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679A -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용 적응 지연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용 적응 지연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679A
KR20060064679A KR1020067005597A KR20067005597A KR20060064679A KR 20060064679 A KR20060064679 A KR 20060064679A KR 1020067005597 A KR1020067005597 A KR 1020067005597A KR 20067005597 A KR20067005597 A KR 20067005597A KR 20060064679 A KR20060064679 A KR 20060064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delay
switches
delay control
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536B1 (ko
Inventor
알라인 샤푸이스
Original Assignee
파워-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워-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파워-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64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8Means for preventing simultaneous conduction of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4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comprising at least one synchronous rectifier ele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03K17/165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Abstract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는 입력전원과 쌍을 이루는 제 1 스위치, 접지와 쌍을 이루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위상노드와 쌍을 이루는 출력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펄스폭변조신호에 반응하며 전원을 조정한다. 제어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조작을 모니터하는 피드백루프에 제공되며 자극전도를 방지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중 하나의 활성화를 지연시킨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펄스폭변조신호의 지연 제어회로를 지연하도록 한다.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지연 제어회로전이 사이의 위상차를 감지하며 상기 위상차값에 대응하는 지연을 제공한다.
스위치, 펄스폭변조신호, 파워서플라이, 비교기, 파형

Description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용 적응 지연제어회로{ADAPTIVE DELAY CONTROL CIRCUIT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Y}
본 발명은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 상태 전이하는 동안에 높은 또는 낮은측의 스위치의 교차유도를 방지하는 적응 지연제어를 제공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위한 펄스폭변조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는 직류(DC) 전압을 다른 직류값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벅 컨버터(buck converter)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의 일례로서 제어된 직류 출력전압을 부하와 쌍을 이루는 출력 인덕터에서 선택적으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에 의해 부하에 전송하며 전류의 흐름을 변환하는 것에 의해 출력인덕터로 변환한다. 상기 벅 컨버터는 높은 측과 낮은 측 두 개의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며 주로 모스에프이티(MOSFET)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제공된다. 상기 높은 측의 스위치는 양성 공급전압에 연결되는 출력인덕터와 쌍을 이루며 상기 낮은 측의 스위치는 상기 접지와 연결하는 상기 출력인덕터와 쌍을 이룬다. 펄스폭변조 제어회로는 상기 출력인덕터에서 전류의 흐름을 조정하는 방법에서 상기 높은측과 낮은 측의 스위치의 게이트를 조정하는 데 쓰인다. 상기 펄스폭변조 제어회로는 피드 백루프를 통해 신호를 통신 되도록 사용하며 변화하는 부하상태에 반응하는 상기 전원스위치에 적용되는 충격계수를 조정하는 출력전압 및/또는 전류 수준을 반영한다.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에서 높은측 및 낮은측 스위치의 자극전도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양 서플라이 전압을 상기 높은측 및 낮은측 스위치를 통해 접지에 단락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상기 스위치에 손실을 가하거나 상기 파워서플라이의 변환효율성을 감소할 수 있다. 자극전도(교차전도 참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타측 스위치가 활성화되기 전에 일측 스위치를 효율적으로 저-고 및 고-저 스위치를 지연한다. 하나의 제어방법은 비교기(comparator)를 사용하여 높은측 및 낮은측 스위치 및 타이머의 상태를 측정하며 저-고 및 고-저 변환의 최대 지연을한정한다. 특히 제 1 비교기는 상기 낮은측 스위치 차단전압을 감지하며 상기 높은측 스위치를 상기 낮은측 스위치가 턴오프한 후(즉 역치전압(Vth2) 이하의 낮은측 차단)에만 변환되며 제 2 비교기는 상기 위상전압을 감지하며 상기 낮은측 스위치를 상기 높은측 스위치가 턴오프할 때(즉 역치전압(Vth1) 이하의 위상전압)만 변환하는 것이 가능한다. 상기 타이머는 낮은측 스위치 전원오프 및 높은측 스위치 전원온의 측정 사이의 최대 지연을 한정한다.
상기한 방법이 상기 전원스위치의 자극전도를 방지하지만 결점이라면 상기 지연시간이 긴 무효시간을 생성하며 스위치는 전도되지 않는다. 상기 무효시간 동안 상기 인덕터 전류는 접지로부터 상기 출력 인덕터를 통한 상기 낮은측 스위치의 몸체다이오드(또는 상기 낮은측 스위치와 병렬로 쌍을 이루는 쇼트키 다이오드(Shottky diode)를 통해)를 통해 흐른다. 상기 전압은 상기 몸체 다이오드(또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통해 방출되며 상기 파워서플라이의 변환효율성을 보다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부하변화 및 입력 전압에 반응하지만 온도변화 또는 실리콘 공정변화에 의해 상기 파워서플라이 회로에서의 다양한 전달 지연을위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전후로 이동하는 상기 높은측 스위치에 비하여 상기 낮은측 스위치의 변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멀티플렉서(multiplexer)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지연선을 포함하는 제어 루프를 이용한다. 비교기는 상기 드레인소스(drain-source)전압을 감지하며 상기 디지털 지연선이 상기 낮은측 스위치의 전원온에 의해 적용되는 지연량을 고/저 계수기(또는 루프 필터(loop filter)에 의해 조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낮은측 스위치는 상기 위상전압이 내부 또는 외부 전달 지연에 상관없이 0에 가까울 때 작동된다. 상기 제어방법은 적응하며 상기 양자화(quantize)된 지연이 상기 지연선이 인접 지연세팅 사이에 종종 바운스(bounce)되기 때문에 '휴면(quiet)'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펄스폭변조신호 및 상기 출력 전압에서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와류 인덕턴스로 인해 몸체 다이오드 전도의 시작지점을 감지하기 위하여 낮은측 스위치의 상기 드레인소스 전압을 감지하기 어렵다. 상기 0 볼트 변환의 부정확한 측정은 상기 제어루프의 조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위한 적응 지연 제어을 위한 지속적인 필요 는 스위치 변환 사이의 무효시간을 최소화하는 동안 높은측 및 낮은측 스위치의 교차 전도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스위치 변환 사이에 무효시간은 최소화할 때 높은측 및 낮은측 스위치의 교차전도를 방지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위한 적응 지연 제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는 입력전원과 쌍을 이루는 제 1 스위치, 접지와 쌍을 이루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위상노드와 쌍을 이루는 출력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상기 출력필터에 제공되는 제어전원인 펄스폭변조신호에 반응한다. 피드백 루프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조작을 감시하며 자극전도를 방지하는 제 1 및 제 2 스위치 중 하나의 지연작용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상태 전이 사이의 무효시간을 최소화한다. 상기 피드백루프는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펄스폭변조의 전송을 지연시킨다.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상태전이 사이의 위상차를 감지하며 상기 위상차의 값에 대응하는 지연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 2 스위치와 관련한 제 1 지연 제어회로 및 제 2 지연 제어회로에 관련한 제 1 지연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각각의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위상차에 비례하는 증감신호를 제공하는 위상검파기를 포함한다. 차지펌프(charge pump)는 상기 위상검파기와 쌍을 이루며 상기 증감신호는 제어전압으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지연장치는 상기 제어전압에 대응하는 시간지연을 제공한다. 캐패시터는 상기 피드백루프 이동기능을 형성하는 상기 제어전압을 통합하는 차지펌프와 쌍을 이룬다.
당업자에게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용 상기 적응 지연 제어회로를 보다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위치 드라이버 지연 제어회로를 구비한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적응 스위치 드라이버 지연 제어회로를 구비한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적응 스위치 드라이버 지연 제어회로를 구비한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의 높은측 및 낮은측 스위치를 제공하는 제어신호를 도시한 시간선도이다.
도 5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다른 조작 상태에 의한 도 5의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에 의해 측정된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위치 전이 사이의 무효시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높은측 및 낮 은측 스위치의 교차전도를 방지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에 적응 지연제어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도면에서 사용되었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위한 종래의 지연 제어회로이다. 상기 파워서플라이는 저항부하(RL)에 적용되는 출력 직류전압(Vo)으로 변환하는 입력 직류전압(Vin)으로 이용되는 벅컨버터토폴로지(buck converter topology)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직류전압(Vin)은 직류-직류 변환기의 전기적 분리 변압기의 출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워서플라이는 높은측스위치(12), 낮은측스위치(14), 출력인덕터(16) 및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상기 높은측스위치(12)의 드레인터미날은 상기 입력전압(Vin)과 쌍을 이루며 상기 낮은측스위치(14)의 상기 소스터미날은 접지에 연결되며 상기 높은측스위치의 상기 소스터미날 및 상기 낮은측스위치(14)의 드레인터미날은 위상노드를 형성하도록 서로 쌍을 이룬다. 상기 출력인덕터(16)는 상기 위상노드 및 상기 터미날 사이에 직렬로 쌍을 이루며 상기 출력전압(Vo) 및 캐패시터(18)를 제공하는데 이는 서로 병렬로 저항부하(RL)와 쌍을 이룬다. 펄스폭변조회로(도시되지는 않음)는 상기 전원스위치(12, 14)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직사각형파 신호의 충격계수를 제어한다. 피드백 신호는 상기 출력전압(Vo) 및 전류를 반영하며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의 충격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12, 14)의 상기 개구부 및 폐쇄부는 위상노드에서 직사각형 파형 을 가진 중간 전압, 상기 출력인덕터(16)에 의해 형성된 필터 및 상기 출력 인덕터(16) 및 상기 직사각형파형을 상기 직류출력전압(Vo)으로 변환하는 캐패시터(18)에 의해 형성된 상기 필터를 제공한다.
전압 제어지연회로(20)는 상기 펄스폭변조신호를 상기 전원스위치(12, 14)에 전송하는 것을 지연시킨다. 변환장치(38)는 상기 높은측 및 낮은측 스위치가 위상의 제거로 인하여 상기 펄스폭변조신호를 변환한다. 상기 제어회로(20)는 상기 전원스위치(12, 14)의 게이트 터미날로 각각 신호를 유도하는 것을 제공하는 버퍼드라이버(22, 24)를 더 포함한다. 비교기(26)는 상기 낮은측스위치(14)의 게이트 전원을 감지하며 상기 전압을 역치전압(Vth2)과 비교한다. 상기 낮은측에서 버퍼드라이버(24)는 순서대로 회로에 의해 작동되며 논리곱소자(AND gate), 논리합소자(OR gate), 및 타이머(46)를 포함한다. 상기 논리합소자(44)는 상기 타이머(46)로부터의 입력, 비교기(28) 및 논리곱소자(42)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수용한다. 또한 상기 높은측, 버퍼드라이버(22)는 순서대로 회로에 의해 작동되며 논리곱소자(32), 논리합소자(34) 및 타이머(36)를 포함한다. 상기 논리합소자(34)는 상기 타이머(36)로부터의 입력, 비교기 및 논리곱소자(32)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수용한다. 논리곱소자(32)는 상기 펄스폭변조신호 및 상기 논리곱소자(44)로 부터의 입력을 수용한다. 상기 높은측은 접지로부터 분리되는 버퍼드라이버(22)에 적용되는 전압레벨을 조정하는 레벨쉬프터(level shifter)를 더 포함한다.
작동사이클을 상기 펄스폭변조신호가 상태를 변환할 때 상기 타이머(36, 46) 이 시작되기 때문에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위상전압이 상기 역치 전압(Vth)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높은측스위치(12)가 닫히는 것을 표지하며 비교기(28)는 높은신호를 논리합소자(44)로 제공하고 상기 논리합소자(44)를 변환상태로 변환하며 높은신호를 논리곱소자(42)에 제공한다. 만일 상기 비교기(28)가 높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 상기 타이머(46)는 개시 이후 소정의 시간 후에 높은 신호를 상기 논리합소자(44)에 제공할 것이며, 상기 논리합소자(44)를 변화상태로 변환하며 높은 신호를 논리곱소자(42)에 제공한다. 순서대로 논리곱소자(42)는 높은 신호를 설정하며 버퍼드라이브(24)를 통과하며 신호를 낮은측 스위치(14)로 제공한다. 논리곱소자(42)의 출력으로부터 논리합소자(44)의 입력으로의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펄스폭변조신호가 상태를 바꾸는 시간까지 높은 상태에서 논리합소자(44)를 유지하며 상기 논리곱소자(42)의 출력이 저감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낮은측스위치(14)의 상기 게이트 전압이 상기 역치전압(Vth2)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낮은측스위치(14)가 닫힌 것을 표지하며 비교기(26)는 논리합소자(34)에 높은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논리합소자(34)가 변환상태로 변환하게 되며 논리곱소자(32)에 높은 신호를 제공한다. 만일 상기 비교기(26)가 높은 신호를 제공하지 않으면 상기 타이머(36)는 개시에 따른 소정의 시간 후에 논리합소자(34)에 높은 신호를 제공하며 논리합소자(34)가 변환상태로 변환하게 되며 논리곱소자(32)에 높은 신호를 제공한다. 순서대로 논리곱소자(32)는 높은 신호를 설정하고 버퍼드라이버(22)를 통화하며 높은측스위치(12)에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논리곱소 자(32)로부터 논리합소자(34)의 입력으로 상기 피드백 신호를 전달하도록 펄스폭변조신호가 상태를 변환하는 시간까지 높은 상태에서 상기 논리합소자(34)를 유지하며 상기 논리곱소자(32)가 감소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압제어지연회로(20)의 결점은 상기 비교기의 지연시간, 게이트 및 스위치가 전도되지 않는 동안 긴 무효시간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전압제어지연회로(20)는 부하변화 및 입력 전압변화에만 반응한다. 하지만 온도변화 또는 실리콘공정변화에 의해 파워서플라이회로에서 다양한 전파지연을위한 보상은 일어날 수 없다.
도 2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위한 종래의 전압제어지연회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예와 같이 전압제어지연회로(60)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상기 전원스위치(12 14)에 전송하는 것을 지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압제어지연회로(60)는 상기 전원스위치(12, 14)의 게이트터미날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제공하는 버퍼드라이버(62, 64)를 포함한다. 낮은측 에서는 비교기(66)가 상기 낮은측스위치(14)의 드레인소스 전압을 감지하며 내부몸체의 절반 정도에 대응하는 음성 역치전압(Vth)과 비교하여 드레인다이오드를 상기 낮은측스위치의 전압손실을 향한다. 상기 비교기(66)는 상기 낮은측스위치의 상기 몸체 드레인다이오드가 전도전류인지 아닌지 표지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신호는 시간증감계수기(68)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데 상기 계수기는 상기 낮은측스위치의 상기 몸체 드레인다이오드가 상기 낮은측스위치를 켜기 전에 전도전류일 때 카운트다운하며 상기 낮은측스위치에서 어떤 몸체 드레인다이오드도 없을 때 카운트업한다. 상기 펄스폭변조신호는 변환기(74)를 통해 복수의 지연단계(761-765)을 포함하는 지연선으로 전송한다. 상기 지연단계(761-765)는 상기 증감계수기(68)에 의해 한정된 계값에 의해 설정되는 지연스테이지에 의해 추가되는 지연값 같은 멀티플렉서(72)에 의해 제어된다. 지연되고 변환되는 펄스폭변조신호는 상기 버퍼드라이버(64)에 제공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낮은측스위치를 활성화한다. 상기 높은측은 유사한 지연선, 멀티플렉서, 증감계수기, 및 비교기를 갖는다.
상기 전압지연 제어회로의 장점은 상기 낮은측스위치(14)가 상기 위상전압이 0에 다다를 때 켜지며 내부 또는 외부 지연에 상관없다. 상기 회로가 적응할 때 상기 지연은 두 개의 지연설정 사이에서 바운스 되도록 양자화 되며 펄스폭변조신호 및 파워서플라이의 상기 출력전압(Vo)에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낮은측스위치(14)의 드레인소스전압을 감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기생유도계수에 의해 상기 몸체 다이오드전도의 시작점을 감지한다. 상기 0볼트 전이의 부정확한 값는 상기 제어루프의 조작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루프필터는 오류의 방향만을 고려하며 상기 위상오류의 값를 고려하지는 않는데 상기 값는 항상 +1 또는 -1의 최대치에 의해 변한다. 그 결과로 상기 피드백루프 설정시간은 원하는 만큼 빠르지는 못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위한 전압제어지연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처럼 전압제어지연회로(80)는 상기 펄스폭변조신호를 상기 전원스위치(82, 84)에 전송하는 것을 지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높은측 버퍼드라이버(82)는 논리곱소자(92)를 통한 펄스폭변조신호에 의해 전송된다. 특히 논리곱소자(92)의 제 1 입력은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와 쌍을 이루고 제 2 입력은 다양한 지연장치(94)와 쌍을 이룬다. 상기 높은측제어회로(11)는 상기 다양한 지연장치(94)에 의해 제공되는 지연값을 결정한다. 따라서, 지연기간 후에 펄스폭변조신호가 높아지고 상기 다양한 지연장치(94)가 높아질 때 상기 논리곱소자(92)는 높아지고 상기 높은측 버퍼드라이버(82)가 상기 높은측 스위치(12)를 턴온한다. 따라서 지연기간 후에 상기 펄스폭변조신호가 낮아(즉 변환된 펄스폭변조신호가 높아진다.)지고 상기 다양한 지연장치(98)가 높아지면 상기 논리곱소자(96)는 높아지고 상기 낮은측 버퍼드라이버(84)는 상기 낮은측스위치(14)를 켠다.
상기 높은측 및 낮은측 제어회로(110, 120)는 위상전압(HVSS SENSE) 및 상기 낮은측스위치(14, LOUT SENSE)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지연장치(94, 98)에 적용하는 지연값을 설정하는 루프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높은측 제어회로(11)는 상기 낮은측스위치(LOUT SENSE)의 신호전이 및 위상전압(HVSS SENSE) 사이의 위상오류를 설정하는 위상검파기를 포함하며 감지된 위상에 비례하는 증감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증감신호는 전류소스(117, 118)로서 반영된 차지펌프를 구동하며 제어신호를 상기 높은측 다양한 지연장치(94)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캐패시터(119)를 통한 전압을 한정한다. 비교기(112)는 상기 위상전압(HVSS SENSE)를 역치전압(Vth2)과 비교하며 제어(ADJ)신호를 상기 위상검파기(116)에 제공한다. 비교기(114)는 상기 낮은측스위치(LOUT SENSE)를 역치전압(Vth1)과 비교하며 기준(REF)신호를 상기 위상검파기(116)에 제공한다. 상기 낮은측 제어회로(120)는 비슷한 구조를 가지며 위상검파기(126)를 가지고 상기 낮은측스위치(LOUT SENSE)의 신호전이 및 위상전압(HVSS SENSE) 사이의 위상오류를 설정한다. 상기 위상검파기(126)는 직류소스(127, 128)로서 반영된 차지펌프를 작동하는 감지된 위상오류에 비례하는 증감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차지펌프는 제어신호를 상기 낮은측 다양한 지연장치(98)에 제공하는 캐패시터(129)를 가로지르는 전압을 형성한다. 비교기(122)는 상기 위상전압(HVSS SENSE)를 역치전압(Vth2)과 비교하며 기준(REF) 신호를 상기 위상검파기(126)에 제공한다. 비교기(124)는 상기 낮은측스위치(LOUT SENSE)를 역치전압(Vth1)과 비교하며 조정(ADJ) 신호를 상기 위상검파기(126)에 제공한다.
도 4에 도시한 것은 상기 높은측스위치(12, HOUT)에 제공되는 작동신호 및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에 관련된 낮은측스위치(14, LOUT)를 도시한 것이다. T1으로 표기된 시간동안 상기 높은측스위치(12)는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의 하강에지에 의해 꺼지며 상기 낮은측스위치(14)는 상기 낮은측제어회로(120)에 의해 결정되는 순간에 턴온한다. 따라서, T2로 표기된 시간 동안은 상기 낮은측스위치(14)는 상기 펄스폭변조신호의 상승에지에 의해 꺼지며 상기 높은측스위치(12)는 상기 높은측 제어회로(110)에 의해 결정된 순간에 켜진다. 상기 다양한 지연장치(94, 98)는 종래의 증분보다 빠른 변화된 상태에 순응하도록 선택될 수 있는 지연시간에 의해 한정된 파라미터 내에서 다양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은측스위치(12)는 상기 펄스폭변조의 하강전이와 함 께 꺼진다. 상기 낮은측 제어회로(120)는 상기 낮은측스위치(12)를 전원을 턴온하는 최적의 시간을 제어한다. 상기 비교기(122, 124)의 상기 출력신호는 상기 위상검파기(126)에 제공된다. 만일 상기 비교기(122)의 출력이 상기 비교기(124)의 출력을 유도하면 상기 지연은 길어지며 상기 위상검파기(126)는 비교기출력 사이의 위상차 값에 비례하는 다운펄스를 생성한다. 하지만, 만일 비교기(124)의 상기 출력은 비교기(122)의 상기 출력을 유도하며 상기 지연은 너무 짧고 상기 위상검파기(126)는 비교기 출력 사이의 상기 위상차값에 비례하여 업펄스를 생성한다. 상기 증감 신호는 상기 전류소스(127, 128)를 제어하며 상기 캐패시터(129)를 채우고 방사시킨다. 상기 캐패시터(129)는 상기 피드백 루프 전달함수를 형성하는 적분기로서 사용된다. 상기 캐패시터(129)의 전압은 상기 낮은측 스위치(14)가 턴온하기 전에 다양한 지연장치(98)에 의해 제공되는 지연값을 결정한다. 상기 피드백루프는 동시에 발생하는 비교기 출력의 변이를 지연 제어회로하는 상기 지연을 조정한다. 고유 지연 상기 낮은측 버퍼드라이버(84)의 조작 또는 상기 비교기에 의한 상기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에서 어떠한 추가적인 지연은 상기 전압제어지연회로의 조작에 의해 보상된다. 상기 높은측 제어회로(110)의 조작은 대략 비슷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은 상기 낮은측 제어회로(120)의 세 가지 상태의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에서 다양한 지점을 반영하는데,
즉, (a) 낮은측지연(T1)은 매우 길다.
(b) 낮은측 지연은 최적화된다.
(c) 낮은측 지연은 매우 짧다.
도 5는 상기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 일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압 및 전류 측정 지점이 도 6의 파형과 대응되며 상기 높은측전류(ID_H), 낮은측전류(ID_L), 몸체 다이오드 전류(IBD), 높은측 스위치 게이트소스전압(VGS_H), 낮은측 스위치 게이트소스 전압(VGS_L) 및 낮은측 드레인소스(drain source) 전압(VDS)을 포함한다. 상기 높은측 제어회로(110)는 상기 높은측스위치(12)의 턴온을 제어하는 동일한 방법이 수행된다.
도 6의 왼쪽 도면은 상기 낮은측 지연이 매우 긴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높은측 및 낮은측스위치(12, 14)의 스위칭 사이에 존재하는 무효시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높은측 스위치 게이트-소스전압(VGS_H) 파형의 트레일링에지(trailing edge)는 상기 높은측스위치(12)의 턴오프를 반영하며 상기 낮은측 스위치 게이트-소스 전압(VGS_L) 파형의 리딩에지(leading edge)는 상기 낮은측스위치(14)의 턴온을 반영하고 상기 무효시간을 포함한다. 상기 무효시간 동안에 상기 출력인덕터(16)의 전류는 상기 낮은측스위치(14)의 몸체다이오드를 통해 흐르며 상기 기간동안에 몸체다이오드전류(IBD)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전압은 상기 다이오드의 복구전류만큼 상기 몸체 다이오드를 통해 떨어지므로 상기 스위칭모드 파워변환기의 효율이 감소한다. 상기 상태는 다음 순환사이클을 위한 시간지연을 감소하는 낮은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낮은측제어회로(120)의 위상검파기(126)를 작동한다.
도 6의 오른쪽 도면은 낮은측 지연이 짧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높은측 및 낮은측 스위치(12, 14)는 동시에 전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높은측스위치 게이트-소스 전압(VGS_H) 파형의 상기 트레일링에지는 상기 높은측스위치(12)의 턴오프를 반영하며 상기 낮은측스위치 게이트-소스전압(VGS_L) 파형의 리딩에지는 상기 낮은측스위치(14)의 턴온을 반영하며 양 트랜지션은 같은 시간동안 일어난다. 상기 동시전도상태는 상기 높은측 및 낮은측 스위치를 통하는 전류를 통해 엑세시브슈트(excessive shoot)가 일어나며 상기 높은측전류(ID_H) 및 낮은측전류(ID_L) 파형의 전류스파이크에 의해 반영된다. 상기 슈트는 전류를 통해 상기 스위칭모드파워서플라이의 효율을 감소한다. 상기 상태는 다음 순환사이클을 위한 시간지연을 감소하여 높은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낮은측제어회로(120)의 위상검파기(126)를 작동한다.
도 6의 중간 도면은 상기 지연이 이상적으로 선택될 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평정상태에서 낮은측 제어회로(120)는 증감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조작상태가 다양한 부하상태에 의해 변화하거나 회로지연에서 변화할 때, 이를테면 온도같은, 상기 제어회로(120)는 지연이 최적화 되도록 재조정한다. 양자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어회로(120)는 효과적인 펄스폭변조신호에 최소한의 소음을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벅컨벅터의 적응 지연 제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적응지연 제어회로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의 다른 타입의 스위치 타이밍 제어을 하도록 사용되지만 정류 및 직류/직류 변환기에서 동기식 정류기의 자유 롭게 회전할 수 있는 스위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8)

  1.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에 있어서,
    입력 전원과 쌍을 이루는 제 1 스위치와;
    접지와 쌍을 이루는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위상노드와 쌍을 이루는 출력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상기 출력필터에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펄스폭변조에 반응하고,
    피드백루프는 변환된 조작상태에 반응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조작을 조정하도록 하며,
    제어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펄스폭변조된 신호의 지연 제어회로를 지연(delay) 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연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자극유도를 방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상태전이 사이의 무효시간을 최소화하며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상태전이 사이의 위상차를 측정하며 상기 위상차의 값에 의해 지연을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위상차에 비례하여 신호의 증감을 제공하는 위상 검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위상검파기와 쌍을 이루는 차지펌프(charge pump)를 더 포함하며 제어전압을 상기 신호의 증감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전압에 의하여 시간차를 제공하는 아날로그 지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차지펌프와 쌍을 이루는 캐패시터(capacito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제어전압을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쌍을 이루는 제 1 지연 제어회로와 상기 제 2 스위치와 쌍을 이루는 제 2 지연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전원은 직류-직류 변환기의 갈바니(galvanic) 절연변압기의 출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
  8. 입력전원과 쌍을 이루는 제 1 스위치, 접지와 쌍을 이루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사이에 형성되는 위상노드와 쌍을 이루는 출력필터를 포함하는 피드백루프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는 상기 출력필터, 피드백루프제어기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펄스폭 변조된 신호에 반응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자극유도를 방지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펄스폭 변조된 신호의 지연 제어회로를 지연시키며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상태전이 사이에서 위상차를 측정하며 상기 위상차의 값에 대응하는 지연을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루프 제어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위상차에 비례하여 신호의 증감을 제공하는 위상검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루프 제어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위상검파기와 쌍을 이루는 차지펌프를 포함하며 제어전압을 증감변환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루프 제어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어전압에 대응하는 시간지연을 제공하는 아날로그 지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루프 제어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차지펌프와 쌍을 이루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제어전압과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루프 제어기.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연 제어회로는 상기 제 1 스위치와 쌍을 이루는 제 1 지연 제어회로 및 상기 제 2 스위치와 쌍을 이루는 제 2 지연 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루프 제어기.
  14. 입력전원과 쌍을 이루는 제 1 스위치, 접지와 쌍을 이루는 제 2 스위치 및 상기 출력필터에 지연 제어회로된 전원을 제어하는 펄스폭변조신호에 반응하는 상 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위상노드와 쌍을 이루는 출력필터를 포함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상태전이 사이의 위상차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차의 값에 의해 다양한 지연지속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다양한 지연지속에 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펄스폭변조된 신호의 지연 제어회로를 지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자극유도는 방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의 상태전이 사이 무효시간이 최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단계는 상기 위상차에 대응하는 증감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제어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단계는 상기 증감신호에 의해서 제어신호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제어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단계는 상기 제어전압이 아날로그 지연값으로 변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제어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단계는 상기 제어신호를 통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067005597A 2003-11-26 2004-11-12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용 적응 지연제어회로 KR100825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24,509 US6958592B2 (en) 2003-11-26 2003-11-26 Adaptive delay control circuit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10/724,509 2003-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679A true KR20060064679A (ko) 2006-06-13
KR100825536B1 KR100825536B1 (ko) 2008-04-25

Family

ID=3459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597A KR100825536B1 (ko) 2003-11-26 2004-11-12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용 적응 지연제어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58592B2 (ko)
EP (1) EP1687683B1 (ko)
KR (1) KR100825536B1 (ko)
CN (1) CN100465849C (ko)
WO (1) WO200505540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328B1 (ko) * 2006-09-28 2010-03-17 후지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동기 정류형 전원 장치의 제어 회로, 동기 정류형 전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3128B2 (ja) * 2003-04-28 2006-01-11 トレックスデバイス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
US7187226B2 (en) * 2004-07-01 2007-03-06 Analog Devices, Inc. Anti-cross conduction drive control circuit and method
JP4005999B2 (ja) * 2004-10-25 2007-11-1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7456620B2 (en) * 2004-12-03 2008-11-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Determining dead times in switched-mode DC-DC converters
US7345460B2 (en) * 2005-02-28 2008-03-18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Thermal compensation method for CMOS digital-integrated circuits using temperature-adaptive digital DC/DC converter
US7675276B2 (en) * 2005-05-20 2010-03-09 Torex Semiconductor Ltd. DC/DC converter
EP1804368A1 (en) * 2005-12-29 2007-07-04 Austriamicrosystems AG Method for DC/DC conversion and DC/DC converter arrangement
US7342365B2 (en) * 2006-02-09 2008-03-11 Linear Technology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input current in photoflash chargers
JP4592638B2 (ja) * 2006-05-02 2010-12-01 株式会社東芝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4735429B2 (ja) * 2006-06-09 2011-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負荷駆動装置
EP1876693B1 (en) * 2006-07-04 2013-08-28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for driving a transistor half-bridge
US20080043495A1 (en) * 2006-08-16 2008-02-21 Aaron Jungreis Clamp diode reset in a power converter
EP2009776A1 (en) * 2007-06-26 2008-12-31 Austriamicrosystems AG Buck-boost switching regulator and method thereof
US7714626B2 (en) * 2007-06-28 2010-05-11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having improved pulse width modulation frequency resolution
EP2028752B1 (en) * 2007-08-20 2011-03-09 austriamicrosystems AG DC/DC convert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DC/DC conversion
US7880454B2 (en) * 2007-12-21 2011-02-01 L&L Engineering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switches in power regulators/power amplifiers
DE102008026499B4 (de) 2007-12-30 2018-03-08 Dmo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rekten Kommutierung zwischen in Reihe geschalteten leistungselektronischen Stellgliedern
US7932703B2 (en) * 2008-07-02 2011-04-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witch mode power supply delay compensation
EP2421137B1 (en) * 2009-04-14 2019-05-0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witching power supply unit
WO2011138276A2 (en) * 2010-05-04 2011-11-10 Stmicroelectronics S.R.L. Integrated circuit for controlling a switch of a current path with leading edge blanking device of the current signal.
US8803495B2 (en) * 2010-07-29 2014-08-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bias control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US8648583B2 (en) * 2010-10-29 2014-02-11 R2 Semiconductor, Inc. Delay block for controlling a dead time of a switching voltage regulator
US8818005B2 (en) * 2011-05-17 2014-08-26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Capacitor controlled switch system
US8933679B2 (en) * 2011-12-07 2015-01-13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Adaptive dead-time control
EP2801146B1 (en) * 2012-01-05 2020-09-16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Converter controller with half bridge adaptive dead time circuit and method
JP6069958B2 (ja) * 2012-08-27 2017-02-01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2704301B1 (en) * 2012-08-31 2016-07-27 Stichting IMEC Nederland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00497B2 (en) * 2012-09-14 2015-04-07 Renesas Electronics Corporation Trench MOSFET having an independent coupled element in a trench
US8866525B2 (en) 2013-02-27 2014-10-21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onfigurable time delays for equalizing pulse width modulation timing
DE102013208574A1 (de) * 2013-05-08 2014-11-13 Robert Bosch Gmbh Steuerung einer Halbbrücke
DE102013208813A1 (de) * 2013-05-14 2014-11-20 Robert Bosch Gmbh Steuerung einer Halbbrücke
US9130552B2 (en) 2013-11-05 2015-09-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ross-conduction detector for switching regulator
US9577525B2 (en) 2014-03-04 2017-02-2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Adaptive dead time control
JP6510199B2 (ja) * 2014-08-19 2019-05-08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回路、オーディオアンプ集積回路、電子機器、電気音響変換素子の駆動方法
KR101733778B1 (ko) 2014-08-22 2017-05-11 한국전기연구원 스위칭 신호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283426B (zh) 2014-09-17 2017-01-11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多环路反馈的控制电路及应用其的开关电源
US9654002B2 (en) 2014-10-23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Circuits and methods providing dead time adjustment at a synchronous buck converter
US11152857B2 (en) * 2015-05-06 2021-10-19 Flextronics Ap, Llc Gate driver circuit for half bridge MOSFET switches providing protection of the switch devices
ITUB20154179A1 (it) 2015-10-01 2017-04-01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dimento per il pilotaggio di un convertitore risonante, relativo convertitore e prodotto informatico
ITUB20154121A1 (it) 2015-10-01 2017-04-01 St Microelectronics Srl Procedimento per il pilotaggio di un convertitore risonante, relativo dispositivo e prodotto informatico
CN110945788A (zh) * 2017-07-28 2020-03-31 高通股份有限公司 电压直方图生成
JP7132718B2 (ja) * 2018-01-17 2022-09-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レーザ装置
US10103630B1 (en) * 2018-02-14 2018-10-16 Nxp B.V. SMPS filter optimization
CN108242886B (zh) * 2018-03-12 2024-04-02 无锡安趋电子有限公司 一种防直通保护自适应死区电路及包含该电路的驱动电路
KR102583956B1 (ko) 2018-05-10 2023-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 컨버터 및 전력 컨버터의 데드-타임 제어 회로
FR3087973A1 (fr) * 2018-10-25 2020-05-01 Stmicroelectronics (Grenoble 2) Sas Procede de reglage d'une source d'alimentation a decoupage du type abaisseur de tension, et source d'alimentation correspondante
US11695330B2 (en) * 2019-09-11 2023-07-04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Method to reduce the common-mode EMI of a full bridge converter using sampling common-mode feedback
US10855270B1 (en) 2019-10-14 2020-12-01 Silanna Asia Pte Ltd Adaptive control of non-overlapping drive signals
FR3106455B1 (fr) * 2020-01-16 2023-11-03 Valeo Siemens eAutomotive France Systeme et procede de commutation avec temp mor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
DE102020202047A1 (de) 2020-02-18 2021-08-19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albleiterbauelemen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CN112886933B (zh) * 2021-01-13 2022-10-04 上海艾为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D类音频放大器及其自适应脉宽调整方法、电子设备
WO2023150339A1 (en) * 2022-02-07 2023-08-10 Resonant Link, Inc.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techniques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61A (en) * 1878-03-26 Improvement in motors
US73347A (en) * 1868-01-14 of same place
US122429A (en) * 1872-01-02 Improvement in propelling canal-boats
US142513A (en) * 1873-09-02 Improvement m draft-tubes for soda-fountains
US3660672A (en) 1971-02-25 1972-05-02 Pioneer Magnetics Inc Power supply dual output
US4194147A (en) 1977-12-05 1980-03-18 Burr-Brown Research Corporation Parallel connected switching regulator system
DE3369778D1 (en) 1982-06-04 1987-03-12 Nippon Chemicon Power supply device
US4538073A (en) 1983-05-09 1985-08-27 Convergent Technologies, Inc. Modular power supply system
US4622627A (en) 1984-02-16 1986-11-11 Theta-J Corporation Switching electrical power supply utilizing miniature inductors integrally in a PCB
US4654769A (en) 1984-11-02 1987-03-3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ransformerless dc-to-dc converters with large conversion ratios
US5053920A (en) 1989-06-09 1991-10-0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Integrated power conversion
US5270904A (en) * 1990-05-02 1993-12-14 Zdzislaw Gulczynski Switching power apparatus with 3-state driver
US5073848A (en) 1990-11-21 1991-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distribution system
US5481140A (en) 1992-03-10 1996-0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emand control apparatus and power distribution control system
US5377090A (en) 1993-01-19 1994-12-27 Martin Marietta Corporation Pulsed power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 voltages
US5532577A (en) 1994-04-01 1996-07-02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output regulation in a step-down switching regulator
US5627460A (en) 1994-12-28 1997-05-06 Unitrode Corporation DC/DC converter having a bootstrapped high side driver
US5949226A (en) 1995-04-10 1999-09-0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 DC/DC converter with reduced power consumpton and improved efficiency
US5943227A (en) 1996-06-26 1999-08-24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grammable synchronous step down DC-DC converter controller
US6172550B1 (en) * 1996-08-16 2001-01-09 American Superconducting Corporation Cryogenically-cooled switching circuit
US5905370A (en) 1997-05-06 1999-05-18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grammable step down DC-DC converter controller
US5990669A (en) 1997-12-15 1999-11-23 Dell Usa, L.P. Voltage supply regulation using master/slave timer circuit modulation
FI107418B (fi) 1998-05-22 2001-07-31 Muuntolaite Oy Menetelmä ja laitteisto teholähdejärjestelmän ohjaamiseksi
JP3644531B2 (ja) * 1999-07-06 2005-04-27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オンディレイ補償用アームオン検出回路
US6057607A (en) 1999-07-16 2000-05-02 Sem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regulation in multi-output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US6191566B1 (en) 1999-08-26 2001-02-20 Lucent Technologies Inc. Board moun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multi-function control pin
US6294954B1 (en) * 1999-09-23 2001-09-25 Audiologic, Incorporated Adaptive dead time control for switching circuits
US6211579B1 (en) 1999-09-29 2001-04-03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output converter having a low power dissipation cross regulation compensation circuit
AU2001233095A1 (en) 2000-01-27 2001-08-07 Primarion, Inc. Apparatus for providing regulated power to an integrated circuit
US6396250B1 (en) 2000-08-31 2002-05-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ntrol method to reduce body diode conduction and reverse recovery losses
IT1319007B1 (it) 2000-10-16 2003-09-19 St Microelectronics Srl Sistema di gestione di una pluralita' di moduli vrm e relativo metododi sincronizzazione
US6421259B1 (en) 2000-12-28 2002-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ular DC distribution system for providing flexible power conversion scalability within a power backplane between an AC source and low voltage DC outputs
US20030122429A1 (en) 2001-12-28 2003-07-03 Zhang Kevin X.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supply voltages for a processor
US6930893B2 (en) 2002-01-31 2005-08-16 Vlt, Inc. Factorized power architecture with point of load sine amplitude converters
US6897636B2 (en) 2002-03-29 2005-05-24 Intersil Americas Inc. Method and circuit for scaling and balancing input and output currents in a multi-phase DC-DC converter using different input voltages
JP3636321B2 (ja) * 2002-04-24 2005-04-06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6788033B2 (en) 2002-08-08 2004-09-07 Vlt, Inc. Buck-boost DC-DC switching power conversion
US20050093594A1 (en) * 2003-10-30 2005-05-05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Delay locked loop phase blender circu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328B1 (ko) * 2006-09-28 2010-03-17 후지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동기 정류형 전원 장치의 제어 회로, 동기 정류형 전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5849C (zh) 2009-03-04
WO2005055404A3 (en) 2005-12-22
EP1687683B1 (en) 2016-08-24
EP1687683A2 (en) 2006-08-09
KR100825536B1 (ko) 2008-04-25
CN1860423A (zh) 2006-11-08
US6958592B2 (en) 2005-10-25
US20050110475A1 (en) 2005-05-26
WO2005055404A2 (en) 2005-06-16
EP1687683A4 (en)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536B1 (ko) 스위칭모드 파워서플라이용 적응 지연제어회로
US6396250B1 (en) Control method to reduce body diode conduction and reverse recovery losses
US7636249B2 (en) Rectifier circuit
CN101795074B (zh) 带用于效率和最大功率输出的输入电压补偿的电源控制器
US6665197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producing a switching signal for a current-controlled switch-mode power supply
US9537400B2 (en) Switching converter with dead time between switching of switches
US7053594B2 (en) Adaptive duty cycle limiter and method
CN106059304B (zh) 使用次级开关的电压有效减小的开关
JP4070200B2 (ja) 電力変換装置
US6055170A (en) Prediction methods and circuits for operating a transistor as a rectifier
KR100986762B1 (ko) 스위칭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JP2005525069A (ja) 電力変換装置
WO2015065592A1 (en) Adaptive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JP2009284667A (ja) 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
US7397290B2 (en) Method and relative circuit for generating a control voltage of a synchronous rectifier
EP2299579B1 (en) Extending achievable duty cycle range in DC/DC forward converter with active clamp reset
CN112072919A (zh) 开关功率转换器和用于开关功率转换器的控制器
US20230318469A1 (en) Drive Circuit
TWI413350B (zh) 一種開關電源及其控制方法
KR102609990B1 (ko) 스위칭 파워컨버터 내 파워스위치 트랜지스터를 위한 적응형 게이트 드라이브
US11962247B2 (en) Resonant half-bridge flyback power converter with skipping cyc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40240243A1 (en) Prediction methods and circuits for operating a transistor as a rectifier
US2021032849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djusting slope compensation
WO1999052200A1 (en) Method and circuit for operating a transistor as a rectifier
US12009753B2 (en) Half-bridge flyback power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