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732Y1 -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732Y1
KR200256732Y1 KR2020010029312U KR20010029312U KR200256732Y1 KR 200256732 Y1 KR200256732 Y1 KR 200256732Y1 KR 2020010029312 U KR2020010029312 U KR 2020010029312U KR 20010029312 U KR20010029312 U KR 20010029312U KR 200256732 Y1 KR200256732 Y1 KR 200256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surveillance camera
case
head case
im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명기
Original Assignee
선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광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9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떠한 대상지역을 촬영하는 영상입력부가 내장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헤드 케이스에서 사방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헤드 케이스 내로 영상입력부가 장착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헤드 케이스의 상면으로 상,하단에 고정플랜지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하나의 헤드 케이스로 다수의 영상입력부가 내장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촬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a monitor camera}
본 고안은 어떠한 대상지역을 촬영하는 영상입력부가 내장된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헤드 케이스에서 사방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많이 왕래하는 오피스 빌딩이나 은행과 같은 각종 영업소 및 아파트의 외각이나 주차장 등에는 그 지역의 진행상황을 파악하거나 안전을 위하여 CCTV를 설치하여 감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CCTV에 사용되는 종래의 감시 카메라는 하나의 영상입력부를 구비하여 일방향의 지정된 장소만을 촬영하게 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영상 출력장치인 모니터 등으로 전송하여 감시자로 하여금 촬영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정된 한 지역이 아닌 여러 방향을 감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해당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감시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러움 및 그로 인한 많은 설치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종래의 감시 카메라는 촬영된 영상을 영상 출력장치와 1:1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지므로서, 이 역시 설치상의 불편함은 물론 많은 설치비가 소요되는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헤드 케이스에서 사방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그 촬영구간을 최소한의 사각지대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헤드 케이스 내로 영상입력부가 장착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헤드 케이스의 상면으로 상,하단에 고정플랜지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하나의 헤드 케이스로 다수의 영상입력부가 내장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촬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부는 상기 헤드 케이스의 외측면으로 다수의 장착홈을 형성하고 그 장착홈에는 테두리로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테와, 일면 중앙으로 투시공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반구형의 볼케이스와, 상기 영상입력부의 양측으로 상기 힌지공으로 삽입되는 힌지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에는 상기 지지테의 양측으로 장공이 형성된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볼케이스의 상단과 하단으로 스토퍼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촬영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 촬영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도로,
도 3a는 촬영부가 좌우로 작동되는 상태의 평단면도.
도 3b는 촬영부가 상하로 작동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시 카메라
10 : 고정대
12,12a : 고정프랜지
20 : 촬영부
22 : 장착홈 24 : 지지테
25 : 볼케이스 25a : 투시공
25b : 힌지공 26 : 힌지핀
200 : 각도 조절부
240 : 지지대 242 : 장공
250 : 스토퍼
50 : 헤드 케이스
60 : 영상입력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케이스 내로 영상입력부가 장착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헤드 케이스(50)의 상면으로 상,하단에 일반적인 고정방식에 의해 천정등으로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헤드 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플랜지(12,12a)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고정대(10)와;
상기 하나의 헤드 케이스(50)로 다수의 영상입력부(60)가 내장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촬영부(2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헤드 케이스로 다수의 영상입력부가 내장되는 다수의 촬영부를 구비하므로서, 종래 한방향으로만 촬영되었던 것을 여러 방향에서의 동시 촬영이 가능한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다수의 감시 카메라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며, 상기 각 촬영부에 촬영된 영상은 공지의 영상 출력조절장치를 통하여 하나의 영상 출력장치에서 각각으로 구획되게 시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영상 출력장치와 연결하여 개별적인 시청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촬영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촬영부(20)는 상기 헤드 케이스(50)의 외측면으로 다수의 장착홈(22)을 형성하고 그 장착홈(22)에는 테두리로 상기 장착홈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24a)이 형성된 지지테(24)와, 일면 중앙으로 상기 영상입력부의 렌즈부가 위치하는 투시공(25a)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힌지공(25b)이 형성되는 반구형의 볼케이스(25)와, 상기 영상입력부(60)의 양측으로 상기 힌지공(25b)으로 삽입되는 힌지핀(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상기 헤드 케이스는 여러방향으로 촬영하기 위해 다각형 형태 보다는 구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해,조립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하 케이스로 분할하여 스크류 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그에 형성되는 장착홈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헤드 케이스에 형성되는 촬영부의 조립작업과 이상시 분해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시말해서 영상입력부의 힌지핀이 볼케이스의 힌지공으로 결합되어 삽입된 후 그 볼케이스는 다시 지지테와 접하도록 결합되어 지고 그 지지테는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이 헤드 케이스의 장착홈으로 결합고정됨에 따라 간편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분해작업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촬영부(20)는 상기 지지테(24)의 양측으로 장공(242)이 형성된 지지대(240)를 형성하고, 상기 볼케이스(25)의 상단과 하단으로 스토퍼(250)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20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각도를 상하좌우 어떠한 각도로 셋팅하여 촬영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 촬영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도로, 도 3a는 촬영부가 좌우로 작동되는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지지테(24)의 내측면으로 접하여 그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대(240)의 장공(242) 상으로 영상입력부의 힌지핀(26)이 볼케이스(25)의 힌지공(25b)을 통하여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영상입력부가 내장된 볼케이스가 상기 지지테의 지지대로 형성된 장공 상에서 그 장공의 길이만큼 좌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됨으로서, 상기 볼케이스로 내장된 영상입력부의 좌우 촬영 반경을 보다 폭넓게 촬영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됨과 동시에 그 측으로 설치된 각 촬영부와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b는 촬영부가 상하로 작동되는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지지테(24)의 내측면과 접하게 결합된 영상입력부가 내장되는 볼케이스(25)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그 형상의 조건 상 상하측으로도로 유동되어 지는 조건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볼케이스(25)의 상단과 하단으로 스토퍼(25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볼케이스가 지지테의 내측면에서 자연스럽게 상하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고 그 조절되는 과정에서 상단 또는 하단으로 형성된 스토퍼가 상기 지지테의 외측단으로 걸려지게 되어 그 내장된 영상입력부의 렌즈가 상기 헤드 케이스 내로 인입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상하 각도 조절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좌우측 뿐만 아니라 상하측의 각도 조절 또한 가능하게 이루어져 영상입력부의 촬영 각도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감시 카메라에 있어, 하나의 헤드 케이스에 다수의 영상입력부를 구비함에 따라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여러 방향으로의 촬영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별도의 추가 설치없이 하나의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여러방향의 지역을 동시에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촬영부의 촬영각도를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촬영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보다 폭넓은 지역을 세밀하게 감시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3)

  1. 헤드 케이스 내로 영상입력부가 장착되는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헤드 케이스(50)의 상면으로 상,하단에 고정플랜지(12,12a)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고정대(10)와; 상기 하나의 헤드 케이스(50)로 다수의 영상입력부(60)가 내장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촬영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20)는 상기 헤드 케이스(50)의 외측면으로 다수의 장착홈(22)을 형성하고 그 장착홈(22)에는 테두리로 결합홈(24a)이 형성된 지지테(24)와, 일면 중앙으로 투시공(25a)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힌지공(25b)이 형성되는 반구형의 볼케이스(25)와, 상기 영상입력부(60)의 양측으로 상기 힌지공(25b)으로 삽입되는 힌지핀(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20)에는 상기 지지테(24)의 양측으로 장공(242)이 형성된 지지대(240)를 형성하고, 상기 볼케이스(25)의 상단과 하단으로 스토퍼(250)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KR2020010029312U 2001-09-22 2001-09-22 감시 카메라 KR200256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312U KR200256732Y1 (ko) 2001-09-22 2001-09-22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312U KR200256732Y1 (ko) 2001-09-22 2001-09-22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732Y1 true KR200256732Y1 (ko) 2001-12-29

Family

ID=7306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312U KR200256732Y1 (ko) 2001-09-22 2001-09-22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7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703Y1 (ko) * 2010-08-17 2012-09-26 김재규 보안용 카메라 시스템
KR200462704Y1 (ko) 2010-08-23 2012-09-26 김재규 보안용 카메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703Y1 (ko) * 2010-08-17 2012-09-26 김재규 보안용 카메라 시스템
KR200462704Y1 (ko) 2010-08-23 2012-09-26 김재규 보안용 카메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5106B2 (ja) ドーム型カメラ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KR200252100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불렛 카메라
KR20050074312A (ko) 촬상 장치
US9690173B1 (en) Rotating mount
WO2010121506A1 (zh) 一体化的360度视场角全景视频监控装置
JPH0983841A (ja) テレビカメラ用の雲台構造、及び、パンチルトカメラ
KR200256732Y1 (ko) 감시 카메라
US20180115720A1 (en) Variable field of view multi-imager
KR100558021B1 (ko) 팬/틸트 돔형 카메라
KR200455617Y1 (ko) 적외선 카메라의 빛 차단장치
JP4438398B2 (ja) 監視カメラ装置の光軸回転構造
JP3519146B2 (ja) パンチルトカメラ
JP4933086B2 (ja) 多焦点カメラの撮像ユニット取付構造
KR200189102Y1 (ko) 미러를 이용한 다방향 감시 카메라
JP3519145B2 (ja) パンチルトカメラ
KR200252099Y1 (ko)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돔 카메라
KR200277709Y1 (ko)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KR200352613Y1 (ko) 팬/틸트 돔형 카메라
US20210125472A1 (en) Triaxial dome-type surveillance camera
JPH08139975A (ja) パンチルトカメラ
KR20240051762A (ko) Cctv카메라의 상기렌즈조절기술
JPH08102880A (ja) 監視用ビデオカメラ
KR102498196B1 (ko) 난반사 제거를 위한 버블 구조를 갖는 ptz 카메라 장치
CN217590904U (zh) 图像采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