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871B1 -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871B1
KR101569871B1 KR1020140034195A KR20140034195A KR101569871B1 KR 101569871 B1 KR101569871 B1 KR 101569871B1 KR 1020140034195 A KR1020140034195 A KR 1020140034195A KR 20140034195 A KR20140034195 A KR 20140034195A KR 101569871 B1 KR101569871 B1 KR 10156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ion
switching
switch
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167A (ko
Inventor
유근수
Original Assignee
인창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창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창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8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접속 장치는 전자기기의 단부에서 상기 전자 기기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서리(accessary)의 플러그(plug)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션 케이브(connection cave)를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 내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ACCESSARY AND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accessary)는 단부에 플러그를 가지며, 전자 기기(electronic equipment)는 단부에 소켓(jack)을 갖는다. 상기 플러그는 소켓에 수용되어서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소켓은 내부에서 플러그의 삽입을 인지하는 스위칭 구조물들을 갖는다.
상기 스위칭 구조물들은 소켓 내 플러그의 삽입 동안에 플러그와 접촉하거나 플러그 주변에서 임피던스의 변화를 경험한다. 상기 스위칭 구조물들과 플러그의 접촉의 경우에, 상기 스위칭 구조물들의 각각은 소켓 내 플러그의 삽입 동안에 스위치 노드로부터 스위치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로부터 스위치 노드 및 스위치의 접점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 구조물들의 각각은 스위치 노드 및 스위치 사이에 이물질의 안착으로 플러그의 삽입을 인지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다. 왜냐하면, 상기 이물질은 전자 기기와 전자 기기의 주변 환경으로 인해서, 또는 플러그 상에 묻어서 소켓의 내부에 유입되어 스위치 노드 및 스위치 사이에 축적될 확률을 크게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스위칭 구조물들과 플러그 사이에 임피던스의 변화의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는 사용 수명에 가까워질수록 최초에 설정된 전기적인 특성을 갖지 못해서 스위칭 구조물들과 플러그 사이에 임피던스의 변화를 약하게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는 사용 횟수의 증가에 대응해서 이물질로 점유되는 표면적을 크게 가지기 때문에 스위칭 구조물들과 플러그 사이에 임피던스의 변화를 약하게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 구조물들은 스위칭 구조물들과 플러그의 접촉 또는 스위칭 구조물들과 플러그 사이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통해서 소켓 내 플러그의 삽입 때마다 플러그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내 플러그의 삽입 때마다 플러그 수용 구조물에서 플러그를 확실하게 인식하는데 적합한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앞서 언급한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접속 장치는, 전자기기의 단부에서 상기 전자 기기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서리(accessary)의 플러그(plug)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션 케이브(connection cave)를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 내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유닛은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플러그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단자(switching terminal)와 스위칭 패드(switching pad)를 포함하고, 및 상기 스위칭 단자는 상기 플러그에 기대어서 상기 스위칭 패드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션 케이브는 입구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입구로부터 먼 부분에서 서로 다른 직경들을 각각 갖는다.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입구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향해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일 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양 측부들에 위치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와 교차하여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양 측부들로 연장한다.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 적어도 세 개 위치된다.
상기 스위칭 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와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하우징에서 동일 레벨에 위치하면서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로부터 곡선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스위칭 패드를 향하여 굴곡을 가지면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 상에 웨이브 형상(wave shape)을 가지면서 상기 웨이브 형상 내 하나의 변곡점 또는 변곡선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 상에 주름 형상(wrinkle shape)을 가지면서 상기 주름 형상 내 변곡점들 또는 변곡선들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칭 패드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디스크 형상(disk shape)으로 융기하고 그리고 상기 디스크 형상의 가장 자리와 중앙 영역에서 볼록 형상을 가지는 랜딩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칭 패드 상에서 상기 랜딩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볼 형상(ball shape)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서 오목 형상으로 연장하는 그루브(groove)를 포함하고,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그루부를 통하여 상기 스위칭 패드와 접촉하도록 단부에서 서로 다른 레벨들에 각각 위치되는 핑거(finger)들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접속 단자(connection terminal)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 적어도 하나 위치해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입구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통해서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접속 장치는, 액세서리의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및 전자 기기의 단부에서 상기 액세서리의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션 케이브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유닛과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 내 상기 플러그의 유/ 무에 각각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쇼트(short) 및 오픈(open)되는 스위칭 단자와 스위칭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액세서리와 상기 전자기기의 기능들에 영향을 미치도록 상기 스위칭 유닛과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하여 상기 액세서리와 상기 전자기기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공급받아서 나머지 하나를 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게이브의 입구의 반대편에서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단자는 서로에 대해서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 사이에 위치해서 곡선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는 단부에서 상기 스위칭 패드를 향하는 볼(ball)을 가지고, 상기 스위칭 패드는 중앙 영역에서 볼록부(convex portion)를 가지고, 상기 볼과 상기 볼록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플러그의 접촉을 통해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따라서 수평하게 위치된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향하는 단부에서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는 서로에 대해서 직각으로 위치되고, 및 상기 보조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플러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ㅐ' 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ㅐ' 자형의 선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segment)와 중단의 'ㅡ' 자형의 세그먼트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후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치의 접촉을 통해서 상기 후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를 상기 스위칭 패드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향하는 단부에서 전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는 서로에 대해서 직각으로 위치되고,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탄성 부재에 연결되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전자석은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치의 접촉을 통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유도 전류를 통하여 상기 스위칭 패드를 전기 인력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플러그에 상기 스위칭 패드를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접속 장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에서 종래 기술 대비 플러그로부터 더 먼 거리에 접점을 가지는 스위칭 유닛을 적어도 하나 구비해서 플러그와 스위칭 유닛의 접촉을 통하여 스위칭 유닛에 이물질의 축적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접속 장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통하여 스위칭 유닛에 이물질의 축적 확률을 줄여서 플러그 수용 구조물 내 플러그의 삽입 때마다 플러그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장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내 플러그의 삽입 때마다 플러그에 스위칭 유닛을 기대게 해서 플러그의 삽입력과 스위칭 유닛의 탄성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스위칭 유닛 내 스위칭 단자와 스위칭 패드의 접촉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접속 장치 내 스위칭 패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접속 장치에 이용되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접속 장치에 이용되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접속 장치에 이용되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접속 장치에 이용되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4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 및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 및 11 은 도 1 의 접속 장치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는 도 1 내지 9 를 참조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2 는 도 1 의 접속 장치 내 스위칭 패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 장치(110)는 플러그( 13, plug)와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13)와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은 액세서리(accessary; 도면에 미 도시)와 전자 기기(electronic eqipment; 도면 미 도시)의 단부들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는 헤드폰 또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13)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레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기 플러그(13)는 제 1 내지 4 극 영역들(1, 2, 3, 5)에 4 개의 전기적 레벨들을 각각 갖는다.
상기 제 1 내지 4 극 영역들(1, 2, 3, 5)은 전도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극 영역(1)은 액세서리의 마이크로부터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공급받아서 전자 기기에 전달하도록 특정한 하나의 전기적 레벨을 갖는다. 상기 제 2 극 영역(2)은 제 1, 3 및 4 극 영역들(1, 3, 5)에 대한 기준(접지) 레벨을 갖는다.
상기 제 3 및 4 극 영역들(3, 5)은 전자 기기(1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공급받아서 액세서리(13)의 이어폰들에 전달하도록 나머지 전기적 레벨들을 각각 갖는다. 상기 플러그(13)는 제 1 내지 4 극 영역들(1, 2, 3, 5) 사이에 절연체(4)들을 갖는다.
상기 절연체(4)들은 제 1 내지 4 극 영역들(1, 2, 3, 5)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 기기(100)는 뮤직 플레이어, 라디오, 셀룰러 폰, 또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은 전자 기기의 단부에서 전자 기기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서리의 플러그(1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은 하우징(20, housing), 접속 단자들(33, 36, 39, connection terminals), 스위칭 유닛(80, switching unit)과 전기 단자(9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복수 개의 안착 홀들(24, 26, mount holes)과 커넥션 케이브(28, connection cave)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 홀들(24, 26)은 하우징(20)에서 커넥션 케이브(28) 주변에 위치된다. 상기 커넥션 케이브(28)는 하우징(20)의 중앙 영역에 위치된다. 상기 커넥션 케이브(28)는 입구(22)에 가까운 부분(도 1 에서 하우징(20)의 왼쪽)과, 입구로부터 먼 부분(도 1 에서 하우징(20)의 오른 쪽)에서 서로 다른 직경들을 각각 갖는다.
상기 접속 단자들(33, 36, 39), 스위칭 유닛(80)과 전기 전자(90)는 전도체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 단자들(33, 36, 39)은 안착 홀(24)들에 각각 안착된다. 상기 플러그(13)가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의 커넥션 케이브(28)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접속 단자들(33, 36, 39)과 스위칭 유닛(80)은 커넥션 케이브(28)을 통해서 플러그(13)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 단자들(33, 36, 39)은 커넥션 케이브(28) 주변에서 커넥션 케이브(28)의 입구(22)에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접속 단자들(33, 36, 39)은 동일 모양을 가지면서 커넥션 케이브(28)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80)과 전기 단자(90)는 안착홀(26)들에 각각 안착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80)과 전기 단자(90)는 커넥션 케이브(28)의 입구(22)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80)은 커넥션 케이브(28)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향해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80)은 커넥션 케이브(28) 주변에서 커넥션 케이브(28)의 일 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80)은 서로 이격되면서 전기적으로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단자(50, switching terminal)와 스위칭 패드(70, switching pad)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스위칭 단자(50)와 스위칭 패드(70)는 커넥션 케이브(28) 내 플러그(13)의 유/ 무에 각각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쇼트(short) 및 오픈(open)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단자(50)는 플러그(13)에 기대어서 스위칭 패드(7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단자(50)는 베이스 플레이트(42, base plate)와 스위치(44, switch)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44)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위치(44)는 베이스 플레이트(42)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2)와 스위칭 패드(70)는 하우징(20)에서 동일 레벨에 위치하면서 스위치(44)와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44)는 베이스 플레이트(42)의 측부로부터 곡선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44)는 커넥션 케이브(28), 베이스 플레이트(42)와 스위칭 패드(70) 사이에 위치해서 곡선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44)는 베이스 플레이트(42)로부터 스위칭 패드(70)를 향하여 굴곡을 가지면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44)는 베이스 플레이트(42)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움직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44)는 베이스 플레이트(42)와 스위칭 패드(70) 상에 웨이브 형상(wave shape)을 가지면서 웨이브 형상 내 하나의 변곡점 또는 변곡선을 통하여 플러그(13)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44)는 베이스 플레이트(42)와 스위칭 패드(70) 상에 주름 형상(wrinkle shape)을 가지면서 주름 형상 내 변곡점들 또는 변곡선들을 통하여 플러그(13) 및 스위칭 패드(7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패드(70)는 하우징(20)에서 커넥션 케이브(28)를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42)와 수평하게 위치된다. 상기 스위칭 패드(70)는 중앙 영역에 랜딩부(64)를 갖는다. 이 경우에, 상기 스위치(44)는 스위칭 패드(70)의 랜딩부(65)에 정렬하도록 변곡점 또는 변곡선 상에 도 3 의 돌출부(43)를 갖는다.
상기 전기 단자(90)는 플러그(13), 접속 단자들(33, 36, 39) 및 스위칭 유닛(80)과 동일하거나 다른 전기적 레벨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칭 패드(70)는 도 1 의 스위치(44)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디스크 형상(disk shape)으로 융기하고 그리고 디스크 형상의 가장 자리와 중앙 영역에서 볼록 형상을 가지는 랜딩부(65)를 포함한다. 도 1 에서, 상기 플러그(13)가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의 커넥션 케이브(28)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칭 패드(70)의 랜딩부(65)는 스위치(44)의 돌출부(43)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좀 더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44)는 단부에서 스위칭 패드(70)를 향하는 볼(ball)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패드(70)는 중앙 영역에서 볼록부(convex portion)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13)가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의 커넥션 케이브(28)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볼과 볼록부는 스위치(44)와 플러그(13)의 접촉을 통해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은 도 1 의 접속 장치에 이용되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101)은 도 1 의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1)은 두 개의 스위칭 유닛들(80, 81)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유닛들(80, 81)은 커넥션 케이브(28)와 관련해서 동일한 모양을 갖는다.
상기 스위칭 유닛들(80, 81)은 대칭적으로 커넥션 케이브(28)의 양 측부들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들(80, 83)의 스위치(44)들은 스위칭 패드(70)들을 향해서 돌출부(43)들을 각각 갖는다. 상기 스위치(44)들은 커넥션 케이브(28) 주변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이 경우에,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1)은 도 1 의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을 대체할 수 있다.
도 4 는 도 1 의 접속 장치에 이용되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도 4 는 도 1 의 접속 장치에서 다른 부분 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103)은 도 1 의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3)은 세 개의 스위칭 유닛들(80, 81, 83)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유닛들(80, 81, 83)은 커넥션 케이브(28)와 관련해서 동일한 모양을 갖는다.
상기 스위칭 유닛(83)은 도 1 의 커넥션 케이브(28) 아래에서 스위칭 유닛들(80, 81)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들(80, 81, 83)은 커넥션 케이브(28)의 내부에 노출된다. 이 경우에,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3)은 도 1 의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을 대체할 수 있다.
도 5 는 도 1 의 접속 장치에 이용되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도 5 는 도 1 의 접속 장치에서 다른 부분 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104)은 도 1 의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4)은 커넥션 케이브(28) 주변에서 커넥션 케이브(28)와 교차하여 커넥션 케이브(28)의 양 측부들로 연장하는 스위칭 유닛(84)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위칭 유닛(84)은 커넥션 케이브(28)를 'ㄷ' 자형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 유닛(84)은 케넥션 케이브(28)의 일 측부 또는 양 측부들에서 케넥션 케이브(28)의 내부에 노출된다. 이 경우에,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4)은 도 1 의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을 대체할 수 있다.
도 6 은 도 1 의 접속 장치에 이용되도록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4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도 6 은 도 1 의 접속 장치에서 다른 부분 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4 변형에 따르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106)은 도 1 의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6)은 스위칭 유닛(86) 내 스위치(46)의 단부에서 서로 다른 레벨들에 각각 위치되는 핑거들(48, 49, fingers)과 스위칭 패드(73)에서 중앙 영역에 그루브(68, groove)를 포함한다.
상기 핑거들(48, 49)은 그루부(68)를 통하여 스위칭 패드(73)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핑거들(48, 49)은 그루브(68)를 향하는 볼들을 각각 갖는다. 상기 그루브(68)는 스위치(46)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서 오목 형상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6)은 도 1 의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을 대체할 수 있다.
도 7 및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 및 8 은 도 1 의 접속 장치에서 다른 부분 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 장치(114)는 도 1 의 접속 장치(11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 상기 접속 장치(114)는 플러그(16)와 플러그 수용 구조물(108)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16)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108)의 하우징(20) 내 커넥션 케이브(28)를 향하는 단부에서 도 1 의 플러그(13)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러그(16)는 도 1 의 플러그(13)와 동일한 제 1 내지 3 극 영역들(1, 2, 3)을 가지지만, 상기 플러그(16)의 제 4 극 영역(6)은 도 1 의 플러그(13)의 제 4 극 영역(5)과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 4 극 영역(6)은 하우징(20) 내 커넥션 케이브(28)를 따라서 'ㅏ' 자형의 유도 홀(7)과 'ㅐ' 자형의 보조 스위치(8)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스위치(8)는 플러그(16)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플러그(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도 홀(7)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 스위치(8)는 'ㅐ' 자형의 선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segment)와 중단의 'ㅡ' 자형의 세그먼트를 통하여 플러그(16)의 제 4 극 영역(6)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후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를 통하여 플러그(16)의 외부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8)의 스위칭 유닛(88)은 도 1 의 스위칭 유닛(80)과 다른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위칭 유닛(88)은 도 1 의 베이스 플레이트(42)에 대해서 직각으로 위치되는 스위칭 패드(76)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패드(76)는 하우징(20)에 고정되어서 커넥션 케이브(28)를 통하여 커넥션 케이브(28)의 내부에 노출된다.
상기 플러그(16)는 제 1 방향(R1)을 따라 이동되어서 커넥션 케이브(28)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16)가 플러그 수용 구조물(108)의 커넥션 케이브(28)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스위치(8)는 플러그(16)와 스위치(44)의 접촉을 통하여 선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segment)와 중단의 'ㅡ' 자형의 세그먼트를 스위칭 패드(76)를 향해 밀면서 후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를 스위칭 패드(76)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16)는 필요한 경우에 제 2 방향(R2)을 따라 이동되어서 커넥션 케이브(28)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 는 도 1 의 접속 장치에서 다른 부분 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 장치(118)는 도 1 의 접속 장치(11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 상기 접속 장치(118)는 플러그(19)와 플러그 수용 구조물(109)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19)는 도 1 의 커넥션 케이브(28)를 향하는 단부에서, 예를 들면, 도 1 의 플러그(13)의 제 4 극 영역(5)에 전자석(11, electromagnet)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9)의 스위칭 유닛(89)은 도 1 의 스위칭 유닛(80)과 다른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위칭 유닛(89)은 베이스 플레이트(42)에 대해서 직각으로 위치되는 스위칭 패드(78)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패드(78)는 하우징(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여서 커넥션 케이브(28)를 통하여 커넥션 케이브(28)의 내부에 노출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위칭 패드(78)는 하우징(20)에 고정되는 탄성 부재(79)에 연결되어서 하우징(20)에 대하여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19)가 제 1 방향(R3)을 따라 이동되어서 커넥션 케이브(28)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석(11)은 플러그(19)와 스위치(44)의 접촉을 통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11)은 유도 전류를 통하여 제 2 방향(R4)을 따라 스위칭 패드(78)를 전기 인력으로 끌어당겨서 플러그(19)에 스위칭 패드(78)를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19)가 제 1 방향(R3)을 따라 이동되어서 커넥션 케이브(28)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상기 스위칭 패드(78)는 탄성 부재(79)의 탄성력에 이끌려서 커넥션 케이브(28)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접속 장치의 이용방법은 도 10 및 11 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11 은 도 1 의 접속 장치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접속 장치(110)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장치(110)는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도면에 미 도시)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 장치(110)는 액세서리의 플러그(13) 및 전자 기기의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을 갖는다.
상기 플러그(13)는 제 1 내지 4 극 영역들(1, 2, 3 , 5)과, 제 1 내지 4 극 영역들(1, 2, 3 , 5) 사이에 절연체(4)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4 극 영역들(1, 2, 3 , 5)과, 절연체(4)들은 도 1 에서 설명된다. 상기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은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스위칭 단자(50)와 스위칭 패드(70)를 갖는다.
상기 플러그(13)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의 하우징(20) 내 커넥션 케이브(28)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13)는 제 1 방향(R5)을 따라서 커넥션 케이브(28)의 입구(22)를 향하여 움직여질 수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13)는 커넥션 케이브(28)의 입구(22)를 지나서 커넥션 케이브(28)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플러그(13)의 제 1 내지 4 극 영역들(1, 2, 3, 5)은 커넥션 케이브(28)를 통해서 플러그 수용 구조물(100)의 접속 단자들(33, 36, 39) 및 스위칭 유닛(8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유닛(80)은 스위칭 단자(50)와 스위칭 패드(70)를 갖는다. 상기 스위칭 단자(50)의 스위치(44)는 플러그(13)에 밀려서 스위칭 패드(7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는 플러그, 접속 단자들(33, 36, 39) 및 스위칭 유닛(80)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2, 3, 5; 제 1 내지 4 극 영역들,
4; 절연체
13, 16, 19; 플러그, 20; 하우징
22; 입구, 24, 26; 안착 홀
28; 커넥션 케이브, 33, 36, 39; 접속 단자
42; 베이스 플레이트, 43; 돌출부
44; 스위치, 50; 스위칭 단자
64; 랜딩부, 68; 그루부
70, 73, 76, 78; 스위칭 패드,
79; 탄성 부재
80, 81, 83, 84, 86, 88, 89; 스위칭 유닛,
90; 전기 단자
100, 101, 103, 104, 106, 108, 109; 플러그 수용 구조물,
110, 114, 118; 접속 장치,
R1, R2, R3, R4, R5, R6; 방향

Claims (25)

  1. 전자기기의 단부에서 상기 전자 기기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서리(accessary)의 플러그(plug)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션 케이브(connection cave)를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 내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유닛은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플러그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단자(switching terminal)와 스위칭 패드(switching pad)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단자는 상기 플러그에 기대어서 상기 스위칭 패드와 접촉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위칭 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와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서 오목 형상으로 연장하는 그루브(groove)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되, 상기 그루부를 통하여 상기 스위칭 패드와 접촉하도록 단부에서 서로 다른 레벨들에 각각 위치되는 핑거(finger)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는 입구에 가까운 부분과 상기 입구로부터 먼 부분에서 서로 다른 직경들을 각각 가지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입구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향해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일 측부에 위치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양 측부들에 위치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와 교차하여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양 측부들로 연장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 적어도 세 개 위치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하우징에서 동일 레벨에 위치하면서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로부터 곡선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스위칭 패드를 향하여 굴곡을 가지면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 상에 웨이브 형상(wave shape)을 가지면서 상기 웨이브 형상 내 하나의 변곡점 또는 변곡선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 상에 주름 형상(wrinkle shape)을 가지면서 상기 주름 형상 내 변곡점들 또는 변곡선들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스위칭 패드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스위치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디스크 형상(disk shape)으로 융기하고 그리고 상기 디스크 형상의 가장 자리와 중앙 영역에서 볼록 형상을 가지는 랜딩부를 포함하고,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칭 패드 상에서 상기 랜딩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볼 형상(ball shape)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16. 삭제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접속 단자(connection terminal)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 적어도 하나 위치해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입구에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통해서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
  19. 액세서리의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및 전자 기기의 단부에서 상기 액세서리의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션 케이브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유닛과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 내 상기 플러그의 유/ 무에 각각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쇼트(short) 및 오픈(open)되는 스위칭 단자와 스위칭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스위칭 단자는 서로에 대해서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 사이에 위치해서 곡선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향하는 단부에서 보조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는 서로에 대해서 직각으로 위치되고,
    상기 보조 스위치는 상기 플러그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플러그의 길이 방향을 따라 'ㅐ' 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ㅐ' 자형의 선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segment)와 중단의 'ㅡ' 자형의 세그먼트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후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스위치의 접촉을 통해서 상기 후단의 'ㅣ' 자형의 세그먼트를 상기 스위칭 패드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접속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액세서리와 상기 전자기기의 기능들에 영향을 미치도록 상기 스위칭 유닛과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하여 상기 액세서리와 상기 전자기기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공급받아서 나머지 하나를 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접속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게이브의 입구의 반대편에서 상기 플러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속 장치.
  22. 삭제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단부에서 상기 스위칭 패드를 향하는 볼(ball)을 가지고,
    상기 스위칭 패드는 중앙 영역에서 볼록부(convex portion)를 가지고,
    상기 볼과 상기 볼록부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플러그의 접촉을 통해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따라서 수평하게 위치되는 접속장치.
  24. 삭제
  25. 액세서리의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및 전자 기기의 단부에서 상기 액세서리의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션 케이브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 상기 커넥션 케이브 주변에서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통하여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칭 유닛과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수용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커넥션 케이브 내 상기 플러그의 유/ 무에 각각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쇼트(short) 및 오픈(open)되는 스위칭 단자와 스위칭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커넥션 케이브를 향하는 단부에서 전자석을 포함하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칭 패드는 서로에 대해서 직각으로 위치되고,
    상기 스위칭 패드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탄성 부재에 연결되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은 상기 플러그와 스위치의 접촉을 통하여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유도 전류를 통하여 상기 스위칭 패드를 전기 인력으로 끌어당겨서 상기 플러그에 상기 스위칭 패드를 접촉시키도록 구성되는 접속 장치.
KR1020140034195A 2014-03-24 2014-03-24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 KR101569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95A KR101569871B1 (ko) 2014-03-24 2014-03-24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95A KR101569871B1 (ko) 2014-03-24 2014-03-24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67A KR20150110167A (ko) 2015-10-02
KR101569871B1 true KR101569871B1 (ko) 2015-11-27

Family

ID=5434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195A KR101569871B1 (ko) 2014-03-24 2014-03-24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570A1 (ko) * 2016-10-14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67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45Y1 (ko)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KR101719302B1 (ko) 이어플러그 인식을 위한 이어잭
KR100883950B1 (ko) 메이팅 커넥터에 축적된 정전하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커넥터
US20100014701A1 (en) Earphone jack
US6796849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775373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anti-dust device to avoid the poor contact from dust
US8951071B2 (en) Contact-support mechanism for increased retention force
WO2008030657A3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50333458A1 (en) Releasable plug connector system
EP3101908B1 (en) Earphone jack and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earphone is inserted in place
US9774152B2 (en) Forward and backward compatible 5 pole audio plug and jack system
US20130244498A1 (en) Audio jack connector with small size for space saving
KR101569871B1 (ko)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
US9178323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7078422A (zh) 电连接器
KR20160084305A (ko) 이어폰 소켓, 이어폰 플러그, 이어폰 및 전자 디바이스
US95372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vity plug switch
CN104218348B (zh) 电连接器
CN103887626B (zh) 同轴连接器
US9368923B2 (en) Actuator apparatus for powering USB receptacl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TE483259T1 (de)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steckverbinders
US20210083431A1 (en) Connector Having Surge Prevention Function And Circuit Board Including Same
CN209001171U (zh) Rf连接器及其端子组合结构
KR200476274Y1 (ko) 휴대 단말기용 이어 소켓 커넥터
CN108565606A (zh) 一种短路连接器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