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0426A -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0426A
KR20060060426A KR1020040099490A KR20040099490A KR20060060426A KR 20060060426 A KR20060060426 A KR 20060060426A KR 1020040099490 A KR1020040099490 A KR 1020040099490A KR 20040099490 A KR20040099490 A KR 20040099490A KR 20060060426 A KR20060060426 A KR 2006006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emote control
connecting rod
rod
mai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388B1 (ko
Inventor
김무중
Original Assignee
김무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중 filed Critical 김무중
Priority to KR102004009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3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0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자가 직접 피사체에 직접 접근하지 아니하고, 원거리에서 카메라를 피사체에 접근시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REMOTE CONTROL POLE FOR CAMER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2에서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10. 메인 봉체 11, 21. 봉부재
11a, 11b, 21a, 21b. 나사산 11c, 21c. 공기 배출구
20. 연결 봉체
22. 카메라 연결구
30. 힌지연결구 31. 힌지브라켓
32. 볼부재
40. 가이드 41. 슬롯공
42. 안내공
51. 손잡이 52. 와이어
60. 고정브라켓 61. 손잡이
62. 축 63. 제 1기어
64. 제 2기어
70. 플렉시블관 80. 튜브
본 발명은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자가 직접 피사체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카메라를 피사체에 접근시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류나 수중의 어류를 포함한 자연의 생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이러한 자연 생태환경을 생생하게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들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들의 최근 개발 및 출시경향은, 영상의 기록매체로 필름을 채택하고 있는 기계식에서 영상 및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있으며, 이를 메모리나 디스크와 같은 전자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형태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한편 종래 자연생태의 촬영에 있어서는, 카메라를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 는 수단이 강구되지 아니하여, 촬영자가 직접 피사체에 접근하거나 미리 피사체가 있을 만한 곳에 카메라를 설치한 다음, 피사체가 나타날 때까지 무작정 기다리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이러한 촬영형태를 취할 경우, 수중이나 새의 둥지와 같이 촬영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는 곳에서는 촬영이 어렵고, 또 상기와 같이 미리 피사체가 등장할 만한 곳에 카메라를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원거리에서 카메라를 임의적으로 조작할 수 없어, 적절한 조사각의 확보를 통한 고급 영상의 수득이 어려웠다.
특히 수중의 생태환경은,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케이블에 메달아 수중에 투척하여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외부에서 정확한 촬영지점에 카메라를 투척하기 어렵고, 또 수중에 투척된 카메라는 수중조류에 의해 촛점이 흐트러지게 되면, 고급 영상을 수득하기 어렵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자가 직접 피사체에 접근하지 아니하고, 원거리에서 카메라를 피사체에 접근시켜 적절한 조사각의 조절을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 1형태로 제공된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는,
주축을 형성하는 긴 메인 봉체와; 선단에 카메라 연결구가 마련된 연결 봉 체; 및 상기 메인 봉체의 선단과 연결 봉체의 말단을 힌지구조로 연결하여, 힌지구조의 회절에 의해 메인 봉체에 대한 연결 봉체간에 소정의 각도가 설정되도록 하는 힌지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형태의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메인 봉체와 연결 봉체의 내부에는 관통구조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와이어가 매설되며, 상기 와이어의 말단에는 손잡이가 결속되고 선단에는 카메라 연결구 또는 카메라와 결속되어,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를 통해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 2형태로 제공된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는,
주축을 형성하는 긴 메인 봉체와, 선단에 카메라 연결구가 마련된 연결 봉체, 및 상기 메인 봉체의 선단과 연결 봉체의 말단을 절곡된 구조로 결속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내부에는, 메인 봉체의 말단에 회동구조로 설치된 손잡이의 회동축에 축설되는 제 1기어와, 상기 연결 봉체의 선단에 설치된 카메라의 회동축에 축설되는 제 2기어가 치합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연결봉체 선단에 설치된 카메라가 소정각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 1형태 또는 제 2형태의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메인 봉체 또는 연결 봉체, 또는 이들 모두가, 직경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중공구조의 봉부재들이 삽입구조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텔레스코프형으로 구성되어, 간편한 길이조절 및 휴대의 편의성이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1 내지 도3에서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1, 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축을 형성하는 긴 메인 봉체(10)와, 이 메인 봉체(10)의 선단에 연결되는 연결 봉체(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봉체(20)의 선단에는 카메라 연결구(22)가 마련되어, 이 카메라 연결구(22)를 통해 공지의 카메라(100)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100)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중환경의 쵤영을 위한 수중카메라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하고자 하는 장소에 적합한 형태의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아, 이들 메인 봉체(10)와 연결봉체(20)는, 직경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중공구조의 봉부재(11, 21)들이 삽입구조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텔레스코프형으로 구성되어, 이들 각 봉부재(11, 21)간의 삽입 및 전개를 통해 간편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휴대의 편의도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메인 봉체(10)와 연결 봉체(20)를 이루고 있는 각 봉부재(11, 21)들의 선단부의 내·외주면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사산(11a, 11b, 21a, 21b)이 상호 대응구조로 형성되어, 이 나사산(11a,11b, 21a, 21b)간의 결합에 의해 외부의 봉부재(11, 21)와 내부에 삽입되는 봉부재(11, 21)간의 물리적인 결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나사산의 결속을 통한 봉부재(11, 21)간의 물리적인 결속이 가능하게 되면, 촬영자는 필요로 하지 않는 봉부재는 삽입하여 나사산간의 결속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고, 필요한 봉부재는 나사산간의 결속을 해체하여 전개할 수도 있어서, 메인 봉체(10)와 연결 봉체(20)의 길이조절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1, 1')를 이루는 메인 봉체(10)와 연결봉체(20)의 봉부재(11, 21)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나씩의 공기 배출구(11c, 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봉부재(11, 21)에 공기 배출구(11c, 21c)를 형성하게 되면, 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1, 1')를 수중에 입수하였을 때 봉부재(11, 21)의 중공부내로 물의 유입 및 신속한 공기의 배출이 가능해져, 공기의 부력에 의해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1, 1')가 흩트러지는 것(전복)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봉체(10)의 외주에는, 카메라 케이블(110)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가이드(4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4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봉체 (10)가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형성된 슬롯공(41)과, 카메라 케이블(110)이 관통되어 안내되는 안내공(42)이 일체화되게 형성된 구조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가이드(40)를 메인 봉체(10)와 일체화되게 형성하지 아니하고 별도로 제작하여, 휴대시에는 별도로 보관하고 실제 사용시에만 메인 봉체(10)에 끼워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한층 향상된 휴대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 1형태에 따른 카메라 원격 조절대(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봉체(10)와 연결 봉체(20)간에 힌지연결구(30)를 마련하여, 이들이 힌지구조로 결속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상기 힌지연결구(30)에 의해 카메라 연결구(22)가 설치된 연결 봉체(20)의 인위적인 회절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채택하고 있는 힌지연결구(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브라켓(21)에 볼부재(22)가 수용된 볼타입으로, 이 볼부재(22)는 전후좌우 회동이 가능하므로, 연결된 연결 봉체(20)는 힌지연결구(20)에 의해 전후좌우로 회절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아, 상기 힌지브라켓(30)은 메인 봉체(1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브라켓(31)에 수용되어 회절되는 볼부재(32)는 연결 봉체(20)의 상단(말단)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연결구(30)을 통해, 봉체(10)에 연결된 연결봉체(20)는 전후좌우 자유로운 회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회절을 통한 카메라의 진입 및 설치각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힌지연결구(30)는, 상기 연결 봉체(20)의 하단에 설치된 카메라 연결구(22)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카메라 연결구(22)가 힌지연결구의 형태를 취하게 되면, 볼부재의 회절에 의한 카메라의 자유로운 회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형태의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봉체(10)와 연결봉체(20)의 중공부에 관통되게 손잡이(51)가 결속된 와이어(52)를 매설하고, 이 와이어(52)의 선단을 카메라 연결구(22) 또는 이에 설치된 카메라(100)와 결속하여, 손잡이(51)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52)의 선단에 설치된 카메라(100)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촬영자가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1)를 통해 카메라(100)를 촬영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51)를 조작하게 되면 카메라(100)가 회동하게 되므로, 손잡이(51)의 조작을 통해 원격으로 카메라(100)의 조사각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 2형태로 제공된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긴 메인 봉체(10)와 연결봉체(20)가 고정브라켓(60)에 의해 절곡되게 결합된 구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아, 상기 고정브라켓(60)의 내부에는, 상기 메인 봉체(10)의 말단에 형성된 손잡이(61)의 축(62)에 축설되는 제 1 기어 (63)와, 상기 연결봉체(20)의 상단(말단)에 축설되는 제 2기어(64)가 치합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61)의 조작에 의해 연결 봉체(20)가 소정각 회동되고, 이 회동에 의해 카메라 연결구(22)에 설치된 카메라(100)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촬영자는 손잡이(61)의 조작을 통해 원격으로 카메라(100)의 조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1')의 연결 봉체(20)를 이루는 봉부재(21)간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위적인 절곡이 가능한 플렉시블관(70)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플렉시블관(70)의 인위적인 절곡을 통한 연결봉체(20)의 회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자는 상기 플렉시블관(70)의 절곡하여 진입각 및 설치각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봉체(10)와 연결봉체(20)를 이루는 봉부재(11, 21)의 외경에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튜브(80)를 설치하여, 이 튜브(80)의 내경에 어느 하나의 봉부재(11, 21)와 이와 연접한 봉부재(11, 21)가 상호 결속/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는, 촬영자가 직접 피사체에 접근하지 아니하고, 원거리에서 피사체를 안정되게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를 조작하여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어, 적절한 조사각의 조 절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는, 수중의 조류를 포함한 외부 환경에 의해 떨림을 포함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고급영상의 수득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주축을 형성하는 긴 메인 봉체와;
    선단에 카메라 연결구가 마련된 연결 봉체; 및
    상기 메인 봉체의 선단과 연결 봉체의 말단을 힌지구조로 연결하여, 힌지구조의 회절에 의해 메인 봉체에 대한 연결 봉체간에 소정의 각도가 설정되도록 하는 힌지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체와 연결 봉체의 내부에는 관통구조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와이어가 매설되며, 상기 와이어의 말단에는 손잡이가 결속되고 선단에는 카메라 연결구 또는 카메라와 결속되어,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를 통해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구는 힌지브라켓에 볼부재가 수용되어, 볼부재에 의해 연결봉체의 상하좌우 회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4. 주축을 형성하는 긴 메인 봉체와, 선단에 카메라 연결구가 마련된 연결 봉체, 및 상기 메인 봉체의 선단과 연결 봉체의 말단을 절곡된 구조로 결속시키는 고 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내부에는, 메인 봉체의 말단에 회동구조로 설치된 손잡이의 회동축에 축설되는 제 1기어와, 상기 연결 봉체의 선단에 설치된 카메라의 회동축에 축설되는 제 2기어가 치합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연결봉체 선단에 설치된 카메라가 소정각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체 또는 연결 봉체 또는 이들 모두가, 직경이 서로 다른 2 이상의 중공구조의 봉부재들이 삽입구조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텔레스코프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체와 연결 봉체를 이루고 있는 봉부재들의 선단부의 내·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어, 이 나사산간의 결속에 의해 사용하지 않는 봉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내·외부의 봉부재간의 물리적인 결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체와 연결봉체를 이루는 봉부재의 외경에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튜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체가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형성 된 슬롯공과 카메라 케이블이 관통되게 설치되어 안내되는 안내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메인 봉체의 외주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체의 일부에 플렉시블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10. 제 1항에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봉체 또는 연결봉체 또는 이들 모두에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11.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연결구는, 힌지브라켓에 볼부재가 수용되어, 볼부재의 회절에 의해 카메라의 좌우 회절이 구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KR1020040099490A 2004-11-30 2004-11-30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KR100702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90A KR100702388B1 (ko) 2004-11-30 2004-11-30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490A KR100702388B1 (ko) 2004-11-30 2004-11-30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0426A true KR20060060426A (ko) 2006-06-05
KR100702388B1 KR100702388B1 (ko) 2007-04-02

Family

ID=3715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490A KR100702388B1 (ko) 2004-11-30 2004-11-30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3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141B1 (ko) * 2012-04-10 2013-07-08 서울검사 주식회사 베셀의 내벽 표면 검사장치
KR20160042541A (ko) * 2014-10-10 2016-04-20 마성권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KR101699803B1 (ko) * 2016-04-29 2017-01-26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펜스용 cctv 카메라
KR20180130902A (ko) * 2017-05-30 2018-12-10 (주)메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042A (en) 1991-04-12 1995-09-26 Drever; Leslie Audio-video source boom support assembly having improved articulation capability
JPH09163190A (ja) * 1995-12-14 1997-06-20 Sony Precision Technol Inc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遠隔監視装置
JPH1056711A (ja) 1996-08-08 1998-02-24 Asahi Metal Ind Ltd 高所点検装置
JPH10295018A (ja) * 1997-04-16 1998-11-04 Senshin Kogyo Kk 架空線点検カメラ
KR200188798Y1 (ko) 1999-12-13 2000-07-15 탑전자산업주식회사 인명구조를 위한 휴대용 조사기
JP2002077873A (ja) 2000-08-28 2002-03-15 Toshiyuki Takahashi 目視検査装置及び目視検査用カメラ装置
JP2002131234A (ja) 2000-10-19 2002-05-09 Nagoya Doro Engineer Kk 高所点検装置
KR100442862B1 (ko) * 2001-06-26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적으로 제어되는 적응형 드라이버 및 신호 구동 방법
KR200313745Y1 (ko) 2003-02-11 2003-05-22 지창환 탐지용 카메라
KR200356078Y1 (ko) 2004-04-29 2004-07-14 이철민 유무선 겸용 접철식 원격 촬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141B1 (ko) * 2012-04-10 2013-07-08 서울검사 주식회사 베셀의 내벽 표면 검사장치
KR20160042541A (ko) * 2014-10-10 2016-04-20 마성권 카메라 일체형 셀카봉
KR101699803B1 (ko) * 2016-04-29 2017-01-26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펜스용 cctv 카메라
KR20180130902A (ko) * 2017-05-30 2018-12-10 (주)메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388B1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5798B2 (ja) 外科手術用画像形成装置
CN109302552B (zh) 一种终端设备及终端设备的控制方法
CN106483653A (zh) 内窥镜
CN102213829B (zh) 内窥镜用摄像单元
US20120047790A1 (en) Fishing lure with video camera
CA2545418A1 (en) Endoscope device and imaging method using the same
JP5534876B2 (ja) 交換レンズ及びカメラボディ
JP6164415B2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
CN108324230A (zh) 具有可摇摄相机的内窥镜
US9565343B2 (en) Camera shoe extension
CN108685555A (zh) 内窥镜及内窥镜中的光学系统的安装方法
KR100702388B1 (ko)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CN111120790B (zh) 相机云台系统
CN106231982B (zh) 内窥镜
JP5079720B2 (ja) 水中撮像装置
CN102447822B (zh) 摄像机模块安装装置
JP3601905B2 (ja) 固定焦点超小型カメラ
JP2008279099A (ja) 内視鏡
JPH0683702B2 (ja) 内視鏡
JPS60131515A (ja) 固体撮像素子組込み式内視鏡
JP2009128894A (ja) 水中撮影用手持ちクレーン
JP2010057477A (ja) 釣り用ケーブルとその製造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水中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8242127A (ja) キャップ保持装置
KR102486451B1 (ko) 수중촬영장치가 내장된 낚시장비
JP2003339619A (ja) 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