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803B1 - 펜스용 cctv 카메라 - Google Patents

펜스용 cctv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803B1
KR101699803B1 KR1020160053602A KR20160053602A KR101699803B1 KR 101699803 B1 KR101699803 B1 KR 101699803B1 KR 1020160053602 A KR1020160053602 A KR 1020160053602A KR 20160053602 A KR20160053602 A KR 20160053602A KR 101699803 B1 KR101699803 B1 KR 10169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wire
cctv camera
upper plate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주식회사 로드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주식회사 로드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Priority to KR102016005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2Camera support structures, e.g. attachment means,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지대 없이 CCTV 카메라의 주위를 모두 촬영할 수 있게 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게 하며, 펜스의 상부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하부의 둘레에는 고정 볼트나 고정 나사못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직 고정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개방부 둘레의 상부에 고정수단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상판으로 막혀 있는 굴곡이 가능한 자바라관과; 상기 본체 내부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각각에는 와이어가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게 권취되고, 각각에 권취된 와이어의 상단이 상기 자바라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판의 하부 둘레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3개 이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와; 상기 상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메라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통제실과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 및 카메라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펜스용 CCTV 카메라{CCTV CAMERA FOR FENCE}
본 발명은 펜스용 CCTV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지대 없이 CCTV 카메라의 주위를 모두 촬영할 수 있게 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게 하며, 펜스의 상부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이나 감시등에 이용되는 CCTV 카메라는 한 방향만을 볼 수 있는 고정형 CCTV 카메라와, 사방으로 이동되어 사방을 볼 수 있는 CCTV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형 CCTV 카메라는 가격이 저가인 장점이 있으나, 한 방향만 볼 수 있어 치안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방을 볼 수 잇는 CCTV 카메라는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방을 볼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설치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사방을 볼 수 있는 CCTV 카메라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CCTV 카메라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72563호의 "CCTV용 카메라의 각도조정장치"(이하, "종래의 CCTV용 카메라의 각도조정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CCTV용 카메라의 각도조정장치는 CCTV 카메라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CCTV 카메라를 보호하며, 배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보호 하우징과; 상기 보호 하우징의 결합돌기가 관통설치되는 중공홀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연에 수직방향을 따라 기어가 돌출형성되는 각도 조절볼과; 회전동력이 양방향으로 출력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끝단에 상기 각도 조절볼의 기어와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각도 조절볼을 회전시켜 상기 CCTV 카메라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봉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각도조절부재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및 각도 조절볼에 결합되고, 유압 또는 공압이 유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실린더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는 피스톤과 연동되어 이동되면서 각도 조절볼을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CCTV 카메라의 좌,우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 이동봉으로 이루어지는 CCTV 카메라 좌,우 위치조절부재;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CCTV용 카메라의 각도조정장치는 설치후 주변을 촬영을 하는 과정에서 촬영의 사각지대가 생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CCTV 카메라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하 각도조절부재와 좌,우 위치조절부재를 구비해야 함으로써 가격이 비싼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CCTV 카메라는 부피가 커서 설치후 감추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72563호의 "CCTV용 카메라의 각도조정장치"(2011.10.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지대 없이 CCTV 카메라의 주위를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게 하며, 펜스의 상부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팬스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제실에서 조작을 통해 실시간으로 추적 촬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CTV 카메라를 봉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CCTV 카메라를 용이하게 감춰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스 설치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바라관의 내부에 자바라관의 상판을 상부로 항상 눌러주는 압축코일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와이어들의 당김을 통해 카메라가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자바라관의 굴곡상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CCTV 카메라"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하부의 둘레에는 고정 볼트나 고정 나사못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직 고정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개방부 둘레의 상부에 고정수단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상판으로 막혀 있는 굴곡이 가능한 자바라관과; 상기 본체 내부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각각에는 와이어가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게 권취되고, 각각에 권취된 와이어의 상단이 상기 자바라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판의 하부 둘레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3개 이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와; 상기 상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메라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통제실과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 및 카메라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CCTV 카메라"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 상부의 개방부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자바라관의 하부가 외주면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CCTV 카메라"의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는 둘레에 각각의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는 다수의 와이어 가이드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CCTV 카메라"의 상기 와이어 가이드판의 상부와 상판 하부의 사이에는 상기 자바라관의 내장되어 상기 상판을 상부로 눌러주는 압축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CCTV 카메라"의 상기 와이어 권취구동부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풀리와, 상기 풀리를 감싸며 구비되고 내측의 상부에는 와이어가 통과되는 수직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장착되어 회전축이 상기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선으로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각지대 없이 CCTV 카메라의 주위를 모두 촬영할 수 있게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각지대 없이 CCTV 카메라의 주위를 모두 촬영할 수 있는 저가의 CCTV 카메라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펜스의 상부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펜스 전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제실에서 조작을 통해 실시간으로 추적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펜스 설치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CTV 카메라를 봉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CCTV 카메라를 용이하게 감춰서 설치함으로써, 군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펜스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바라관의 내부에 자바라관의 상판을 상부로 항상 눌러주는 압축코일스프링을 구비함에 따라, 각각의 와이어들의 당김을 통해 카메라가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자바라관의 굴곡상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팅된 촬영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촬영의 안정성이 확보된 CCTV 카메라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자바라관이 신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자바라관이 수직으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도 1c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자바라관이 굴곡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가 펜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자바라관이 수직으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자바라관이 굴곡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자바라관이 신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자바라관이 수직으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도 1c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부 확대도이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자바라관이 굴곡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가 펜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자바라관이 수직으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자바라관이 굴곡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CCTV 카메라는 펜스(10)의 상부에 주위를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펜스(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개방부(11)가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개방부(1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부가 상판(21)으로 막혀있는 자바라관(2)과, 상기 본체(1) 내부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각각에 권취된 와이어(51)의 상단이 상기 상판(21)의 하부 둘레에 연결되는 3개 이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5)와, 상기 상판(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메라(6)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7)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원뿔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하부의 둘레에는 펜스(10)의 상단에 본체(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펜스(10)의 상부에 박혀 고정되는 고정 볼트나 고정 나사못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직 고정홀(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의 하부 둘레에 다수의 수직 고정홀(12)을 형성함으로써 본체(1)를 펜스의 상부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자바라관(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11) 둘레의 상부에 굴곡이 가능하게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상판(21)으로 막혀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바라관(2)은 본체(1)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11)의 둘레의 상부에 고정수단(3)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3)은 자바라관(2)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 상부의 개방부(11)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자바라관(2)의 하부가 외주면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관(31)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바라관(2)의 하부는 상기 연결관(31)은 외주면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연결관(31)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연결관(31)의 상부에는 와이어(51)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둘레에 각각의 상기 와이어(51)가 관통되는 다수의 와이어 가이드홀(4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판(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바라관(2)의 상판(21)의 중앙과 와이어 가이드판(4)의 중앙에는 연결선 관통홀(211)(412)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6)와 제어부(7)는 상판(21)과 와이어 가이드판(4)에 형성된 연결선 관통홀(211)(412)에 관통되는 카메라 연결선(61)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6)와 제어부(7)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유선의 카메라 연결선(61)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와이어 가이드판(4)의 상부와 상판(21) 하부의 사이에는 와이어(51)들의 권취 길이의 조정에 따라 자바라관(2)이 굴곡진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자바라관(2)의 내장되어 상기 상판(21)을 상부로 항상 눌러주는 압축코일스프링(22)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권취부들에 권취된 와이어(51)들은 압축코일스프링(22)이 굴곡진 상태에서 와이어(51)가 압축코일스프링(22)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압축코일스프링(22)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 권취구동부(5)는 도 1 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 내부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3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에는 와이어(51)가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게 권취되고, 각각에 권취된 와이어(51)의 상단이 상기 자바라관(2)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판(21)의 하부 둘레에 등간격으로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와이어(51)의 감기는 길이를 조정하여 자바라관(2)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메라(6)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 권취구동부(5)는 수직으로 인출되는 와이어(51)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51)가 권취되는 풀리(52)와, 상기 풀리(52)를 감싸며 구비되고 내측의 상부에는 와이어(51)가 통과되는 수직관(531)이 형성되는 하우징(53)과, 상기 하우징(53)의 외측에 장착되어 회전축이 상기 풀리(52)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7)와 연결선으로 연결되는 모터(54)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3)은 본체(1)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카메라(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을 촬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자바라관(2)의 상판(21)의 상부에 고정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렌즈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6)는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6)는 상기 자바라관(2)의 상판(21)의 상부에 통상적인 볼트나 접착제 또는 끼움관 등의 고정수단(3)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6)는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여러 카메라(6)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제어부(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6)와 연결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5)를 구성하는 모터(54)와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는 통제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제실에 제어를 받게 되는데, 통제실(미도시됨)과 제어부(7)의 연결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카메라(6)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통제실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통제실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6)와 각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5)를 구성하는 모터(54)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제어부(7)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통제실에서는 조이스틱 등의 조작수단을 통해 카메라(6)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5)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터(54)를 통제실의 제어 조작에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각각의 와이어의 감는 길이를 각기 조정함으로써 자바라관(2)의 굴곡 위치를 변경시켜 카메라(6)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각각의 와이어의 감는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정하면 자바라관이 굴곡지게 되고, 각각의 와이어를 같게 조정하면 자바라관이 신축되게 됨으로써, 카메라(6)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통제실에서 조작을 통해 실시간으로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침입자을 포착한 후 추적 촬영이 가능한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CCTV 카메라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CCTV 카메라(6)를 펜스(10)의 상단에 고정할 경우에는, CCTV 카메라(6)를 펜스(10)의 상단에 세운 다음, 본체(1)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 고정홀(12)에 고정 볼트나 고정 나사못을 관통시켜 고정 볼트나 고정 나사못을 펜스(10)의 상단에 고정하는 과정만을 통해 간단하게 CCTV 카메라(6)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펜스(10)의 상부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펜스 전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펜스(10)의 상부에 설치된 CCTV 카메라(6)로 주변을 촬영할 경우에는, 먼저, 각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5)의 모터(54)를 통제실에서 제어하여 각각의 와이어(51)의 감김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자바라관(2)을 굴곡시켜 자바라관(2)의 상부에 위치되는 카메라(6)를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다음 이와 같이 카메라(6)를 통해 촬영을 진행하면서 침입자를 발견할 경우에는, 통제실에서 침입자의 영상을 보면서 각각의 와이어(51)의 감김 길이를 실시간으로 조정하는 과정을 진행함에 따라, 자바라관(2)의 굴곡을 실시간으로 변화시켜 카메라(6)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침입자를 연속적으로 추적하여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추적 촬영을 하는 과정에서는 각각의 와이어(51)의 감긴 길이의 조정을 통해 자바라관(2)이 둘레 및 상하로 자유로이 절곡될 수 있음에 따라, 사각지대 없이 전,후,좌,우의 둘레는 물론, 상,하부의 둘레를 모두 촬영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각지대 없이 CCTV 카메라(6)의 주위를 모두 촬영할 수 있게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하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저가로 제작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CCTV 카메라를 자바라관(2)을 통해 봉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CCTV 카메라(6)를 용이하게 감춰서 설치함으로써 군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펜스용 CCTV 카메라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본체
11 : 개방부
12 : 수직 고정홀
2 : 자바라관
21 : 상판
211 : 연결선 관통홀
22 : 압축코일스프링
3 : 고정수단
31 : 연결관
4 : 와이어 가이드판
411 : 가이드홀, 412 : 연결선 관통홀
5 : 와이어 권취구동부
51 : 와이어
52 : 풀리
53 : 하우징
531 : 수직관
54 : 모터
6 : 카메라
61 : 카메라 연결선
7 : 제어부
10 : 펜스

Claims (7)

  1.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에 개방부(11)가 형성되며 하부의 둘레에는 고정 볼트나 고정 나사못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직 고정홀(12)이 형성되는 본체(1);
    상기 개방부(11) 둘레의 상부에 고정수단(3)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상판(21)으로 막혀 있는 굴곡이 가능한 자바라관(2);
    와이어(51)가 권취되는 풀리(52)와, 상기 풀리(52)를 감싸며 구비되고 내측의 상부에는 와이어(51)가 통과되는 수직관(531)이 형성되는 하우징(53)과, 상기 하우징(53)의 외측에 장착되어 회전축이 상기 풀리(52)와 연결되고 제어부(7)와 연결선으로 연결되는 모터(54)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 내부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구비됨과 더불어 각각에는 와이어(51)가 감김과 풀림이 가능하게 권취되며, 각각에 권취된 와이어(51)의 상단이 상기 자바라관(2)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판(21)의 하부 둘레에 등간격으로 연결되는 3개 이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5);
    상기 상판(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카메라(6);
    상기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되어 통제실과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5) 및 카메라(6)와 연결되는 제어부(7);
    와이어 가이드판(4)의 상부와 상판(21)의 하부 사이의 자바라관(2)에 내장되어 상기 상판(21)을 상부로 눌러주는 압축코일스프링(22);
    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와이어 권취구동부(5)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터(54)를 통제실의 제어 조작에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각각의 와이어의 감는 길이를 각기 조정함으로써 자바라관(2)의 굴곡 위치를 변경시켜 카메라(6)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되, 각각의 와이어의 감는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정하면 자바라관이 굴곡지게 되고, 각각의 와이어를 같게 조정하면 자바라관이 신축되게 됨으로써, 카메라(6)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은
    상기 본체(1) 상부의 개방부(11)의 둘레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자바라관(2)의 하부가 외주면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관(3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1)의 상부에는 둘레에 각각의 상기 와이어(51)가 관통되는 다수의 와이어 가이드홀(4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와이어 가이드판(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관(2)의 상판(21)의 중앙과 와이어 가이드판(4)의 중앙에는 연결선 관통홀(211)(412)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6)와 제어부(7)는 상판(21)과 와이어 가이드판(4)에 형성된 연결선 관통홀(211)(412)에 관통되는 카메라 연결선(61)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CCTV 카메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53602A 2016-04-29 2016-04-29 펜스용 cctv 카메라 KR10169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602A KR101699803B1 (ko) 2016-04-29 2016-04-29 펜스용 cctv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602A KR101699803B1 (ko) 2016-04-29 2016-04-29 펜스용 cctv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803B1 true KR101699803B1 (ko) 2017-01-26

Family

ID=5799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602A KR101699803B1 (ko) 2016-04-29 2016-04-29 펜스용 cctv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8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486Y1 (ko) * 2005-05-31 2005-08-17 민판기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20060060426A (ko) * 2004-11-30 2006-06-05 김무중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KR100867658B1 (ko) * 2007-07-03 2008-11-10 주식회사 케어텍 내시경용 구부림 장치
KR101299121B1 (ko) * 2013-04-05 2013-08-21 (주)오티에스 Cctv 카메라 a/s용 오토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426A (ko) * 2004-11-30 2006-06-05 김무중 카메라용 원격 조정대
KR200392486Y1 (ko) * 2005-05-31 2005-08-17 민판기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KR100867658B1 (ko) * 2007-07-03 2008-11-10 주식회사 케어텍 내시경용 구부림 장치
KR101299121B1 (ko) * 2013-04-05 2013-08-21 (주)오티에스 Cctv 카메라 a/s용 오토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AU2013204513A1 (en) A camera
KR101699803B1 (ko) 펜스용 cctv 카메라
KR102053729B1 (ko)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KR101378586B1 (ko)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KR102498194B1 (ko)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하는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KR101763845B1 (ko)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KR100683623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US10356330B1 (en) Small, rugged, covert outdoor PTZ camera with concentric square, pan-tilt movement and tracking photo sensors
JP2014236318A (ja) 撮像装置
KR101405413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설치용 멀티 브래킷
KR102334883B1 (ko) 모듈 탈착식 서라운드 카메라 시스템
KR101767430B1 (ko) 양방향 cctv용 카메라 하우징
KR20100008824A (ko) 폐쇄회로텔레비전 카메라시스템
JP2008136099A (ja) 追尾撮像装置
KR200402677Y1 (ko) 감시용 카메라
CN210469564U (zh) 一种微型结构立体摄像头监控装置
KR200320712Y1 (ko) 팬틸트카메라
US5678099A (en) Small size camera assembly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JP5623450B2 (ja) ドーム型監視カメラ
KR200256732Y1 (ko) 감시 카메라
CN113669583B (zh) 多个监控摄像头自动调焦的监控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