와 제2접속핀(262)의 제2연장부(262a)가 떨어진 상태에 있다.
도 10b와 같이, 플러그(241)가 삽입됨에 따라 플러그(241)의 전단부가 제2접 속핀(262)의 가동부(262b)를 가압하게 되며, 가동부(262b)는 플러그(24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연장부(262a)와 컨택부(261b)는 서로 접촉하게 되며, 제1 및 제2접속핀(261,26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어잭이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어잭은 휴대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상의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드 타입을 가지는 것을 기초로 설명되었으나, 휴대 단말기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8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8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85), 메모리(18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앞서 설명된 이어잭 제어부(170)에 연결되거나, 이어잭 제어부(170)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8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83)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18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 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유닛(18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8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84)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8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8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8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어폰의 플러그와 이어잭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어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의 확대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정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잭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이어잭의 단면도들.
도 8은 접속단자들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내는 접속단자들의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어잭의 사시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잭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이어잭의 단면도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6)

  1.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삽입 통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을 감지하여 상기 접속단자들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러그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센싱부는 상기 플러그의 삽입 완료 후 상기 접속단자들이 동작 되도록 상기 플러그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단자들은,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1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는 상기 제1로드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2 및 제3로드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센싱부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핀; 및
    상기 플러그의 전단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접속핀에 접촉하는 제2접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내지 제3로드가 장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로드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 상에는 마이크 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접속부; 및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스피커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에 형성된 마이크 단자에 접속되는 마이크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핀은 상기 제1로드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핀은,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상기 플러그에 의하여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접속핀에 접촉되는 컨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의 외면에는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는 절연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핀은.
    상기 제1로드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컨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핀은,
    상기 본체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플러그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2연장부를 플러그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컨택부에 접촉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이어폰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도록 비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15.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며, 이어폰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어잭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잭은,
    상기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삽입 통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을 감지하여 상기 접속단자들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러그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센싱부는 상기 플러그의 삽입 완료 후 상기 접속단자들이 동작 되도록 상기 플러그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단자들은,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1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는 상기 제1로드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2 및 제3로드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센싱부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속핀; 및
    상기 플러그의 전단부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접속핀에 접촉하는 제2접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이어폰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 통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삽입 통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들;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삽입을 감지하여 상기 접속단자들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플러그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센싱부는 상기 플러그의 삽입 완료 후 상기 접속단자들이 동작 되도록 상기 플러그의 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단자들은, 그라운드 단자; 및 상기 그라운드 단자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1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피커 단자는 상기 제1로드의 주변에 배치되는 제2 및 제3로드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내지 제3로드가 장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로드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잭.
KR1020080056505A 2008-06-16 2008-06-16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54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505A KR101454240B1 (ko) 2008-06-16 2008-06-16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505A KR101454240B1 (ko) 2008-06-16 2008-06-16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741A KR20090130741A (ko) 2009-12-24
KR101454240B1 true KR101454240B1 (ko) 2014-11-03

Family

ID=4169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505A KR101454240B1 (ko) 2008-06-16 2008-06-16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302B1 (ko) * 2010-01-08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플러그 인식을 위한 이어잭
KR101700965B1 (ko) * 2010-12-09 201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의 외부 기기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820730B1 (ko) * 2011-12-13 2018-03-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접속 검출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267047B1 (ko) 2012-03-30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인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14Y1 (ko) 2002-07-19 2002-10-31 주식회사 파워넷 이어폰 소켓
KR100529220B1 (ko) 2005-04-07 2005-11-21 주식회사 씨티씨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KR20060066487A (ko) * 2004-12-13 200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14Y1 (ko) 2002-07-19 2002-10-31 주식회사 파워넷 이어폰 소켓
KR20060066487A (ko) * 2004-12-13 200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
KR100529220B1 (ko) 2005-04-07 2005-11-21 주식회사 씨티씨 이어폰잭 및 그의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741A (ko)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57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65109A (ko) 휴대 단말기
US20090163247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ged status thereof
KR101454240B1 (ko)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83238A (ko) 휴대 단말기
KR101659024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27514A (ko)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KR101418284B1 (ko)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20090000533A (ko) 휴대 단말기
KR101537697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3825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3816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74449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80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037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4047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67B1 (ko) 커넥터 보강부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KR10101688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5395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6026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55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