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1362A - 로크너트 - Google Patents

로크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1362A
KR20060061362A KR1020067003587A KR20067003587A KR20060061362A KR 20060061362 A KR20060061362 A KR 20060061362A KR 1020067003587 A KR1020067003587 A KR 1020067003587A KR 20067003587 A KR20067003587 A KR 20067003587A KR 20060061362 A KR20060061362 A KR 20060061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lock nut
fastening
bol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470B1 (ko
Inventor
에이코 타구사리
Original Assignee
쿄소 유우겐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소 유우겐가이샤 filed Critical 쿄소 유우겐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Endoscop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Dowe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체결용너트와 로크너트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크너트를 제공한다. 볼트(6)에 체결된 체결용너트(7)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너트(1)는, 내부에 나사구멍(4)이 형성되고 또 한쪽 안착면(3)의 나사구멍(4)의 둘레에 홈(30)이 형성된 너트본체(2)와, 너트본체(2)의 홈(30)에 형성되고 또 너트본체(2)와 같은 재질인 복수의 돌기(5)를 구비한다. 돌기(5)는, 너트본체(2)의 안착면(3)과 홈(30)의 경계선으로부터 너트본체(2)의 중심방향을 향하는 나사구멍(4)과 반대측인 외측면과, 너트본체(2)의 나사구멍(4)의 내면이 연장되도록 된 나사구멍(4)측의 내측면(32)을 갖는다. 홈(30)의 깊이는, 로크너트(1)를 볼트(6)에 체결했을 때에 복수의 돌기(5)가 찌부러져도 체결용너트(7)의 너트본체(2)측의 안착면(8)과 너트본체(2)의 안착면(3) 사이로 파고 들어가지 않는 깊이로 설정되어 있다.
로크너트

Description

로크너트{LOCK NUT}
본 발명은, 각종 기계장치와 건축물의 철골 등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에 2개의 너트를 체결하는 더블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용너트에 겹쳐서, 이 체결용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하는 외측의 로크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다양한 기계장치에 부품을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 또는 건축물 등의 철골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볼트와 너트는, 피체결물의 진동 등에 의해 점차 헐거워져 풀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와셔의 일부를 절단하여 탄성력을 부여한 '스프링 와셔', 체결면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이붙이 와셔', 볼트의 나사부 및 너트의 반경방향으로 형성한 관통공에 끼워 장착한 분할핀 등의 '핀부재', 나아가 체결용너트에 겹쳐서 외측에 풀림 방지용의 너트를 체결하고, 양 너트들의 체결작용과 안착면 간의 마찰력을 이용한 '더블너트' 등이 광범위하게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스프링 와셔'는, 체결한 직후에는 풀림 방지효과가 있지만, 장기간 사용하면 스프링 와셔의 탄성이 저하되어 풀림 방지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무거운 철골 등의 체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이붙이 와셔'도, 작은 기계장치류 또는 체결부품이 금속과 비교하여 부드러운 목제품과 같은 재질에서는 풀림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큰 금속제의 기계장치류에서는 풀림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핀부재'는, 볼트의 나사부 및 너트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의 축중심이 일치하지 않으면 핀을 끼워 장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축중심을 일치시켜서 너트를 체결하면 오히려 체결이 느슨해질 수도 있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더블너트'도, 한 군데 체결시에 2개의 너트를 체결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 너트를 추가로 체결하는 작업이 추가되기 때문에, 대량의 너트 체결을 필요로 하는 건축물 등에서는 공사가 지연되는 원인이 되기 쉬우며, 또, 외측 너트의 체결을 하나한 확인하는 작업도 번잡하다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사정으로부터, 체결용너트를 로크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체결용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기술이, 이하의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실개소 55-110820호
특허문헌 2 : 특개평 10-61645호
즉, 특허문헌 1은 '너트본체의 체결측 끝단면에 있어서의 나사구멍의 근방주변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돌기를 적어도 상기 너트본체보다 연질의 탄성부재로 형성한' 로크너트이다. 그러나, 이 로크너트는, 너트본체의 체결측 끝단면에 단순히 돌기를 설치했을 뿐이기 때문에, 로크너트로 체결너트를 체결하면, 체결너트의 단면과 로크너트의 체결측 끝단면 사 이로 돌기가 파고 들어가서 간극이 생긴 상태가 되고, 그 결과, 체결너트와 로크너트의 체결력이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너트의 나사구멍 둘레의 안착면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피체결부재가 되는 볼트에 이미 체결해 놓은 체결용너트에 대해서 상기 너트를 복수의 돌기측을 향해 체결하고, 양 너트의 안착면 사이에서 변형되는 돌기를 양 너트의 나사구멍과 볼트의 나사부의 나사결합부로 말려 들어가게 하여, 양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너트를 볼트에 체결할 때 돌기의 변형 및 돌기가 찌부러져서 볼트의 나사부로 말려 들어감에 따른 마찰력의 증대를 이용하여 풀림 방지효과를 높인 특허문헌 2와 관련된 로크너트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 로크너트도 체결용너트를 로크너트로 체결하면, 안착면에 설치한 돌기의 일부가 체결용너트의 안착면과 로크너트의 안착면 사이로 파고 들어갈 수가 있기 때문에, 체결용너트와 로크너트의 체결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게 된다는 개량해야할 점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체결용너트와 로크너트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크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로크너트는, 볼트(6)에 체결된 체결용너트(7)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너트(1)로서, 이 로크너트(1)는, 한쪽 안착면(3)의 나사구멍(4)의 둘레로부터 연속하여 동심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30)과, 상기 홈(30)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5)를 구비하는 너트본체(2)로 이루어지고, 각 돌기(5)는, 너트본체(2)와 같은 재질이고, 또, 상기 너트본체(2)의 안착면(3)과 홈(30)의 경계부로부터 너트본체(2)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형상의 외측면(31)과, 상기 나사구멍(4)의 내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내측면(32)을 갖고, 상기 홈(30)의 깊이는, 상기 너트본체(2)를 볼트(6)에 나사결합하여 체결용너트(7)를 체결했을 때에 찌부러진 돌기(5)가 상기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과 상기 너트본체(2)의 안착면(3) 사이로 파고 들어가지 않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5)는, 상기 너트본체(2)의 중심방향을 향해 형성된 발톱부(11)를 선단(先端)에 가져도 된다.
상기 돌기(5)는, 상기 내측면(32)에 형성되고, 또 상기 볼트(6)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12)을 가져도 된다.
상기 너트본체(2)의 상기 돌기(5)측에 상기 체결용너트(7)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너트본체(2)의 나사구멍(4)에 있어서의 리드각 및 피치간격과 상기 체결용너트(7)의 나사구멍(10)에 있어서의 리드각 및 피치간격이 정합되도록 상기 돌기(5)의 높이치수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돌기(5)의 높이는, 상기 너트본체(2)의 중심축 방향 길이의 30%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돌기(5)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은 산 모양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로크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너트본체의 안착면에 형성된 홈에 복수개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로크너트를 체결용너트의 안착면에 돌기를 향해 체결하면, 찌부러진 돌기가 볼트의 나사부와 너트의 나사구멍의 체결부분으로 말려 들어간 상태에서 체결됨과 동시에, 너트본체의 안착면과 체결용너트의 안착면 사이에 찌부러진 돌기가 파고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풀림 방지효과를 훨씬 높일 수 있다.
(2) 복수의 돌기를 너트본체와 같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너트본체는, 그 사용목적과 크기에 따라 금속재료 이외에 합성수지재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3) 돌기의 선단에 너트본체의 중심방향을 향하는 발톱부를 형성함으로써, 너트본체의 나사구멍과 볼트의 나사부의 체결 동안의 마찰력을 더욱 향상시켜서, 풀림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돌기의 내측면에 볼트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돌기를 찌부러지기 쉽게 함과 동시에, 돌기의 일부가 볼트의 나사부로 말려 들어가기 쉽게 하여, 로크너트의 확실한 풀림 방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
(5) 로크너트에 체결용너트를 미리 연결한 것에 있어서는, 로크너트가 체결용너트로부터 분리되고, 또 너트본체의 안착면들이 밀착되어 있으면, 그것이 풀림 방지작업(2번 체결작업)이 완료되어 있는 것을 알려주기 때문에, 더블너트의 2번 체결의 체결망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6) 돌기의 높이를 너트본체의 중심축 방향 길이의 30% 이상으로 함으로써, 로크너트의 풀림 방지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의 돌기부분의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a)는 체결용너트를 이미 체결하고 있는 볼트에 대해서 로크너트를 체결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체결용너트의 안착면에 로크너트의 돌기가 접하기까지 체결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c)는 로크너트를 돌기가 찌부러지기까지 체결하여, 안착면들이 접하도록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에 있어서의 볼트의 나사부와 너트의 나사구멍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돌기에 발톱부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돌기의 선단(先端)에 나사산을 형성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돌기의 선단에 내측의 체결용너트를 미리 부착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로크너트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 한다.
(제 1실시예)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는, 소위 '암나사'로서 소정의 리드각 및 피치간격을 갖는, 예를 들어 6각 너트 등의 너트본체(2)의 안착면(3)의 나사구멍(4)의 둘레에 홈(30)을 형성함과 동시에, 홈(30)에 3개의 돌기(5)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돌기(5)는 너트본체(2)와 같은 재질의 것이다.
로크너트(1)는, 그 사용목적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금속제의 로크너트(1)는, 철강재, 스테인리스강, 동, 황동 등의 재료로 제조한다. 또, 합성수지제의 로크너트(1)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ABS 수지, 요소 수지 등의 재료로 제조한다.
돌기(5)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은 산 모양 형상의 것이지만, 나사구멍(4)과 반대측의 외측면(31)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본체(2)의 안착면(3)과 홈(30)의 경계선으로부터 너트본체(2)의 중심방향을 향하고 있고, 또, 나사구멍(4)측의 내측면(32)은, 그 연장선이 너트본체(2)의 나사홈의 골부와 산부의 거의 중간에 오도록 되어 있다.
피체결재(M)에 삽입 통과되고 또 체결용너트(7)가 체결된 볼트(6)에 로크너트(1)를 체결해 가면, 로크너트(1)에 형성된 돌기(5)는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과 너트본체(2)에 형성된 홈(30)에 의해 찌부러진다. 이 때, 돌기(5)의 내측면(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본체(2)의 나사구멍(4)의 내면이 연장되도록 되어 있고 볼트(6)의 나사부(9)와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찌부러진 돌기(5)의 일부는 볼트(6)의 나사부(9)로 말려 들어가도록 체결된다. 그 결과, 돌기(5)는 볼트(6)의 나사부(9)와 로크너트(1)의 나사구멍(4)의 마찰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여기에서, 이들 돌기(5)가 너무 작으면, 볼트(6)에 체결될 때에 볼트(6)의 나사부(9)로 말려 들어가지 않아 풀림 방지로서의 작용을 하지 못하고, 반대로, 너무 크면, 상술한 종래의 로크너트에서 문제가 되었던 것처럼, 내측의 체결용너트(7)와의 사이에 큰 간극을 형성하여 더블너트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에서는, 볼트(6)에 체결될 때에 볼트(6)의 나사부(9)로 말려 들어가 풀림 방지로서의 작용을 하도록, 돌기(5)의 높이를 너트본체(2)의 중심축 방향 길이의 약 30%로 하여 돌기(5)를 크게 함과 동시에, 내측의 체결용너트(7)와의 사이에 큰 간극을 형성하여 더블너트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트본체(2)의 안착면(3)의 나사구멍(4)의 둘레에 홈(30)을 형성하고, 또 이 홈(30)에 돌기(5)를 형성하여, 돌기(5)가 찌부러져도 홈(30)으로 파고 들어가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과 너트본체(2)의 안착면(3) 사이로 파고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홈(30)의 깊이는, 3개의 돌기(5)가 찌부러져도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과 너트본체(2)의 안착면(3) 사이로 파고 들어가지 않는 깊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5)의 수를 3개로 했지만, 돌기(5)의 수는 너트본체(2)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큰 너트본체(2)에서는 돌기(5)의 수가 4개 또는 5개라도 되고, 반대로, 작은 너트본체(2)에서 는 돌기(5)의 수가 2개라도 된다. 단, 이들 돌기(5)는 2번 체결에 의해 찌부러진 후, 이 찌부러진 돌기(5)의 일부가 볼트(6)의 나사부(9)로 말려 들어가도록 체결되어, 볼트(6)의 나사부(9)와 로크너트(1)의 나사구멍(4) 및 체결용너트(7)의 나사구멍(10)의 마찰력에 영향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이들 돌기(5)는, 너트본체(2) 및 체결용너트(7)의 중심축을 중심점으로 하는 점대칭 또는 나사홈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를 볼트(6)에 체결해 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기계장치 또는 건축물의 철골재 등의 피체결재(M)의 고정하려고 하는 부분에 삽입 통과된 볼트(6)에 대해서, 본래의 체결용너트(7)를 체결한다. 다음에, 돌기(5)가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을 향하도록 하여 로크너트(1)를 볼트(6)에 대해서 체결해 가고(도 5(a) 참조), 로크너트(1)의 돌기(5)의 선단이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에 접할 때까지 체결한다(도 5(b) 참조). 로크너트(1)를 추가로 체결하면, 이 체결력에 의해 돌기(5)가 찌부러져, 로크너트(1)를 체결용너트(7)에 근접시킬 수 있게 된다(도 5(c) 참조).
이 때, 찌부러진 돌기(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본체(2)의 안착면(3)에 형성된 홈(30)에 찌부러진 상태로 파고 들어가고, 너트본체(2)의 안착면(3)과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 사이로는 파고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너트본체(2)의 안착면(3)과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을 접촉시킬 수 있고, 체결용너트(7)와 로크너트(1)의 체결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찌부러진 돌기(5)의 일부는, 찌부러진 상태에서 볼트(6)의 나사부(9)로 말려 들어감으로써, 마찰력의 향 상에 기여하여 풀림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5)를 로크너트(1)의 한쪽 안착면(3)에만 형성한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돌기(5)는, 너트본체(2)의 양 안착면(3)에 형성해도 된다. 너트본체(2)의 양 안착면(3)에 돌기(5)가 형성되어 있으면, 볼트(6)에 대한 체결시에 너트본체(2)의 앞뒷면을 확인할 필요가 없어져, 부착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는, 너트본체(2)의 중심방향을 향하는 발톱부(11)를 돌기(5)의 선단에 형성한 점에서, 상술한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와 다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에서는,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와 마찬가지로, 로크너트(1)를 볼트(6)에 체결해 가면, 돌기(5)는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에 의해 찌부러져 홈(30)으로 파고 들어감과 동시에, 그 일부는 볼트(6)의 나사부(9)로 말려 들어간다. 이 때, 돌기(5)의 선단에 발톱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면, 발톱부(11)는,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에 의해 용이하게 찌부러져 볼트(6)의 나사부(9)로 확실하게 말려 들어간다. 그 결과, 돌기(5)의 선단에 형성된 발톱부(11)는, 너트본체(2)의 나사구멍(4)과 볼트(6)의 나사부(9)의 체결 동안의 마찰력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여, 풀림 방지효과를 더욱 높인다.
(제 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는, 돌기(5)에 볼트(6)의 나사부(9)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12)을 형성한 점에서, 상술한 제 2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와 다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는, 볼트(6)의 나사부(9)에 나사결합하는 나사산(12)을 돌기(5)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5)가 용이하게 찌부러짐과 동시에, 돌기(5)의 일부가 볼트(6)의 나사부(9)에 말려 들어가기 쉬워진다. 그 결과, 나사산(12)이 형성된 돌기(5)는, 로크너트(1)의 확실한 풀림 방지작용을 가져온다.
또한, 상술한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에 있어서, 돌기(5)에 볼트(6)의 나사부(9)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12)을 형성해도 된다.
(제 4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는, 돌기(5)의 선단에 체결용너트(7)를 미리 부착한 점에서, 제 1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와 다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에서는, 체결용너트(7)를 돌기(5)의 선단에 스폿용접 또는 접착제 등의 연결부재(40)를 사용하여 부착함으로써, 로크너트(1)와 체결용너트(7)를 연결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미리 2개의 너트(1, 7)의 안착면(3, 8)의 나사구멍(4, 10) 근방에 스폿용접 또는 접착제 등의 연결부재(40)를 사용하여 로크너트(1)와 체결용너트(7)를 연결하고 있다.
또, 이 로크너트(1)에서는, 2개의 직렬한 너트(1, 7)를 각종 기계장치 또는 건축물의 철골 등의 피체결재(M)에 삽입 통과된 볼트(6)에 동시에 체결할 수 있도 록 하기 위하여, 각 너트(1, 7)의 나사구멍(4, 10)의 리드각 및 피치간격에 의해 돌기(5)를 형성한 상태에서도 볼트(6)에 체결할 수 있도록, 로크너트(1)와 체결용너트(7)가 연결되어 있다. 즉, 로크너트(1)와 체결용너트(7)를 연결해도 로크너트(1)(너트본체(2))의 나사구멍(4)에 있어서의 리드각 및 피치간격과 체결용너트(7)의 나사구멍(10)에 있어서의 리드각 및 피치간격이 정합되도록, 돌기(5)의 높이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체결용너트(7)와 연결된 로크너트(1)는, 볼트(6)에 체결함으로써, 1회의 체결작업으로 2개의 너트(1, 7)를 동시에 체결할 수 있다. 다음에, 외측의 로크너트(1)만을 추가로 체결하면, 돌기(5)와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의 용접부분 또는 접착제가 파단(破斷)되어서, 로크너트(1)만을 추가로 체결할 수 있다. 이 때, 분리된 로크너트(1)는, 각 돌기(5)가 찌부러져서 내측의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에 체결된다. 돌기(5)도 볼트(6)의 나사부(9)측에 동시에 체결되어, 너트(1, 7)의 나사구멍(4, 10)과 볼트(6)의 나사부(9)의 체결 동안의 마찰력의 향상에 기여하여 풀림 방지효과를 높이는 기능을 갖고, 또 체결작업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에 있어서도, 돌기(5)의 선단에 체결용너트(7)를 미리 부착해도 된다.
(변형예)
상술한 각 실시예에 의한 로크너트(1)에서는, 병렬하는 6각 너트(1, 7)의 형상 및 두께를 동일크기 동일형상의 6각 너트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더블너트로서 외측의 로크너트(1)를 단단히 체결할 수 있고, 풀림 방지작용을 갖는 것 이라면 되므로, 양쪽 너트(1, 7)의 형상은 동일크기 동일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크너트(1)는 얇은 것이라도 풀림 방지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이고, 다양한 조합이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6각 너트에 돌기(5)를 형성한 로크너트(1)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로크너트(1)는, 체결용너트(7)에 체결되어 더블너트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면, 6각 너트로 한정되지 않는다. 로크너트(1)는 4각 너트, 8각 너트, 그밖의 어떤 형상이라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각종 기계장치와 건축물의 철골 등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에 2개의 너트를 체결하는 더블너트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와셔를 개재하여 볼트에 본 발명의 로크너트를 체결해도 된다.
본 발명의 로크너트는, 각종 기계장치와 건축물의 철골 등을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에 2개의 너트를 체결하는 더블너트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볼트(6)에 체결된 체결용너트(7)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로크너트(1)로서,
    상기 로크너트(1)는, 한쪽 안착면(3)의 나사구멍(4)의 둘레로부터 연속하여 동심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30)과, 상기 홈(30)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5)를 구비하는 너트본체(2)로 이루어지고,
    각 돌기(5)는, 너트본체(2)와 같은 재질이고, 또, 상기 너트본체(2)의 안착면(3)과 홈(30)의 경계부로부터 너트본체(2)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형상의 외측면(31)과, 상기 나사구멍(4)의 내면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내측면(32)을 갖고,
    상기 홈(30)의 깊이는, 상기 너트본체(2)를 볼트(6)에 나사결합하여 체결용너트(7)를 체결했을 때에 찌부러진 돌기(5)가 상기 체결용너트(7)의 안착면(8)과 상기 너트본체(2)의 안착면(3) 사이로 파고 들어가지 않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5)는, 상기 너트본체(2)의 중심방향을 향해 형성된 발톱부(11)를 선단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5)는, 상기 내측면(32)에 형성되고, 또 상기 볼트(6)의 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본체(2)의 상기 돌기(5)측에 상기 체결용너트(7)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너트본체(2)의 나사구멍(4)에 있어서의 리드각 및 피치간격과 상기 체결용너트(7)의 나사구멍(10)에 있어서의 리드각 및 피치간격이 정합되도록 상기 돌기(5)의 높이치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5)의 높이는, 상기 너트본체(2)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의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5)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은 산 모양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KR1020067003587A 2003-08-22 2004-07-28 로크너트 KR100766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8390A JP3914975B2 (ja) 2003-08-22 2003-08-22 ロックナット
JPJP-P-2003-00208390 2003-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362A true KR20060061362A (ko) 2006-06-07
KR100766470B1 KR100766470B1 (ko) 2007-10-15

Family

ID=3420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587A KR100766470B1 (ko) 2003-08-22 2004-07-28 로크너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37040B2 (ko)
EP (1) EP1657454B1 (ko)
JP (1) JP3914975B2 (ko)
KR (1) KR100766470B1 (ko)
CN (1) CN100387853C (ko)
AT (1) ATE401506T1 (ko)
CA (1) CA2537081C (ko)
DE (1) DE602004015114D1 (ko)
WO (1) WO2005019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0358B2 (ja) * 2011-11-02 2014-11-05 濱中ナット株式会社 セルフロックナット
CN103104585A (zh) * 2012-12-08 2013-05-15 宁波市鄞州云帆工程咨询有限公司 环形阵列锁紧式双向防松动紧固件
US10184508B2 (en) 2013-03-24 2019-01-22 Arnold Permanent Nut, LLC One-piece self-locking nut
US9194421B2 (en) 2013-03-24 2015-11-24 Arnold Permanent Nut, LLC One-piece self-locking nut
US11098748B2 (en) 2013-03-24 2021-08-24 Crushlock, Inc. One-piece self-locking nut
US10323679B2 (en) 2013-03-24 2019-06-18 Crushlock, Inc. One-piece self-locking nut
CN104500522B (zh) * 2014-12-18 2023-07-07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明溪县供电公司 双螺母锁紧机构
US10246937B2 (en) * 2016-12-15 2019-04-02 Glide Rite Corporation Barrel bolt fastener assembly
US10309439B2 (en) 2017-01-26 2019-06-04 Crushlock, Inc. High torque bolt
CN107725565A (zh) * 2017-10-17 2018-02-23 韩魁 一种自动锁紧螺母
US11111945B2 (en) 2018-04-05 2021-09-07 Crushlock, Inc. Multi-piece bol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8591229A (zh) * 2018-04-17 2018-09-28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一种改良机械零件
KR102240007B1 (ko) * 2018-05-24 2021-05-03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CN109296622A (zh) * 2018-12-07 2019-02-01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空间约束下的螺纹连接防松结构
CN109707719A (zh) * 2018-12-28 2019-05-03 天津市盛立达机械设备有限公司 双螺母抵紧锁死螺栓
CN109578422A (zh) * 2019-01-19 2019-04-05 山东理工大学 一种防松紧固组件
CN110439908A (zh) * 2019-09-04 2019-11-12 王树敏 紧固型防松动螺母
CN113153886B (zh) * 2020-01-22 2022-09-16 林家民 防松螺帽组
CN112555260B (zh) * 2020-12-02 2023-12-29 靖江市飞天紧固件制造有限公司 一种不易松动的螺栓及该螺栓的安装方法
CN112797064A (zh) * 2021-01-14 2021-05-14 江苏屾盛特种合金有限公司 一种便于紧固和拆卸的双位连体式螺栓
CN113606241A (zh) * 2021-06-21 2021-11-05 山西煤矿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组合式互锁螺母
CN113864316B (zh) * 2021-09-28 2022-06-07 拉萨誉致信科技有限公司 一种防松动紧固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477A (en) * 1893-08-01 Lock-nut
US985826A (en) * 1910-11-17 1911-03-07 Milton P Mclaughlin Lock-nut.
GB170411A (en) * 1920-07-23 1921-10-24 Arthur Charlton Improvements in nut locks
GB238487A (en) * 1925-04-04 1925-08-20 Hubert Dollman Improvements in lock nuts
US2393520A (en) * 1944-02-24 1946-01-22 Illinois Tool Works Lock nut
GB617597A (en) 1944-07-28 1949-02-09 Chester Dudley Tripp Lock nu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2551102A (en) * 1945-07-18 1951-05-01 Boots Aircraft Nut Corp Lock nut
US2592129A (en) * 1948-10-29 1952-04-08 Richard W Luce Method of making a self-locking nut
JPS3615533Y1 (ko) * 1959-07-03 1961-06-13
US3971085A (en) * 1975-04-21 1976-07-27 Mount Wadsworth W Lock nut
US4069854A (en) * 1975-07-14 1978-01-24 Jos. Dyson & Sons, Inc. Locknut with segmental locking elements
JPS55110820A (en) 1979-02-20 1980-08-26 Sanyo Electric Co Ltd Safety system of combustor
JPS57113709U (ko) * 1980-12-30 1982-07-14
JPS57113709A (en) 1981-01-06 1982-07-15 Tokyo Shibaura Electric Co Insulating support
CN87216533U (zh) * 1987-12-18 1988-07-20 滁州电业局电力修造厂 防止松动的螺母副
JPH102317A (ja) * 1996-06-18 1998-01-06 Hideo Moroi ロックナット
JPH1061645A (ja) * 1996-08-26 1998-03-06 Hideo Moroi ロックナット
JPH11315820A (ja) 1998-05-07 1999-11-16 Hideo Moroi ロックナ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7853C (zh) 2008-05-14
WO2005019663A1 (ja) 2005-03-03
WO2005019663A8 (ja) 2006-03-30
EP1657454A4 (en) 2006-11-08
KR100766470B1 (ko) 2007-10-15
EP1657454B1 (en) 2008-07-16
CA2537081C (en) 2010-03-23
US20110097175A1 (en) 2011-04-28
JP3914975B2 (ja) 2007-05-16
DE602004015114D1 (de) 2008-08-28
EP1657454A1 (en) 2006-05-17
JP2005069254A (ja) 2005-03-17
CN1839266A (zh) 2006-09-27
US8137040B2 (en) 2012-03-20
CA2537081A1 (en) 2005-03-03
ATE401506T1 (de) 200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470B1 (ko) 로크너트
JP2005069254A5 (ko)
RU2272186C2 (ru) Застопоривающееся крепежное средство
US3605845A (en) Self-locking fastener
US6514025B2 (en) Screw member with elastically deformable features
EP0856671B1 (en) Lock nut
KR20220078213A (ko) 풀림방지 너트 구조
JPH11315820A (ja) ロックナット
JP2018151053A (ja) 緩まないロックナット
KR20210037238A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
KR102098074B1 (ko) 볼트-너트 조립체
JP3104596U (ja) ロックナット
JPH102317A (ja) ロックナット
US6146074A (en) Washer having an inclined profile
JP3101302U (ja) 座金およびそれを用いた締め付け構造
KR200235137Y1 (ko) 풀림방지용 볼트
JPH06280842A (ja) 緩み止め用ねじ部品
KR20240076136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용 와셔 및 너트
WO2003067105A1 (fr) Bague de blocage
JP2016183759A (ja) くさび定着ナット
JP3059939B2 (ja) ネジの緩み防止装置
JP2023175593A (ja) 緩み止めナット
KR101276714B1 (ko) 나사 체결 구조
KR20240010323A (ko) 너트
TW202246626A (zh) 錨固螺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