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45Y1 -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45Y1
KR200473045Y1 KR2020140000383U KR20140000383U KR200473045Y1 KR 200473045 Y1 KR200473045 Y1 KR 200473045Y1 KR 2020140000383 U KR2020140000383 U KR 2020140000383U KR 20140000383 U KR20140000383 U KR 20140000383U KR 200473045 Y1 KR200473045 Y1 KR 200473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n portion
pin
magnetic connecto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교
전은민
윤대영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
Priority to KR2020140000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45Y1/ko
Priority to US14/606,264 priority patent/US943118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0Means for supporting coupling part when not engag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는, 상기 이중접점스위치가 핀부, 추가단자부, 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전방접점과 후방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핀부의 전방접점에 외력이 가해지면 핀부는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전방접점의 외력이 소멸하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접점이 상기 추가단자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구성의 결과, 마그네틱 커넥터에서 별도의 신호단자를 설치하지 않고도 마그네틱 커넥터의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A DOUBLE CONTACT POINT SWITCH AND A MAGNETIC CONNECTOR HAVING THE DOUBLE CONTACT POINT SWITCH}
본 고안은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틱 커넥터의 핀부가 2개의 접점을 갖도록 한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 전력공급장치(어댑터 등과 같이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를 접속할 때, 마그네틱 커넥터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전력공급을 위한 마그네틱 커넥터의 예로는 미국 등록특허 US 7,311.526 B2(등록일: 2007.12.25.)에 기재된 마그네틱 커넥터(이하 '종래기술의 마그네틱 커넥터'라 함)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마그네틱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마그네틱 커넥터는 마그네틱 커넥터 내부에 장착된 자석(130, 170)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결합된다. 이 때 마그네틱 커넥터의 접촉핀(120)은 반대쪽 마그네틱 커넥터의 접촉단자(160)에 접촉되어 전력이나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그네틱 커넥터의 결합시에 접촉핀(120)이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접촉핀(120)의 하부에는 스프링(122)과 같은 탄성부를 설치한다.
마그네틱 커넥터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때 전력공급장치의 전력단자(전력을 공급하는 접촉단자)가 전자기기의 전력단자에 접촉하는 순간 스파크가 발생하여 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전력공급장치와 전자기기의 접촉이 이루어진 후에 전력공급장치에서 전력공급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력공급장치에서 전자기기와의 접촉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종래의 전력공급장치에서는 2개의 전력공급단자(V+, V-) 외에 별도의 신호단자(S)를 두어 신호단자를 통해 접촉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접촉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신호단자(S)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여 접촉여부를 확인하는 방법, 신호단자(S)를 통해 전류 또는 전류가 측정되면 접촉으로 판단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력공급단자(V+, V-) 외에 별도의 신호단자(S)를 설치하면, 마그네틱 커텍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마그네틱 커넥터의 소형화에 불리하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마그네틱 커넥터에서 별도의 신호단자를 설치하지 않고도 마그네틱 커넥터의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려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접점스위치는, 핀부, 추가단자부, 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전방접점과 후방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핀부의 전방접점에 외력이 가해지면 핀부는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전방접점의 외력이 소멸하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접점이 상기 추가단자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가단자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중접점스위치는 핀부를 둘러싸는 몸통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와 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려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는, 자석과 이중접점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접점스위치는 핀부, 추가단자부, 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전방접점과 후방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핀부의 전방접점에 외력이 가해지면 핀부는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전방접점의 외력이 소멸하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접점이 상기 추가단자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가단자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수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중접점스위치는 핀부를 둘러싸는 몸통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와 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커넥터는, 상기 후방접점과 상기 추가단자부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될 때 상기 핀부로의 전력공급을 허용하는 회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는, 마그네틱 커넥터에서 별도의 신호단자를 설치하지 않고도 마그네틱 커넥터의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마그네틱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접점스위치의 실시예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중접점스위치의 실시예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의 개념도
도 5는 마그네틱 커넥터의 접촉단자의 예시도
도 6은 마그네틱 커넥터와 대응 마그네틱 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마그네틱 커넥터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접점스위치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다음의 2가지 실시예처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접점스위치의 실시예 1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대응 접촉단자가 이중접점스위치를 누르기 전의 모습이고, 도 2(b)는 대응 접촉단자가 이중접점스위치를 누른 후의 모습이다.
핀부(10)에는 전방접점(11)과 후방접점(12)이 형성되어 있다. 핀부(10)는 몸통부(20) 안에 형성되어 있고, 핀부(10)에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어 핀부(10)가 몸통부(20)를 벗어나는 것을 막아준다. 핀부(10)의 후방에는 스프링(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프링(14)의 탄성력은 핀부(10)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핀부(10)의 후방에는 추가단자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추가단자부(30)는 추가단자부의 연결부(31)와 결합되어 있다.
대응 접촉단자(40)는 반대쪽 마그네틱 커넥터에 형성된 접촉단자이다.
마그네틱 커넥터가 결합하게 되면, 대응 접촉단자(40)가 핀부(10)의 전방접점(11)에 접촉되면서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면 핀부(1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되고 후방접점(12)은 추가단자부(30)에 접촉하게 된다. 추가단자부의 연결부(31)는 탄성력이 있어서 외력이 가해지면 추가단자부(30)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외력이 없어지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한다.
핀부(10)는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 2(b)에서와 같이 핀부(10)가 추가단자부(30) 및 대응 접촉단자(40)와 접촉하게 되면, 핀부(10)는 추가단자부(30) 및 대응 접촉단자(40)와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된다.
이 때 핀부(10)를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핀부(10)에 직접 전선을 납땜하여 연결할 수도 있지만, 스프링(14)과 몸통부(20)를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하고 몸통부(20)에 몸통돌출부(21)를 형성한 후 전선을 몸통돌출부(21)에 연결하여 핀부(10)를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즉 핀부(10)과 몸통부(20)가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을 핀부(10)와 쉽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중접점스위치의 실시예 2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대응 접촉단자가 이중접점스위치를 누르기 전의 모습이고, 도 3(b)는 대응 접촉단자가 이중접점스위치를 누른 후의 모습이다.
핀부(10)에는 전방접점(11)과 후방접점(12)이 형성되어 있다. 핀부(10)의 측면에는 2개의 날개부(16)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날개부(16)는 고정부(2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날개부(16)는 탄성이 있는 물질로 제조되어서, 전방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전방에서 가해지는 힘이 소멸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핀부(10)의 후방에는 추가단자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추가단자부(30)는 추가단자부의 연결부(31)와 결합되어 있다.
대응 접촉단자(40)는 반대쪽 마그네틱 커넥터에 형성된 접촉단자이다.
마그네틱 커넥터가 결합하게 되면, 대응 접촉단자(40)가 핀부(10)의 전방접점(11)에 접촉되면서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면 핀부(1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되고 후방접점(12)은 추가단자부(30)에 접촉하게 된다. 추가단자부의 연결부(31)는 탄성력이 있어서 외력이 가해지면 추가단자부(30)가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외력이 없어지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한다.
핀부(10)는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 3(b)에서와 같이 핀부(10)가 추가단자부(30) 및 대응 접촉단자(40)와 접촉하게 되면, 핀부(10)는 추가단자부(30) 및 대응 접촉단자(40)와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추가단자부(30)는 추가단자부의 연결부(31)가 탄성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추가단자부(30)가 탄성을 갖도록 하고 있으나, 추가단자부(30)가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가단자부(30)의 후면에 코일 스프링을 부착하여 추가단자부(30)가 탄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그 외에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핀부(10)가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 1의 스프링(14), 실시예 2의 날개부(16)가 설치되어 탄성부(핀부에 탄성을 가하는 부분)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그 외에 다른 방법에 의한 탄성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핀부(10)와 추가단자부(30)가 탄성력을 갖는다는 것은 전방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그 힘에 비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외력이 소멸하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핀부(10)와 추가단자부(30)가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이유는 마그네틱 커넥터가 연결될 때 핀부(10)가 대응 접촉단자(40) 및 추가단자부(30)와 확실히 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의 개념도이다.
마그네틱 커넥터(50)의 표면에는 자석(5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자석(53)과 대응 마그네틱 커넥터(70)의 자석은 자기적인 인력이 작용하여 2개의 마그네틱 커넥터를 결합시킨다. 마그네틱 커넥터의 자석의 위치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력공급장치측의 마그네틱 커넥터(50)의 내부에는 전력공급차단회로가 있다.
전력공급차단회로는 P입력과 S입력이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되지 않았을 때에는 Vo+ 와 Vo- 로의 출력을 차단하지만, P입력과 S입력이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되면 Vo+ 와 Vo- 로의 출력을 허용한다. 이때 P입력과 S입력이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된 후 일정 시간 후에 Vo+ 와 Vo- 로의 출력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공급차단회로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마그네틱 커넥터에서는 대응 마그네틱 커넥터(70)의 대응 접촉단자가 이중접점스위치의 핀부(10)를 눌러서 P입력과 S입력이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되면 Vo+ 와 Vo- 로의 출력을 허용한다. 이때 Vo+ 와 Vo- 로의 출력은 마그네틱 커넥터의 접촉단자(51, 52)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접촉단자 51에 이중접점스위치를 설치하였지만, 접촉단자 52에 이중접점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고, 접촉단자 51과 접촉단자 52 모두에 이중접점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접촉단자 51과 접촉단자 52 모두에 이중접점스위치를 설치한 경우 2개의 이중접점스위치로부터의 출력을 AND 논리회로나 OR 논리회로를 통과시킨 후 전력공급차단회로의 입력으로 보낼 수 있다.
또 전력공급장치의 변압기(transformer)를 항상 작동시킬 경우, 전력의 낭비가 있을 수 있는데, 상기 이중접점스위치를 이용하여 전력공급장치의 마그네틱 커넥터와 전자기기의 마그네틱 커넥터가 연결된 경우에만 변압기를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마그네틱 커넥터의 전력공급단자가 (+)단자와 (-)단자 2개이지만, 전력공급단자를 그보다 많이 설치하여 마그네틱 커넥터(50)를 180도 회전하더라도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마그네틱 커넥터의 접촉단자의 예시도이다.
도 5(a)에서는 4개의 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도 5(b)에서는 3개의 접촉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접촉단자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응 마그네틱 커넥터(70)를 그대로 둔 채 마그네틱 커넥터(50)을 180도 회전하여 연결하더라도 전력공급단자를 통해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도 6은 마그네틱 커넥터와 대응 마그네틱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5(a)의 접촉단자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50)와 대응 마그네틱 커넥터(70)의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6(b)는 서로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마그네틱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6의 마그네틱 커넥터(50)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4개의 접촉단자 중 바깥쪽의 2개의 접촉단자에 이중접점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가운데 2개의 접촉단자에 이중접점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고 4개의 접촉단자 모두에 이중접점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에서 각각의 이중접점스위치는 핀부(10), 스프링(14), 몸통부(20), 추가단자부(30)를 포함하고 있다.
10: 핀부
11: 전방접접
12: 후방접점
13: 걸림턱
14: 스프링
16: 날개부
20: 몸통부
21: 몸통돌출부
25: 고정부
30: 추가단자부
31: 추가단자부의 연결부
40:대응 접촉단자
50: 마그네틱 커넥터
51, 52: 접촉단자
53: 자석
70: 대응 마그네틱 커넥터

Claims (9)

  1. 핀부, 추가단자부, 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전방접점과 후방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핀부에는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핀부의 전방접점에 외력이 가해지면 핀부는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전방접점의 외력이 소멸하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접점이 상기 추가단자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스위치.
  2. 핀부, 추가단자부, 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전방접점과 후방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핀부의 전방접점에 외력이 가해지면 핀부는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전방접점의 외력이 소멸하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접점이 상기 추가단자부와 접촉하고,
    상기 추가단자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스위치.
  3. 핀부, 추가단자부, 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핀부를 둘러싸는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전방접점과 후방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핀부의 전방접점에 외력이 가해지면 핀부는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전방접점의 외력이 소멸하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접점이 상기 추가단자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스위치.
  5.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로서,
    자석과 이중접점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접점스위치는 핀부, 추가단자부, 핀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전방접점과 후방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에 의해, 핀부의 전방접점에 외력이 가해지면 핀부는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전방접점의 외력이 소멸하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고,
    핀부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후방접점이 상기 추가단자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단자부는 외력이 가해지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접점스위치는 핀부를 둘러싸는 몸통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핀부는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접점과 상기 추가단자부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short)될 때 상기 핀부로의 전력공급을 허용하는 회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KR2020140000383U 2014-01-17 2014-01-17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KR200473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83U KR200473045Y1 (ko) 2014-01-17 2014-01-17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US14/606,264 US9431182B2 (en) 2014-01-17 2015-01-27 Double contact point switch and a magnetic connector having the double contact point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383U KR200473045Y1 (ko) 2014-01-17 2014-01-17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45Y1 true KR200473045Y1 (ko) 2014-06-27

Family

ID=5149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383U KR200473045Y1 (ko) 2014-01-17 2014-01-17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31182B2 (ko)
KR (1) KR2004730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909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그네틱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1526B2 (en) 2005-09-26 2007-12-25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USD684538S1 (en) * 2012-06-08 2013-06-18 Apple Inc. Adapter
KR20170079637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61596B1 (ko) * 2016-03-07 2017-07-26 주식회사 럭스로보 모듈 어셈블리
CN107394490B (zh) * 2016-05-17 2021-01-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JP2018055994A (ja) * 2016-09-29 2018-04-05 Smk株式会社 ソケットのアーク放電防止構造
US11491884B2 (en) 2017-01-19 2022-11-08 Curtis Instruments Inc. Magnetic charger connector for wheelchair
CA3007785C (en) 2017-06-12 2023-12-05 Norman R. Byrne Electrical connector with haptic feedback
USD955990S1 (en) 2017-06-12 2022-06-28 Norman R. Byrne Electrical connector
USD890098S1 (en) 2017-06-12 2020-07-14 Norman R. Byrne Electrical connector
US10522943B1 (en) * 2018-09-21 2019-12-31 Calista A. Termini Magnetically securing detachable electronic cable assembly and method
US10931058B2 (en) 2018-09-24 2021-02-23 Apple Inc. Gaskets for sealing spring-loaded contacts
EP3891850A4 (en) * 2018-12-06 2022-07-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GNETIC PLUG
CN110197632B (zh) * 2019-02-26 2024-05-03 深圳市佛光照明有限公司 一种展示道具拼接装置
US11424573B2 (en) 2020-09-24 2022-08-23 Apple Inc. Magnetic connectors with self-centering floating contacts
US11374367B2 (en) * 2020-09-29 2022-06-28 Onanon, Inc. Vibrating connector system
US20220297798A1 (en) * 2021-03-16 2022-09-22 Tien Hsin Industries Co., Ltd. Electronic derailleu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006U (ko) * 1997-03-14 1998-11-05 강일수 안전 콘센트
KR200158414Y1 (ko) 1996-07-03 1999-10-15 양기선 컨넥터 검사장치용 접속핀 조립체
KR200176766Y1 (ko) * 1997-06-30 2000-04-15 김태구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안전 플러그
KR20080059257A (ko) * 2005-09-26 2008-06-26 애플 인크. 전자 장치의 전자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536A (en) * 1972-02-23 1975-10-28 Hellzen Bertil Holder for an electric lamp
US6224407B1 (en) * 1997-12-17 2001-05-01 The Whitaker Corporation Coaxial switch connector assembly
JP2001185296A (ja) * 1999-12-27 2001-07-0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切替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ATE298140T1 (de) * 2001-08-31 2005-07-15 Tyco Electronics Amp Gmbh Koaxial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erplatten
US6506082B1 (en) * 2001-12-21 2003-01-14 Interconnect Devices, Inc. Electrical contact interface
US6937045B2 (en) * 2002-07-18 2005-08-30 Aries Electronics, Inc. Shielded integrated circuit probe
US7311526B2 (en) 2005-09-26 2007-12-25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US7322861B2 (en) * 2005-11-23 2008-01-29 Lear Corporation Power supply circuit for removable automotive interior systems with integrated switching function
US7862391B2 (en) * 2007-09-18 2011-01-04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pring contact assembly
US7819680B2 (en) * 2009-02-27 2010-10-26 Amphenol Corporation Surface mount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TWM390564U (en) * 2010-03-18 2010-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tact
JP5960383B2 (ja) * 2010-06-01 2016-08-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接触子ホルダ
US8758067B2 (en) * 2010-06-03 2014-06-24 Hsio Technologies, Llc Selective metalization of electrical connector or socket housing
JP5858781B2 (ja) * 2011-12-29 2016-02-1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プローブ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8758066B2 (en) * 2012-02-03 2014-06-24 Interconnect Devic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ulation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414Y1 (ko) 1996-07-03 1999-10-15 양기선 컨넥터 검사장치용 접속핀 조립체
KR19980061006U (ko) * 1997-03-14 1998-11-05 강일수 안전 콘센트
KR200176766Y1 (ko) * 1997-06-30 2000-04-15 김태구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안전 플러그
KR20080059257A (ko) * 2005-09-26 2008-06-26 애플 인크. 전자 장치의 전자기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909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그네틱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KR102063936B1 (ko) 2015-10-20 2020-0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그네틱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06187A1 (en) 2016-01-07
US9431182B2 (en)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45Y1 (ko) 이중접점스위치 및 이중접점스위치를 갖는 마그네틱 커넥터
US8734165B2 (en) Quick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
US9077105B2 (e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9419377B2 (en) Dual orient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412679B1 (ko) 마그네틱 커넥터를 구비한 전원공급시스템
KR20140115817A (ko) 자성 접속 장치
US9634728B2 (en) Contactless connector
KR102080435B1 (ko) 다목적 충전 구조체
CN104505679A (zh) 一种连接器和一种连接器的实现方法
CN101931145B (zh) 一种电性连接器
US20190207335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retractable probe contact recessed behind mating surface and stationary pad contact extending beyond mating surface
CN109818213A (zh) 连接器组件和电子装置
CN107078422A (zh) 电连接器
JP2016100106A (ja) 直流電源用磁石式コネクタ
KR101239215B1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마그네틱 커넥터
US8408947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2011171036A (ja) 電気コネクタ
JP3193220U (ja) 磁石式コネクタ
TWI479756B (zh) 電源適配器及電連接器
US20190067977A1 (en) Magnetic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KR200419127Y1 (ko) 플러그 및 콘센트
JP6296037B2 (ja) コンタクトの接触構造
KR101569871B1 (ko) 액세서리와 전자 기기의 접속 장치
JP2018018836A (ja) コンタクトの接触構造
CN205657235U (zh) 适配连接器和包括这种适配连接器的断路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