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3238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3238A
KR20090083238A KR1020080009264A KR20080009264A KR20090083238A KR 20090083238 A KR20090083238 A KR 20090083238A KR 1020080009264 A KR1020080009264 A KR 1020080009264A KR 20080009264 A KR20080009264 A KR 20080009264A KR 20090083238 A KR20090083238 A KR 20090083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ortable terminal
connection pad
flexible circuit
rig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3238A/ko
Publication of KR2009008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도선이 구비된 연성회로기판과, 도선에 대응되는 연결패드가 형성된 경성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연성회로기판의 각 도선은 대응되는 경성회로기판의 각 연결패드에 접합되어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조 단가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기판과 경성회로기판 연결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적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회로기판에 배치되지 않는 부품들은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야 하는데, 그중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은 얇고 부피가 작아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연성회기판이 연결되어야 하는 대상, 예를 들어, 경성회로기판(Rigid-Printed Circuit Board:Rigid-PCB)에 연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커넥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 역시 부피를 소요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내부의 연성회로기판과 경성회로기판이 연결됨에 있어서, 연결부위가 부피를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연결을 위한 공정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복수의 도선을 구비한 연성회로기판과,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되어 연결될 수 있게 복수의 도선에 대응되는 연결패드가 형성된 경성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연성회로기판과 경성회로기판이 접합되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도선을 노출시킬 수 있게 노출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인쇄회로기판들의 상호연결시에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와 제조원가 인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도선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부위가 상기 연결패드에 표면실장(Surface Mounting Technology:SMT)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연성회로기판에 구비된 복수의 도선이 각기 대응되는 연결패드에 연결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경성회로 기판과 연성회로기판이 연결된 상태에서 관통홀의 내측면을 통하여 도체부분 및/또는 납땜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 부분을 통하여 각 연결패드가 의도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상호 단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관통홀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제한된 면적 내에 관통홀을 배치함에 있어서, 관통홀들이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각 연결패드가 의도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상호 단락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내부의 회로기판 상호 연결시에, 연성회로기판에 구비된 복수의 도선과 경성회로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패드가 접합되어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양 기판의 연결시에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휴대 단말기 제조 단가를 낮추고, 커넥터가 포함된 휴대 단말기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내부의 회로기판 상호 연결시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기 위하여 이방성전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ACF)을 이용한 열 압착 접합공정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이방성전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ACF)을 이용한 열 압착 접합공정을 단말기 제조공정에 추가하지 아니하고, 인쇄회로기판에 다른 소자를 실장하는 공정과 하나의 공정으로 휴대 단말기 내부의 회로기판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휴대 단 말기 내부에 포함된 회로기판의 소자 배치 등에 관련한 보안유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연성회로기판에 구비된 복수의 도선들에 관통홀을 형성시켜 도선들을 노출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이 상호 연결된 후에도, 관통홀의 내측면을 통하여 도체부분 및/또는 납땜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 부분을 통하여 각 연결패드가 의도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상호 단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접합과정에서 땜납이 관통홀에 채워짐으로써, 땜납이 용융되는 과정에서 본래의 땜납이 위치하였던 연결패드를 다른 연결패드와 의도하지않게 전기적으로 상호 단락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는, 상기 관통홀들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관통홀들이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각 연결패드가 의도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상호 단락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상기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 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제1 음향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입력부(128)는 제1 영상입력 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하부 커버(122)에는 제2 음향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131)는 제1 음향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커버(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입력부(128) 등이 제2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입력부(128) 등과 같이 하부 커버(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10), 주로는 하부 커버(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하부 커버(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2바디(120)를 구성하는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경성회로기판(210)이 장착되어 있으며, 경성회로기판(210)에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부품들이 장착된다.
경성회로기판(210)은 연성회로기판(211)을 통하여 제1바디(110)와 전기적으로 연결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경성회로기판(210)에 형성된 연결패드(212)가 연성회로기판(211)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도선(213)에 직접 접합되어 연결된다. 즉, 경성회로기판(210)에는 연성회로기판(211)의 각 도선(213)이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패드(2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패드(212)에 접촉된 연성회로기판(211)의 각 도선은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211)은 경성회로기판(210)에 납땜기술이나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SMT)에 의하여 접합 될 수도 있다.
납땜기술 또는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SMT)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바, 접합공정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한다.
연성회로기판(211)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도선(213)을 경성회로기판(210)에 형성된 연결패드(21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211)의 말단부(214)에 연성회로기판(211)의 각 도선(213)이 노출되는 노출면이 형성될 수 있다.
노출된 연성회로기판(211)의 각 도선은 경성회로기판(210)의 연결패드(212)에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실장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방법은 연성회로기판(211)을 경성회로기판(210)에 실장되는 다른 부품과 마찬가지로 실장을 통하여 구현한다는 점에서, 경성회로기판에 연성회로기판을 꽂을 수 있도록 커넥터를 실장한다거나 연성회로기판의 단부에 커넥터에 맞는 형상이나 구성을 구현해야 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연성회로기판(211)의 도선(213)은 경성회로기판(210)의 연결패드에 표면실장(Surface Mounting Technology;SMT)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연성회로기판(211)은 실장과 동시에 접속되는 것이므로, 우선 커넥터(220)를 실장한 후 그 커넥터에 연성회로기판을 연결시켜야 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공정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211)과 경성회로기판(210)의 연결 전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연결패드(212)와 말단부(214)의 사시도이다.
경성회로기판(210)상의 연결패드(212)부는 경성회로기판(210) 상에 인쇄된 도선들(215)과 연결되어 있다. 연성회로기판(211)은 내부에 복수의 도선(213)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도선(213)은 연성회로기판(211)의 절연층(216)에 의해 둘러싸임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연성회로기판(211)의 말단부(214)는 연결패드(212)와 연성회로기판(211)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도선(2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절연층(216)이 제거되어 노출면(2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출면(217)에는 상기 연결패드(212)와 일치되는 위치에 복수의 도선(213)을 관통하는 관통홀(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패드상에는 땜납(Solder)(219)이 인쇄되거나 위치할 수 있으며, 경성회로기판(210)상에 부품들이 실장되는 공정에서 연성회로기판(211)의 관통홀(218)을 연결패드(212)에 얹고 다른 부품들을 납땜(Soldering)하는 공정에서 연결패드(212)상의 땜납(219)이 같이 납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성회로기판(211)이 경성회로기판(210)에 표면실장(Surface Mounting Technology;SMT)됨으로써, 탈착을 위한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해서, 휴대 단말기의 제조단가 절감과 슬림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경성회로기판에 부품들이 실장되는 단계에서 한꺼번에 연성회로기판까지 실장되는 것이므로 경성회로기판(210)상에 다른 부품들을 실장한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이동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이방성전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ACF)을 이용한 열 압착 공정과도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연성회로기판과 경성회로기판의 연결방법에 의하면 경성회로기판(210)이 외부에 유출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보안유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I-I 라인을 따르는 경성회로기판(210)과 연성회로기판(211)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경성회로기판과(210)과 연성회로기판(211)이 연결된 이후 연결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성회로기판(210)상에 인쇄된 복수의 도선(215)과 연결된 연결패드(212) 위에는 땜납(Solder)(219)들이 위치하고 있으며, 연성회로기판(211)에 구비된 복수의 도선(213)에 형성된 관통홀(218)은 상기 연결패드(212)부에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과정(Soldering)을 거친 후에는 상기 땜납(Solder)이 관통홀(218)에 채워질 수 있다.
땜납(Solder)이 관통홀(21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짐으로 인하여, 땜납(Solder)이 납땜과정(Soldering)을 거치면서 본래 위치하고 있던 연결패드(212a)를 이탈하여 인접한 다른 연결패드(212b)와 연결되어, 본래 위차하고 있던 연결패드(212a)와 다른 연결패드(212b)를 의도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단락시킬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경성회로기판(210)과 연성회로기판(211)이 접합되어 연결된 후에도, 관통홀(218)의 내측면을 통하여 도체부분 및/또는 납땜(219)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부분을 테스트 포인트로 삼아, 각 연결패드가 의도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상호 단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211)상의 복수의 도선(213) 과 경성회로기판(210)상의 연결패드(212)가 연결된 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관통홀(218)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도선들(213)을 관통하는 관통홀(218)을 지그재그로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관통홀(218)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이격시켜, 땜납(Solder)이 납땜과정(Soldering)을 거치면서 본래 위치하고 있던 연결패드(212a)를 이탈하여 인접한 다른 연결패드(212b)와 연결되어, 본래 위치하고 있던 연결패드(212a)와 다른연결패드(212b)를 의도하지 않게 전기적으로 단락시킬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외에도 연결패드들은 상호간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직선형이 아닌 호상(弧狀), 또는 쐐기 형태 등의 기하학적인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4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4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45), 메모리(14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1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4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42)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 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44)는 제어부(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44) 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성회로기판의 말단부와 경성회로기판의 연결패드부의 연결 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I-I라인을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성회로기판의 말단부와 경성회로기판의 연결패드 부의 연결 후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연성회로기판의 말단부와 경성회로기판의 연결패드부의 연결 후 사시도.
도 8. 블록 구성도.

Claims (4)

  1. 복수의 도선(conducting lines)이 구비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 및
    상기 도선에 대응되는 연결패드가 형성된 경성회로기판(Rigid Printed Circuit Board;Rigid PCB)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도선과 상기 경성회로기판의 연결패드가 접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도선들을 노출시킬 수 있게 노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 부위가 상기 연결패드에 표면실장(Surface Mount Technology;SM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09264A 2008-01-29 2008-01-29 휴대 단말기 KR20090083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264A KR20090083238A (ko) 2008-01-29 2008-01-29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264A KR20090083238A (ko) 2008-01-29 2008-01-29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238A true KR20090083238A (ko) 2009-08-03

Family

ID=4120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264A KR20090083238A (ko) 2008-01-29 2008-01-29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323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684B1 (ko) * 2013-03-05 2013-10-02 (주)드림텍 솔더 배출성이 우수한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접합 구조
KR20150012109A (ko) * 2013-07-24 2015-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성인쇄회로기판의 구조체
KR20150012108A (ko) * 2013-07-24 2015-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성인쇄회로기판의 구조체
US9899627B2 (en) 2013-07-24 2018-02-20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10206290B2 (en) 2013-07-24 2019-02-12 L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WO2022098003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전기물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684B1 (ko) * 2013-03-05 2013-10-02 (주)드림텍 솔더 배출성이 우수한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접합 구조
WO2014137002A1 (ko) * 2013-03-05 2014-09-12 (주)드림텍 솔더 배출성이 우수한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링 접합 구조
KR20150012109A (ko) * 2013-07-24 2015-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성인쇄회로기판의 구조체
KR20150012108A (ko) * 2013-07-24 2015-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성인쇄회로기판의 구조체
US9872389B2 (en) 2013-07-24 2018-01-16 Lg Display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US9899627B2 (en) 2013-07-24 2018-02-20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9907171B2 (en) 2013-07-24 2018-02-27 Lg Display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structure
US10206290B2 (en) 2013-07-24 2019-02-12 Lg Displa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WO2022098003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전기물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US20090137293A1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8311592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ged status thereof
KR20120108827A (ko)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090083238A (ko) 휴대 단말기
KR101454240B1 (ko) 이어잭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59024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30970A (ko)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18284B1 (ko) 심-카드 소켓용 단자유닛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10066742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3065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회로 구성 방법
KR101561900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0A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63816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63825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0290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20090034659A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075088A (ko) 이동 단말기
KR10136021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전력 제어방법
KR101537697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602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0378B1 (ko) 휴대 단말기
KR10101688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0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