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170A - 지지 구조물에 대한 띠형 견인 요소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지지 구조물에 대한 띠형 견인 요소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170A
KR20060066170A KR1020067000563A KR20067000563A KR20060066170A KR 20060066170 A KR20060066170 A KR 20060066170A KR 1020067000563 A KR1020067000563 A KR 1020067000563A KR 20067000563 A KR20067000563 A KR 20067000563A KR 20060066170 A KR20060066170 A KR 20060066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lamping
traction element
plate
clamp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페터 안드레
마르쿠스 마이어
로저 바이어라인
Original Assignee
레온하르트, 안드레 운트 파트너 베라텐데 인제니외어 파우베이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하르트, 안드레 운트 파트너 베라텐데 인제니외어 파우베이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레온하르트, 안드레 운트 파트너 베라텐데 인제니외어 파우베이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6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E04G2023/0255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whereby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are 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E04G2023/0255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whereby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are stressed
    • E04G2023/0259Devices specifically adapted to stress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 E04G2023/0262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anchoring the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e.g. to avoid peeling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지지 구조물, 특히 콘크리트 지지 구조물들에서 프리스트레스가 주어진 띠형 견인 요소를 위한 고정 장치로서, 상기 견인 요소는 지지 구조물에 부착된 기저판과 상기 기저판에 대해 단단히 조여질 수 있는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 수용되어 접착과 클램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4, 15)는 견인 요소(1)의 견인 방향으로 기저판(3, 6)에 포지티브 핏(positive fit)으로 지지된다. 클램핑 플레이트(14,15)는 견인 요소(1)의 양측에 각각 아래로 돌출되어 각각 기저판(3 또는 6)의 리테이닝 홈(21)와 맞물리는 리테이닝 캠 플레이트(20)를 포함하거나, 양측에 각각 기저판(3, 6)에 연결된 스토퍼(23, 25)에 지지되는 리테이닝 돌출부(22)를 가질 수 있다. 기저판(3, 6)의 상부면에 있는 스토퍼(23,25)는 클램핑 플레이트의 양측 및/또는 정면 영역에 용접된 푸시 블록들(push blocks)이다. 클램핑 플레이트(14,15)는, 견인 요소(1)의 견인 방향으로 작용하며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포지셔닝 장치(26)에 의하여 포지티브 핏으로 기저판(3,6)에 지지되도록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포지셔닝 장치(26)는 클램핑 플레이트(14,15)와 기저판(3,6)에 연결된 브리지(28) 사이에서 작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27)이다.

Description

지지 구조물에 대한 띠형 견인 요소의 고정 장치{Anchoring for strip-shaped traction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s}
본 발명은 초기응력(프리스트레스(prestress))이 주어진 띠형 견인 요소(traction elements)를 지지 구조물,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견인 요소는 지지 구조물에 부착된 기저판(base plate)과 이 기저판에 단단히 조여질 수 있는 클램핑 플레이트(clamping plate) 사이에 수용되며 접착(adhesion) 및 클램핑(clamping)에 의해 고정된다.
예컨대 철근 콘크리트, PS 콘크리트 또는 강철로 이루어진 지지 구조물의 적재력을 상승(단련) 시키기 위하여 또는 본래의 적재력을 회복(개선)시키기 위하여, 지지 구조물 표면에 추가로 띠형 견인 요소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견인 요소들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carbon fiber)가 삽입된 박판 플라스틱 띠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을 위하여, 강철 등으로 이루어진 기저판은 콘크리트 표면의 홈 내에 삽입되거나 및/또는 접착에 의해 부착된다.
고정 전에 띠형 견인 요소에 필요한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기 위해, 견인 요 소는 지지 구조물에 연결된 기저판과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서 일단(고정측)이 접착과 클램핑에 의해 고정된다. 경우에 따라, 접착과 클램핑에 의해 최종 고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클램핑 브리지(bridge) 등을 통하여 먼저 임시적인 클램핑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 요소는 타단(인장측)에서 임시 인장 요소에 의해 단단히 조여지며, 상기 인장 요소는 인장 장치를 통하여 지지 구조물에 설치된 기저판에 대하여 이동된다. 이에 의하여 견인 요소에 프리스트레스가 부여된다(DE 198 49 605 A1). 이 후 인장된 견인 요소는 임시 인장 요소를 빼내기 전에 인장측에서도 기저판과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서 접착 및 클램핑에 의해 고정된다.
견인 요소의 하부면을 접착함으로써 기저판과 지지 구조물에 인장력이 유발된다. 기본적으로, 견인 요소에서 기저판으로 충분히 높은 인장력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견인 요소의 상부면에 접착된 클램핑 플레이트가 사용된다. 따라서, 전달되는 인장력은 기본적으로 견인 요소와 기저판 사이의 접착제 층에서 형성될 수 있는 가장 큰 전단 응력(shearing stress)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달되는 인장력이 현저하게 상승될 수 있는 상기한 방식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여 클램핑 플레이트가 견인 요소의 견인 방향으로 기저판(base plate)에 포지티브 핏(positive fit)(형상잠금(form-locking)식 결합)으로 지지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로써, 견인 요소의 하부면에서의 접착 연결에 추가하여 상부면에서의 접착 연결도 전적으로 견인 요소의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저판과 견인 요소 사이에서만 힘을 전달하는 종래의 연결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하여 이중 전단 연결(double-shear connection)이 달성된다. 왜냐하면, 견인 요소와 기저판 사이의 접착면 뿐만 아니라 견인 요소와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의 접착면도 응력 전달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 접착면들에서 전단 응력이 변하지 않는 동안 전달가능한 인장력은 상승된다. 전달되는 인장력을 유지할 때, 접착면에서의 전단 응력은 간단한 연결에 비해 감소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저판에 대한 클램핑 플레이트의 포지티브 핏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플레이트가 견인 요소의 양측에서 각각 아래로 돌출된 리테이닝 캠 플레이트(retaining cam plate)를 가짐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리테이닝 캠 플레이트는 각각 기저판의 리테이닝 홈(retaining recess)과 맞물린다. 이때, 추가 공간에 대한 필요성은 매우 적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클램핑 플레이트는 양 측에 각각 하나의 리테이닝 돌출부(retaining projection)을 가지며, 상기 리테이닝 돌출부는 각각 기저판에 연결된 스토퍼(stopper)에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클램핑 플레이트는 인장측 정면에서 기저판에 연결된 두 개의 스토퍼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서로 맞물리는 면들은 쉽게 접근가능하므로 용이하게 정확한 가공이 가능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지지 구조물에 대한 띠형 견인 요소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견인 요소의 양단이 도시됨),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고정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 1과 동일하게 도시한 도면(띠형 견인 요소의 인장측에서 도시함),
도 4는 도 3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고정 장치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 3과 동일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클램핑 플레이트를 위한 추가 포지셔닝 장치(positioning device)를 가진 도 5에 따른 고정 장치이다.
띠형 견인 요소(1), 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박판(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lamella)은, 지지 구조물(2), 예컨대 콘크리트 지지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견인 요소(1)는 지지 구조물(2)에 고정되기 전에 초기응력(프리스트레스(prestress))이 부여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 요소(1)는 일단(1a, 고정측)이 기저판(3)에 고정되며, 상기 기저판은 접착제층(4)와 못(5)을 통해 지지 구조물(2)에 고정된다. 같은 방식으로, 견인 요소(1)의 타단(1b)은 완성된 상태에서 기저판 (6)에서 인장측 상에 고정되며, 상기 기저판는 접착제층(7)과 못(8)을 통하여 지지 구조물(2)에 고정된다.
견인 요소(1)에 프리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기저판(3)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클램핑 브리지(9, clamping bridge)가 고정측에서 클램핑 세트(10)와 함께 견인 요소(1)에 작용한다. 인장측에서는 인장 장치(12)의 일부분을 이루는 클램핑 세트(11)가 견인 요소(1)를 잡아주고, 상기 인장 장치의 인장횡단바(13)는 분리 가능하게 기저판(6)에 설치된다. 인장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클램핑 세트(11)를 인장횡단바(13)에서 멀리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견인 요소(1)에는 프리스트레스가 부여된다(지지 구조물(2) 표면과 기저판(3, 6)에 접착 고정되기 전에).
각 기저판(3,6) 상부에는 클램핑 플레이트(14 또는 15)가 배치한다. 견인 요소(1)와 기저판들(3,6) 및 클램핑 플레이트들(14,15) 사이에는 각각 접착제층이 도포된다.
양 클램핑 플레이트(14,15)는 각각 상부에 놓여 있는 클램핑 브리지(16 또는 17)를 통해 측면 나사(18 또는 19)를 통하여 견인 요소(1)와 기저판(3 또는 6)에 대해 압축된다.
양 클램핑 플레이트(14,15)는 견인 요소(1)의 견인 방향으로 각각 배열된 기저판(3 또는 6)에 대해 포지티브 핏(positive fit)으로 지지된다. 도 1과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양 클램핑 플레이트들(14,15)은, 견인 요소(1)의 양측으로, 아래로 돌출된 리테이닝 캠 플레이트(20, retaining cam plate)를 가지며, 상기 리테이닝 캠 플레이트는 기저판(3)의 각 리테이닝 홈(21, retaining recess)과 맞물리며, 견인 방향으로 홈(21)의 측벽에 지지된다.
따라서, 견인 요소(1)에서 지지 구조물(2)로 유도되는 인장력은, 각 접착제 층의 전단력(shearing forces)에 의해, 한편으로는 기저판들(3과 6)에 직접 전달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클램핑 플레이트(14와 15)와 리테이닝 캠 플레이트(20)를 통해 기저판들(3과 6)에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단부(1a와 1b)와 지지 구조물(2)의 이중 전단 연결(double-shear connection)이 달성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인장측만 도시됨), 클램핑 플레이트(15)는 양측에 각각 하나의 리테이닝 돌출부(22, retaining projection)를 가지며, 상기 리테이닝 돌출부는 각각 기저판(6)에 연결된 스토퍼(23, stopper)에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저판(6)의 상부에 있는 스토퍼들(23)은 클램핑 플레이트(15)의 양쪽으로 용접된 푸시 블록들(push blocks)이다. 이에 대한 변형된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클램핑 플레이트(15)는 인장측 정면(24)이 기저판(6)에 연결된 두 개의 스토퍼들(25)에 대해 지지되며, 상기 스토퍼는 기저판(6)의 상부면에 용접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를 기초로 한 도 6에는, 견인 요소(1)의 견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포지셔닝 장치(26)를 통하여 클램핑 플레이트(15)를 제 위치에서 기저판(6)에 포지티브 핏으로 고정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클램핑 플레이트(15)는 인장력 전달을 시작할 때 스토퍼(25)에 포지티브 핏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 요소(1)와 기저판(6)과 클램핑 플레이트(15)의 접착 연결은 동일한 정도로 힘 전달에 참여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장치(26)는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29, threaded rod)를 가지며, 이 나사산 로드는 클램핑 플레이트(15)와 기저판(6)에 연결된 브리지(28, bridge) 사이에서 작용한다. 브리지(28)는 예컨대 구멍을 가진 간단한 철판(flat iron)으로, 상기 구멍으로 통해 나사산 로드(27)가 연장되며, 나사산 로드는 클램핑 플레이트(15)의 정면 단부의 나사 구멍에 삽입되고, 브리지(28)의 외부에서 너트(29)가 결합된다. 브리지(28)는 스토퍼(25)의 후면에 접한다. 너트(29)의 조임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15)는 스토퍼(25)에 밀착된다. 포지셔닝 장치(26)는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포지셔닝 장치는 또한 기저판(6)과 클램핑 플레이트(15) 사이에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분리 가능한 스크루 클램프(screw clamp)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지셔닝 장치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1. 지지 구조물, 특히 콘크리트 지지 구조물들에서 프리스트레스가 주어진 띠형 견인 요소를 위한 고정 장치로서, 상기 견인 요소는 지지 구조물에 부착된 기저판과 상기 기저판에 대해 단단히 조여질 수 있는 클램핑 플레이트 사이에 수용되어 접착과 클램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4, 15)는 견인 요소(1)의 견인 방향으로 기저판(3, 6)에 포지티브 핏(positive fit)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4, 15)는 견인 요소(1)의 양측에서 각각 아래로 돌출된 리테이닝 캠 플레이트(20)를 가지며, 상기 리테이닝 캠 플레이트는 각각 기저판(3 또는 6)의 리테이닝 홈(21)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4, 15)는 양측에 리테이닝 돌출부(22)를 가지며, 상기 리테이닝 돌출부는 각각 기저판(3, 6)에 연결된 스토퍼(23)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4, 15)는 인장측 정면(24)에서 기저판(3,6)에 연결된 두 개의 스토퍼(25)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3,6)의 상부면에 있는 스토퍼(23,25)는 클램핑 플레이트(14, 15)의 양측 및/또는 정면 영역에 용접된 푸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4,15)는 견인 요소(1)의 견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포지셔닝 장치(26)를 통하여 그 위치에서 기저판(3,6)에 포지티브 핏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장치(26)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장치(26)는 클램핑 플레이트(14,15)와 기저판(3,6)에 연결된 브리지(28) 사이에서 작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장치는 기저판(3,6)과 클램핑 플레이트(14,15) 사이에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장치는 분리 가능한 스크루 클램프(screw cla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KR1020067000563A 2003-09-09 2004-09-02 지지 구조물에 대한 띠형 견인 요소의 고정 장치 KR20060066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1376.6 2003-09-09
DE10341376A DE10341376A1 (de) 2003-09-09 2003-09-09 Verankerung für bandförmige Zugglieder an Tragwer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170A true KR20060066170A (ko) 2006-06-15

Family

ID=3422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563A KR20060066170A (ko) 2003-09-09 2004-09-02 지지 구조물에 대한 띠형 견인 요소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58041B2 (ko)
EP (1) EP1664461A1 (ko)
JP (1) JP2007505236A (ko)
KR (1) KR20060066170A (ko)
DE (1) DE10341376A1 (ko)
WO (1) WO20050264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4694A (zh) * 2015-08-06 2015-11-18 湖南大学 一种对纤维布材施加预拉力的张拉装置及其张拉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2412A2 (en) * 2008-06-12 2009-12-17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Anchoring, splicing and tensioning elongated reinforcement members
US8904721B2 (en) * 2008-06-12 2014-12-09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Anchoring, splicing and tensioning elongated reinforcement members
IT1399040B1 (it) * 2010-01-27 2013-04-05 Fidia Srl Procedimento per il rinforzo di elementi strutturali
CA2793733A1 (en) 2010-04-13 2011-10-20 The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Sheet and rod attachment apparatus and system
JP6342310B2 (ja) * 2014-11-20 2018-06-13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ワーク固定用治具
CN105569372B (zh) * 2016-02-04 2017-05-03 广东工业大学 一种预应力纤维增强复合材料加固混凝土的装置及方法
CN105862608B (zh) * 2016-05-20 2017-09-19 东南大学 一种预应力纤维板加固梁板的自动化张拉系统及方法
CN106049300B (zh) * 2016-08-03 2017-12-08 深圳市威士邦建筑新材料科技有限公司 牵引式预应力碳纤维筋张拉装置及施工方法
CN108202200A (zh) * 2016-12-20 2018-06-26 重庆乐迪机车车辆配件有限公司 用于多个机车排水管件同时焊接的固定装置
CN106639354B (zh) * 2017-01-10 2018-12-18 武汉理工大学 钢板与预应力碳纤维布加固混凝土梁抗剪承载力的方法
CN108894532B (zh) * 2018-07-09 2020-12-08 灵璧县浩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夹紧功能的碳纤维板锚具
EP3690167A1 (en) * 2019-02-01 2020-08-05 S & P Clever Reinforcement Company AG Method for strengthening concrete or timber structures using cfrp strips and concrete or timber structures strengthened by this method
US11174639B2 (en) * 2019-02-28 2021-11-16 Post Tensioning Solutions LLC Anchor block method for reanchoring live tend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9626A (en) * 1989-03-27 1994-03-01 Kajima Corporation Foundation anchor and method for securing same to a foundation
JPH106823A (ja) 1996-06-19 1998-01-13 Shinku Kagaku Kenkyusho 横移動座席付き乗物
JP3266001B2 (ja) * 1996-08-28 2002-03-18 株式会社大林組 既存構造物を補修する補強材の定着方法
DE19742210A1 (de) * 1997-09-24 1999-03-25 Goehler Bernhard Dipl Ing Verfahren und bandförmiges Zugglied zur Ertüchtigung und/oder Sanierung von Stahlbeton- oder Spannbeton-Tragwerk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fahrens
GB2340144B (en) * 1998-08-06 2000-06-28 Keller Ltd Ground anchorage
DE19849605A1 (de) * 1998-10-28 2000-05-04 Goehler Andrae Und Partner Ber Spannvorrichtung für ein bandförmiges Zugglied
FR2790500B1 (fr) * 1999-03-01 2002-06-07 Freyssinet Int Stup Procede et dispositif de renforcement d'un ouvrage en beton
JP4644874B2 (ja) * 2001-03-26 2011-03-09 智深 呉 強化繊維シート及び構造物の補強方法
EP1331327A1 (de) * 2002-01-29 2003-07-30 Sika Schweiz AG Verstärkungs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4694A (zh) * 2015-08-06 2015-11-18 湖南大学 一种对纤维布材施加预拉力的张拉装置及其张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05236A (ja) 2007-03-08
DE10341376A1 (de) 2005-03-31
EP1664461A1 (de) 2006-06-07
US20060272246A1 (en) 2006-12-07
WO2005026471A1 (de) 2005-03-24
WO2005026471A8 (de) 2005-08-11
US7658041B2 (en)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6170A (ko) 지지 구조물에 대한 띠형 견인 요소의 고정 장치
JP4202596B2 (ja) 支持構造物の補強装置
US6584738B1 (en) Clamping device for a band-shaped tensional member
US63859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ngthening/restoring a reinforced/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JP2012117672A (ja) パネル材用の、特に光起電モジュール用のクランプ
JP4271146B2 (ja) 引張り部材を支持フレームに取り付け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20100066695A (ko) 에프알피판 긴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방법
KR20040039202A (ko) 빌딩 트레이드에 사용되는 스트립 타입 인장 부재용지지봉
JP2759755B2 (ja) 下部ケーブルによるプレストレス導入橋梁補強方法
JP2006504005A (ja) 帯状引張部材用の緊張装置
KR20050027097A (ko) 지지구조물을 보강하는 장치 및 방법
CN107435283B (zh) 用于固定用于轨道车辆的轨道的装置
KR101783468B1 (ko) 탄소판을 이용한 긴장 및 탈부착이 가능한 가설교량용 긴장장치
CN214942706U (zh) 一种预应力碳纤维板张拉套件
CN113152920B (zh) 一种预应力frp板转向装置及转向方法
KR20030081910A (ko)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를 이용한 탄소판 부착보강공법
ATE221603T1 (de) Verankerungsvorrichtung einer querkraftverbindung
KR20040033238A (ko) 탄소판을 이용한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 공법
KR200322457Y1 (ko) 침목시스템
KR0125191Y1 (ko) 합판고정구
KR200283097Y1 (ko) 전단키가 형성된 강재 정착구와 탄소판 전용 플랫인장잭을 이용한 탄소판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구조
JPH10212708A (ja) 支承用ホルダー
JPH11117232A (ja) 床版の補強構造
CN2906813Y (zh) 设有脊梁的古筝
JP2954582B1 (ja) 既設部材への板材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